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금색 공책』과 공감의 문학성

        권영희 ( Younghee Kwon ) 영미문학연구회 2017 영미문학연구 Vol.33 No.-

        Drawing on recent empathy studies, this essay aims to rethink the vexed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literature, so as to find a more solid basis of ethical potential for literature than the humanist defence of literary imagination as a key enhancer of empathy. Amy Coplan and Peter Goldie’s stricter definition of empathy is noteworthy in this regard, as they distinguish a set of similar emotional states such as emotional contagion, identification, perspective-taking, and sympathy from empathy proper. Referencing their view, I examine Doris Lessing’s The Golden Notebook and highlight the double workings of empathic connection and dissociation. The novel explores negative effects of feminine hyper-empathy along with ideological implications of narrative empathy. Further, its meta-fictional aspects demonstrate the literariness of empathy; as an emotive-cognitive process, it takes place when the subject aptly characterizes the object and takes his or her perspective, while keeping intact the self-other boundary, thereby performing an act of genuine understanding. I relate this dimension to Judith Jordan’s notion of retrospective self-empathy. Anna’s fictional doubles function as the experiencing self, the authorial Anna playing the role of the observing self. This leads to a higher plane of self-empathy and empathic understanding of the other.

      • Empathy’s Relationship with Adult Attachment,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in Nurses

        Sung Hee Lee,Su Jeong Son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Techn Vol.7 No.6

        This study used descriptive correlation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empathy in nurses, specifically, how empathy relates to adult attachment,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6until March 27, 2015.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00 nurses working in two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D city and K province.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0.0;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were tes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test empath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test empathy’s correlation with each variable. Factors affecting empathy were analyz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No differences in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Participants exhibiting higher attachment avoidance exhibited lower empathy; higher attachment anxiety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were correlated with higher empathy.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path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were found to affect empathy, with 13.1% total explanatory power.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dentifies factors affecting empathy in nurses; this basic information may be used to structure intervention studies on empathy enhancement.

      • KCI등재

        공감이 의학에 끼치는 영향과 의미

        정연옥 ( Jeoung Yeonok ),박용익 ( Bak Yongik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科學 Vol.120 No.-

        Empathy는 130년 전 독일 철학에서 각인된 독일어 "Einfühlung"의 영어 번역어로서 1909년에 만들어진 개념이다. “Einfühlung”은 원래 예술 작품이나 자연의 형태에 관찰자의 감정이나 생각을 투사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그러나 심리학자 칼로저스의 개념을 토대로 하고 현재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감의 개념은 원래의 의미와 완전히 다르게 타자의 관점에서 타자의 생각이나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학에 공감 개념을 본격적으로 도입한 사람은 헝가리 출신의 의사이자 정신분석가인 밸린트로 알려져 있다. 그는 1950년대에 공감을 토대로 하는 칼 로저스의 고객 중심 상담 개념에 착안하여 '환자 중심 의학'의 개념을 창안하였다. 그 이후로 공감은 의학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교육되고 있다. 공감은 의학의 발달사와 직접적인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질병에 대한 과학적 진단이 이루어졌지만 특별한 약물이나 치료 수단이 없었던 근대 의학에서 의사들은 치료 수단으로 환자와의 친밀하고 공감적인 관계를 활용하였다. 그럼으로써 그들은 환자의 환대와 존경을 받았다.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현대 의학은 질병이 신체 조직 일부의 훼손 또는 기능적 장애라고 여기는 생의학적 모델로 발전하였다. 또한 현대 의학은 새로 개발된 치료제와 의료기기를 통해서 이전에는 치료할 수 없었던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었다. 하지만 현대의학이 전적으로 자연과학적 지식과 치료제 및 기술에 의존함으로써 전인적 인격체로서의 환자와 그들의감정이 무시되었다. 이에대해서 환자들은의료인에 대해서 분노와 불신 그리고 낮은 순응도와 반감으로 반응하였다. 이 과정에서 의사의 직업 만족도와 삶의 질이 현격히 낮아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현대 의학의 한계와 문제점에 대한 반작용으로 포스트모던 의학이 도입되었다. 포스트모던 의학에서는 환자에 대한 전인적 관념과 질병의 진단과 치료와 관련된 사회 심리적 요인 및 의사와 환자 간의 친밀하고 공감적 관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타인으로부터 이해되고 존중되며 수용되기를 바라는 인정과 공감의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그러한 인정과 공감의 욕구가 충족될 때야 비로소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행복하게 살 수 있다. 의사도 직업 만족도와 삶의 질을 위해서 특히 환자로부터의 인정과 공감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공감은 상호 호혜성의 원리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타자로부터의 공감은 타자에 대한 공감의 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것이 의사가 공감능력을 가져야하는 이유이다. The term "empathy" is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German word "Einfühlung", coined in German philosophy 130 years ago. Einfühlung originally meant projecting the feelings or thoughts of the observer into the object like a work of art or shape in nature being observed. However, the concept of empathy, which is currently widely used, has developed a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The modern concept of empathy, based on the views of Carl Rogers, means understanding, respecting, and accepting others’ thoughts or feelings fromtheir point of view. It was Balint who introduced Carl Rogers' concept of “client-centered counselling derived from empathy” into medicine in the 1950s. He first introduced the term “holistic medicine,” as opposed to the contemporary trend of medicine, “disease-centered medicine.” Since then, empathy has been actively studied and taught inmedical education. The paradigms of medicine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can be classified into modern medicine, contemporary medicine, and postmodern medicine. Such paradigms reflect the mutual relevance between empathy and medical care. In the era of modern medicine, in which a scientific diagnosis of the disease was made but there were no special medications, physicians used an intimate and empathetic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s as a means of treatment. They were welcomed and respected by their patients. After the end of WorldWar II, during the era of contemporary medicine, the dramatic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medicine led to the paradigm of biomedicine. In contemporary medicine, due to the heavy reliance on science and medications, patients’ personhood and emotions came to be ignored, and the more patients depended on their physicians, the more they felt resentment and mistrust toward their caregivers. At the moment of the victory of medicine, physicians were criticized and scorned rather than respected, appreciated, or praised by their patients. Postmodern medicine bega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limitations of biomedical science and the mutual distrust and dissatisfaction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In postmodern medicine, the importance of empathy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as well as socio-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diseases are emphasized. Humans, as social beings, have a constant desire for empathy. We want to be understood, respected, and accepted by others. Empathy is reciprocal. In other words, as the prerequisite and reward for empathy is empathy, physicians should have the ability to empathize.

      • KCI등재

        ‘장애공감’의 조건과 교육실천 원리

        정희섭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ditions and the educational practice of the 'empathy for disability'. For this, the attitudes on disability, perspectives of supporting it, the elements and the process of empathy were reviewed. And then, the principles of educational practice for educating the empathy for disability were studies in the aspects of composition of the contents, sharing emotions, and practicing empathy. As a result, first, for the conditions of the empathy for disabil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support disability and its phenomena in the relations between injuries and disabilities, and disabilities and society, and requires the formation of empathy integrating its cognitive, emotional, and practical elements. Second, for educating empathy for disability,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tents with the cases from multiple-dimensional perspectives, the principle of sharing emotions inducing empathy of accuracy and that of deepening, and the principle of emotional practice through disability-empathetic speaking method and altruistic motives. In addition, th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including basic and utilized researches about the empathy for dis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actual sources for educating the empathy for disability in the field of schools.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공감을 위한 조건과 교육실천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장애에 대한 시각과 그 지원의 관점, 공감의 요소와 과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장애공감 교육을 위한 교육실천 원리를 내용구성, 감정공유, 공감실천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장애공감 조건은 손상과 장애, 장애와 사회의 관계 속에서 장애와 그 현상을 이해하고 지원해야 하며,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 요소가 통합된 공감형성이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둘째, 장애공감 교육은 다차원적 접근에 기반 한 사례중심 내용구성의 원리, 내적 심리적 과정을 통하여 정확공감과 심화공감을 유도해 내는 감정공유의 원리, 그리고 장애 친화적인 공감화법, 이타적 동기를 통한 감정실천의 원리에 기반 한 교육활동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장애공감에 대한 기초 및 응용 연구와 학교현장의 장애공감 교육을 위한 실제적 자료개발과 같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공감 관련 활동 분석

        박가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0 사회과교육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tivities related to empathy that appear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is, analysis was conducted on eight types of textbooks to figure out which contents are covered in the empathy-related activities, how much portion of them 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have respectively , and which stage of social empathy encompasses the social empathy-related activity of the textbooks. Results showed that a total of twenty five empathyrelated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four units and although there were contents which can address empathy-related activities in all the textbook, the activities were covered only in some textbooks. Observations of empathy types show that twenty out of twenty five activities are cases that deal with personal empathy and only five were those of social empathy. Also, most of the five cases correspond to level 3 ‘experience’in social empathy stage. As educational needs for empathy is growing, empathyrelated activities should be dealt with more actively in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deal with empathy-related activities in processes that deal with an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groups and in particular, resolution of social conflict and issues of particular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공감 관련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3가지 설정하였다. 공감 관련 활동이 어떤 내용과 관련하여 나타나고 있고, 공감의 유형으로 볼 때 개인적 공감과 사회적 공감이 어떤 비중으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사회적 공감을 다루는 활동은 사회적 공감의 단계 중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현행 8종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4개의 단원에 총 25개의 공감 관련 활동이 제시되어 있었는데, 내용별로 볼 때 모든 교과서가 공감 관련 활동을 제시하는 내용(역할갈등)도 있었으나 대부분은 몇몇 교과서에서만 다루는 등 교과서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공감의 유형별로 볼 때, 25개 중 20개가 개인적 공감을 다루는 사례이고 5개만 사회적 공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공감을 다루는 5개의 사례를 대상으로 사회적 공감의 단계(노출, 설명, 경험)를 확인해보았을 때 다수의 사례는 3단계 즉 경험 단계에 해당하는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다. 공감의 교육적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사회과 교과서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공감 관련 활동을 다룰 필요가 있으며, 타 문화나 타 집단에 대한 이해, 특히 사회적 갈등이나 특정 집단의 문제, 불평등의 문제를 다루고 해결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공감 관련 활동을 포함시켜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집단 내 공감 구조의 효과

        이하연,최훈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8 No.3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how empathy structures in task groups affect group members' task-focus, perceived entitativity and cohesion. Empathy structures in task groups were defined at the dyadic level, and three forms of empathy structures were investigated: empathy-balanced, empathy-imbalanced, non-empathy-balanced. It was hypothesized that in the two balanced structures, groups would experience higher levels of task-focus than in the imbalanced structure. In addition, empathy-balanced groups were expected to perceive higher levels of group entitativity and experience higher cohesion than other groups. In Study 1, we used a scenario method and manipulated three types of empathy structur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entitativity was high in the empathy-balance condition, empathy-imbalance condition, and non-empathy-balance condition, in order. We found the same pattern of result on cohesion. We conducted Study 2 using bona-fide groups consist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replicated the findings of Study 2. In addition, groups with a structure of non-empathy-balance reported higher levels of task-focus than did groups with other types of empathy structure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두 편의 연구를 통해서 집단에서 구성원들 간의 공감 구조(공감균형/공감불균형/비공감균형)에 따른 집단과제 몰입, 집단 실체성 지각 및 응집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시나리오를 통해 세 명의 집단 구성원들 간에 공감균형, 공감불균형, 비공감균형이 존재하는 상황을 제시하여 집단 내 공감 구조를 조작했다. 연구 결과, 집단 실체성 지각과 응집성은 공감균형 조건에서 가장 높고 공감불균형 조건과 비공감균형 조건 순으로 낮았다. 구성원들의 집단과제 몰입 수준에서는 연구 가설과 일관된 결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들로 구성된 현장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집단 상호공감 구조를 확인했으며, 집단 실체성 지각과 응집성 경험에서 연구 1의 결과가 반복검증 되었다. 또한 집단과제 몰입은 비공감균형 조건이 가장 높고 공감불균형과 공감균형 조건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집단의 핵심 기능에 대해 집단 상호공감 구조가 미치는 영향과 공감의 사회적 역동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장래 연구 방향을 논의했다.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공감 관련 내용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우경숙,임진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ral textbook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is purpose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wa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empathy with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riteria for analysis focused on the components of empathy and the four stages of Hoffman's development of empath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empathy, first, the contents related to empathy i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accounted for 63.5% of the total class time, up 20.2% p from the 7th curriculum. Second, the proportion of contents related to empathy by grade level decreased as the grade increased, except for the 4th grad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presenting empathy by grade, the cognitive factor was the highest in the order of 5th grade, 3rd grade, 6th grade, and 4th grade, and the emotional component was shown in reverse order Overall, the ratio of emotional elements of empathy was higher than that of cognitive elements. In the aspect of the development stage of empathy, there was no global empathy and egocentric empathy. With the exception of 4th grade, empathy for others' feelings decreased toward higher grades, and empathy for other people's living conditions increased toward higher gra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empathy of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of empathy education through moral textbooks. 이 연구는 도덕 교과서를 분석하여 특징과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감의 구성요소와 호프만의 공감 발달 4단계를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차시별 학습 목표, 소 제재의 최종학습목표에 대하여 공감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공감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 공감과 관련된 내용은 전체 차시 중에 63.5%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7차 교육과정기보다20.2%p 상승하였다. 둘째, 공감 관련 내용의 학년별 비율은 4학년을 제외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감 관련 내용을덜 다루고 있었다. 셋째, 학년별 공감을 제시하는 방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인지적 요소는 5학년, 3학년, 6학년, 4학년 순으로 비율이 높았고, 정서적 요소는 역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공감의 인지적 요소가 정서적 요소에비해 덜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의 발달 단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총체적 공감과 자기중심적공감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4학년을 제외하면 타인의 감정에 대한 공감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타인의삶의 조건에 대한 공감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도덕교과서를 공감과 관련하여 분석한 것으로 도덕 교과를 통한 공감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시각장애 성인의 공감 특성 간의 관계

        이경림,황순영,이후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pathetic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adults through analyzing the cognitive, emotional and expressive empathetic level of visually impaired adult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first explained and cooperation was requested. After then, the questionnaire was sent out. A total of 119 visually impaired adults were screened wirelessly and they were asked to fill up the questionnaire.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of study subjects included the period during which they attended the school for visual impairment, the severity of visual impairment, the occupation, etc. This study selected those adults who did not have more than one duplicate disability in addition to visual impairment. As for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IBM SPSS Statistics 21 was utilized. To examine the cognitive, emotional and expressive empathetic level of visually impaired adult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lculated. Also, Pearson correlat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expressive empathetic factors of visually impaired adults. The results as to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ose visually impaired adults with total blindness, who relied on auditory and tactile senses, had a high level of emotional and expressive empathy, whereas the visually impaired adults with low visual acuity, who relied on the remaining visual acuity, had a high level of cognitive empath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nalysis outcome of cognitive, emotional and expressive empathetic level for each background variable of visually impaired adults, those visually impaired adults who had attended the school for visually impairment for more than 6 years had a higher level of emotional and expressive empathy than the visually impaired adults who had attended the school for visual impairment for less than 6 years. From the examination of emphatic level in accordance with occupation, th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cognitive empathetic level, whereas social worke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level of emotional and expressive empath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athetic factors of visually impaired adults,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emotional empathy total score and expressive empathy total score. On the other hand,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aking viewpoint, which are the sub-domains of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total score, imagining which are the sub-domains of cognitive empathy and the empathy total score, the cognitive empathy total score and emotional empathy total score. These findings mean that an expressive emphatic level will not be high even when embracing the viewpoint of other people. On that accou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for each empathetic factor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pathetic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adults.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and applying an empathy program for visually impaired adults. 본 연구는 시각장애 성인의 배경변인별로 인지적, 정서적, 표현적 공감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시각장애 성인의 공감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 성인 119명을 대상으로 공감 수준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장애 성인의 시력 정도, 시각장애학교 교육 기간, 직업에 따라 공감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시각장애 성인의 표현적 공감은 모든 공감능력의 하위영역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인지적 공감의 하위영역인 관점취하기와 정서적 공감, 상상하기와 정서적 공감,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간에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시각장애 성인들이 타인의 입장이나 관점을 잘 받아들인다 할지라도 다른 사람이 처한 상황이나 조건을 동일한 방식으로 느끼는 감정으로의 이입이 힘들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각장애 성인의 공감 수준이 낮게 나타난 하위영역에 대한 공감 수준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장애 성인을 위한 공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있어서 배경변인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공감 문화를 통한 기업혁신을 이룬 사례 연구: 다학제적 접근방식 분석을 중심으로

        손예령(Son, Ye Rye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는 공감 문화를 통한 기업혁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오늘날 구별이 불가능할 정도로 비슷한 제품과 서비스가 쏟아지고 있고, 많은 기업들이 글로벌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른 기업과 차별화될 수 있는 요소는 바로 ‘공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감 문화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공감 문화를 통해 기업의 혁신을 이룬 사례들을 다학제적 접근방식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공감 문화를 통한 기업혁신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니즈와 원츠를 반영한 ‘공감형 브랜드’를 조성해야 한다. 둘째, 지속가능한 혁신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신념이나 가치가 담긴 브랜드 메세지가 조직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잘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업(業)과 연계된 기업시민 활동을 통한 기업혁신이 중요하다. 넷째, 기업의 조직 문화가 혁신되기 위해서는 공감 문화를 기반으로 한 건강한 조직문화가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감 문화’를 통해 기업의 혁신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둔다. 끝으로, 향후 공감 문화를 통해 혁신을 이룬 기업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고 진전되길 기대해본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nterprise innovation through a empathy culture. Today, products and services, which are too similar to distinguish are pouring out and many companies are being exposed to a fierce competition in the global market. In such a situation, ‘empathy’ is the factor that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companies. In a company, empathy influences all areas directly ranging from customer loyalty, enterprise innovation to profitability. Therefore, to become innovative, an enterprise should be reborn as a company that could sympathize heartily, out of the age-old practice on the way the industry did business. This study looked at the definition of empathy, components of empathy, and empathy model, to search the directions of corporate innovation through empathy culture. It also analyzed the effect of empathy culture on enterprise and cases of enterprise innovation through empathy culture and described it objectively. In addition, it put together the suggestions obtained from case analysis and the directions of enterprise innovation through empathy culture are as follows. First, empathy-type brand reflecting customer needs and wants should be formed. Second, to become a sustainable innovation enterprise, brand message containing corporate belief or values should be delivered well to outside the organization as well as inside the organization. Third, enterprise innovation through activity as a corporate citizen in association with businesses is important. Fourth, to innovate corporate organizational culture,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empathy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기업가의 공감측정도구 개발 및 공감의 혁신효과

        정연도,김기찬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2 창조와 혁신 Vol.15 No.3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surement of empathy and its effect as an influencing factor on innovation emphasized in traditional entrepreneurship research. To this end,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empathy is analyzed, a tool for measuring empathy is developed, and the effect of empathy on innovation behavior is analyzed. Empathy is the key to action. Innovative action begins with empathy. Empirical studies show that the more sympathetic, the more active the innovation behavior of employ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igher the empathy, the more active the company's innovative behavior. Empathy is a source of energy that creates a vision for the future and turns it into an opportunity.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the measurement of empathy, a factor that induces human behavior, and the innovation effect of empath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trepreneur's empathy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and six factors. The cognitive dimension is taking another's point of view, recognizing the other's emotional state, the emotional dimension is emotional resonance, vicarious emotion, and the behavioral dimension is considerateness and active empathetic listening. Entrepreneurial empathy is different from those in other areas. In order to measure it properly, it is necessary to measure entrepreneurial empathy by using the empathy measurement tool for entrepreneurs. Second, empath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ntrepreneurial innovation motivation such as cooperation with others, employee engagement, inclusiveness, innovative behavior, increase in self-esteem, and decrease in intent to leave. The greater the empathy of the CEO, the greater the empathy of employees, suggesting that employees can voluntarily engage in innovation. Empathy is associated with many positive outcomes that influence employees to become more agile and innovative in times of crisis. Thir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easurement dimension of empathy and the innovation behavior, the emotional resonance of the emotional dimens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in the innovation behavior effect of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igher the empathy, the more active the company's innovative behavior. Empathy is a source of energy that creates a vision for the future and turns it into an opportunity. The more empathetic the entrepreneur is, the more proactive the employees will be for the future and the more cooperative they will be with the direction of the company. Empathized employees engage in innovation activities with their own ideas. 전통적 기업가정신연구에서는 기회포착을 위해 혁신(Innovativeness), 선제적 대응(Proactiveness), 위험감수(Risk Taking)라는 기업가적 지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ion)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직원들의 행동에 따라 만들어 진 결과이며, 직원들의 혁신행동을 이끌어내는 핵심요소가 무엇인가를 찾아 관리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핵심요소로서 공감 개념의 중요성을 분석하고, 공감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공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코자 하는 것이다. 공감은 사람들 의 행동을 여는 마음의 문이다. 공감으로부터 혁신행동이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공감에 대한 연구는 심리학적 연구중심으로 이어 온 개념이다. 본 연구는 공감을 기업가적 혁신의 핵심변수로 인식하고, 경영학적 접근으로 측정과 효과분석을 시 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람의 행동유발요인인 공감에 대한 측정과 공감의 혁신효 과를 분석코자 하는 것이다. 첫째, 우선 공감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이를 바탕으로 조작적 정의 및 측 정을 시도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감의 측정차원을 인지적, 감성적, 행동적 3가지 차원으로 분류하고, 6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인지적 차원의 구성요소는 타인의 관점취하기, 상대의 감정상태를 인식하기, 감성적 차원의 구성요소는 감정 공명, 대리감정, 행동적 차원의 구성요소는 배려와 경청으로 측정하고 있다. 둘째, 공감은 타인과의 협력, 몰입, 포용성, 혁신행동, 자기존중감의 증가, 퇴사 의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영향은 기업의 혁신효과에 유의미한 역할을 수행한다. CEO의 공감능력이 크면 클수록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혁신에 참여하게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공감은 직원들을 보다 선제적으로 빨리 대응(proacitve)하 게 되고, 몰입하게 한다. 셋째, 공감의 측정차원과 혁신행동간의 상관관계분석에 의하면 공감의 혁신행동 효과에서 정서적 차원의 감정공명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감이 높을수록 기업의 혁신행동은 활성화됨을 보여주고 있 다. 공감은 미래에 대한 비전을 만들고 이것을 기회로 만드는 에너지의 원천이 된 다. 공감된 조직일수록 직원들은 미래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며, 기업의 방향에 대해 협력적이 된다. 공감된 직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로 혁신활동에 참여 하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