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eloid 세포의 Fibronectin 합성에 대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의 영향

        구성모,김인산,박낭운,손건영,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1

        목적 : 이 연구는 keloid가 상처의 치유과정에 발생하는 비후성인 반흔의 일종으로서 결합 조직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축적된 것이 특징이나 원래 부위에만 국한되지 않고 주위조직으로 침범해 가는 특성을 가진데 관점을 두어 환부와 그 인접부 그리고 정상조직에서 얻은 배양 세포에서 결합조직의 한 성분인 fibronection의 합성능을 조사하여 상호 비교하고 또 이 합성에 대한 transforming grown factor-β (TGF-β)의 영향을 조사해 보기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Keloid 병변부 8예, keloid 인접부 4예, 정상조직 4예에서 조직을 채취·배양해서 얻은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여 fibronectin 합성능을 조사했다. 또 이에 대한 TGF-β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세포를 24시간 동안 TGF-β로 처리하였다. Fibronectin의 합성능 측정은 면역침전법에 의하였다. 결과 : Fibronectin의 합성은 병변부 세포에서 정상부위 세포보다 약 1.6배로 많았으며, 인접부위세포에서는 병변부 세포보다 약 1.7배, 정상부위 세포보다 약 2.7배로 많았다. 그리고 TGF-β를 처리한 후의 fibronectin 합성은 처리하지 않았는 대조군에 비하여 정상부위 세포에서는 약 1.8배, 병변부세포에선 약 1.4배로 증가되었으나 인접부위 세포에서는 별로 증가되지 않았다. 결론 : Keloid의 환부는 정상부위에 비하여 세포의 matrix 성분의 하나인 fibronectin의 합성이 활발하며 특히 병변부 주위에서 더욱 활발하였다. Fibronectin의 합성은 TGF-β에 의해 분명히 증가되나 keloid 인접부위에서는 이에 무감작할 정도였다. 이 부위는 여러 인자에 의해 그 합성이 활발하다고 하겠다. Keloids are fibrous, hypertrophic scar reaction that occur secondary to skin injury and tend to recur after excision. Histopathologically there is an overabundace of various connective tissue components such as collagen and fibronectin. Characteristically keloids spread to invade surrounding normal skin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original wound. In this study focusing on this invasion behavior, fibronectin synthesis in the four keloid adjacent fibroblasts as well as in the three normal and eight keloid cells, were determined. The effect of transforming grown factor-β (TGF-β), which is well known as increasing the synthesis of collagen and fibronectin, on the fibronectin synthesis of the above cells was also investigated. Fibronectin was synthesized in keloid cells about 1.6 fold more than in the normal cells, and the fibronectin synthesis in the keloid adjacent cells was about 1.7, and 2.7 folds more than in the keloid and normal cells respectively. Twenty-four hour TGF-β treatment increased fibronectin synthesis in normal cells by about 1.8 fold and in keloid cells by about 1.4 fold. In contrast, adjacent cells showed little response to TGF-β. Above results suggest that adjacent cells are locally under active TGF-β stimulation and thus synthesize more fibronectin than normal or keloid cells and additional stimulation of TGF-β, however, has little effect on adjacent cells.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의 관절액 Total Fibronectin의 임상적 의의

        김학준 ( Hak Jun Kim ),박정기 ( Jeong Ki Park ),여동근 ( Dong Geun Yoe ),윤원찬 ( Wern Chan Yoon ),정의달 ( Ye Dal Jung ),조선주 ( Sun Joo Cho ),김상경 ( Sang Gyung Kim ),전창호 ( Chang Ho Jeon ),김채기 ( Chae Ki Kim ),송용호 ( Yo 대한류마티스학회 2000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7 No.3

        목적: 류마티스 관절염에서의 염증 자극에 대한 활막 또는 관절액의 fibronectin에 관한 연구는 염증 기전이나 RA의 병인을 규명할 수단이 될 수 있다. 최근에 단클론성 항체의 개발로 체액중 total fibronectin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RA와 OA의 관절액의 그 농도를 측정하였고, RA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 측정값의 임상적 가치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방법: 무릎 관절 종창을 보이는 RA 및 OA 환자 68명을 대상으로 하여 약 2mL의 관절액을 채취하고 total fibronectin을 단클론성 항체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RA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6가지 기존의 질병활성도를 횡단면연구로 조사하였다. 결과: 1. RA 환자와 OA 환자의 관절액내 total fibronectin의 농도(mean±SD)는, RA가 148.4±72.6μg/ml, OA가 39.5±16.9μg/ml로 OA 환자에 비하여 RA 환자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다 (p<0.001). 2. RA 환자의 관절액내 total fibronectin의 농도는 질병이환 기간(r=-0.272, p=0.199), 조조강직 기간(r=0.252, p=0.313), ESR (r=0.082, p=0.711), Ritchie index (r=0.217, p=0.359), CRP (r=0.131, p=0.550), 류마티스 인자(r=-0.010,p=0.963)와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못했다. 결론: 이상에서 RA 환자에서 관절액 중 total fibronectin의 농도는 OA 환자에서 보다 명확히 높기 때문에 원발성 OA 환자의 그것과 병인론적으로 구별됨을 알 수 있었으나, 임상적으로는 RA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쓰일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A study on fibronectin, which is synthesized in response to inflammatory process of joint destruction, can be of great value in identifying the mechanism of inflammation or disease activity of rheumatoid arthritis (RA).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s of total fibronectin in synovial fluid of patients with RA and osteoarthritis (OA), and compare it with the clinical disease activity parameters of RA available. Methods: A total 68 patients suffering from knee pain and joint effusion was examined. Synovial fluids of thirty-eight RA patients and thirty OA patients were measured by using monoclonal fibronectin antibody. Cross-sectional analysis was undertaken to correlate the fibronectin levels of the RA patients with the clinical disease activity parameters available. Results: 1. Mean synovial fibronectin level of RA (148.4±72.6㎍/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A (39.5±16.9㎍/ml)(p<0.001). 2. The fibronectin levels in RA do not seem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arameters such as disease duration, the duration of morning stiffness, Ritchie index, ESR, CRP, and rheumatoid factor.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synovial total fibronectin concentration can clearly distinguish RA from OA. However, it would be unlikely to be used as a parameter of disease activity.

      • 발생초기 마우스 배자에 있어서의 Fibronectin분포에 관한 면역화학적 연구

        박귀애,김순옥 고신대학교 의학부 1993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9 No.1

        마우스 발생초기 세 배엽층(germ layer)이 형성되어 각 배엽의 세포가 이동하여 기관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시기의 fibronectin의 분포를 관찰하기 위하여 발생중인 마우스배자를 실험재료로 하여 indirect Avidin-Biotin immunoperoxidase method로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세포내 fibronectin은 내배엽세포가 이동하기 이전의 주머니포배 즉 발생 6일째의 마우스 배자이 원시내배엽세포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발생시간이 경과되어 중배엽이 나타나는 시기에는 내배엽세포내의 반응은 현저히 소실되었다. 2. 세포외 fibronection은 원시내배엽세포의 간질에서, 그리고 영양막과 세포외내배엽의 내면에서 관찰되었다. 3. 세포외 fibronectin은 내배엽, 중배엽 및 외배엽 각 층 사이에서도 관찰되었으며, 특히 내배엽과 외배엽 기저에서는 가느다란 선상으로 나타나는데 비해 중배엽에서는 그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4. 배자외 막(융모막과 난황낭벽)에서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fibronectin이 내배엽세포와 중배엽세포가 이동하는데 중용한 기질로 사용된다는 설을 재확인 하였다. It is known that the organogenesis is established as a result of migration of three germ cell layers in the early stage of embryogenesis. In an attempt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expression patterns of fibronectin,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was performed. Mouse embryos of gestational age 6 to 13 days were observed. Paraffin-embedded sections were immunostained with antibody to fibronectin(indirect Avidin-Biotin peroxidase method). 1. In the early stage of blastocyst(6th day mouse embryo), intracellular expression of fibronectin was observed in primitive endodermal cella of the inner cell mass. However, positivity for intracellular fibronectin diminished as gestational age increased. 2. Extracellular expression of fibronectin was detected in the interstitial spaces of primitive endodermal cells prior to differentiation and was noted on the inner surface of trophoblast and extraembryonic endoderm. 3. Extracelluar fibronectin was also reactive in intervening spaces of each germ cell layer. 4. In addition, extraembryonic membrance(chorion and yolk sac wall) expressed fibronectin. These findings may support the theory that fibronectin is essential to the proper location of cells in the early developing embryo.

      • 외과적 중환자의 혈청 Fibronectin치와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활성도의 임상적 의의

        홍성권,박낭운,김인산,손건영,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1

        목적 : Fibronectin은 opsonin으로서 작용하여 염증세포의 탐식작용을 도움으로써 신체의 방어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은 폐장에 주로 존재하여 여러가지 폐질환때 이의 변동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의 방어기전이 저하되고 폐장의 손상이 야기된 외과적 중환자를 대상으로 혈청내 fibronectin과 ACE를 측정하여 그의 임상적 의의를 조사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대상환자는 대학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한 외과적 중환자 22명(환자군)과 일반병설의 환자 22명(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Fibronectin은 Miekka등의 방법에 따라 분리하여 표준액으로 하고 정량은 Laurell의 방법에 따라 rocket immunoelectrophoresis 법에 의하였다. 한편 ACE는 Neels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 : 혈청 Fibronectin과 ACE는 다같이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이것은 패혈증을 동반한 환자군, 성인성 호흡곤난증을 동반한 환자군 그리고 이 두 증상을 함께 동반한 환자군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환자경과를 계속 조사한 결과 회복되는 환자에서는 fibronectin 치는 점차 증가됨을 보였으나 사망한 환자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ACE치는 이러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 혈청청 Fibronectin치와 ACE치는 다같이 외과적 중환자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특히 혈청 fibronectin치는 회복되는 환자에서는 점차 증가되었고 사망한 환자는 점차 떨어졌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연속적으로 측정함이 좋다고 본다. Opsonic fibronectin is Known to modulate phagocytic function of macrophages and neutrophils. Its depletion has been observed in critically ill, surgical, of trauma patients. Serum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level also has been documented to be lowered in surgical intensive car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diagnostic and prognostic values of serum fibronectin and ACE levels in these patients. Serum fibronectin and ACE were measured in 22 surgical intensive care patients and in 11 of them, serial measurement was done. Serum fibronectin and AC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and expired patients. Certain complications such as sepsis, (adult respiratory distress suydrome) or both, didn't appear to affect serum fibronectin and ACE levels in surgical intensive care patients. Serial measurement of serum fibronectin showed that elevation and depression of serum fibronectin level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final outcome. In control, serial measument of serum ACE didn't appear to have prognostic valu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erum fibronectin and AC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urigical intensive care patients than in controls and serial measutement of serum fibronectin could be used as a good prognostic index for caring severely ill patients.

      • KCI등재

        유도분만의 기준 및 예측 지표로서의 태아 Fibronectin의 유용성

        김영기(Young Ki Kim),김선동(Sun Dong Kim),황진영(Jin Young Hwang),설봉경(Bong Kyung Seol),박정돈(Jung Don Park),한치동(Chi Dong Han),허창규(Chang Kyu Huh),고석봉(Suk Bong K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태아 fibronectin은 혈청과 세포막 외 기질에서 발견되는 고 분자량의 당 단백질이다. 임신 2기와 3기 동안에 자궁경부 및 질 내 에서 검출 된 태아 fibronectin은 조기진통의 예측인자로 인식되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만삭의 산모에서 질 내 태아 fibronectin, CRP, Bishop score 등을 측정하여 만삭의 산모에서 분만의 예측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방법: 1998년 3월1일부터 1998년 5월 30일 까지 대구 효성 가톨릭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38주 이상의 산모 중 진통이 없는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검사와 내진 을 통하여 modified Bishop score를 산정 하였고, 5점 이상일 때 양성 군으로 판정하였다. 질 내 태아 fibronectin의 농도는 자동효소 면역 기에 의해 단일 클론 성 항체 FDC-6를 이용하여 550nm의 파장에서 측정하였으며 검체 는 50ng/ml 이상일 때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연구대상을 태아 fibronectin에 따라 양성 군과 음성 군으로 나누고, 두 군간 의 임부연령, 유도분만 후 분만까지의 시간, 분만 시 신생아 체중, CRP를 측정하였으며, Bishop score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유도분만 후 분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태아 fibronectin과 Bishop score의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태아 fibronectin에 따른 임부 평균연령과 태아 평균 체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CRP와 유도분만 후 평균 분만 시간은 음성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P=0.018 , P<0.001), Bishop score에 따른 유도 분만 후 평균 분만시간은 음성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P=0.008), 태아 fibronectin과 Bishop score 의 유도분만 후 평균 분만시간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correlation coefficient=0.695, p<0.005)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질 내 태아 fibronectin의 존재는 만삭 산모에 있어서, 주관성이라는 단점을 지닌 Bishop score에 비해, 객관적인 유도분만의 기준 및 예측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Objectives: Fibronectin is a high-molecular-weight glycoprotein found in the plasma and extracellular matrix. The presence of fetal fibronectin in cervicovaginal secretion of pregnant women during the second and the third trimester has been suggested as a means of identifying women in preterm labor who be delivered prematurely. Therefore, our purpose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presence of fetal fibronectin in cervicovaginal secretion of patient in full term as biochemical predictor of Time of Induction. Methods: Fetal fibronectin was obtained at external os and posterior vaginal fornix in 30 women in full term who had no uterine contraction with intact membrane. The cervix was assessed by digital vaginal examination and scored with a modified Bishop score. Results: There was a good correlation in delivery time after induction between the fetal fibronectin and the modified Bishop score (r=0.695,P<0.005) Conclusion: The presence of fetal fibronectin is better than Bishop score that is dependent on clinical experience as biochemical predictor of Time of Induction.

      • KCI등재후보
      • SCIESCOPUSKCI등재

        Biological Effects of Fibronectin Type III 10 domain on Human Osteoblast-like cells

        이창석,장준혁,김태일,이용무,류인철,정종평,한수부,구영,Lee, Chang-Seok,Jang, Jun-Hyeog,Kim, Tae-Il,Lee, Yong-Moo,Rhyu, In-Chul,Chung, Chong-Pyoung,Han, Soo-Boo,Ku, Young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4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4 No.2

        1. 연구 목적 Fibronectin은 세포외기질의 주요성분인 거대 당단백질로서, 조골세포의 부착과 증식 및 이동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fibronectin의 조골세포에 대한 영향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 전체 fibronectin 단백질을 사용하는 것은 면역학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단점을 안고 있어서, 유효한 반응단위만을 추출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세포부착에 주로 관여하는 fibronectin type III분절 중 10번 도메인이 조골양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 fibronectin단백질과 fibronectin type III 7-10 도메인 분절과 비교, 관찰하는 것이다. 2. 연구 방법 사람의 fibronectin을 기초로 한 적절한 primer로서, 유전자 재조합법을 이용하여 fibronectin type III 10 도메인과 fibronectin type III 7-10 도메인 분절을 얻었으며, 전체 fibronectin분자는 상용으로 준비하여 24-well 세포배양 용기에 도포하였다. 배양된 조골양세포(HOS cell)를 $1x10^5$ cells/well의 농도로 각 well에 분주하여 $37^{\circ}C$에서 1시간 배양을 하였다. Cell adhesion assay를 실시하기 위해 10% formaldehyde로 고정시키고 1% Crystal Violet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을 관찰 후 2% SDS를 처리하여 micro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혼탁정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RPMI 용액을 사용하였다.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준비된 $35mm^2배양접시에 HOS cell을 $37^{\circ}C$에서 4일간 배양 후, MTS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증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6일째 405nm에서 활성화된 세포에서 분비된 p-nitrophenol을 이용한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Fibronectin type III 10 도메인은 HOS cell에 대한 생물학적인 효과면에서, 전체 fibronectin 분자 및 fibronectin type III 7-10 분절과 통계적으로 유사한 세포부착도를 보여주었으며, 세포증식도와 alkaline phosphatse 활성도면에서도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fibronectin type III 10 도메인이 조골세포의 증식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생체재료의 표면개질 부착물질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 ELISA에 의한 뇌척수액내 Fibronectin의 측정과 임상적 의의

        김숙희,박충서,이병헌,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0 慶北醫大誌 Vol.31 No.3

        신경계 질환의 진단은 임상 소견과 뇌척수액 검사소견 등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소견이 각 질환간의 감별에 분명한 도움을 주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척수액 fibronectin을 측정하여 여러 신경계 질환과의 관련을 조사하고 나아가 이들 질환의 감별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Fibronectin은 뇌척수액내 미량으로 존재하므로 이의 측정을 위하여 먼저 측정능이 좋은 ELISA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농도가 10 ng/ml에서부터 100 ng/ml의 범위내에서 뇌척수액 fibronectin 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결핵성 뇌막염 9례, 바이러스성 뇌막염 5례, 세균성 뇌막염 2례를 포함한 기타 신경계 질환 8례 및 정상대조군 18례 등 총 40례를 대상으로 뇌척수액내 fibronectin농도를 조사한 결과, 결핵성 뇌막염군은 4.21±2.32 ㎍/㎖, 바이러스성 뇌막염군은 0.9±0.79 ㎍/㎖, 기타 질환군은 2.05±2.48 ㎍/㎖, 그리고 정상대조군은 1.35±0.84 ㎍/㎖의 평균값을 보여 결핵성 뇌막염군이 기타 질환군을 제외한 타 질환군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1). 결핵성 뇌막염의 경우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2.9 ㎍/㎖ 이상이었고, 3례(38%)에서는 4.6 ㎍/㎖ 이상이었던 반면, 바이러스성 혹은 무균성 뇌막염에서는 1례에서만 2.2 ㎍/㎖이고 나머지는 모두 1 ㎍/㎖ 이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뇌척수액내 fibronectin농도의 측정은 결핵성 뇌막염과 바이러스성 뇌막염의 감별진단에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The diagnosis of neurologic diseases is based on the clinical symptoms and cerebrospinal fluid findings. These findings, however, are often ambiguou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cerebrospinal concentration of fibronectin. Fibronectin level in cerebrospinal fuid was measured by ELISA which could detect fibronectin in the range from 10 ng/ml to 100 ng/ml. Nine cases of tuberculous menigitis, 5 cases of viral meningitis, 8 cases of miscellaneous neurologic conditions and 18 cases of normal controls were studied. The mean value of fibronectin level in cerebrospinal fluid in tuberculous meningitis was 4.21±2.32 ㎍/㎖, in viral meningitis 0.9±0.79 ㎍/㎖, in miscellaneous neurologic conditions 2.05±2.48 ㎍/㎖ and in controls 1.35±0.84 ㎍/㎖. The fibronectin level in tuberculous mening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groups except the miscellaneous neurologic conditon(p<0.01). Cerebrospinal fluid fibronectin level appeared to be useful to differentiate tuberculous meningitis fro viral meningitis. Those levels were higher than 2.9 ㎍/㎖ in all except one case and higher than 4.6 ㎍/㎖ in 38% of tuberculous meningitis cases, but, 2.2 ㎍/㎖ in only one case of viral meningitis and lower than 1.0 ㎍/㎖ in all except one case of viral meningitis. It is suggested that measurement of fibronectin level in cerebrospinal fluid is a useful test for diagnosis of tuberculous meningitis, especially for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uberculous and viral meningitis.

      • 내독소에 의한 내피세포와 Albumin 및 Fibronectin간의 결합력의 변화

        이남혁,임정교,곽정식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1

        목적 : 내독소에 노출된 후의 내피세포와 혈장 단백의 결합력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prague-Dawley계 흰쥐에 8㎎/㎏의 내독소를 투여한 후 알부민과 fibronectin에 교질금을 부착한 결합체를 폐동맥을 통해 관류한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및 결론 : 알부민과 fibronectin은 내피세포하 간질 조직에 축적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내독소를 투여한 군에서 그 양이 상당히 감소되었다. 그리고 내피세포의 혈관강쪽 세포막에는 국소적으로 관찰되었다. 내독소를 투여한 군의 내피세포는 부종과 불규칙한 세포질 돌기가 형성되었다. 내독소에 의해 알부민과 fibronectin의 내피세포와의 결합이 감소하며 이는 내독소에 의한 내피세포의 알부민 및 fibronectin에 대한 수용체의 상해로 알부민 및 fibronectin의 내피세포를 통한 수송의 감소가 일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The author studied the transendothelial transport of albumin and fibronectin in endotoxin-induced lung injury. The lungs of Sprague-Dawley rats were examined by electron microscopy at 3 minutes after perfusion of colloidal gold labelled albumin and fibronectin respectively at 6 hours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8㎎/㎏ of E. coli endotoxi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Both albumin and fibronectin were accumulated in the subendothelium. The amounts of subendothelial albumin and fibronectin were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group. Endothelial swelling and irregular cytoplasmic processes of endothelium were observed in alveolar capillaries after endotoxin inj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crease of transendothelial transport of albumin and fibronectin is caused by endotoxic injury of albumin and fibronectin receptors of the endothelium.

      • SCIESCOPUSKCI등재

        The fibronectin concentration that optimally maintains porcine satellite cells

        Jae Ho Han,Si Won Jang,Ye Rim Kim,Hoon Jang,Kwan Seob Shim,Hyun Woo Choi Asian Australasian Association of Animal Productio 2023 Animal Bioscience Vol.36 No.12

        Objective: 'Cultured meat' has been suggested as means of solv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overpopulation and gas emissions. Satellite cells are a major component in the production of cultured meat; however, these cells cannot be maintained in vitro over long periods. Fibronectin is a glycoprotein that affects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cell adhesion,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Unfortunately, the characteristics of porcine satellite cells grown in a long-term culture when exposed to fibronectin-coated dishes are unknow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fibronectin coated dishes for proliferation and maintenance of porcine satellite cells at long-term culture. Methods: In this study, we isolated the satellite cells and fibroblast cells with pre-plating method. We next analyzed the cell doubling time, cell cycle, and rate of expressed paired box 7 (Pax7) and myogenic differentiation 1 (MyoD1) in porcine satellite cells cultured with 20 ㎍/mL of fibronectin-, gelatin-, and non-coated dishes at early and late passage. We then analyzed the proliferation of porcine satellite cell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mixed gelatin/fibronectin. We next determined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fibronectin that would encourage proliferation and maintenance of porcine satellite cells in a long-term culture. Results: Doubling time was lowest when 20 ㎍/mL of fibronectin was used (as tested during an early and late passage). Levels of expressed Pax7 and MyoD1, assessed using immunocytochemistry, were highest in cells grown using fibronectin-coated dishes. The proliferation of gelatin/fibronectin mixed coating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orcine satellite cells. The concentration of 5 ㎍/mL fibronectin coated dishes showed the lowest doubling time and maintained expression of Pax7. Conclusion: Fibronectin with 5㎍/mL effectively maintains porcine satellite cells, a discovery that will be of interest to those developing the next generation of artificial me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