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상레저스포츠 참여자의 기대불일치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정희(Oh, Jung-Heui),석부길(Seok, Boo-Gil),조광민(Cho, Kwang-Min) 한국사회체육학회 2015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of Expectancy-Performance Disconfirmation in relationships among water leisure sport expectation before participation, performance after participation, disconfimation and revisit intention. For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water leisure sport participants in Seoul & Gyeonggi-do from Jun, 2014 to Aug, 2014. Convenience sampling 215 samples obtained from method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ectation factor and Performance factor of water leisure spor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Expectation factor of water leisure s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expectancy-performance disconfirmation. But only three factors, program, price and staff have a positive effect on expectancy-performance disconfirmation. Third, Performance factor of water leisure s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expectancy-performance disconfirmation. But only three factors, program, price and staff have a positive effect on expectancy-performance disconfirmation. Forth, expectancy-performance disconfirm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대학 스키수업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기대-불일치 모형을 바탕으로

        김홍설(HongSeolKim),김명준(MyoungJoonKim)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5

        이 연구는 대학 스키수업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5년 P대학교, D대학교의 동계 스키수업 참가학생을 전체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로 기대, 성과, 기대불일치, 수업만족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로 총 413부를 배부하여 총 401부를 회수하였으며 무응답 문항이 많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13부를 제외한 388명분의 설문지를 토대로 SPSS 12.0과 AMOS 5.0을 이용,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공변량구조모형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연구방법을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대학 스키수업에 대한 기대는 지각된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학생들의 대학 스키수업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기대불일치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생들의 대학 스키수업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넷째, 학생들의 대학 스키수업에 대한 기대불일치는 수업만족에 매우 영향을 미친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tudents' satisfaction through participation of ski class in university. In detail, using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model, the study examined how expectancy influences perceived performance and expectancy disconfirmation and also, perceived performance and expectancy disconfirmation affect student's satisfaction. The subject who answered to given questionaire was 338 persons. To analyze material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SEM were used as statistic analysis techniqu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s influence between expectancy and perceived performance.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s influence between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Thirdly, there was not significants influence between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students's satisfaction. Lastly, there was significants influence between disconfirmation and students's satisfaction.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박사급 전문교원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분석

        김순근(Soon Geun Kim),유미현(Mi Hyun Yoo)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진흥법에 따라 교원자격증 없이 영재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이공계 박사학위 소지 전문교원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해 영재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지는 교과활동 등 5개 영역에 걸쳐 34문항을 개발하여 수도권 소재 K과학영재학교 학생 216명, 교사 4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박사급 전문교원에 대한 역할기대가 높은 반면 역할수행이 낮다고 인식하였으나, 학생은 역할기대가 낮고 기대만큼은 역할수행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역할기대가 역할수행을 25.5% 결정하고 있어 역할기대가 역할수행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의 관계는 3차 다항식 형태의 추세선이 그려지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역할수행이 다시 역할기대를 끌어 올리는 정적 피드백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역할기대가 높은 문항은 역할수행이 낮게 나타나고, 반대로 역할기대가 낮은 문항은 역할수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기대불일치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수의 선행 연구들에서 역할기대에 비해 역할수행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에 대한 합리적인 이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역할기대에 비해 역할수행이 낮다고 하여 실제로 기대만큼 역할수행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에는 보다 신중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gifted scienc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of expert teachers with a doctoral degree who were working in gifted schools without a teaching certificate. For questionnaires, this study developed 34 items across five domains, including subject-related activities,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216 students and 46 teachers at K. Gifted Science School located in the capital area, securing validity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had a high role expectation from the expert teachers with a doctoral degree but perceived a low role performance of them, while the students had a lower role expectation and perceived that they performed the role as expecte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since the role expectation determined 25.5% of the role performance, it had a relatively big impact on role performance. Second, it turned out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a trend line in a third-degree polynomial form was drawn, and a positive role performance acted as positive feedback, which raised role expectation again. In addition, role performance was lower in the items with high role expectation, while role performance was higher in the items with low role expectation, and this could be explained with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ory. Through this study, a reasonable theory on the phenomenon in which role performance was lower than role expectation in a number of preceding studies could be suggested. Moreover, it could be found that more caution should be paid to conclude that they did not actually perform the role as expected, even if role performance was lower than role expectation.

      • KCI등재

        기대불일치이론을 적용한 중앙정부 국정업무와 정책수행에 대한 국민만족도 결정요인 : 긍정적ㆍ부정적 불일치의 비대칭적 영향력을 바탕으로

        조유선 ( Yusun Cho ),최흥석 ( Heungsuk Choi ),이규명 ( Kyu Myoung Lee ) 한국행정연구원 2021 韓國行政硏究 Vol.30 No.2

        기대불일치모형은 그동안 공공서비스의 시민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들에 꾸준히 적용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정부의 국정업무 수행 전반 및 개별 거시정책 영역들에 대한 만족도에는 적용되지 않았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년에 실시한 정부정책에 대한 국민만족도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정부 출범 당시 기대와 현재의 성과평가 및 그들 간의 불일치 정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기대불일치모형을 통해 실증 분석함으로써 정부에 대한 대국민만족도 결정요인을 확인하였다. 특히 부정적 기대불일치에 따라서 만족도가 크게 좌우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국민들의 기대감과 성과의 불일치에 대한 정부의 체계적 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중앙 정부의 정책을 11개 정책영역으로 나누어 개별 정책영역에 대하여 기대불일치모형을 적용하여 정책별 만족도 형성과정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정책의 경우에는 다른 정책 영역보다 부정적 불일치와 긍정적 불일치의 영향력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지정책과 외교 및 국방정책의 경우에는 만족도에 대한 성과의 직접효과보다 기대불일치를 통한 간접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각 개별 정책분야의 특성별로 만족도의 결정과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pectancy disconfirmation on citizen satisfaction with the central government performance. Despite its importance, expectancy-disconfirmation theory has not widely adopted to explain the satisfaction formation process of the central government performance and macro policies. Through path analysis of the 2019 survey on the citizen satisfaction with the central government performance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positive expectancy disconfirmation and the citizen’s perception on the government performance had positive influences on satisfaction level, while expectancy had a limited direct effect. Furthermore, this study tested the asymmetric effect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disconfirmation on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gative disconfirmation between expect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had a greater impact on satisfaction than the positive disconfirmation. The interesting finding was that economic policy was the policy area where the negative disconfirmation had a greater impact on satisfaction among the other 10 policy areas.

      • KCI등재

        교양체육수업에 대한 학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대-불일치 모형의 적용

        조송현 ( Song Hyeon Cho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고객만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교양체육수업에 대한 학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에 있어서 기대-불일치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대학생들의 교양체육수업에 대한 기대와 불일치 그리고 지각된 성과가 교양체육수업에 대한 만족과 어떠한 인과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S" 대학교의 교양체육수업 수강자를 모집단으로 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 가운데 실제 분석 에 사용된 설문지는 295명분이었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분석기법은 Amos 4.0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 형(SEM)이었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기대는 지각된 성과에 양(+) 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불일치에는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각된 성과는 불일치와 만족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불일치는 만족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생들의 교양체육수업에 대 한 지각된 성과는 기대와 불일치 그리고 만족을 연결하는 인과관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판단된다. 기대가 크고 지각된 성과가 크면 긍정적 불일치가 나타나며 이는 결국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기대를 충족시켜주는 교양체육수업이 이루어질 때 학생들의 만족이 극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tudents` satisfac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In detail, using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model, the study examined how expectation influences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and also,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affect satisfaction.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students who attended physical activity of "S" university in Korea.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300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he survey. Out of 300 data, 295 data were finally us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Amos 4.0 was utiliz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ct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performance. Second, expectation showed a negative effect on disconfirmation. Third, perceived performanc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dis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Finally, disconfirm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summar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expectation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Perceived performanc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mediator to explain the relationship among expectation, dis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 스포츠 센터 회원의 지각된 기대불일치가 대학이미지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상일(Sang Il Park),전태준(Tae Jun Chon) 한국사회체육학회 2010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erceived expectancy-disconfirmation on college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among college sport center customers.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cluster and quota sampling method among three university sports center customers. At first, 262 questionaries collected and 234 questionaries were finally adopted and analysed. All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15.0 and AMOS 7.0.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tests were set at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ctation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Second, performance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expectancy-disconfirmation. Last, expectancy-disconfirmation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image and re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패스트 패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후 행동 - 기대불일치 모형을 중심으로 -

        전경숙 ( Kyung Sook Jeon ),박혜정 ( Hye Jung Park ) 복식문화학회 2014 服飾文化硏究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 to consumer post-purchase behavior toward fast fashion brands. This study incorporated re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consumer satisfac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consumer satisfaction, which is influenced by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influences repurchase intention. It was also hypothesized that expectation influences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d the brands and prices of the most recent purchases of fast fashion and also examined whether the purchases were planned or unplanned. The hypothesized path was tested and the relative influences of instrumental and symbolic performance on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answered by 344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urchased brands were,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purchase, Uniqlo, Zara, H&M, and Forever21, followed by domestic brands, 8seconds, Spao, and Mixxo. The frequency of unplanned purchase was more than twice higher than planned purchase. 2) Based on expectation and performance, dissatisfactory group was larger than satisfactory group, which were 35.8% and 24.7% respectively. 3) It was revealed from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model analysis that expectation and performance had positive influence, but cognitive dissonance had nega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all hypothesized path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 som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marketers in the fast fashion industry.

      • KCI등재

        웹 고객의 웹 시스템품질 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함봉진,박운선 한국경영교육학회 2008 경영교육연구 Vol.50 No.-

        This study involves the test of constructs for measuring the web customer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regarding SQ, expectation congruency, and satisfaction about influence overall satisfaction.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b-SQ expectation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eb-SQ perceived performance by expectation congruency an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performance by assimilation effect. Second, Web-SQ expectation did not appear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Web-SQ expectation congruency. Although that was rejected, it differs from established researches. Some prior Web-SQ expectations that approach to congruency after one's post Web-SQ expectation. Third, Web-SQ perceived performance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eb-SQ expectation congruency. Fourth, result that analyze about effect that congruency gets to Web-SQ satisfaction although Web-SQ expectation congruenc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eb-SQ satisfaction. Finally, Web-SQ satisfaction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satisfaction. 본 연구는 웹 고객의 시스템 품질에 대한 기대수준은 어떠하며 또한 기대에 대한 지각 성과수준은 어떠한지 그리고 이들 변수 간에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웹 시스템 품질의 기대는 동화효과에 의해 지각된 성과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대일치성에는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웹 시스템 품질의 지각된 성과가 기대일치성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웹 시스템 품질만족에도 正(+)의 영향을 미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웹 시스템 품질의 기대 일치성이 웹 시스템 품질만족에 正(+)의 영향을 미쳤으며, 웹 시스템 품질만족이 전반적인 총체적 만족에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대불일치 분석기법을 적용한 온라인 과학기술정보 서비스 품질 측정

        김완종,김혜선,이혜진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 정보관리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ir satisfaction procedures from users of information service expectation-disconfirmation theory. To achieve this goal, we use the NDSLQual model to measure the quality of NDSL servi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expect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Second,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However the explanatory adequacy of the regression model is very low. Third, perceived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for NDSL,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mprove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lower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분야 온라인 정보서비스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만족하는 정도를 기대불일치 이론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 서비스 사이트인 NDSL의 서비스 품질 측정 모형인 NDSLQual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가 기대불일치와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본 결과, 기대불일치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성과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기대불일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대불일치가 전반적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본 결과, 기대불일치는 전반적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가지 회귀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매우 낮았다. 셋째,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가 전반적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본 결과,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가 전반적 만족도와 충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NDSL에 대한 전반적인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높이고, 기대불일치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