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력플랜트 모델수차 성능시험을 위한 시험설비 적절성에 관한 연구

        최종웅,조용덕,홍성택,조현식,차상훈 한국유체기계학회 2019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Vol.22 No.2

        Performance evaluation of model turbines in the development of a hydropower plant is critical for determining hydraulic performance. Generally, performance evaluation of a model turbine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utlined in IEC 60193, and a facility meeting these criteria is required. However, even with the construction of a facility for testing model turbine performance, a suitable facility for performance evaluation is requir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model turbine, the uncertainty of the test is evaluated. For advanced institutes, it is recommended that the total uncertainty be less than 0.25%. Herein, the total uncertainty according to the model turbine performance test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the equipment for evaluating model turbin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test performed by an external organization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otal uncertainty was less than 0.25%. The error range of the model turbine test results obtained by the external augmentation system and the results obtained by the turbine test equipment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horizontal axis was less than 0.5%. The adequacy of the model turbine performance test facility was thus demonstrated.

      • KCI등재

        설비데이터와 기상데이터를 고려한 LSTM 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최준혁,임종태,유재수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5

        Recently, the demand for power generation using solar power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olar power generation fluctuates greatly depending on external conditions, and even distribution areas with the same solar radiation do not produce the same electric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other factors besides weather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solar power generation predic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solar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that adds facility data to weather data used to predict existing solar power generation. The proposed technique builds a dataset based on the module temperature to be used as weather data and facility data and predicts solar power generation with a prediction model using long short-memory (LSTM), which is effective in time series. Finally,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model under different conditions. As a result, the model using weather data and facility data achieves better perfomance than the model using only weather data in terms of accuracy. 최근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외부여건에 따라 변동폭이 크며, 같은 일사량을 가진 분포지역이라도 같은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므로 기상요인 이외의 다른 요인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태양광 발전량 예측에 사용되는 기상 데이터에 설비 데이터를 추가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상데이터와 설비데이터로 사용할 모듈 온도를 기반으로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시계열에 효과적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이용한 예측 모델로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한다. 마지막으로 다른 조건의 모델과 비교를 통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성능평가 결과, 기상데이터와 설비데이터를 사용한 모델의 정확도가 기상데이터만 사용한 모델보다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성형제조업의 생산설비정보화 시스템 표준모델 구축 및 효과 분석

        윤경배(Kyung-Bae Yo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2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 정보화 중에서도 중단기적인 도입 성과를 낼 수 있는 생산설비정보화 구축을 위하여, 성형제조업 분야의 생산실적 수집에 대한 표준 모델을 연구 개발한다. 성형제조업 생산설비정보화 표준화를 위한 개발방법론은 기 연구 개발된 생산설비정보화 개발 방법론(PSDM)을 적용하며, 표준화 모델은 생산관리 프로세스 중 메인 프로세스인 원자재수급 관리와 생산량 집계 2개의 프로세스를 표준화 시키고 표준 모듈을 개발한다. 본 연구로 생산설비정보화를 구축하고자 하는 성형제조업 중소기업 및 관련 전문 IT업체 들이 표준화된 모듈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 할 수 있으며, 시스템에 대한 구축 용이성과 신뢰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를 적용함으로써 생산공정의 불합리한 요소제거, 생산제품 품질 향상, 생산비용절감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tandard model for the compilation of production results in molding business to establish the informatization system for the production facility among informatizadon projects which can generate the performance of medium and short term introduction of the project in implementing the system to small and medium industry. The theory on the development method for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zation for production facility in molding business applies PSDM (Production System Development Method) for which a number of researches were already done while developing a standardization model by standardizing two processes of raw material demand/supply management and making sum total for production quantity which are main processes for production management proces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mall and medium companies in molding business and relevant specialized IT companies which desire to establish production facility informatization systems will be able to establish more efficient system by applying standardized model, and the result of research will enable to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for them while providing reliability of the system.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accomplish the elimination of unreasonable factors in production process, the enhancement of product quality and the saving of production cost.

      • KCI등재후보

        DACUM을 활용한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직무분석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오춘식,조정윤,정유성,송낙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raining ‘mechanical facilities maintenance manager’. To this end, the DACUM technique was used for job analysis an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re develop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meetings. The job analysis was based on the 10-member DACUM Committee to derive the job definition, job model, job description, and task description of the ‘mechanical facilities maintenance manager’.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echanical facilities maintenance manager’ was defined as those who operate, inspect, diagnose, and repair mechanical facilities to provide the best performance and efficient operation management, provide a safe and pleasant environment, and perform energy saving and facility life extension tasks. Second, the duties of the ‘mechanical facilities maintenance manager’ analyzed in the job model consis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operation of mechanical facilities, energy management of mechanical facilities, operation management of mechanical facilities, maintenance of mechanical facilities, safety environment management of mechanical facilities, and customer support management of mechanical facilities. Considering the nature and content of the duties, 4 to 11 tasks per duty were derived and a total of 33 tasks were presented as job model. Third, the curriculum for the ‘mechanical facilities maintenance manager’ was set up in two courses: Practice I for Mechanical Facilities Maintenance and Practice II for Mechanical Facilities Maintenance. Consider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when apply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이 연구는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ACUM 기법을 활용하여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교육훈련 프로그램(안)을 개발하였다. 직무분석은 10명으로 구성된 데이컴 위원회를 중심으로 기계설비유지자 직무정의, 직무모형, 직업명세서, 작업명세서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기계설비유지관리자는 기계설비에 대한 운용, 점검, 진단, 보수를 통하여 최상의 성능과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에너지 절감과 설비수명 연장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자로 정의하였다. 둘째, 직무모형에 분석된 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책무는 기계설비운영 종합계획, 기계설비 에너지관리, 기계설비 운영관리, 기계설비 정비관리, 기계설비 안전환경관리, 기계설비 보수공사관리, 기계설비 고객지원관리로 구성되어 있다. 책무 특성 및 내용을 고려하여 하나의 책무(duty)당 4~11개의 작업(task)이 도출되어 총 33개 작업을 직무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기계설비유지관리자 교육과정은 기계설비 관리실무I과 기계설비 관리실무II의 2개 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훈련프로그램 적용 및 활용시 고려사항과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 7톤급 연소기 축소형 모델 시험을 위한 설비 개량

        강동혁(Donghyuk Kang),임병직(Byoungjik Lim),김현준(Hyeon-Jun Kim),최환석(Hwan-Seok Choi) 한국추진공학회 2012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한국형발사체개발을 위하여 소형연소시험장을 개량하였다. 개량된 시험설비는 7톤급 연소기 개발에 활용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획득한 자료와 시험평가 절차와 시험기법을 토대로 고성능 로켓엔진 개발에 활용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7톤급 축소형 연소기 시험을 위해 개량된 시험설비에 대해 기술하였다. The Model Rocket Engine Test Facility has been improved to develop the Korea Space Launch Vehicle Ⅱ(KSLV-Ⅱ). The modified Model Rocket Engine Test Facility will be used to develop 7-tonf class liquid rocket engine combustor. The test result and test technique acquired from this facility will be used to develop the high performance liquid rocket engine combustor. This paper describes the modified Model Rocket Engine Test Facility for a Sub-scale model test of the 7-tonf class combustor.

      • KCI등재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BIM 데이터 입력기준 개발방안: 건축 기계설비를 중심으로

        원지선,조근하,주기범 대한설비공학회 2013 설비공학 논문집 Vol.25 No.4

        Facility data is created throughou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But the most facility managers bear significant costs that arise from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with facility lifecycle.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way to collect facility data using BIM technolog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BIM data modeling guide for the facility management using the information that need to be delivered from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to operation and management phase. The BIM data modeling guide focus on the properties of mechanical equipment. It is to be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llect facility data from as-built BIM data and to build facility management system database without difficulty.

      • KCI우수등재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BIM 데이터 입력기준 개발방안

        원지선(Ji-Sun Won),조근하(Geun-Ha Cho),주기범(Ki-Beom Ju) 대한설비공학회 2013 설비공학 논문집 Vol.25 No.4

        Facility data is created throughou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But the most facility managers bear significant costs that arise from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with facility lifecycle.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way to collect facility data using BIM technolog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BIM data modeling guide for the facility management using the information that need to be delivered from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to operation and management phase. The BIM data modeling guide focus on the properties of mechanical equipment. It is to be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llect facility data from as-built BIM data and to build facility management system database without difficulty.

      • 터보펌프용 펌프단품 상사 시험설비의 구축

        김대진(Dae-Jin Kim),곽현덕(Hyun Duck Kwak),최창호(Chang-Ho Choi),이진기(Jin-Ki Lee),임진완(Jin-Wan Lim),조항규(Hang-Gyu Cho) 한국추진공학회 2015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5

        KSLV-II에 적용 예정인 터보펌프 중 산화제펌프와 연료펌프의 성능을 상사 매질에서 시험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하였다. 시험품 규격 및 시험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비의 설계가 이루어졌고, 구축된 설비는 주요 구성품에 대한 단독 시험 및 연료 펌프를 장착하여 시험하는 연계 시험을 통해 그 적절성을 판단하였다. 연계 시험 결과, 신규 설비에서 측정된 양정과 효율은 기존 설비에서의 측정값과 유사하였다. A pump test facility using a model fluid is constructed for performance tests of Lox pumps and fuel pumps for turbopumps which are employed in KSLV-II. The facility is designed considering the specification of the pumps and the test condition. Also, the construction of the facility is verified through commissioning tests of main facility items and integration tests with the installation of a fuel pump. As test results, head and efficiency measured at the new facility are similar with those measured at the former facility.

      • KCI등재

        중등학교 미술교과교실 현대화 모델 개발 연구

        이주연(Lee, Jooyon),장경아(Jang, Kyeounga),유장열(Ryu, Jangyeol),김동욱(Kim, Dongu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1

        최근 교육과학기술부는 수업 운영 방식의 다양화와 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교과교실제를 도입, 이의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 미술교과의 경우 타 교과에 비해 교과교실의 조성 여부 및 제반 시설이 학습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교과이다. 따라서 오늘의 학교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미래 지향적인 교육 환경 개념에 따른 환경의 정비 및 시설 확충의 기반 마련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요구와 국가적 시책에 터하여 중등학교 미술교과교실의 현대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교과교실제 운영 방향을 살펴보았으며,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및 요구 조사(FGI)를 통해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여러 중등학교들의 현장 실사를 통해 미술교과교실의 형태 및 운영 방식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술교과교실의 유형별 모델과 활용 방안, 설비ㆍ교구의 기준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미래지향적이고 선진적 형태의 교과 교실제의 시행은 학생 중심의 탄력적인 교육과정의 운영, 기본ㆍ기초 교육과 수월성 교육, 효과적인 교육 자료의 개발 및 활용 등 다양한 교육 요소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2009) has been carrying a plan to enforce the system of variation types of classroom in ‘department system’ in order to diversify class management and to rais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n school. It is regarded that school art classroom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o effect and affect the class management and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dernized models for ‘variation types’(A, B & C Type) of art classroom in ‘department system’ in secondary school. Several researches on managing ways of classroom in department system were analyzed, and the FGI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art teachers' variable demands on art classroom facilities and environment. Several middle and high schools(two art-oriented schools included) were selected in order to suggest the ideal architectural design and managing ways of art classroom for schools. The model types of art classroom for ‘2D’, ‘3D’, ‘art in computer’ & ‘Drawing & Painting’ in ‘department system’, ‘application plan’, and ‘facility standards’ were suggested and recommended. The base for modifying classroom environment facilities should be rearranged and expanded. The enforcement of advanced and modernized system could be satisfying variable educational elements such as flexible curriculums for student centered education, improvement of basic competences, management of intensified class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s.

      • 스마트설계 플랫폼의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 비즈니스 모델 수립을 위한 수요발굴 및 분석

        이욱현(Wook Hyun Lee),이성곤(Seong Kon Lee),구기관(Ki Kwan Koo),한경진(KyungJin Han),이민규(Min Gyu Lee),유재경(Jae Kyung Yoo),이민정(Min Jung Lee),이대근(Dae-Keun Lee) 대한설비공학회 202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1 No.6

        산업부문 총 에너지사용량의 70% 이상이 열에너지 다소비 핵심설비(보일러, 연소기, 공업로, 건조기, 히트펌프 및 열교환기 등) 사용에서 나오는 상황이며, 이러한 에너지 다소비 산업설비의 효율향상기술은 에너지 수요관리 및 온실가스 저감 등 에너지·환경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해법이다. 그러나 정부주도의 신기술개발 및 보급·확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열에너지 다소비 설비산업에서의 실질적인 기술보급 및 생산 유발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관련 산업의 기업들이 대부분 중소·중견기업으로 해당분야 기술의 특성상 표준화된 설계 및 제조의 프로세스가 아닌 수요맞춤형 주문 생산 방식을 대부분 채택·운영하고 있으며, 기술력과 전문 인력 그리고 사업화 능력의 부족과 맞물려 기업자체의 주도적인 기술개발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고효율 에너지기기의 설계 수월성을 통해 기술의 보급·확산을 촉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개방형 스마트설계 플랫폼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열에너지 다소비 산업설비의 스마트설계 플랫폼의 안정적 운영을 통한 해당분야 수요기술의 효과적인 보급 및 활용을 위해 공공성, 개방성, 확장성, 수월성, 신뢰성 및 지속가능성을 갖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여러 가지 사례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그 준비단계로서 해당 사업 분야의 문제 제기 등을 포함하여 고객의 수요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에서 검토된 내용을 간략하게 논의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