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권교체에 따른 교육복지 정책변동 분석

        김민희(Kim, Minhee)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2002년 참여정부 이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정부를 거치면서 나타난 교육복지 정책변동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데올로기 및 정책환경, 정책문제, 정책대안, 정치흐름 및 제도화 과정을 중심으로 교육복지 정책을 정권교체와의 관련성 속에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 교육복지 정책은 복지이념을 중심으로 사회적 지배 이데올로기가 변화되면서 교육복지 정책도 적극적으로 확대되고 보편복지적 성격의 정책변동으로 이어지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양극화, 빈부격차, 빈곤의 대물림의 사회적 문제에 대해 정권별로 교육복지 정책문제에 대한 공통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복지 정책 대안은 유아부터 성인, 저소득층, 다문화, 탈북, 특수, 귀국학생 등으로 교육복지 대상을 세분화하면서 대학 단계에 이르러 사회통합을 목표로 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었다. 넷째, 교육복지 이슈구조는 정치 변동에 따라 ‘정책 이슈 중심’에서 ‘정치 이슈 중심’으로 변화하였으며, 시‧도중심에서 지역정치화로 성격이 이동하는 정치 흐름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교육복지 정책활동가는 대통령, 행정부 관료, 국회, 교육감, 연구그룹, 교육복지사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교육복지 정책은 조직 확대, 예산 증대, 법률 제정 등의 제도화 노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교육복지 정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하여, 정책 개념으로서의 교육복지정책 재개념화 및 범위 재설정, 의무교육 및 무상교육과의 차별성, 정책활동가들의 역할 강화, 교육복지 정책의 제도화 요건 충족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educational welfare policy change that took place after Lee Myung-bak, Park Geun-hye, and Moon Jae-in government in 2002. To this end, we analyzed the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in relation to the regime change, focusing on ideology and policy environment, policy problems, policy alternatives, political process and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of Korea are changed to social welfare ideology and social welfare policies. Second, the social problems of social polarization,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poverty of the migrants were shared by the regime on the issue of education and welfare policy. Third, educational welfare policy alternatives have been extended from infants to adult, returnees, etc. Fourth, the structure of education welfare issue changed from policy issue to political issue according to the political change. Fifth, the education welfare policy entrepreneurs are very diversified. Sixth, education welfare policies appeared to be institutionalization such as expansion of organization, increase of budget, legis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 order to promote the stable educational welfare policy in the future, the concept and scope of educational welfare policy should be reset, differentiation between compulsory education and free education, strengthening role of policy activists.

      • KCI등재

        글로벌 거버넌스와 한국의 교육정책: OECD/PISA를 중심으로

        신현석,주영효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OECD/PISA가 한국의 교육정책 형성 및 집행에 미친 영향을 글로벌 거버넌스의 개념을 도입해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글로벌 거버넌스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한 후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글로벌 거버넌스와 한국의 교육정책을 분석하였다. 첫째, OECD/PISA 결과는 한국 정부와 한국 교육정책에 어떠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는가? 둘째, 한국 정부는 OECD/PISA 결과에 대해 시간의 흐름 속에서(over time) 어떠한 정책적 대응(policy response)을 하였으며, 그 결과물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글로벌 거버넌스와 한국의 교육정책 분석을 위한 틀을 구안하였으며, 문헌 조사를 통해 한국 정부의 정책 대응 및 OECD와의 상호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글로벌 거버넌스는 한국 교육정책 형성 및 집행에 직·간접적 영향을 지속적으로 주었고, 한국 정부는 교육경쟁력 및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OECD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새로운 교육정책을 입안 및 집행해 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정책 연구에 있어서 국내 정책행위자(policy actor)뿐만 아니라 국외 정책행위자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제기구의 정책권고, 비교 데이터 등은 개별 주권국가에 강력한 파워(power)로 작용하게 되며, 그 결과 정책의 수렴 현상과 제도의 동형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정책결정권자와 연구자는 국제기구의 역할과 기능을 보다 폭넓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제기구의 영향력 확대는 개별 주권국가의 정책결정권자들에게 새로운 정책 도입의 정당성(legitimacy)과 합리화하는 근거로 작용하게 되어 한 국가의 정책결정과정에서 숙의민주주의 가치 구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런 점에서 글로벌 거버넌스, 한국 교육정책, 민주주의의 상호 관계와 특징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global governance on Korean educational policy. Globalization is a wide spreading phenomenon in educational policy. One of the critic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in a domestic education policy-making processes is increasing power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owever,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n domestic policy in countries is little noted, even though they play a critical role in making educational policy. In particular, the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serves as influential global governance entities. After reviewing theoretical studies and reported evidence, we constructed a research framework, including two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1) even though the OECD does not have compulsory power on the Korean government,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a long impact on Korean educational policies; and 2) the OECD has functioned as a facilitator of policy convergence.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these meaningful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olicy research and theory. First, it is necessary to includ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an influential policy actor within educational governance. Seco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play a pivotal role in nation-states’ policy making. This means that as transnational governance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s functioned as a normative policy standard, global governance results from policy convergence and institutional isomorphism among nation-states. And last but not least, domestic policy decision makers conceive of policy recommendations and comparative data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s a kind of norm, standard, or [and] myth. These provide a basis for legitimizing educational policies when policy makers consider introducing new national policy on education. Paradoxically, it has the potential to negatively affect deliberative democracy.

      • KCI등재

        교육정책평가 연구의 경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엄준용(Uhm, Joon-Yong),정우진(Jung, Woo-Jin),이준희(Lee, Jun-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問題硏究 Vol.0 No.36

        본 연구는 한국교육행정학회의 학술지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정책평가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83년(창간호)부터 2009년 12월 현재(27권 4호)까지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1,021편 가운데 정책평가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87편의 논문들을 선정하여 연구의 목적, 연구 주제영역 및 내용, 연구수준 및 대상, 연구방법의 측면에서 교육정책평가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목적의 측면에서는 특정정책의 진단과 개선, 특정정책의 효과나 공과의 검토 등을 목적으로 한 실증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 주제영역 및 내용의 측면에서 행재정일반 영역과 학교교육을 포괄하는 영역을 주제로 정책의 진단이나 효과 및 공과, 향후과제를 검토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어 왔다. 연구 수준 및 대상의 측면에서 국가수준의 정책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의 측면에서는 문헌연구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향후 정책평가연구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정책평가에 관한 기초이론의 정립이 요구된다. 둘째, 연구 주제영역 및 내용의 측면에서, 정책평가의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질적인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정책평가에 대한 메타평가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of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studies and to suggest tasks for future stud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87 among 1,021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1983 to 2009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nd analyzed as to purpose, the main subjects and contents, methodology of studies and level and object of policies,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ost studies are intended for empirical research purposes which focused on the diagnosis and improvement, the effects or the merits and demerits of specific educational policy. Secondly, the main subjects are mainly dealt with administrational and financial area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contents with the diagnosis, effects or merits and demerits and tasks of educational policies Thirdly, the level and object of policies(of studies) are located on the policy programs in the National level. Fourthly, lots of studies are based on literatural studies and quantitative methods. The results suggested tasks of study for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It is necessary ① to establish the ground theory for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② to activate studies about utilization of the result of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③ to activate studies whice used quantitative methods and ④ to use the meta-evaluation for educational policy.

      • KCI등재

        김영삼 정부의 교육정책 결정 구조와 과정: 5.31 교육개혁안을 중심으로

        김재웅 한국교육정치학회 2015 敎育政治學硏究 Vol.22 No.2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relying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s two stages as follows: at the first stage policy agenda was set up by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Education Reform(PCER) in cooperation with Secretary to the President for Education, and Ministry of Education began to activate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through the legalization for the policy tasks, which needed the help form the side of the National Parliament or Cabinet Council. The PCER, fully supported by the President, took the initiative during the whole policy process. It was told that neo-liberalism was pervaded in the May 31 Educational Reform, propagated by non-education experts working for the PC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idential Secretary. The guidelines were followed by the specification procedures played by the educational experts in the PCER with rationality and professionalism. Mass-communication, interest groups, and educational scholars were involved in the policy process in a positive and cooperative mood, which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policy formation. Also, the Ministry of Eduction, especially the Minister and the high-level bureaucrats, being responsible for the response to the command from the President given as May 31 Educational Reform, played the key rol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which was highlighted in the legalization. The National Assembly, The Cabinet Council, and the Ministry itself were participated in terms of the level of the policy measures. Little problem was found in this process under the supportive atmosphere. Finally, teachers’associations nee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the educational reform organiza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as a permanent legal institution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reform policies. 이 연구는 김영삼 정부의 교육정책 결정 구조와 과정을 문헌연구에 의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개혁위원회가 청와대 비서실과 긴밀한 협조관계 속에서 정책의제를 던지고, 교육부가 중심이 되어 국회 등의 도움을 받아 해당 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을 통하여 정책결정에 참여하였음을 밝혔다. 의제설정 과정에서 가장 주도적으로 역할을 수행한 집단은 대통령의 지지를 받고 있던 교육개혁위원회이다. 신자유주의의 흐름이라는 개혁의 방향에 대해서는 교육개혁위원회 내의 비교육계 인사들이 청와대 비서실과의 조율 속에서 주도하고, 구체적인 개혁안의 수립에는 합리성과 전문성을 지닌 전문위원 등 교육계 인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어지는 교육정책 결정 과정에서는 5.31 교육개혁안을 입법화할 책임을 지고 있는 교육부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교육부 장관과 장관을 보필하는 행정고시 출신 고급 관료들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그리고 개혁안과 관련된 법률의 수준에 따라 국무회의와 국회가 협조적으로 참여하였다. 교육정책결정 과정에 교사집단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며, 국가 수준의 법률적 기구로서 교육개혁 담당기구를 둘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교육정책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이기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목적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 관련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교육정책 연구의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 및 한국교육행정학회 홈페이지의 자료검색을 통해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 에 대한 논문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 논문은 218편이었다. 분석 기준으로는 부문 영역 및 목적, 정책 과정과 수준, 연구방법 등으로 설정하였으며, 문헌 분석연구의 일환으로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2008년-2021년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교육정책 관련 218편 논문에 대한 부문 영역별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초⋅중등교육, 고등교육, 교원 등의 순이었으며, 연구주제별로는 자유학기제 정책, 혁신학교정책, 교원능력개발평가제, 교장공모제 등의 순이었으며, 연구목적별로는 현황 및 실태분석, 정책대안 및 개선 방안, 검증 및 적용 등의 순이었다. 둘째, 정책 과정별 연구동향에서는 정책평가, 정책집행, 정책결정 등의 순이었으며, 정책 수준별로는 국가 수준, 시⋅도 수준, 단위학교 수준 등이었다. 셋째, 자료수집 방법별 연구 동향에서는 문헌, 통계자료, 질문지 등의 순이었으며, 연구형태별로는 분석연구, 기술적 연구, 비교연구등의 순이었다. 결론 이상의 교육정책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결론은 초⋅중등교육 영역, 자유학기제 및 혁신학교 정책의연구주제, 현황 및 실태분석의 연구목적, 정책평가의 과정, 국가 수준, 문헌 자료수집 방법, 분석연구의 형태 등이 주요 연구 동향이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의 부문 영역, 연구목적 및 연구형태의 다양성 추구 등의 연구범위를 확대한다는 차원에서 후속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targeting educational policy-related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ne of the Korean journals, as the subjects of analysis and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domestic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findings of analysis. Methods By searching for data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the website of the Korea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this author collected data about theses on ‘education polic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systematic ways, and for final analysis, 218 theses were selected. The criteria of analysis were set as sector areas and purposes, policy processes and levels, and research methods, etc. As part of reviewing the literatures, Excel program was utiliz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by sector areas with 218 educational policy-related thes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2008 to 2021,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and teachers were found in order. Concerning the topics of research, free semester policy, innovative school policy, the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 evaluation system, and principal competition system were found in order. Regarding the purposes of research,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 political alternative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and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were found in order. Second, about the trends of research in policy processes, policy evaluation, policy execution, and policy decision were found in order, and in policy levels, the national level, city/province level, and the unit school level were found in order. Third, in the trends of research regarding data collection methods, literatures, statistical data, and questionnaires were found in order, and about the forms of research, analytic research, descriptive research, and comparative research were found in order.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on educational policy, this researcher has derived following conclusions. Major research trends are associated with the area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topic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innovative school policy, research purposes of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 processes of policy evaluation, the national level, the method of collecting literatures, and the form of analytic research. Follow-up research will have to b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broadening the range of research regarding various sector areas, research purposes, or the pursuit of diversity in the forms of research.

      • KCI등재

        한국교육 정책문제와 진보교육진영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의 연관성 분석

        안선회(An, Sun-Hoi)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의 핵심적인 정책문제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들 정책문제가 진보교육진영의 교육개혁패러다임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주요 정책문제로는 학생 평가의 신뢰성 약화와 성적 관련 부정과 비리 증가, 대입 전형에서의 공정성 추락과 교육선발의 불평등 심화, 기초학력 하향, 사교육비 증가, 교육만족도의 하락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진보교육진영의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을 도출하여 이들 정책문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철저하게 교사중심인 진보교육진영의 교육개혁 패러다임이 이들 교육정책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진보교육진영 교육개혁패러다임으로 발생하는 정책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ey educational policy problems in Korean education and how these policy problems are related to the educational reform paradigm of the progressive education camp. First of all, the major policy problems were the weakening reliability of student evaluation, the increase of grade-related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 the fall in fairness in college admission, the deepening inequality in the educational selection, the decline of basic learning capability,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costs, and the decline i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educational reform policy paradigm of the progressive education camp was derived and the association with these policy problem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reform paradigm of the progressive education camp, which is strictly centered on teachers, is the cause of these educational policy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plans for overcoming policy problems caused by the educational reform paradigm for the progressive education.

      • KCI등재

        从“减负”到“双减政策”:兼谈中国基础教育生态的治理

        李桂兰,李丹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3

        Since the Opinions on Further Reducing the Burden of Homework and Off-campus Training for Students in Compulsory Education (abbreviated as the “Double reduction policy” Opinions) issued at the end of July 2021, as the “No. 1 Project”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double reduction policy has triggered discussion and reflection in the academic community and society from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policy to its implementation. The “double reduction policy” includes 30 key points in eight major aspects. The main measures include: comprehensively reducing the total amount and time of homework, improving after-school service level, comprehensively standardizing after-school training behaviors,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eaching, and strengthening supporting governance, which reflects the first principle of “student-oriented”. In this context, whether and how the “double reduction” policy can solve these problems and achieve a benign education ecology has become a hot issue concerned by all circles.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first proposed the “Burden reduction” policy in 1955, China has issued more than 50 relevant policies to address the practical problem of students' excessive academic burden. Although these “Burden reduction” policies are large in number and density, but they fluctuate greatly and have short cycles, have no end, and have no details. The lack of supervision has put the government in the awkward position of “reducing the burden of students more and more”. How to realize the implementation of “burden reduction” policy and realize the virtuous circle of education ecology has gradually become a public education issue from personal problems, and become a focus issue in the field of education policy and people's livelihood. This paper reviews the course of “burden reduction”policy with this kind of problem awareness, and analyzes the background, connotation and concept of “double reduction policy”, and explore how to realize the virtuous circle of education ecology. This paper recognizes that the “double reduction policy” is an important measure to solve the problem of educational ecological imbalance from its connotation to its concept,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double reduction policy” is a powerful means to achieve equitable and balanced development of education in China. However, in the context of the rigid demand for students to make up their lessons, a one-size-fits-all approach to the teaching and training industry may lead to another kind of “unfair education”. Based on the complexity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double reduction polic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oblem from a comprehensive and dynamic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seek effective implementation paths from the perspectives of evaluation criteria, value orientation and participants, so as to create a good education ecology.

      • KCI등재

        ‘교육개혁’ 시기 독일 기민당(CDU)의 중등교육제도 정책

        최재호(Jae-Ho Choi) 한국독일사학회 2018 독일연구 Vol.- No.37

        이 논문은 1960, 70년대에 중등학교제도 개혁에 관한 기민당의 교육정책을 연구하였다. 1960년대 그 정당의 교육정책에서 나타난 개혁지향적인 변화와 그것에 상반되는 1970년대 보수적인 경향으로의 전환을 살펴보고, 그러한 과정을 전체적인 맥락에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그것을 통하여 보수적 지형에 속한 정당의 교육정책의 특징과 개혁에 대한 한계점을 밝혀볼 수 있다. 1960년대 사회·경제·문화적 변동들은 독일연방공화국의 교육 분야에서 전례 없는 커다란 변화를 야기하였다. 현대화와 민주화와 연관된 교육체제의 개혁은 광범위하게 논의되었다. 하지만 기민당 교육정책은 본질적으로 보수적이고 변화를 꺼렸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김나지움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학교시스템과 오랜 종교적인 영향력의 유지를 옹호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개혁은 그 정당이 새로운 정책을 만들도록 유도했다. 기민당의 교육정책에서 종교적인 성격이 사라지고, 개혁지향적인 정치가들과 젊은 당원들은 새로운 변화에 보다 능동적이고 유연한 태도를 취하였다. 이 시기에 기민당은 점진적인 개혁을 선호하고, 다른 정당과의 경쟁과 공동작 업을 통하여 교육개혁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그렇게 국민학교 개혁과 종합 학교 도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개혁적인 흐름은 1970년대 초까지 지속되었다. 그렇지만 1960년대 말부터 당의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재정립을 둘러싸고 개혁과 보수적 흐름의 주도권 다툼이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개혁의 급격한 확대를 요구하던 사민당과의 대립으로 기민당 내 여론은 보수파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어져 갔다. 더불어 경기의 하강은 당의 교육정책이 급격히 보수적 흐름으로 기울어지게 했다. 1970년대 중반 당 내부에서 개혁파들과 그들의 정책은 더 이상 지지 받을 수 없었다. 검토 중이던 개혁적 정책들은 폐기되고, 더 이상 논의될 수 없게 되었다. 그렇게 기민당 교육정책은 ‘새로운’ 보수적인 방향으로 전환 되었다. This article researches the policy of CDU on the reform of the secondary education system (Sekundarschulwesen) in the 1960s and 1970s. In particula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formist-oriented educational policy of the party in the 1960s and the transition of that to the conservative tendency in the 1970s. Analyzing the process, we can identity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olicy of the conservative party and limitation on the reform. The 1960s saw the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changes, which caused unprecedented shifts in the education landscape of the BRD. The reform of the education system in relation with modernization and democratization have been extensively discussed. The education policy of the CDU was essentially conservative and reluctant to change. Therefore, the party appeared to maintain a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Gymnasium and religious influence on the education. However, the education reform brought the new policy on education system. The religious character of the Party s policy on education has disappeared, and reform-oriented politicians and young party members have shown a more active and flexible stance. The Christian Democrats favored gradual reforms,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Reform through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 the other parties. The reform of the Volksschule and the Discussion of the Gesamtschule were possible. The reformative tendency continued until the early 1970s. From the late 1960s, the reformists and the conservatives in the party began to argue about the reorganiz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However, confronting with the SPD, which demanded a drastic education reforms, led to public opinion in favor of the conservatives. In addition, the economic recession caused the party s education policy to become conservative. In the mid-1970s, the reformists and their policy could not be supported any more. Therefore, the education policy of the CDU moved in a new conservative direction.

      • KCI등재

        교육정책탐구에서의 비교교육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 탐색

        정일환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정책 탐구에 있어서 비교교육연구접근이 활용되는 영역과 내용, 방법 등의 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교육정책 개발과 집행을 위해 비교교육(학)연구 접근의 유용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정책(학)연구의 개념구조의 요소들, 즉 교육정책이념, 교육정책과정과 분석, 교육정책내용과 환경을 한국비교교육학회에서 학술지로서 발간하고 있는 ‘비교교육연구’의 내용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비교교육연구’(1971년부터 2017년 9월)에 게재된 총 748편의 논문 중 교육정책(학)연구 관련 논문은 157편(21.1%)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책연구 관련 전체 논문 182편(내용 중복 25편) 중에서, 교육정책이념 1편(0.54%), 교육정책과정 40편(21.98%), 교육정책분석 7편(3.85%), 교육정책내용(교육개혁 제외) 60편 (32.97%), 교육개혁 51편(28.02%), 그리고 교육정책환경과 관련한 연구 23편 (12.64%)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논문 40편을 분석한 결과 교육정책집행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은 것(24편, 60%)으로 나타났다. 교육개혁에 관한 논문을 제외한 교육정책내용으로 분류된 60편 연구논문 중 정책유형의 분석한 결과 국제비교연구의 특성상 배분정책(27편, 45.0%)과 재분배정책(23편 33.3%)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비교교육(학)연구 접근을 통해 분석된 주요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혹은 정책 집행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궁극적으로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측면에서 비교교육연구 방법과 절차의 타당성, 정교성을 개발시키고, 또한 실제 합리적인 교육정책 개발과 집행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usefulness of comparative educational research approach for rational educational policy development and ope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rea, contents, methods, and so on that comparative educational research approach in educational policy studies is used. For achieving the purpose, the study examined as the follows. First, the study discussed the academic traits and research target of educational policy and comparative education using the academic trait of definition method and the academic trait of approach method.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exploration of educational policy studies in comparative education. For this, the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rative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And using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 comparative education. Based on the main results,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지방교육자치에 대한 정책논증 - 교육위원회 운영과 교육감 직선제 개선의 정당성 -

        유길한 ( Gil Han Yo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8 초등교육연구 Vol.21 No.1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o find the appropriate policy for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n detail, the article searches to guide the reformative orientation of the two current policies in focus of constitution of local educational board and election system of superintendent. It is argued that while changed in public service system and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should coincide with transformation of the related acts. As a result, the act obtains the legitimacy of power shift. However, recent examples of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change deepen the conflict between the educative people and the administrative people. To solve the conflict, this article analyzes the following criteria in the perspective of policy argument method: educational perspective vs. economic perspective, education related control vs. public control, independen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rofessional management in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policy argumen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in the perspective of local autonomy system, eligibility for election of local educational board member and superintendent may be restricted within direct educational stakeholder. Second, the board member`s status may be strengthened in the focus of educational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impartiality. Third, the superintendent`s duty should be clearly classified in the educational perspective. And the superintendent`s status about ambiguous act on local autonomy (Article 112) should be fixed in the educational professionalism. Finally, educational effectiveness should be fundamentally considered in the education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