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egeneration of Plants from EMS-treated Immature Embryo Cultures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반규정,장현주,이석하,장영은 한국작물학회 2008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11 No.2

        Since somatic embryogenesis combined with ethylmethane sulfonate (EMS) treatments is the most efficient technique for mutagenesis, the embryogenic capacity of four soybean cultivars was evaluated at different EMS concentrations, treatment times, and preculture durations. Two to 4 mm long immature cotyledons were placed in induction medium after EMS treatment, and the numbers of somatic embryos formed per explant were counted four weeks after culture initiation. We observed genotypic differences in the efficiency of somatic embryogenesis from immature embryos among four cultivar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MS for six hours. Cultivars, Sinpaldalkong 2 and Jack, displayed highly efficient somatic embryogenesis regardless of EMS concentration, whereas very low efficiency or no survival was observed in Jinju 1 and Iksannamulkong cultivars. Preculture duration did not influence the efficiency of somatic embryogenesis. Because Sinpaldalkong 2 exhibited the best somatic embryogenesis, much higher concentrations of EMS were used to test somatic embryo formation under different periods of time in this cultivar. Three and six hour treatments with both 1 and 2 mM EMS yielded higher embryo formation than longer periods of time. Increasing the time with embryos in 2 mM EMS caused a reduction in somatic embryogenesis in Sinpaldalkong 2, but many chlorophyll-deficient soybean variants were identified in the M₁R0 and M₂R₁ generations. In addition to Jack, Sinpaldalkong 2 is a good genotype for plant regeneration from EMS-treated immature embryo cultures. Since somatic embryogenesis combined with ethylmethane sulfonate (EMS) treatments is the most efficient technique for mutagenesis, the embryogenic capacity of four soybean cultivars was evaluated at different EMS concentrations, treatment times, and preculture durations. Two to 4 mm long immature cotyledons were placed in induction medium after EMS treatment, and the numbers of somatic embryos formed per explant were counted four weeks after culture initiation. We observed genotypic differences in the efficiency of somatic embryogenesis from immature embryos among four cultivar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MS for six hours. Cultivars, Sinpaldalkong 2 and Jack, displayed highly efficient somatic embryogenesis regardless of EMS concentration, whereas very low efficiency or no survival was observed in Jinju 1 and Iksannamulkong cultivars. Preculture duration did not influence the efficiency of somatic embryogenesis. Because Sinpaldalkong 2 exhibited the best somatic embryogenesis, much higher concentrations of EMS were used to test somatic embryo formation under different periods of time in this cultivar. Three and six hour treatments with both 1 and 2 mM EMS yielded higher embryo formation than longer periods of time. Increasing the time with embryos in 2 mM EMS caused a reduction in somatic embryogenesis in Sinpaldalkong 2, but many chlorophyll-deficient soybean variants were identified in the M₁R0 and M₂R₁ generations. In addition to Jack, Sinpaldalkong 2 is a good genotype for plant regeneration from EMS-treated immature embryo cultures.

      • 소형 항공기 엔진마운트 스트럿의 피로 수명 예측

        이무형,박일경,김성준,안석민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4

        본 연구는 엔진마운트 스트럿(EMS)의 피로 수명을 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소형 항공기의 EMS는 엔진 마운팅 하중과 노즐랜딩기어 하중하에 엔진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EMS는 충분한 피로 수명을 확보하기 위해 초기 설계에서부터 피로 수명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응력-수명법을 이용하여 EMS 피로 수명을 산출하였다. 정적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피로 취약 지점을 선정하였고, EMS 재료인 AISI 4130의 S-N 물성치를 사용하여 피로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AISI 4130에 대한 용접부 부근 피로 물성데이터 미확보로 시컨스에 응력 상승 요소를 적용하였다. 피로 해석 결과 EMS는 피로 파괴에 충분히 안전하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일련의 과정이 소형 항공기 EMS 설계, 제작에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것이라 본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ork is to calculate the fatigue life of engine mount strut(EMS). The EMS of small aircraft is supported the engine under the engine mounting load and NLG load. The primary design of the EMS under this condition is considered for fatigue life. In this study, fatigue life of EMS is estimated by stress-life method. The fatigue analysis of F.C.L. is used for S-N curve of AISI 4130. The stress enhancement factor is applied for sequence results because S-N data of near fusion welds in AISI 4130 is not secured. The results of fatigue analysis is showed the safety of EMS fatigue fracture, the process of EMS fatigue analysis may help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small aircraft.

      • Effects of the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aining on Energy Metabolism and Body Composition in Female

        ( Juseong Lee ),( Junghoon Kim ) 대한운동사협회 2022 대한운동사협회 운동사대회자료집 Vol.2022 No.-

        OBJECTIVE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has originally used to help people who are partially or completely immobile with rehabilitation. Recently, EMS was used as a training tool for athletes and healthy people to improve the muscular strength and function.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evaluated that EMS training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energy expenditure, body composition, and muscle function, it was still no certain whether it was the additional effects of EMS on non-athletic populations. Therefor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cute (energy expenditure and metabolism) and chronic (body composition and muscle function) effects of the EMS training in female adults. METHODS To identify the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EMS, we performed two experiments. In a first study, to verify the acute effects of EMS, ten young females (age: 23.0±3.6 years) recruited in the randomized cross-over trials (weight-bearing training without EMS vs weight-bearing training with EMS). Oxygen consumption and blood lactate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energy expenditure and metabolism during each type of training. In a second study, 23 adul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weight-bearing (WB-G; n=11) and EMS training group (EMS-G, n=12), and 21 participants (WB-G: n=10, 40.0±5.0 years; and EMS-G: n=11, 41.1±3.7 years) completed the 10 weeks intervention. A computer-tomography scan was used to evaluate visceral fat area of abdomen,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igh. The maximum muscle strength in a knee joint was evaluated by Biodex System 3. RESULTS The acute EMS training showed higher energy expenditure per exercise than weight-bearing training (WB-G: 72.1±10.3 kcal/session vs EMS-G: 87.0±17.0 kcal/session; p=0.018) and showed more lactate production (Lactate: 1.8±2.1 mmol/L vs 4.4±2.6 mmol/L; p=0.005). As a result of intervention in 10 weeks based on effects of energy expenditure and metabolism, visceral fat area of the abdomen significantly reduced in EMS group (Pre: 96.4±33.5 cm2, Post: 90.4±30.8 cm2; p=0.017) with significant the interaction of time and group (Time×Group: p=0.017). In addition, isokinetic peak torque at high angular speeds (90°/s, 180°/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MS train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EMS training contributes to higher energy expenditure and lactate production. In addition, these metabolic benefits of EMS may affect the reduction of the abdominal visceral fat area with long-term exercise. Consequent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may attribute to improved energy expenditure caused by EMS application during weight-bearing training.

      • EMS의 성숙단계별 유지전략 고찰

        강현수 공주영상정보대학 2001 논문집 Vol.8 No.-

        ISO 14001 인증 획득이 곧 조직의 영원한 그린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조직의 EMS를 통해서 환경과 사업의 성과개선을 지속적으로 진전시키고자 한다면 반드시 EMS의 유지·발전을 꾀해야만 한다. 그런데 이를 위한 첫 번째 조처는 다름아니라 EMS가 사업의 전면적 통합화로 진전되는 과정에서 접하게 되는 각 단계별 특성을 철저히 이해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를 통해서만이 EMS개발단계별 유지전략이 올바르게 수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직의 EMS가 계속 가치를 제공하고 변화되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서 EMS의 성숙화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조직의 EMS 성숙화 속도는 EMS의 진전계획을 얼마나 잘 세웠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EMS의 장기적 생존을 위한 계획수립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먼저 EMS가 일반적으로 3단계의 과정 즉, 시작·진전·성숙단계를 거치게 된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물론 이같은 EMS의 성숙화와 장기적인 가치 제공을 위해서는 자기만족의 불식과 관심 저하의 예방 그리고 지속적인 성장엔진 메커니즘의 구축이 요구된다. 앞에서 논의된 EMS의 유지를 위한 6가지 핵심 관리사항은 이러한 요구를 구체화한 내용인 바, 이는 종업원과 경영진 모두에게 조직을 위한 EMS의 이점이 과연 무엇인가를 깨닫게 해준다. 산업계 일각에서는 ISO 14001 EMS를, 지각된 가치는 거의 업으면서도 엄청난 자원과 서류의 낭비를 가져오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EMS를 노력 없이 저절로 유지된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아주 큰 오산이다. 요컨대 핵심 관리사항들을 가급적 시작 초기에 조직의 EMS에 구체화시키게 될 때만이 실행비용은 더 낮아지고 조직이 EMS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장단기 가치는 훨씬 더 커질 수 있는 그야말로 실질적 인증 획득효과를 맛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EMS 인증 획득만 가지고는 기업의 성공을 담보할 수가 없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가치 창조적인 EMS 구축, 그것을 통해서만이 보다 완벽한 성공을 보장받을 수가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EMS의 역할이 다시 한 번 제대로 자리매김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이 운위되는 것이다.

      • 환경·사업의 건전성 제고를 위한 EMS 실행방안 고찰

        강현수 공주영상정보대학 2000 논문집 Vol.7 No.-

        지금까지 ISO 14001 EMS를 인증 획득하는 과정에서 기업은 어떠한 준비와 태도를 보여야 할 젓인가에 대한 광범한 논의를 한 바 있다. 물론 최근 들어 ISO 14001 EMS에 대한 규제 준수와 인증획득에 관심을 갖는 기업의 수가 엄청난 증가추세에 있음을 보게 된다. 이들 기업의 대다수는 이미 그런 관심을 사실상의 규제준수와 인증획득으로 변환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기업들은 ISO 14001 표준으로부터 어떤 이점을 얻기에 이토록 관심을 갖는 것일까? 이 표준의 최종적인 효과에 대해서 단정하기에는 다소 이른 감이 없지 않지만 많은 기업들은 한마디로 인증획득 과정이 기존 운영에 가치를 증대시켜 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증을 받은 기업들이 보고한 초기의 효익들 중 그 일부를 열거하면 운영효율성의 증대, 마케팅상의 이점, 보다 조직적 체계적 규제준수, 규제에 대한 유연성 제고 그리고 지역사회의 인지도 등이 그것이다. 또한 주식가치의 증가와 같은 재무적 효익도 얻었으며 무역장벽의 일부 완화를 경험하기도 했다고 한다. 한편 어떠한 기업이든지 EMS의 중요도는 기업의 운영과 전반적인 생산성을 긍극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사람들에 의해서 결정될 수밖에 없다. 일단 EMS를 개발·실행하기로 한 결정을 내렸다면 특정 조직에다가 어느 정도 일반적인 ISO 14001 요건을 목적에 부합되게 짜 맞출 필요가 있다고 보여지는데, 여기에서는 효과적인 EMS를 실행하기 위해서 취할 필요성이 있는 조처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업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목표달성에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조직에 대한EMS의 실행에 있어 경영진의 전폭적인 지원을 얻은 다음 이를 바탕으로 그것을 확대시켜야 한다. ·조직을 위한 환경방침을 개발하고 이를 EMS 개발을 위한 중심점으로 삼아야 한다. ·구성원들의 노력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EMS의 주도그룹을 발굴해내야 한다. 현재의 경영시스템을 평가하게 될 유기적 다기능팀을 구성하고 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조직의 여러 측면들을 살펴보며 이들 영향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해결해줄 수 있는 조처를 체계화시켜야 된다. ·환경영향에 대한 메커니즘의 규명 해결을 위해 개발해 온 모든 절차와 조사결과를 문서화해야 한다. ·EMS를 실행하면서 계속해서 감시해야 한다. ·새로운 시스템과의 연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EMS를 검토해야 한다. ·시스템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계속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노력해서 얻은 업무의 성과와 효익을 향유해야 한다.

      • 성과중심의 EMS 구현방안 고찰

        강현수 공주영상정보대학 2002 논문집 Vol.9 No.-

        지금까지 조직의 핵심요인에 대한 이해, 성과기준 대비 당해 조직의 측정, EHS 결과에 대한 원인 규명 및 추이 파악, 갭 측정과 성과프로그램의 실행 등 4가지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갭 분석 수행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 같은 프로그램의 계획수립에 있어서 결정적인 도움을 주게 될 도구가 있는데 이는 다름 아닌 시스템적 접근방법(systems approach)인 것이다. 실행팀이 시스템적 접근방법 도구들을 활용하게 되면 조직의 EHS 성과 개선기회를 분명 찾아낼 수가 있다. 그런데 많은 조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계획수립보다는 오히려 직접 집행하는 쪽으로 기울어 있다. 앞서 논의된 성과중심의 EMS를 성공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적 접근방법의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게 되면 개선을 관리·감시하게 될 공식적인 실행계획을 조직으로 하여금 이끌어 낼 수 있게끔 함으로써 집행보다는 계획수립의 경향을 취할 수가 있다. 간단히 말해서 잘 짜여진 실행계획만 가지고 있다면 실행팀은 향후 발생하게 될 업무에 대하여 경영진으로부터 지원을 보장받아 성과중심의 EMS 실행 기회를 한층 높일 수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 성과중심의 EMS 점수는 개선의 원인 규명에 결정적으로 도움이 된다. 그리고 조직의 상세 갭 분석에 의해서 얻게 되는 산출물 내지는 생성물은 성과중심의 EMS 입안계획과 실행계획을 세우는 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물론 이같은 실행계획은 성과중심의 EMS 실행노력 전체의 방향 설정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ISO 14001과 여타 적합 중심의 EMS 프로그램의 경우 조직의 최대 관심사항은 모든 관련 요구사항에 집중하게 되며 또 최소의 표준 충족에 역점을 두게 된다. 그러나 성과중심의 EMS하에서는 개선희망 영역을 선정하고 난 후 조직별로 파악된 핵심 요인들을 중점적으로 다루면 된다. 이때 성과중심의 EMS하에서의 진척도는 물론 훈련을 받은 독립 심사원이 부여한 점수에 의해서 측정되게 된다. 결론적으로, 글로벌 경제의 치열한 조직 경쟁 하에서는 당연히 성과중심의 EMS에 대한 요구가 더욱 거세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EMS의 구현에는 갭 분석이라는 도구가 절대적으로 요구된다는 사실이다.

      • 전기근육자극요법을 통한 혈당조절효과

        최동식(Dong-Sik Choi)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2021 운동재활·복지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당 부하를 통한 전기자극강도 차이에 의한 혈당치의 변화와 운동요법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경산시 D대학에 재학 중이고 당뇨병이력이 없는 남녀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은 당 부하 후에 1) 30분간의 휴식, 2) 30분간 운동강도 40%HRR의 treadmill, 3) 30분간의 EMS 최대강도, 4) 30분간의 EMS 1/2강도에서 시행하였으며, 이후 2시간 동안 혈당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룹별 시점에 따른 혈당의 변화는 휴식, treadmill, EMS 최대강도, EMS 1/2강도의 시점에 따른 반복측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룹간 혈당 비교에서는 당 부하 후, 처치 종료 후 휴식과 treadmill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그룹간 혈당 비교에서는 그룹 간 당 부하 후, 처지 종료 후 treadmill군과 EMS 최대강도군, treadmill군과 EMS 1/2군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treadmill에서 혈당조절효과와 변화폭이 높게 나타났으나, 휴식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treadmill이 EMS보다 근 수축에 사용되어지는 근육량이 많고 골격근 수축에 의한 당소비량도 EMS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이 원인으로 파악된다. treadmill의 경우 근 수축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추측되어 혈당의 감소를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하여 EMS를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근수축이 일어나 근육의 수축 등에 의해 혈당이 조절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결과 treadmill을 통해 직접적 근육의 운동이 효과를 제일 크게 나타내지만, EMS 1/2 등의 전기자극을 통해 근수축 형태를 나타낼 때도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EMS를 통한 당 대사 촉진 효과에는 EMS의 강도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고찰되었으며 향후, EMS의 시행 부위, 강도의 비교나 장기적인 효과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by the difference in electrical stimulation intensity through glucose load and the comparison with exercise therapy was condu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obtaining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consent for the experiment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19 to 26 years old who are enrolled in D University without a history of diabetes. 75g of glucose was used for the glucose load test, and a portable blood glucose 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blood glucose leve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1) 30 minutes rest, 2) 30 minutes exercise intensity 40% HRR treadmill, 3) 30 minutes EMS maximum intensity, 4) 30 minutes EMS 1/2 intensity and blood glucose level over 2 hours change was measur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glucose level before glucose loading between each group. The change in blood glucose according to the time point of each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time point of rest, treadmill, EMS maximum intensity, and EMS 1/2 intensity. In the comparison of blood glucose levels by time point between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t and treadmill after glucose load and after treatment. In the comparison of blood glucose levels by time point between group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dmill group and the EMS maximum strength group, and the treadmill group and EMS 1/2 group after glucose load between groups and after the end of treatment In the case of treadmill, it was estimated that muscle contraction was used the most, and thus the decrease in blood sugar was the greatest. In this regard, even when EMS was applied, muscle contraction occurred and blood sugar was controlled by muscle contraction.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direct muscle exercise through a treadmill shows the greatest effect, but it is thought that it can also show an effect when showing a form of muscle contraction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such as EMS 1/2. From the results, it was considered that the strength of EMS also affects the effect of promoting sugar metabolism through EMS.

      • KCI등재

        EMS(Elactro Muscle Stimulation)를 활용한 저항성트레이닝이 근전도, 근관절기능,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재보,양스디,송제호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3주간 14회 걸친 EMS를 이용한 저항성 트레이닝 실시 후 근전도, 근관절기능,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단기간의 운동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육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 생 남자 5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EMS+중량운동 프로그램을 상완이두근과 상완삼두근, 복근, 대퇴이두근 부위로 진행 하였다. 체성분, 근관절기능, 근전도, 호르몬을 분석한 결과 체성분 변화 중 체중에서 남자 피험자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피험자의 경우 골격근량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속성 근력의 변화는 남성 피험자의 경우 좌측 상완이두근이 감소 이외에 대부분 소폭의 증가 추세를 나타냈지만 유의미하지 않았고, 여성피험 자는 팔꿈치관절의 등속성 근력에서 유의한 수준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테스토스토론과 성장호르몬의 경우는 남·여피 험자 모두에게서 증가한 양상을 보였으며, 코티졸의 경우에는 남·여피험자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전도 측정 결과, 남·여피험자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EMS를 활용하여 코어운동, 플라이오메트릭스 등의 다양한 저항성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운동 강도의 다양화와 다양한 신체부위의 운동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short-term motor effects by analyzing the effects on myocardial conduction, musculoskeletal function and hormones after conducting resistance training 14 times using EMS for 3 weeks. The EMS+ weight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five male and five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the areas of the upper and upper biceps, abs and thigh biceps. Analysis of body composition, musculature function, myocardial conduction, and hormones showed that male subjects increased significantly in weight during body composition changes, and for female subjects, skeletal muscle mass increased at a significant level. The change in isocyclic muscle strength showed a slight increase in most male subjects, in addition to a decrease in the left parietal forearm, but was not significant, while femal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isometric muscle strength of the elbow joint. Testosterone and growth hormone showed an increase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while cortisol showed a decrease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As a result of myocardial conduction measurement,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increased. In further research,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resistance training such as core exercise and plyometrics by utilizing EMS, and to study through diversification of motor strength and exercise of various body parts.

      • KCI등재

        EMS 처리에 관한 콩 근류착생 및 기타 형질의 돌연변이 출현 양상

        李弘䄷,具滋煥,李錫河,金奭東 韓國作物學會 1993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8 No.5

        황금콩과 백운콩에 30mM 및 50mM EMS를 각각 종자 1립 당 1ml 수준으로 실온에서 6시 간 처리하여 얻은 M1 종자를 파종한 다음, 포장출현율 및 M1 개체들의 형태적 특성의 분포 양상을 검토하고,M2 세대에서 근류착생 및 기타 돌연변이 출현 양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M1 종자의 포장출현율은 백운콩이 황금콩보다 비교적 높았으나 EMS 농도 처리간 차이는 없었으며, 엽록소 결핍 개체 발생율은 평균 0.7%였다. 2. 수확시 M1 개체들의 경장, 개체당 협수 및 립수는 무처리개체에 비하여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EMS 처리 농도간 분포차이는 크지 않았다. 3. M2 세대에서 엽록소 결핍 개체 출현율에 의하여 판별된 돌연변이 유기율은 평균 2.2%이었으며, 돌연변이가 유기된 M1 종자는 chimera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돌연변이 세포의 비율은 5.3~84.2%로 나타났다. 4. EMS 처리에 의하여 근류착생이 많은 MA48계통과 근류착생이 거의 안되는 MD69계통을 선발하였는데 MA48계통은 엽연소함량이 많았고 MD69 계통은 엽록소 결핍 현상을 나타내었다. The aims of the work were to examme the variability induced by EMS (ethyl methanesulfonate) mutagenesis of soybean plants, and to isolate mutants altered in nodulation and other growth characters. Seeds of two soybean cultivars, ‘Hwanggeumkong’ and ‘Baegunkong’ were treated with 30 and 50mM EMS(pH 7.0) for 6 hours and were planted directly in the field. Field emergency ofM1 seed was averaged to be 61.0%, and frequency of plants with chlorophyll-deficient sectors of the first trifoliolate is about 0.7%. Regardless of varieties and does of EMS, M1 plant injury at harvest was present in plant height, pod and seed number per plant when compared to those of original-type soybean plants. The M2 variability of nodulation process induced by EMS treatment was found to be narrower than that of shoot dry weight. On the basis of the occurrence of chlorophyll-deficient plants, mutated cell frequency within M1 seed ranged from 5.3% to 84.2%, suggesting that mutation frequency on the M1 seed induced by EMS occurred partly and randomly regardless of varieties and doses of EMS. The putative mutant, which had more nodulation than original-type plant, was short in plant height. Sparse-nodulating soybean mutant was lower in leaf chlorophyll content and showed reduced growth.

      • KCI등재

        전기근육자극(EMS)을 활용한 유형별 스트레칭이 태권도 선수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이명지(Lee, Myung-Ji),김종근(Kim, Jong-Geun),박민혁(Park, Min-Hyuk),김예영(Kim, Yae-Young) 한국체육과학회 202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stretching by type using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EMS) on the emotions of Taekwondo athletes through EEG. In this study, eight Taekwondo athletes from the D city unemployment team were selected as subjects. Three-static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EMS), dynamic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EMS+PNF), and basic stretching (Nor)-treatment were performed in random order, and EEG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each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lpha, beta, and theta waves by frequ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stretching using EMS, alpha waves were most active in treatment using only EMS stimulation. In addition, in all three treatments, alpha wave activity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Second, beta wave activity was observed in all three treatments after stretching using EMS. Third, theta wave activity was observed in all three treatments after stretching using EMS. Also, the most active theta wave activity was found in treatments that presented only EMS stimulation.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I think that stretching using EMS can improve the positive emotions of Taekwondo athlete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In the future, I would like to use stretching with EMS in another more exerc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