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SPI시장에서 배당정책과 기업가치평가모형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윤성용 ( Sung-yong Yoon ),최영문 ( Choi Young-moon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4 지역산업연구 Vol.37 No.1

        Ohlson(1995)은 Miller와 Modigliani(1961)이 제시한 ‘배당무(無)관련이론’에 근거하여 기업가치평가모형(equity valuation model)을 제안했다. 그러나 배당금은 대체로 이익과 시장, 세금요소 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 가정들은 명백히 현실에서는 문제가 되어 기업의 주가와 기업의 가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과적으로 Ohlson의 기업가치평가모형 이래 금리, 위험, 이익과 주가의 관계와 연관 지어 다양한 평가 모형들이 확장 연구 되었다. 본 연구는 이익과 배당금의 연계성을 인정하고 기업가치 평가에 있어 배당금의 가치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해 확장된 기업가치평가모형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이 모형의 가장 큰 특징은 모형1은 배당금을 기존 이익의 영구적인 구성요소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과 모형 2는 배당금을 미래기대이익의 현재할인가치의 일부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KOSPI 시장에서 이 이론적 모형이 갖는 설명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해보았다. 연구 결과 연구자가 제안한 2가지 확장 모형은 전부 주가에 대해 자기자본 장부가치, 부채, 투자자산과 유의적, 긍정적으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이 세 가지 회계 펀더멘탈이 기업 가치에 있어 중요한 결정요소임을 실증적으로 제공해준다. 또한, 이 모형들의 예측가능성의 비교는 모형 2가 전체 표본 뿐 만 아니라 제조업 및 서비스업과 같은 부분 표본에서도 모형 1 보다 더 설명력이 있음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회계 수치가 기업가치의 매우 중요한 결정요소이며 배당금은 미래이익의 현재할인가치 및 기업가치와 깊은 연계성이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Ohlson (1995) develops an equity valuation model based on the framework of dividend irrelevance proposition proposed by Miller and Modigliani(1961). however, this assumption is questionable in reality because dividends are normally related to earnings and influenced by the market and tax factors, and thus they are likely to affect the stock price and the firm value. As a result, Ohlson's equity valuation model has been recently extended to studying the broader valuation issues related to interest rate, ris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nd share prices. In this paper, we develop extended equity valuation models by extending Ohlson's model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nd dividends and investigate the information content of dividends in firm valuation. Specifically,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se extended valuation models are: Model 1 considers dividends as a fraction of the permanent component of earnings, Model 2 considers dividends as a fraction of the present discounted value of future expected earnings We empirically tes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theoretical model by using the available data from the KOSPI firms. Our results indicate that for extended model, book value of equity, liabilities, and investment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stock prices for the whole sample. This result provides empirical support that these three accounting fundamental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firm values. Furthermore ,a comparison of the models' predictive abilities reveals that Model 2, considering dividends as proportional to the present discounted value of future expected earnings, performs better than models 1 not only for the whole sample but also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service industry sub-sample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provide further evidence that accounting number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firm value and dividend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esent discounted value of future earnings and the firm value.

      • KCI등재

        가상 가치 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통한 스포츠 이벤트 브랜드 자산 측정

        이지선 ( Lee J. Lucy ),김유겸 ( Kim Yukyou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6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1 No.6

        브랜드 자산(brand equity)은 학계에서나 실무에서 중요시 다루어진 개념이다. `소비자나 기업에게 오랫동안 부가되는 가치`라는 일관된 정의가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브랜드 자산이 무형적인 가치가 포함되어 그 가치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무형적 가치와 유형적 가치 측정이 가능한 가상 가치 평가법을 통해 소비자 기반 브랜드 자산(customer-based brand equity)을 측정하였다. 즉, 철인3종경기 참여자들이 판단하는 아이언맨(IRONMAN®) 브랜드 가치를 무(無)브랜드(generic brand)와 비교 분석하여 브랜드 자산을 측정하였다. 2012년과 2013년 두 해에 걸친 데이터 분석 결과, 2012년도의 경우, 철인3종경기 참여자들이 판단하는 아이언맨 브랜드 가치는 약 4,800만 달러(한화 약 540억 원)로 추정되었고 같은 방법으로 2013년의 경우, 아이언맨 브랜드는 약 1억 달러의 가치(한화 약 1,300억 원)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인3종경기 참여자가 증가하고 그들의 가치 지불 의사(프리미엄)가 증가하면서 이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아이언맨 브랜드 자산이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측정된 소비자 기반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자산 존재 유무만 제공하던 기존의 연구와 달리 구체적인 화폐 가치로 대변되기 때문에 기업의 브랜드 자산 관리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cept of brand equity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both an academic construct and an important business consideration. The concept has been defined as customer`s perceived added value of the product resulting from brand recognition, which would not occur with a generic version of that product or with unbranded products. Despite general agreement about the definition, the measurement of brand equity is not well established. A critical challenge in this regard is developing the means necessary to assess the intangible elements that comprise a consumer`s determination of brand equity. In the current study, the researchers proposed to utilize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nd estimate brand equity value by incorporating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difference between a branded product and a generic brand product. Data was collected from adult triathletes(n=422) at an IRONMAN triathlon events held in2012 and 2013. The aggregated brand value of “IRONMAN” was estimated as$48,920,301.60 in 2012 and $117,840,559.20 in 2013. The brand value of“IRONMAN” has increased along with population growth and the consumers`willingness to pay the price premium for the brand. By this proposed CV method, practitioners and scholars can estimate and evaluate the actual economic brand equity value. Having an actual dollar brand equity value will provide meaningful insights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 KCI등재

        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와 미실현이익 과세 타당성 연구: 헌법 일치성을 중심으로

        이정민 한국부동산법학회 2019 不動産法學 Vol.23 No.2

        A Realized Listed Property Valu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despite an ever-increasing national tax rate and steady national income. The sale price of residential properties is made obsolete, and their market value is represented now by the realization of their future value. The two concepts are being used interchangeably, thus causing confusion. The variability of the price of standard and individual property is on the rise, and its variability is now higher than that of the rate of inflation. Listed valuations of residential properties are used widely, including in the calculation of national and local taxes and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A Realized Listed Property Valuation System must be implemented with a firm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arket value. Listed valuation is closely related to constitutional property rights because it forms the basis of taxation akin to property tax and valuation of total real estate. An increase in the price of individual residential properties does not then represent their market value; to treat such prices as their official value creates a number of problems. A real estate holdings tax raises the issue of double taxation because the tax consists of property tax (local tax) and total real estate tax (national tax). Excessive residential property holdings tax may be taxed on unrealized gains, and total real estate tax must be paid even by those who do not own high-priced real estate. A household owning a single residential property does not pay additional tax on its net property, if the household has any liabilities. Instead, the tax is imposed based on external listed valuation. Taxpayers may be confused by inconsistencies between the tax date and listed valuation date. In today’s aging society, there are cases of owners of a single residential property needing to relocate due to a tax on residential property holdings. In addition, a reform that will not burden owner-occupiers must be found. Owner-occupiers need a review of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that deducts part of the holdings taxes paid at the time of the actual transaction. A holdings tax imposed based on listed valuation of real estate, rather than realized gains and net assets, may violate the property rights of individuals.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listed valuations must be newly defined and published based on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including the principle of equity in taxation and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Aging families’ and owner-occupiers’ property and tax equity rights may be violated, and their ability to relocate may be restricted by high-listed valuations. The concept of market value and method of calculating listed valuations must be considered and published before realizing listed residential property valuations. The realization of sudden listed valuations may cause a number of side effects. It is hoped that the methods and processes of listed valuations will be reformed in order to help protect the public’s property rights. 국민 조세부담률은 증가하고, 국가의 재정수입은 남는 상황에서 주택공시가격 현실화를 도입하고 있다. 주택 개별거래가격은 과거 가격이고, 시가(時價)는 미래 사용가치를 현가(現價)화 한 가치이다. 서로 다른 개념을 동일 시 하며 혼란을 주고 있다. 표준주택과 개별주택 변동률이 상이하며 물가상승률보다 높은 변동폭을 보이고 있다. 주택 공시가격은 국세와 지방세, 복지분야등 광범위하게 활용 된다. 공시가격의 현실화는 시가의 개념을 확보하고 실행해야 한다. 주택공시가격은 재산세와 종합부동산등 과세표준의 근간으로 국민재산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개별주택가격 상승이 시장을 대표하는 시장가치가 아닌데, 이를 적정 가격화 하여 공시가격으로 삼는 것은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부동산 보유세는 재산세(지방세)와 종합부동산세(국세)로 구성되어 이중과세 논란이 존재한다. 과도한 주택 보유세는 미실현이익에 과세 될 수 있고, 종합부동산세는 고액부동산 소유자가 아닌데 부담해야 한다. 같은1가구 1주택 소유자라도 부채가 있는 경우 순재산에 조세가 부과되지 못한다. 외형적인 공시가격기준으로 부과하고 있다. 과세기준일과 공시가격 기준일의 불일치로 납세자는 혼란을 겪을 수 있다. 고령화 사회에 1주택 소유자는 주택보유세 부담으로 현 거주지를 이동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한다. 실거주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개선책도 찾아야 할 것이다. 실소유자는 실제 양도거래가 이루어진 시기에 이미 납부한 보유세 일부를 차감 해 주는 제도가 필요하다. 실현이익과 순재산이 아닌, 부동산 공시가격 기준으로 부과되는 보유세는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 할 수 있다. 조세 형평성과 재산권 보호 등 헌법정신에 의하여 공시가격 산정기준등은 새롭게 정의되고, 공표되어야 한다. 고령화가구 및 실소유자도 높은 공시가격으로 재산권 침해와 조세형평성침해, 거주이전 제한등을 받을 수 있다. 주택 공시가격을 현실화하기 전에 시장가치 개념 정립과 공시가격 산정방법을 공표해야 한다. 급격한 공시가격의 현실화는 많은 부작용을 초래 할 수 있다. 공시가격 산출방법과 절차가 개선되어 국민 재산권 보호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조세공평주의에서 본 우리나라 주식평가 및 과세체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李愚澤(Woo Taik Rhee) 한국세법학회 2006 조세법연구 Vol.12 No.2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업무는 조세법관계에서 새로운 납세의무의 존부 혹은 대상을 결정하는 법률행위라기보다는 납세의무액의 크기를 판정하는 사실확인행위로 볼 수 있다. 전자의 법률행위는 주로 조세법률주의입장에서, 후자의 사실행위는 주로 조세공평주의입장이 중요시될 수 있다. 그럼에도 현행 우리나라의 주식평가 및 과세체계는 지나치게 조세법률주의론에 치우쳐 주식가치평가에 대한 규정을 세밀하게 세법에서 규정함으로써 기계적으로 공식화되어 주식가치의 공정한 실질평가를 어렵게 하고 조세공평주의를 훼손하고 있다. 거래사실의 실질판단이 주요 요소가 되는 주식평가 및 과세와 관련된 업무는 집행상 혹은 사실상의 업무로서 조세법률주의원리에 따라 엄격하고 상세하게 법률사항으로 규정하기보다는 미국ㆍ영국ㆍ일본 등과 같이 행정입법 혹은 국세행정통칙에 위임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의 주식평가 및 과세체계와 관련되는 본법, 시행령, 시행규칙, 국세행정통칙등 위계적 과세체계와 같은 사실관계의 확인에 관련되는 규정은 이를 국세행정에 과감하게 위양하는 새로운 입법기술이 필요하다. 다만, 과세관청에서 집행에 관한 과세행정규칙을 제정하더라도 이를 사전에 재경부에서 승인하는 절차를 밟으면 과세권의 남용을 방지하면서 탄력적인 조세집행이 이루어져 조세법률주의와 조세공평주의를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입법방식이 될 수 있다. 이때 행정입법으로 인한 납세자의 기본권 침해를 방지하고 조세법률주의의 예측가능성과 법적안정성원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보완대책이 동시에 구축되어야 한다. 첫째, 조세공평주의를 실현하면서 조세법률주의의 본질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국세행정청의 자의적 업무를 통제하는 적정절차(Due Process)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공정시장가치 개념을 정교하게 개발하여 각 상황에 적합한 공정가치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주식평가업무의 전문성ㆍ기술성 등을 감안하여 외부전문인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주식가치의 평가에는 불가피하게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선택에 탄력성을 부여할 수밖에 없다. 이때 평가자의 자의적 남용으로 인한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당한 평가에 대하여는 엄격히 제재하는 제재규정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자율과 책임이 균형되도록 재량권은 주되 그 남용 혹은 의무위반에 대하여는 엄격하게 적용할 제재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valuation of stock is not regal activities as reasoning the existence or targets, but fact-finding as the size-decision, of tax obligation. The former is the aspect of regal problems or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ves”, and the later is the aspect of economic or “The principle of tax equity”. The current statute of stock valuation and the tax systems concerned are too inclined to the aspect of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ves” and impairs “The principle of tax equity”. The activities of stock valuation and tax systems concerned are composed of the judgements of fact-finding and “The principle of tax equity” is more applicant than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ves” in the process of valuations. This kind of work is the matter of implementing and tax clauses of the works should be organized in the standpoint of administrative regalization or the rulings of National Tax Service like as the examples of U.S.A and Japanes statutes. However the following devices must be arranged in advance to guarantee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ves” and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of taxpayers. First, “Due Process” must be arranged to fulfil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ves” and control the arbitrary activities of tax services. Second, The concepts of “Fair Marketing Value” must be introduced to implement in judging flexibly the real value of stocks at any kind of stock valuations. Third, as there need many discretions to judge the value of stocks, the reasonable sanctions against the abuse of the willful unfair valuations of stocks. As the current tax clauses against the wrong valuation are too soft, weak and simple to control the various mischiefs of stock over-valuations or undervaluations, the new and strong clauses must be arranged to counterfeit the various and willful unfair valuation.

      • KCI등재

        기업특성에 따른 기업가치평가모형의 적합성 차이에 관한 연구: 코스닥 일반기업과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이종천 ( Jong Cheon Lee ),오웅락 ( Oung Rak O ) 한국회계학회 2004 회계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회계변수에 의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모형으로 제시된 Ohlson모형과 옵션모형을 기업특성이 상이한 코스닥 일반기업과 벤처기업의 가치평가에 적용함으로써 기업특성에 따라 기업가치평가모형의 적합성이 상이할 수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기업의 경우 Ohlson모형과 옵션모형 간 기업가치평가의 적합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새로운 수익모형으로의 전환가능성이 높은 벤처기업의 특성을 반영하는 부분선형옵션모형이 Ohlson모형보다 벤처기업의 가치평가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특성이 다른 일반기업과 벤처기업의 Ohlson모형 간 계수와 설명력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Ohlson모형에 의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경우 기업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Ohlson모형에 의한 기업가치 관련연구에서 기업특성의 통제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기업특성에 따라 적합한 기업가치평가모형이 상이함을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기업가치평가에서 기업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본 연구의 의의는 기업가치 관련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전통적 가치평가모형보다 실물옵션모형이 벤처기업의 가치평가에 적합하다는 주장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고, 벤처기업의 가치평가에서 옵션모형은 선형이 아닌 비선형이라는 Burgstahler와 Dichev (1997)의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는 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the explanatory power between the Ohlson model and the alternative equity valuation models, can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and non-venture firms. We expect that the option model can be more powerful in explaining the equity value than the Ohlson model in the case of venture firms which have more adaptation value than non-venture firms derived from the adaptation of existing resources to a superior alternative use. We compare the explanatory power among three valuation models: the Ohlson model, a linear option model and a non-linear option model. Which are respectively applied to 321 venture firms and 590 non-venture firms of KOSDAQ over the period 1999-2001 to confirm our expectation. Ou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s. First, we find that both models have no difference in their ability to explain the equity value of firms in the case of non-venture firms that can hardly discover alternative uses of existing resources. Second, we also find that the non-linear option model can explain the equity value better than the Ohlson model in the case of venture firms since the adaptation value has a large effect on equity value. This evidence empirically supports the proposition that the real option model should explain the equity value of venture firms better than the traditional DCF model.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linear option model and the Ohlson model in the case of non-venture firms. This implies that the option model is not linear. Third, our results show that Ohlson models for venture firms and non-venture firms differ in terms of the coefficients and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s. This evidence suggests that a firm`s characteristics such as whether it is venture or non-venture should be considered when applying the Ohlson model to equity valuation. Fourth, we find that for the firms with negative earnings, price-earning coefficient is not significant and the price-book value coefficient of venture firms is greater than that of non-venture firms. Fifth, we find that the small non-venture firms are more favorably valued than the large non-venture firms.

      • KCI등재

        Uncertainty avoid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investment and equity market valuation: High-tech vs. non-high-tech firms

        양진영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4 경영경제연구 Vol.46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uncertainty avoidance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investment and equity market valuation. Uncertainty avoidance emerges as a key moderator in sha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ixed capital investment and equity market valuation,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s confirmed in the full-sample analysis. This study reveals a nuanced picture of the moderating effect of uncertainty avoidance, with significant influence identified for non-high-tech firms but not for high-tech firm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sectoral heterogeneity. The observed influence of uncertainty avoidance on the fixed capital investment-equity market valuation association is not mirrored in the context of R&D investment, revealing divergent dynamics in their respective associations with equity market valuation. My results suggest potential managerial implications: high-tech firm managers possess greater agility in navigating equity market dynamics and pursuing investment strategies, even in highly risk-averse environments

      • KCI등재

        기업가치 평가에서 매출액 정보의 역할

        권대현,박진하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6

        This study examines whether revenue may contain the incremental informativeness beyond earnings in firm valuation. While earnings information has traditionally been important in equity valuation, research on valuation suggests that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has declined over time. Revenue may, however, have information on future earnings and cash flows that is lost when it is aggregated with gains, losses, and expenses into earnings (Chandra and Ro, 2008). In fact, revenue disclosures and forecast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and it is now difficult to find an earnings announcement that is not accompanied by a revenue announcement (Edmonds et al., 2013). Earnings is correlated with revenue but it conveys distinct signals of information on firm performance (Jegadeesh and Livnat, 2006). In addition, while earnings, by definition, is a function of revenue and expenses, the former is perceived less noisy and difficult to manipulate. Therefore, as an indicator of persistence and future performance, the role of revenue in firm valuation is receiving attention. In response, researchers have aimed to find alternative accounting measures that reflect firms’ value, and have turned their interest to revenue which is perceived as a key value driver. The literature related to informativeness of revenue usually focuses on analysts’ forecasts. Mest and Plummer(2003) provide evidence that the extent of analysts forecast bias is greater with respect to earnings forecasts than that with respect to sales forecasts. Jegadeesh and Livnat(2006) show that stock prices and analysts’’ forecasts adjust to the information conveyed by revenue over an extended period of approximately six months after quarterly earnings announcements. Rees and Sivaramakrishnan(2007) find significant market penalty for missing analysts’’ revenue forecasts, and further suggest that the market response for missing earnings forecasts is only marginal when revenue forecasts are met. Keung(2010) documents evidence that specific analysts’’ forecasts beyond earnings numbers can be meaningful and supply incremental information to the market. In addition, Ertimur et al.(2003) show that the market reaction to revenue surprises over the years 1996 to 2001 is greater than to expense surprises and that the differential price reaction is associated with relative persistence. Ghosh et al.(2005) find that for a subsample of firms with sustained earnings increases over a five-year period, subgroups with sustained revenue growth are assigned higher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and exhibit higher earnings persistence and lower susceptibility to earnings management. These extant research suggests revenue to have incremental value relevance beyond earnings.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on value relevance of revenue except Chandra and Ro(2008). Chandar and Ro(2008) examine the role of revenue in valuing firms beyond earnings and provide evidence that revenue is relevant. Expanding this study,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revenue is generally value-relevant in Korea.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firm’s annual observation, while Chandra and Ro(2008) use firm-quarter observation. This paper also examines hypotheses using the Ohlson’s price model, as well as return model, whereas Chandra and Ro(2008) employ return model only. Our sample consists of 21,409 firm-year observations for the period 1991-2012. All firms are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Using this sample, the paper finds that revenue is generally value-relevant as reported in US based studies. This implies that revenue plays a role in equity valuation. Furthermor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value-relevance of revenu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ustry in which the firm belongs to.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domestic study on the informativeness of revenue whose subject has not been actively researched. We expect that this study can promote the decomposition of earnings ... 회계이익이 기업가치 평가에 있어서 핵심적인 정보로서의 역할을 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기업경영환경 및 회계제도 등의 변화에 기인하여 기업가치 평가에서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이 감소하고 있다는 논의들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회계이익 이외에 성과측정지표를 찾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으며, 이중 매출액의 경우 회계이익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회계이익과는 다른 차별적인 정보적 특성으로 인하여 그 정보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매출액의 이러한 차별적 특성에 주목하여 기업가치 평가 모형을 이용, 매출액이 회계이익 대비 증분적인 정보성(informativeness)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검증한다. 검증결과 주가모형 그리고 주식수익률 모형을 이용한 분석 모두에서 매출액의 증분적 가치관련성이 존재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산업별로 매출액의 가치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위의 결과가 산업별로 차이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특징적으로, 첫째, ‘제조업’의 경우 분석모형에 관계없이 매출액의 가치관련성이 보고되었으며, 둘째,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에서도 매출액의 가치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장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함에 있어서 회계이익 뿐만 아니라, 회계이익의 요소 중 하나인 매출액 정보도 반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HOW ACCURATE ARE COMMERCIAL BRAND VALUATION METHODS?

        Marc Fischer,Rex Du,Tobias Hornig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8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18 No.07

        Many commercial vendors provide brand valuation measures, which hav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y stakeholders on how brands are bought and sold and how they are managed. These commercial measures, however, differ to a great extent from one another, which raises serious concerns about their accuracy. In this study, we assess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brand valuation measures provided by the four dominant commercial vendors: Interbrand, Brand Finance, Millward Brown, and Corebrand. We find that the brand valuation measures from the four commercial vendors measure the same underlying construct in a reliable and valid way according to established psychometric test methodology. However, it appears that they measure a construct that does not predict actual brand transaction prices well. In most cases, they significantly overestimate the transaction price. The magnitude of systematic bias varies by method and industry. Our results suggest that an upward bias is more likely to occur in situations when the relevance of tangible assets and non-brand intangible assets is high. These empirical findings challenge current practical and academic thinking on brand valuation. A main conclusion is that brand valuation for transaction purposes needs to first value all assets of the company in their totality and then allocate a fair share to the brand.

      • KCI등재

        발생액 주요 구성요소와 순자산 가치평가와의 관계

        장승현 한국회계정보학회 2008 회계정보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such major accrual components as the change in inventory, change in receivables, change in payables and depreciation expense on the equity valua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se accrual components has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s in forecasting the future abnormal earnings. The domestic financial data of non-financial manufacturing companies from 1994 to 2006 are analyzed by using the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hange in inventory, change in payables and depreciation expense except the change in receivables have significantly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s in forecasting the future abnormal earnings. The future abnormal earnings decreases as the change in inventory increases, but the future abnormal earnings increases as the change in payables and depreciation expense increase. The four major accrual components are all forecasting-relevant with respect to the future abnormal earnings. The persistences of the change in inventory and depreciation expense have positive value, but the change in receivables and change in payables have negative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 that the four major accrual components are all value-relevant with respect to the equity valuation. However, only the depreciation expense and change in payables have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s in explaining the value of equity. The total accrual and cash flow from operation(CFO) also have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s in equity valuation. This results may indicate that the investors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otal accruals but fail to discern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 accrual component such as the change in inventory. 본 연구의 목적은 재고자산변동액, 매출채권변동액, 매입채무변동액 및 감가상각비 등 발생액의 4가지 주요 구성요소가 순자산의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Ohlson 모형을 사용하여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들 주요 발생액 구성요소들이 미래초과이익에 대하여 추가적인 설명력을 갖는지를 조사하고, 이들 각 구성요소들의 지속성도 조사하였다. 분석대상은 국내 비금융 제조업체이고, 1994년부터 2006년까지의 재무자료를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매출채권변동액을 제외한 재고자산변동액, 매입채무변동액 및 감가상각비는 미래초과이익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추가적인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재고자산변동액이 증가할수록 초과이익은 감소한 반면에 매입채무변동액과 감가상각비가 증가할수록 미래초과이익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발생액의 4가지 주요 구성요소들은 모두 초과이익의 예측과 관련(forecasting-relevance)이 있었다. 또한 재고자산변동액과 감가상각비는 양(+)의 지속성을 나타낸 반면에 매출채권변동액과 매입채무변동액은 음(-)의 지속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발생액의 4가지 주요 구성요소들은 모두 순자산의 가치평가와 관련(value- relevance)이 있었다. 그러나 기업의 가치평가 시 유의한 추가설명력을 나타내는 발생액 요소는 감가상각비와 매입채무변동액이었다. 그리고 총발생액과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도 순자산 가치평가에 추가적인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투자자들이 발생액 전체의 의미는 이해하지만 이것을 구성하는 재고자산변동액과 같은 개별 발생액 요소의 의미는 간과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주가배수 평가기법을 이용한 주식가치평가의 정확성에 대한 실증분석

        강일주 ( Il Joo Kang ),유용근 ( Yong Keun Yoo ),문보영 ( Bo Young Moon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1

        본 연구는 국내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주가배수 평가기법을 활용하여 주식가치평가를 수행할 경우 어떠한 주가배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주식가치 추정치를 도출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주식가치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는 회계항목들인 과거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영업현금흐름, 배당액 및 자기자본 장부가치, 그리고 재무분석가가 제공하는 미래의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및 영업현금흐름에 기반한 주가배수를 사용하여 주가배수 평가기법의 정확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국내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총 1,310개 기업/연도의 관측치를 이용하여 수행한 실증분석 결과, 과거 회계항목에 기반한 주가배수들의 경우 자기자본 장부가치와 영업현금흐름에 기반한 주가배수가 순이익 및 영업이익, 배당액, 그리고 매출액에 기반한 주가배수에 비해 평가대상기업의 주식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widely practiced technique for the equity valuation of a firm is to use the stock price multiple to an accounting performance measure of the comparable firms. This paper examines the valuation performance of a comprehensive list of value drivers and evaluates performance by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pricing errors (actual price less predicted price, scaled by actual price). The value drivers we consider include forward-looking measures derived from analysts` forecasts of sales, earnings, operating income, and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and historical measures, such as sales, earnings, operating income, dividends and book value of equity. We collected data on the listed companies in Korea from 2004 to 2009 and our final sample consists of 1,310 firm-year observ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