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현수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9
'스콜라' 이용 시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한 급속 나노구조 MgTiO3 화합물 합성 및 소결
강현수,도정만,윤진국,박방주,손인진 대한금속·재료학회 2012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50 No.12
Nanopowders of MgO and TiO2 were made by high energy ball milling. The rapid synthesis and sintering of the nanostructured MgTiO3 compound was investigated by the high-frequency induction heated sintering process. The advantage of this process is that it allows very quick densification to near theoretical density and inhibition grain growth. Nanocrystalline material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as advanced engineering materials with improved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s nanomaterials possess high strength, high hardness, excellent ductility and toughness, undoubtedly,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for the application of nanomaterials. A highly dense nanostructured MgTiO3 compound was produced with simultaneous application of 80 MPa pressure and induced current within 2 min. The sintering behavior, gain siz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gTiO3 compound were investigated.
강현수 한국공간환경학회 2003 공간과 사회 Vol.20 No.-
'스콜라' 이용 시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산전 진단된 선천성 수신증의 빈도 및 임상적 특성과 신우요관 이행부 협착의 경과
강현수,성준승,김선희,백희조,김영옥,김찬종,최영륜,황태주,Kang, Hyun Soo,Sung, June Seung,Kim, Sun Hui,Back, Hee Jo,Kim, Young Ok,Kim, Chan Jong,Choi, Young Youn,Hwang, Tai Ju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9 No.8
목 적 : 선천성 수신증은 산전 초음파검사로 발견되는 태아기형 중 가장 흔하며 초음파검사의 발달로 인해 발견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전 진단되는 선천성 수신증의 빈도 및 임상적 특징들을 알아보고 주요 원인인 신우요관 협착증의 생후 경과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1994년 1월부터 2003년 6월말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산부인과에서 출생한 총 환아 9,076명을 대상으로 산전 진단된 선천성 수신증의 빈도 및 생후 3일째 호전 빈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상기 기간 동안 소아과에서 산전 진단된 선천성 수신증으로 진료를 받았던 228명(284신단위)을 대상으로 수신증의 임상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들 중 신우 요관 이행부 폐색(222신단위)에 대하여서는 자연 회복군(121신단위)과 수술군(25신단위)에서 초기 수신증의 크기를 비교하였으며, 자연 회복군에서 시간에 따른 신우 크기의 자연 소실 빈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상기 9년 동안 출생했던 환아 총 9,076명중 231명의 환아(2.54%, 293신단위)가 선천성 수신증으로 산전 진단되었으며, 이들 중 생후 3일경 시행한 초음파 검사에서 수신증이 자연호전되었던 경우는 19신단위(6.5%)였다. 상기 기간 동안 소아과진료를 받았던 산전 진단된 선천성 수신증 환아 228명은 일측성 172명(75.4%, 좌측 119명 및 우측 53명), 양측성 56명(24.6%)으로 총 284신단위였으며, 남아(71.9%)가 여아(28.1%)에 비해 많았고, 그 원인으로는 신우요관 이행부 폐색이 222신단위(78.1%)로 가장 흔하였다. 신우요관 이행부 폐색의 경우 자연 회복군(121신단위)에서 초기 신우 전후 직경이 $7.8{\pm}6.28mm$으로 수술군(25신단위)의 $26.8{\pm}12.14mm$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으며, 자연 회복된 경우 1년 이내에 81%에서 자연 호전되었다. 결 론 : 선천성 수신증은 좌측신장이 우측에 비하여, 남아가 여아에 비하여 많았다. 원인으로는 신우요관 이행부 폐색이 가장 흔하며, 신우요관 이행부 폐색의 경우 생후 3일째 시행한 초음파검사상의 신우전후직경의 크기는 수신증의 예후를 알수 있는 주요한 예측인자가 되며 자연 회복의 경우 12개월 내 81%에서 자연 호전되는 것으로 보아 생후 1년 내에는 면밀한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Popular use of fetal ultrasonography has increased to detect congenital hydronephrosis(CH) which is the most common anomaly prenatally detected. We'd like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natally diagnosed CH and outcome of ureteropelvic junction stenosis(UPJS). Methods : The records of births between January 1994 and June 2003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CNUH), and the records of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CH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CNUH during the above period,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In the patients with UPJS, the initial anterior posterior diameters of renal pelvis(APD) were compared between the spontaneous regression (SR) and operation group(OP). In the SR group, sequential regression rates of APD were estimated. Results : Among a total 9,076 births, 231(2.54 percent) patients with 293 renal units were diagnosed as CH and 19(6.78 percent) renal units spontaneously regressed 3 days after birth. In 228 children(56 bilateral; 172 unilateral; total 284 renal units) diagnosed with CH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CNUH, male(71.9 percent) and left kidney(69.2 percent) predilection were found and 78.1 percent of CH were caused by UPJS. The initial APD of the SR group(121 units) in UPJS was $7.8{\pm}6.28mm$, which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APD($26.8{\pm}12.14mm$) of the OP group(25 unit)(P<0.05). In the SR group, 81 percent spontaneously regressed within one year. Conclusions : In CH, male and left kidney predilection were found. UPJS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CH and initial APD in UPJS at 3 days of age was a good prognostic indicator. Close monitoring should be done for at least one year because most SR in UPJS regressed spontaneously within one year.
강현수 한국공간환경학회 2009 공간과 사회 Vol.32 No.-
'스콜라' 이용 시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