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 변화 및 학과 재구조화에 대한 인식 연구

        송낙현,이찬,최현정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 학생의 학교 입학과 졸업 후 진로, 교육 만족도와 학과 재구조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직업계고 운영 방향 및 정책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직업계고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553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학생들의 직업계고 진학 이유는 ‘취업하여 사회에 일찍 진출하기 위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 학생들의 학교 또는 학과 만족도는 50% 이상의 학생들이 만족하고 있으며, 만족 이유로 ‘소질과 적성에 맞는 공부를 할 수 있어서’가 가장 많았고, 불만족 이유는 ‘학과 공부가 적성과 소질에 맞지 않아서’가 가장 많았다. 이는 직업계고의 교육이 ‘학생 중심의 다양한 전문교육’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직업계고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로 ‘취업’을 희망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진로 경로를 모색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들은 학교 및 학과의 변화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않았으나, 학교 및 학과 재구조화 시에 적성과 소질에 기반하여 희망하는 전공의 전문성을 함양하는 교육으로 변화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계고 학생들은 학교 유형별, 학년별로 학교 및 학과 교육 만족도 및 진로 등에 대한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유형별로 특성화고 학생들은 취업과 동일계 대학 진학 선호가 비슷한 양상으로,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취업 선호, 각종학교 학생들은 대학 진학 선호가 강하였다. 학년별로 1학년은 취업 선호가 강한 데 비하여 3학년은 대학 진학 선호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제언으로, 고교단계 직업교육을 학습자 중심 체제로 혁신, 직업계고 교육이 학생의 소질과 적성 및 수준 등을 고려하여 성장중심의 다양한 전문교육으로 전환, 학교 주도의 자체 발전 전략을 통한 경쟁력 확보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참여적 의사결정모형에 의한 소규모 고등학교의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 충남 A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송낙현,장민수,김정은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 direction for system reform of small high school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to derive development plans for small high schools for nurturing local tal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applying a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model that collects opinions of various members, nurture local talents th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area A, and survey on the perception and needs of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 A, expert IPA, held a public hearing with local resi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system reform of A high school, it is appropriate to seek development while maintaining the general high school system of A high school, which is a small school in area A. The plan of A high school for nurturing local talents is as follows. First,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onditions includes improvement of infrastructure such as facilities, support for student commuting to school, balanced arrangement of teachers and enhancement of professionalism, and new dormitory construction. Second, by support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professionalism enhancement, continuous school consulting support, securing admission resources, opening and operating school-specific programs, etc. Third, it is to build a student -centered career education system through seminars and workshops on the operation of the career-oriented curriculum for student career education. Fourth, a balanced and consistent policy is promoted by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small school exclusive organizat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Fifth, it is a joint project operation such as the operation of a ‘village school’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to foster local talent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Six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negative perceptions such as renaming A high school and promote it. As the difficulties of small-scale schools in the local community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will accelerate in the future, research on development plans for small schools and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small schools,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mmunities needs to be followed up.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주민의 민주적 의사결정 참여를 통해 소규모 고등학교의 체제 개편 방향을 도출하고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소규모 고등학교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민주적 절차 등을 거쳐 갈등문제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는 ‘참여적 의사결정모형’을 적용하여 A지역의 현황분석을 통한 지역 구성원의 지역인재 양성과 A고등학교의 발전에 대한 인식과 요구조사, 전문가 IPA, 지역주민 공청회를 실시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A고등학교의 채제 개편은 A지역의 소규모 학교로서 현재 일반고등학교로서의 고교 유형을 유지하면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결정되었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A고등학교의 발전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환경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 시설 등 인프라 등의 개선, 학생 통학 지원, 교사의 균형 배치 및 전문성 제고, 기숙사 신축 등이 필요하다. 둘째, 교원 및 학생의 교육활동 지원을 위해 교원의 전문성 제고와 지속적인 학교 컨설팅 지원, 입학자원의 확보, 학교 특색 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 등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 진로교육을 위한 진로․진학 중심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세미나 및 워크숍 등으로 발전적인 학생 중심 진로교육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청 및 지방자치단체의 소규모 학교 전담조직의 설치 운영으로 균형 있고 일관된 정책의 추진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사회와 연계로 지역인재 양성을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 간 소통과 협력으로 ‘마을 학교’ 등의 공동사업이 필요하다. 여섯째, A고등학교의 학교명을 개명하는 등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다양한 홍보가 필요하다. 향후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사회 소규모 학교의 입학자원 확보 등 교육여건 어려움이 가속될 것이므로 소규모 학교에 대한 발전 방안과 소규모 학교와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사회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등의 연구가 후속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단위학교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을 위한 전문기관 지원 프로그램 개발

        송낙현,장민수,유병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ine the process of developing textbooks at the unit school level and to develop support standards programs for professional institutions for developing high-quality free-issuance textbooks.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ve textbook experts were conducted two-time target group interviews (FGI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reas of the program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free issued textbooks at unit schools were divided into management support such as textbook development support, training and seminars, textbook development consulting, textbook development consulting, and textbook modification supplementation. The detailed programmes for each program area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s in the textbook development support area were the textbook development idea contest, textbook development support, textbook development pool provision system, and textbook development support design(LAB). Second, programs in the field of training and seminars were curriculum improvement, curriculum development, school-level textbook development specialist training(Basic), school-level textbook development specialist training (deepening), textbook development, copyright, textbook model development, and textbook efficient use. Third, programs in the consulting area were matching consulting such as textbook development consulting, textbook copyright consulting, new textbook use consulting, and textbook development publishing institutions. Fourth, programs in the counseling area include counseling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counseling 교육과정평가연구 제24권 제4호 (2021) 154 on online and offline experts by the stage of textbook development, and counseling on dispute response such as copyrights and portrait rights of textbooks. Fifth, programs in management support areas such as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were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for textbooks, on-site monitoring of textbooks, and supporting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textbooks. 이 연구는 단위학교 수준에서 교과서 개발 절차를 구체화하고, 질 높은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을 위한 전문기관의 지원 표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교과서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표적집단면접(FGI)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위학교의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 지원 프로그램 영역은 교과서 개발 지원, 연수 및 세미나, 교과서 개발 컨설팅, 교과서 개발 상담, 교과서 수정 보완 등 관리 지원으로 구분되었다. 각 프로그램 영역별 세부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개발 지원영역의 프로그램은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공모,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지원, 교과서 개발 인력풀 제공 시스템 운영, 교과서 개발 지원 디자인(LAB) 운영이다. 둘째, 연수 및 세미나 영역의 프로그램은 교과별 교육과정의 이해와 재구성 향상과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과정,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전문가 양성과정(기초),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전문가 양성과정(심화), 교과서 개발과 저작권, 교과서 모형 개발 세미나, 교과서의 효율적 활용 과정이다. 셋째, 컨설팅 영역의 프로그램은 교과서 개발 컨설팅, 교과서 저작권 컨설팅, 신규 교과서 활용 컨설팅,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등 매칭 컨설팅이다. 넷째, 상담 영역의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상담, 교과서 개발단계별 온․오프라인 전문가 상담, 교과서의 저작권, 초상권 등 분쟁 대응 상담이다. 다섯째, 수정, 보완 등 관리 지원영역의 프로그램은 교과서 정보서비스 제공, 교과서 현장 모니터링 지원, 교과서 수정․보완 지원이다.

      • KCI등재

        개발도상국의 중등 직업교육 ODA 수요 분석에 따른 장학사업 추진 전략 구상

        송낙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2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ceive a design on the strategic plan of scholarship project based on the analysis of demand fo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ODA in developing countr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demand analysis of 11 vocational high schools in 4 developing countries and Korea, a group of experts devised a strategy for implementing the ODA scholarship pro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riority of ODA hopes in developing countries was found in the fields of agriculture, forestry, management and finance, and construction. Cambodia preferred agriculture and forestry, management and finance, Laos preferred agriculture and forestry, machinery, Senegal preferred construction, and Malawi preferr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electricity and electronics, materials, and chemical industries. Second, the fields of ODA hope for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machinery, electricity, automobiles, construction, agricultural machinery, livestock, landscaping, trade and commerce, tourism and cooking. Third, the importance of organizing the curriculum for ODA scholarship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was found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Korean and Korean, basic vocational skills, and practice in major. Fourth, the strategy for promoting the ODA scholarship project is: 1) A joint system of ministries, the Korean Commission for UNESCO is in charge of the selection and preparation period for scholarship student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and vocational high schools are in charge of the execution of the project. 2) Strict standards are applied to the selection of scholarship students, and after completing vocational training, they are required to work in their own country. 3) Scholarship students are required to acquire basic Korean language and complete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certification acquisition, and field training. 4)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develop special programs for scholarship students and promote educational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의 중등 직업교육 공적개발원조(ODA) 수요 분석에 따른 장학 사업의 추진 전략을 구상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등 직업교육 ODA에 참여를 희망하는 4개개도국과 한국의 11개 직업계고등학교의 수요를 분석한 결과에 터하여 전문가집단이 ODA 장학사업 추진 전략을 구상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도국의 중등 직업교육 ODA 희망 분야 1순위는 농림, 경영·금융, 건설 분야로 나타났다. 개도국별 희망 1순위로 캄보디아는 농림, 경영·금융 분야, 라오스는 농림, 기계 분야, 세네갈은 건설 분야, 말라위는 정보·통신, 전기·전자, 재료, 화학공업 분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등학교의 ODA 장학사업 참여 희망 분야는 공업계열 4개 학교는 기계와 전기 분야, 2개 학교는 자동차, 건설 분야를 희망하였다. 농생명계열2개 학교는 농기계, 축산, 조경 분야, 상업․정보계열 1개 학교는 통상무역 분야, 가사․실업계열 2개 학교는 각각 관광과 조리 분야를 희망하였다. 셋째, 직업계고등학교는 ODA 장학생 학급 편성에 대해 6개교는 별도 학급, 5개교는 기존 학급에 편성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교육과정 편성 중요도는 8개학교가 한국어 및 한국 이해, 직업기초능력, 전공실무 순으로 제시하였다.. 넷째, ODA 장학사업 추진 전략은 1) 범부처 합동 체계로 하되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장학생 선발과 준비기간을 전담하고, 교육청과 직업계고는 사업의 실행을 담당하도록 한다. 2) 개도국의 장학생 선발은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직업교육 이수 후 자국에 취업하는 것을 약정하도록 한다. 3) 장학생은 준비기간에 기초 한국어를 습득하고 직업계고에서 3년의 교육과정과 자격증 취득, 현장실습을 이수하도록 한다. 4) 직업계고는 개도국 장학생의 특화된 프로그램을개발하고 개도국과 교육협력을 추진하도록 한다. 이 연구의 제언으로 첫째, 중등 직업교육의 국제협력과 교류를 위한 직업계고등학교를 설립하거나 기능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직업교육 ODA는 개도국의 직업교육 체제 개선과 산업발전을 견인하는 인재 양성에 주력해야 한다.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의 스마트팩토리 분야 인력양성을 위한 초급수준 직무 개발 연구

        송낙현,장민수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에서 스마트팩토리 분야 인력양성의 효율적 운영과 성과를 극대화하고자 초급수준의 직무를 발굴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과 비교확인법을 통해 발굴한 스마트팩토리 분야 초급인력의 직무 초안을 전문가 FGI를 통해 수정하고, 현장적합성 매트릭스(Matrix)를 개발, 학교 및 산업체 전문가의 현장적합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팩토리 초급수준의 직무는 ‘스마트팩토리 설계 및 설치’와 ‘스마트팩토리 제어’로 나타났다. 첫째, 스마트팩토리 설계 및 설치 직무는 ‘스마트팩토리 설비 레이아웃 기획’, ‘스마트팩토리 네트워크·보안시스템 설치’, ‘스마트팩토리 제조데이터시스템 설치’, ‘스마트팩토리 소프트웨어 설치’, ‘시스템 연동 및 최적화’의 5개 책무와 12개의 작업 및 52개의 작업요소로 도출되어 주로 ‘설치’에 집중되었다. ‘스마트팩토리 네트워크·보안’, ‘스마트팩토리 소프트웨어 설치’의 경우 모든 책무의 초급인력 적합도가 모두 ‘상’ 으로 난이도가 다소 높았지만, 관리자의 지도와 감독에 따라 초급인력이 참여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스마트팩토리 제어 직무는 ‘스마트팩토리 생산정보 데이터 관리’, ‘스마트팩토리 공정 관리’, ‘스마트팩토리 생산관리 및 개선’의 3개 책무와 9개 작업 및 36개의 작업요소가 도출되었고, 해당 직무에 대한 초급인력의 적합도는 모든 책무가 상 2개, 중 1개로 초급인력에 대부분 적절하게 부합하였다. 스마트팩토리 분야는 기술 간 융·복합화로 지속적인 발전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후속 연구를 통해 직무의 추가적인 발굴과 스마트팩토리 이외의 신기술 분야의 초급인력이 수행할 직무 발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첨단기술’에 관한 문제해결 체험활동 과제 빈도 분석

        송낙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2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requency of presenting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y on ‘cutting edge technology’ of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in high school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draw up problems with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y on ‘cutting edge technology’ presented in the textbooks, and to discuss ways to improve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for students'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skil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criteria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curriculum were analyzed first. We looked at how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related to ‘cutting edge technology’ are presented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under this curriculum. In addition, 12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under the revised 2015 curriculum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proposed problem-solving activities related to 'cutting edge technology' and analyzed the frequency of textbooks that did not present problems-solving activities for 'cutting edge technology'. In addition, problem-solving experience tasks related to 'cutting edge technology' were classified into areas of technology and the frequency presented in textbook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rough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criteria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course (Technology and Home-Economics)/Information curriculum,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curriculum, problem-solving hand-on activities related to 'cutting edge technology’ should be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 by manufacturing technology, construction technology, transport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life technology. Second, 12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subject to analysis presented a total of 13 problem-solving experience tasks related to ‘cutting edge technology’ while the four textbooks did not present any problem-solving experience tasks related to ‘cutting edge technolog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blem-solving experience tasks related to ‘cutting edge technology’ in 12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that were subject to analysis, the problem-solving experience tasks related to ‘cutting edge technology’ were not presented in various and balanced ways in each area of technology.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첨단 기술’에 관한 문제해결 체험활동 과제의 제시 빈도를 분석하고, 교과서에 제 시되어 있는 ‘첨단기술’에 관한 문제해결 체험활동 과제의 문제점을 도출하 여, 학생들의 기술적 문제해결능력의 신장을 위한 ‘첨단기술’에 관한 문제해 결 체험활동에 대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 가정’에 제시된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이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 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첨단기술’에 관한 문제해결 체험활동 과제가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12종에 ‘첨단기술’에 관한 문제해결 체험활동 과제의 제시된 빈도를 분석하여 ‘첨단기술’에 대한 문제해결 체험활동 과제를 제시 하지 않은 교과서들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첨단기술’에 관한 문제해 결 체험활동 과제를 기술의 영역별로 분류하고 교과서에서 제시된 빈도를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가정’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을 통해,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서에 ‘첨단기술’에 관한 문제해결 체험활동이 제조기술, 건설기술, 수송기술, 통신기술, 생명기술의 영역별로 제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분석 대상인 12종의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는 ‘첨단기술’에 관한 문제해결 체험활동 과제를 총 13개 제시하고 있었으나, 4종의 교과서는 ‘첨단기술’에 관한 문제해결 체험활동 과제에 대해 전혀 제시하지 않았다. 셋째, 분석 대상인 12종의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첨단기술’에 관한 문제해결 체험활동 과제를 기술의 영역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첨 단기술’ 관련 문제해결 체험활동 과제가 기술의 영역별로 다양하고 균형 있게 제시되지 있지 않았다.

      • KCI등재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정 모델 개발

        송낙현,정인수,이찬식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0 No.2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공동주택의 세대수는 향후 10년 이내에 350만 세대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될 전망이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 리모델링이 활성화되고 있다. 주차장확대는 리모델링에 대한 요구사항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차장확대 중지하주차장에서 공동주택의 주동으로 진입하는 방법(이하‘주동진입방법’이라고 함)은 기존 엘리베이터의 수직 확장, 주차공간의 대소, 공사기간과 공사비 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확대 시 단지특성, 주동과 주차장의 연계성, 주민의 요구 등에 대한 정확한 평가 없이 경험적인 방법으로 주동진입방법이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과 절차에 따라 주동진입방법을 선정하여 지하주차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차장확대 방식과 주동진입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주동진입방법별 특징을 분석하였고 주동진입방법 선정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영향요인은 시공성, 편의성, 경제성이 도출되었다. 그 후 AHP기법을 적용하여 선정된 영향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가중치 산정 결과 편의성이 가장 높은 값을 받아 주동진입방법 선정에 제일 중요한 고려사항임을 밝혔다. 또 리모델링이 가능한 단지를 선정하여 주동진입방법별 현장적용성을 평가한 후 단지에 가장 적합한 주동진입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노후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택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건설교과 교사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및 개정에 대한 인식

        송낙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등학교 건설교과 교사가 교육과정의 편성과 체제, 교육과정 개정 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업계고 건설교과 교사 698명을 모집단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71명이 응답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의 양적 분석은 SPSS 26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를 적용하였고,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등을 통해 집단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건설교과 교사는 교육과정의 편성에서 목표, 학습자 중심 수업, 기초학력, 직무수행 역량,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성과 연계성모두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교육주체 중 건설교과 협의회의 요구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현행 건설교과 교육과정의 건설산업 인력양성 유형 설정이 부적합하다고 인식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건설교과(군) 재구조화 이유로 건축과 토목 산업분야가 달라 학생의 진로 및 취업 경로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셋째, 건설교과 교육과정에서 기초과목 수가 부족하고, 실무인재 양성을 위한 실무과목은 학생 수준에 비해 학습 내용의 수준이 높다는 등의 이유로 부적정한 것으로 인식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넷째, 건설교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실무과목을 학교에서 교육이 가능한 수준으로 조정하고 건축 토목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 함양을 위한 과목, 지능형 도시(스마트시티)의 건설 및 유지 관리 인력양성을 위한 과목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연구 결과에 터한 제언으로 국가교육위원회 등에 중등 직업교육 교육과정의 전문 인력 배치, 전문기관에 전담부서 설치, 직업교육 교육과정의 체계적 연구, 건설교과교사의 교육과정 등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장기연수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전문인력 양성 사업 활성화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송낙현,정동훈,박윤희,임수원 한국기술교육학회 202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erformance indicators to foster professional manpower in promising new technology field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continuous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oject. To this end, a draft was developed through prior literature and FGI for developing performance indicators targeting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 personnel, and expert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draft was secured through two Delphi surveys targeting relevant experts. The developed performance indicators consisted of 14 detailed areas in three areas: input, process, and output, and included 41 performance indicators. The input area consisted of three areas: budget, organization and personnel, and training time, and included five performance indicators. The course area consists of 8 areas: business plan and goals, recruitment and management of participating students, education (training) operation, improvement of faculty expertise, cooperation and exchange, improvement of student major ability, career and employment counseling, and evaluation/feedback area. 28 Performance indicators were included. The calculation area consisted of three areas: student growth, school competitiveness, and business satisfaction, and included eight performance indicators. 이 연구는 직업계고등학교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전문인력 양성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성과지표를개발하여 해당 사업이 지속적으로 운영․발전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문헌 및 관련 사업 분석을 분석하고 사업 참여 교원 및 훈련기관 담당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FGI를 거쳐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초안은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2회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개발된 성과지표는 투입, 과정, 산출영역의 3개 영역, 14개 세부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41개 성과지표가 포함되었다. 투입 영역에는 예산, 조직 및 인력, 교육시간으로 3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5개의 성과지표가 포함되었다. 과정 영역에는 사업 계획 및 목표, 참가 학생 모집 및 관리, 교육(훈련) 운영, 교원 전문성 향상, 협력 및 교류, 학생 전공능력 향상, 진로 및 취업 상담, 평가․환류 영역으로 8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28개의 성과지표가 포함되었다. 산출 영역에는 학생 성장, 학교 경쟁력, 사업 만족도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8개의 성과지표가 포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