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환석(Hwan-Seok Choi),한영민(Young-Min Han),김영목(Young-Mog Kim) 한국추진공학회 2009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우주발사체 개발을 위한 75톤급 액체로켓엔진 개발에 앞서 선행개발을 통해 습득한 30톤급 액체로켓 엔진 기술을 토대로 75톤급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기술 검증에 착수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연소시험 설비 여건을 고려한 기술검증 계획을 수립하고 기술검증시제를 제작하여 제한된 조건에서 성능평가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75톤급 액체로켓 연소기 기술검증을 위한 계획과 현황에 대하여 소개한다. Technology demonst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75-tonf liquid rocket engine(LRE) thrust chamber for a space launch vehicle has been start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ly acquired 30-tonf LRE technologies. For this purpose, a technology demonstration plan was established upon considering the currently available firing test facility in Korea and performance evaluation firing tests were performed on technology demonstration model thrust chambers under a restricted test condi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plan and current status of technology demonstration for a 75-tonf LRE thrust chamber.
최환석(Hwan-Seok Choi),김귀철(Gwui-Cheol Kim),신현재(Hyun-Jae Shin) 한국생물공학회 2012 KSBB Journal Vol.27 No.2
To develop potential cosmetic ingredients with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4 Korean bamboo species (P. bambusoides, P. nigra var. henonis, P. pubescens and Sasa coreana) using thre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water, ethanol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DPPH assay have been examined. Among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wo test strains,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ethanol extracts of 3 bamboo trees, P. bambusoides, P. nigra var. henonis, and P. pubescens, showed stronger than those of supercritical extracts. However, 4 bamboo supercritical extracts showed dose-dependent increase in antioxidant activity by DPPH ass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ter fraction of bamboo extracts may be useful for the cosmetic ingredient with low cytotoxicity.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패류의 부영양수 유기물 제어능 연구
최환석 ( Hwan Seok Choi ),남귀숙 ( Gwi Sook Nam ),김민섭 ( Min Seob Kim ),신현재 ( Hyun Jae Shin ),박명환 ( Myung Hwan Park ),황순진 ( Soon Jin Hwang ),김백호 ( Baik Ho Kim ) 한국수생태학회 2014 생태와 환경 Vol.4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models of filtrating rate and production of feces of a native freshwater bivalve, Anodonta woodiana, on removal organic matters in eutrophic waters. Among the applied shell size (4.3~15.5 cm), the filtrating rate and production of feces of Anodonta woodiana was 0.08~0.86 L g-1 h-1 (average 0.24 L g-1 h-1), 0.00~11.10 mg g-1 h-1 (average 0.94 mg g-1 h-1), respectively. In two different water current (high 48 Lh-1, low 24 Lh-1), the filtrating rate of Chl-a was 0.02~0.10 L g-1 d-1 (average 0.05 L g-1 d-1), 0.02~0.11 L g-1 d-1 (average 0.07 L g-1 d-1) and the removal rate was 65.4%, 82.1%, respectivel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ith a central composite design comprising 3 levels and 2 variables, was used to identify the optimal removal condition of shell length, water current and filtrating rate or feces production by bivalves. The optimum removal conditions were found that had optimized 6.21 L mussel-1 d-1 at shell length 14.3~15.6 and water current 22~30 Lh-1. The optimal conditions of production of feces (4.2 mg g-1 d-1) by freshwater mussels were shell length 14.3~16.3 cm and water current 36~44 Lh-1.
급성 위장관염에 의한 열성경련과 양성 경련의 비교 연구
최환석(Hwan Seok Choi),예관유(Gwan Yu Ye),김황민(Hwang Min Kim),임백근(Baek Keun Lim),차병호(Byung Ho Cha) 대한소아신경학회 200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4 No.2
목 적: 본 연구는 급성 위장관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양성 경련과 열성경련의 임상 양상 및 예후를 비교해 봄으로써 두 경련간의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소아과에 경련을 주소로 입원한 환아 중 급성 위장관염에 의해 유발된 열성경련 환아 29명과 양성 경련 환아 36명을 대상으로 발생 연령, 성별, 경련의 형태와 빈도 및 지속 시간, 일반 혈액 검사, 혈중 전해질 검사, 뇌척수액 검사, 뇌파 검사, 로타바이러스 항원 검출 여부, 과거력과 가족력을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후향적으로 비교하였으며, 추적관찰 동안 경련성 질환의 재발이나 다른 신경학적 후유증이 있었는지를 의무 기록 및 전화 통화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1) 열성경련군의 평균 연령은 15.7±8.4개월, 양성 경련군은 18.4±4.9개월로 두 군 간의 평균 연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2). 남녀 비는 각 각 1:1.4, 1:1.4로 두 군 간의 성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0.98). 2) 두 군 모두 전신 발작의 형태를 보였고, 열성경련군은 전신성 강직-간대 발작이 14례(48.3%), 양성 경련군은 전신성 강직 발작이 19례(52.8%)로 가장 많았으나 각 각의 경련 양상의 빈도에는 두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3) 경련의 빈도와 경련의 지속시간은 열성경련군이 평균 1.89±1.64회, 5.32±6.85분, 양성 경련군이 평균 1.97±1.29회, 2.96±2.28분으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검사 소견 상 말초혈액 백혈구 수와 혈중 나트륨 농도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뇌파검사와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 받은 환아는 모두 정상 결과를 보였다. 5) 대변 내 로타바이러스 항원 양성은 열성경련군이 4명(13.8%), 양성 경련군이 12명(33.3%)으로 대변 내 로타바이러스 항원 양성률은 양성 경련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P=0.004). 6) 추적 관찰 기간 내에 양성 경련군에서 4명(11.1%)은 단순 열성경련으로, 2명(5.6%)은 양성경련의 형태로, 1명(2.8%)은 전신성 강직-간대 발작으로 재발 하였고, 열성경련군에서 3명(10.3%)은 모두 단순 열성경련의 형태로 재발 하였으며, 경련성 질환의 재발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31). 결 론: 급성 위장관염에 의한 경련은 로타바이러스 양성율 외에 다른 임상 양상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경련의 빈도에 두 군 간의 차이가 없는 것은 급성 위장관염에 의한 열성경련이 복합 열성경련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할 수도 있으나 향후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적 관찰 기간 내에 신경발달 이상을 보인 환아는 두 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아 신경학적 예후는 양호 하였다. Purpose : Acute gastroenteritis is one of the causes of febrile seizures or benign seizures in childr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gnosis of convulsions by acute gastroenteritis. Methods :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4, sixty five pediatric patients who suffered from convulsions due to acute gastroenteritis were classified into benign seizures (n=36) or febrile seizures(n=29) in Wonju Christian Hospital,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We compared the age of onset, sex, the frequency and the duration of convulsions, blood electrolytes and peripheral white blood cell counts, findings of the cerebrospinal fluid examination, and the electroencephalograms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ir recurrence of convulsive diseases for 7 to 59 months after the first attacks. Results : There was no difference of onset age, frequency and duration of convulsion between the two groups (P=0.12, P=0.83 and P=0.08). The types of convulsions were generalized seizures in both groups. There were 16 cases of positive responses to the antigen tests for stool rotavirus, and 12 of them(75%) belonged to the benign seizure group. And other laboratory findings were normal. During the follow-up period, 4 patients(11.1%) in the benign seizure group experienced febrile seizures, 2 patients(5.6%) benign seizures and 1 patient a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whereas 3 patients(10.3%) in the febrile seizure group experienced simple febrile seizures. Concl usi on :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benign seizure and the febrile seizure group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except the number of positive responses to the rotavirus antigen tests in stool. And the recurrence rates of convulsions in both groups were similar with previous studies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