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수내 Fibronectin, Adenosine Deaminase, Sialic Acid 및 지질의 감별진단적 의의

        여승엽,박낭운,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0 慶北醫大誌 Vol.31 No.3

        복수를 일으키는 질환의 감별진단에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액에서 몇가지 생화학적 지표를 측정하고, 각 지표들의 감별진단적 의의를 검정하여 보았다. 총 39명의 환자로부터 복수액을 채취하였는데, 그 중 16명이 악성종양, 5명이 결핵 그리고 18명이 간경변증 환자였다. Fibronectin과 sialic acid치는, 악성종양성 및 결핵성복수에서 간경변성복수에 비해 각각 유의한(p<0.01)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악성종양과 결핵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denosine deaminase치는 악성종양성, 결핵성 및 간경변성복수 모두에서 서로간에 유의한(p<0.01)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복수내 백혈구수, 단백질농도, 포도당농도, lactate dehydrogenase, 지질농도등 기존 생화학적 지표들이 측정치의 분포에 있어 이들 세군 사이에 상당한 중복을 나타낸 반면에 fibronectin, sialic acid, 그리고 adenosine deaminase측정치의 분포는 각각 세군 사이에 명확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복수액에서 fibronectin, sialic acid 및 adenosine deaminase를 측정함으로써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이 더욱 용이하고 정확하게 되리라 사료된다. Trying to find accurate markers to differentiate ascites, several b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in ascitic fluids. Ascitic fluid samples from 16 patients with maligancy, 5 patients with tuberculosis and 18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were investigated. The levels of fibronectin and sialic aci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ignant and tuberculous ascites than cirrhotic ascites(p<0.01)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ignant and tuberculous ascites. The activities of adenosine deaminase in malignant, tuberculous and cirrhotic asci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p<0.01). Fibronectin, sialic acid and adenosine deaminase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overlaps among 3 groups while several other parameters-leukocyte, protein, glucose, LDH and lipids analyzed simultaneously in theses samples showed the considerable overla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terminations of fibronectin, sialic acid and adenosine deaminase in ascites may improve the accuracy of differential diagnosis of ascites.

      • 섬유아세포 증식에 대한 Phorbol myristate acetate의 효과

        윤석주,박낭운,김인산,손건영,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1

        목적 : 이 연구는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가 강력한 암촉진제로서 세포내 신호전달체인 protenin kinase C (PKC)의 활성화를 통하여 여러가지 작용을 나타낸다. 사람 두배수체인 섬유아세포와 불멸성 섬유아세포인 Swiss 3T3 세포의 증식 즉 DNA 합성에 대해 PMA의 미치는 효과와 이것의 PKC와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 사람 폐섬유아세포(HEL299) 및 Swiss 3T3세포를 밀생상태가 될때까지 배양한후 fetal vine serum이 없는 배지에서 48시간 두어 휴지기 상태로 만들어 필요한 시약과 [H^3]thymidine를 넣어 24시간 배양해서 세포내 DNA 합성에 이용된 [H^3]thymidine의 방사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사람 및 Swiss 3T3 섬유아세포의 DNA 합성은 PMA단독투여 때는 약2배로 증가되었으나 colchicine 혹은 insulin을 함께 투여하면 그 양상은 달랐다. 즉 PMA는 Swiss 3T3 세포에서 insulin에 의한 DNA 합성 증가작용을 더욱 촉진시켰으나, 사람의 섬유아세포에서는 insulin이나 colchicine에 의한 DNA합성 증가를 오히려 억제하였다. 사람의 섬유아세포에 비활성 phorbol ester인 4α-phorbol-12, 13-didecanoate(4α-PDD) 단독 투여하니 PMA 무여군과는 달리 DNA 합성이 대조군과 별 차이가 없었으며, colchicine에 의한 DNA 합성증가에도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wiss 3T3 세포에 비교적 선택적으로 PKC 활성을 억제하는 staurosporine을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투여하니 PMA에 의한 DNA합성 증가효과는 감소되었다. 결론 : PMA는 사람 섬유아세포나 Swiss 3T3 세포에 약간의 증식효과를 가지나 세포 자극제에 의한 DNA 합성 증가효과에 대해서는 세포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PMA의 효과는 PKC를 통하여 일어남을 시사하였다.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round the damaged tissue plays a key role in the wound healing and the development of tissue fibrosis.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 is known to be a potent tumor promoter and its intracellular receptor, protein kinase (PKC) is kn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many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those involved in cell proliferation. In cultured human diploid tang fibroblasts and Swiss 3T3 cells, the effects of PMA on the DNA synthesis and the involvement cf PKC in its effects were studied. PMA alone stimulated DNA syntheis by the both cells slightly. However, the treatment of the both cells with PMA resulted in an opposite effect on the DNA syntheis stimulated by colchicine and/or insulin. PMA inhibited DNA synthesis in human fibroblasts stimulated by insulin and colchicine, whereas PMA potentiated insulin-stimulated DNA synthesis in Swiss 3T3 cells. 4α-phorbol-12, 13-didecanoate(4α-PDD), known to be inactive for PKC, was without effect in DNA synthesis by human fibroblasts in the either absence or presence of colchicine. Staurosporine, a relatively specific inhibitor for PKC abolished the effect of PMA on DNA synthesis in Swiss 3T3 cells in the presence of insul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KC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DNA synthesis in fibroblasts but its outcom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ulture conditions and the cells used.

      • 외과적 중환자의 혈청 Fibronectin치와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활성도의 임상적 의의

        홍성권,박낭운,김인산,손건영,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1

        목적 : Fibronectin은 opsonin으로서 작용하여 염증세포의 탐식작용을 도움으로써 신체의 방어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은 폐장에 주로 존재하여 여러가지 폐질환때 이의 변동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의 방어기전이 저하되고 폐장의 손상이 야기된 외과적 중환자를 대상으로 혈청내 fibronectin과 ACE를 측정하여 그의 임상적 의의를 조사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대상환자는 대학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한 외과적 중환자 22명(환자군)과 일반병설의 환자 22명(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Fibronectin은 Miekka등의 방법에 따라 분리하여 표준액으로 하고 정량은 Laurell의 방법에 따라 rocket immunoelectrophoresis 법에 의하였다. 한편 ACE는 Neels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 : 혈청 Fibronectin과 ACE는 다같이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이것은 패혈증을 동반한 환자군, 성인성 호흡곤난증을 동반한 환자군 그리고 이 두 증상을 함께 동반한 환자군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환자경과를 계속 조사한 결과 회복되는 환자에서는 fibronectin 치는 점차 증가됨을 보였으나 사망한 환자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ACE치는 이러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 혈청청 Fibronectin치와 ACE치는 다같이 외과적 중환자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특히 혈청 fibronectin치는 회복되는 환자에서는 점차 증가되었고 사망한 환자는 점차 떨어졌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연속적으로 측정함이 좋다고 본다. Opsonic fibronectin is Known to modulate phagocytic function of macrophages and neutrophils. Its depletion has been observed in critically ill, surgical, of trauma patients. Serum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level also has been documented to be lowered in surgical intensive car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diagnostic and prognostic values of serum fibronectin and ACE levels in these patients. Serum fibronectin and ACE were measured in 22 surgical intensive care patients and in 11 of them, serial measurement was done. Serum fibronectin and AC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and expired patients. Certain complications such as sepsis, (adult respiratory distress suydrome) or both, didn't appear to affect serum fibronectin and ACE levels in surgical intensive care patients. Serial measurement of serum fibronectin showed that elevation and depression of serum fibronectin level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final outcome. In control, serial measument of serum ACE didn't appear to have prognostic valu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erum fibronectin and AC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urigical intensive care patients than in controls and serial measutement of serum fibronectin could be used as a good prognostic index for caring severely ill patients.

      • Keloid세포의 Collagen합성에 관한 연구

        박혜경,박낭운,이병헌,최제용,김인산,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keloid가 점점 그 주위조직으로 침범하는 성질이 있는 것에 착안하여 keloid 중심부위와 그 인접부위 그리고 정상부위 조직에서의 collagen 합성능을 측정하여 상호비교 해보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 7예의 keloid 섬유아세포와 3예의 keloid 인접부위 섬유아세포 그리고 5예의 정상부위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Peterkofsky씨등의 방법^13)에 따라 collagen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해체와 배양조건에 따른 차이를 배제하기 위하여 한 환자로부터 동시에 각 부위의 조직을 동시에 얻어 동시에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였다. 결과 : Collagen 합성능의 평균값은 정상조직보다 keloid 부위에서 훨씬 높았으며 또한 keloid 부위보다 그 인접부위에서 더욱 높았다. 결론 : 섬유아세포에서의 collagen 합성능은 정상부위, keloid 부위 및 그 인접부위 순으로 더욱 높았다. 이것은 keloid 환부주위에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인자들이 존재하여 이들에 의해 keloid 주위조직이 자극을 받아 collagen 합성능이 증가하게 됨을 시사한다. Keloids are predominantly fibrous skin tumors that take the form of firm, variably pruritic or tender growths near the site of an injury. Histopathologically they are ricd in various connetive tissue components, such as collagen. In this study, the collagen synthesis by fibroblasts derived from keloid, keloid-adjacent area and normal skin was analyzed. Six keloid fibroblast cell lines out of 7 demonstrated increased collagen synthesis and one showed collagen synthetic rate that was within the control limits. One keloid fibroblast cell and one normal fibroblast cell were cultured from a patient, and when their collagen synthetic rat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t resulted in that keloid cells showed a higer synthetic rate than normal cells. Three keloid-adjacent fibrolast cell lines showed markedly incerased collagen synthesis than their corresponding keloid cell lin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same patien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keloid lesion, there might be local factors which stimulate surrounding fibroblasts to synthesize excessive collagen.

      • TGF β유도 Type 1 Collagen Promotor 활성에 미치는 Phorbor ester와 Okadaic acid의 영향

        전은주,박낭운,김인산,이병헌,최제용,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2

        목적 : 이 연구는 섬유아세포에서 collagen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을 밝히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HEL299 섬유아세포에서 transforming grow factor β(TGFβ)에 의해 증가된 collagen합성 및 promoter활성에, 세포내 단백질의 인산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rotein phosphatase의 길항제이며 non-phorbol ester tumor promoter인 okadaic acid (OKA)와 Protein kinase C (PKC) 활성제인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재료 및 방법 : 사람 폐 섬유아세포인 HEL299 세포를 일정한 상태로 배양한 후 PMA 또는 OKA의 일정량을 단독 혹은 TGFβ와 병합투여하여 24시간 작용시키면서 마지막 6시간 동안 [^3H]proline을 첨가하여 이것의 총단백질과 collagen에의 편입도를 측정·비교하였다. 한편 α_2(Ⅰ)procollagen promoter의 활성도 측정을 위해 HEL299세포에 10㎍의 pMS-3.5/CAT plasmid를 transfection시키고 24시간 배양한 다음 PMA 또는 OKA의 일정량을 단독 혹은 TGFβ와 병합 투여하여 48시간 작용시켜서 세포를 회수하고 CAT활성을 측정하여, 대조 plasmid인 pSV2/CAT를 transfection 시켰을 때의 CAT 활성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표시하였다. 결과 : OKA와 PMA는 다같이 % collagen합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53.4%, 53.9% 억제하였으며, TGF에 의한 collagen 합성 증가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α_2(Ⅰ)procollagen promoter의 3500bp 부위를 포함하는 pMS-3.5/CAT plasmid를 이용한 transfection 실험에서 OKA와 PMA는 그 자체만으로는 promoter 활성을 억제하지 않았지만, TGFβ에 의한 활성 증가에 대해서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 결과를 통해서 볼 때, TGFβ에 의한 collagen합성의 증가에 관여하는 인자는 세포내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regulation mechanism of collagen gene expression in HEL299 fibroblast, the effects of two well-known chemicals affecting phosphorylation status of the intracellular proteins, okadaic acid (OKA), a protein phosphatase inhibitor, and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 a protein kinase C activator, on TGFβ-induced type Ⅰ collagen synthesis and α_2(Ⅰ) collagen promoter activity were examined. Both OKA and PMA per se inhibited the collagen synthesis by 53.5% and 53.9%,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cresase of collagen synthesis induced by TGFβ was suppressed by both OKA and PMA. In transfection experiment using pMS-3.5/CAT composed of -3500∼+58 of α_2(Ⅰ) collagen promoter and CAT gene, OKA and PMA per se did not inhibit the promoter activity. However, they could suppress the effect of TGFβ on collagen promoter activity. These results support the view that factors mediating the effect of TGFβ on type Ⅰ collagen synthesis and α_1(Ⅰ) promoter activity might be regulated by the phosphorlylation status of the intracellular proteins.

      • 흰쥐 뇌와 간에서의 CCAAT-binding factor의 분포

        장윤형,박낭운,이병헌,최제용,김인산,박매자,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2

        목적 : CCAAT-binding factor (CBF)는 유핵세포 유전자의 촉진자에 있는 CCAAT-box에 결합하여 그 전사활동을 조절하는 단백질로서, DNA결합에 반드시 필요한 A, B 및, 세가지 subunit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않은 촉진자에서 CCAAT-box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나, CBF가 결합하는 것으로 확인된 것은 type Ⅰ collagen, major histocopmatibility type Ⅱ, albumin, β-actine등의 유전자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CBF가 어떤 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하며, 어떤 생물학적인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CBF가 어떤 조직의 어떤 부위에서 발현하는지를 알아 봄으로써 그 생물학적인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흰쥐의 뇌와 간 조직에서의 CBF-A와 B단백질의 분포를 면역조직염색으로써 살펴보기로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체중 150-200㎎의 흰쥐 숫 컷의 뇌 및 간을 적출하여 급냉각시킨 뒤 냉동박절기로 엷은 절편을 만들어서 CBF-A와 B단백질을 Hsu등의 방법으로^8) 면역조직염색을 하였다. 결과 : 뇌와 간조직 모두에서 CBF-A와 CBF-B는 동일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heteromeric단백질을 구성하는 subunit으로서 동일한 발현 조절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 뇌와 척수 전반의 거의 모든 부위에 걸쳐서 회색질과 백색질의 세포핵에서 고른 양성반응을 보였다. 간에서는 간세포와 별모양 큰포식세포의 핵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구역에 따른 분포의 특이성은 관찰 할 수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CBF가 간과 뇌조직에서 부위에 따른 특이성이 없이 거의 모든 부위에 분포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러한 현상은 전사조절인자에 의해 조절 받는 표적 유적인자가 이들 조직의 거의 모든 부위에 고르게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BF가 거의 모든 세포의 기능유지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필수적인 단백질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CCAAT-binding factor (CBF), a hetermeric transcription factor that binds to sequences containing a CCAAT motif in a number of eukaryotic promoter, is composed of three subunits, A, B and C, which are all necessary for DNA binding. However, the biological role and its mechanism of CBF action in terms of transcriptional regulation has not yet been understo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biological role of CBF and to identify the pattern of expression in tissues, an immunohistolog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in rat brain and liver. Both brain and liver showed identical expression pattern for A and B subunit, which suggest that the subunits of heteromeric complex are coordinately epressed in the those tissues. The unclei of cells in white and grey matter of brain and spinal cord exhitited a uniform expression over the entire region of the tissues. In addition, the nuclei of hepatocyte and Kupffer cell showed positive reaction and no specific pattern was observed in relation to hepatic zone. This result indicates that CBF is expressed in almst every region of brain and liver wihtout showing any area-specific pattern. In addition, the omnipresecne of CBF suggests that the target promoters of this transcription factor is widely distributed ;in brain and liver and that CBF is a ubiquitous factor which is involved in the expression of many essential genes necessary for maintenance of cell function.

      • Keloid 세포의 Fibronectin 합성에 대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의 영향

        구성모,김인산,박낭운,손건영,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1

        목적 : 이 연구는 keloid가 상처의 치유과정에 발생하는 비후성인 반흔의 일종으로서 결합 조직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축적된 것이 특징이나 원래 부위에만 국한되지 않고 주위조직으로 침범해 가는 특성을 가진데 관점을 두어 환부와 그 인접부 그리고 정상조직에서 얻은 배양 세포에서 결합조직의 한 성분인 fibronection의 합성능을 조사하여 상호 비교하고 또 이 합성에 대한 transforming grown factor-β (TGF-β)의 영향을 조사해 보기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Keloid 병변부 8예, keloid 인접부 4예, 정상조직 4예에서 조직을 채취·배양해서 얻은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여 fibronectin 합성능을 조사했다. 또 이에 대한 TGF-β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세포를 24시간 동안 TGF-β로 처리하였다. Fibronectin의 합성능 측정은 면역침전법에 의하였다. 결과 : Fibronectin의 합성은 병변부 세포에서 정상부위 세포보다 약 1.6배로 많았으며, 인접부위세포에서는 병변부 세포보다 약 1.7배, 정상부위 세포보다 약 2.7배로 많았다. 그리고 TGF-β를 처리한 후의 fibronectin 합성은 처리하지 않았는 대조군에 비하여 정상부위 세포에서는 약 1.8배, 병변부세포에선 약 1.4배로 증가되었으나 인접부위 세포에서는 별로 증가되지 않았다. 결론 : Keloid의 환부는 정상부위에 비하여 세포의 matrix 성분의 하나인 fibronectin의 합성이 활발하며 특히 병변부 주위에서 더욱 활발하였다. Fibronectin의 합성은 TGF-β에 의해 분명히 증가되나 keloid 인접부위에서는 이에 무감작할 정도였다. 이 부위는 여러 인자에 의해 그 합성이 활발하다고 하겠다. Keloids are fibrous, hypertrophic scar reaction that occur secondary to skin injury and tend to recur after excision. Histopathologically there is an overabundace of various connective tissue components such as collagen and fibronectin. Characteristically keloids spread to invade surrounding normal skin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original wound. In this study focusing on this invasion behavior, fibronectin synthesis in the four keloid adjacent fibroblasts as well as in the three normal and eight keloid cells, were determined. The effect of transforming grown factor-β (TGF-β), which is well known as increasing the synthesis of collagen and fibronectin, on the fibronectin synthesis of the above cells was also investigated. Fibronectin was synthesized in keloid cells about 1.6 fold more than in the normal cells, and the fibronectin synthesis in the keloid adjacent cells was about 1.7, and 2.7 folds more than in the keloid and normal cells respectively. Twenty-four hour TGF-β treatment increased fibronectin synthesis in normal cells by about 1.8 fold and in keloid cells by about 1.4 fold. In contrast, adjacent cells showed little response to TGF-β. Above results suggest that adjacent cells are locally under active TGF-β stimulation and thus synthesize more fibronectin than normal or keloid cells and additional stimulation of TGF-β, however, has little effect on adjacent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