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Priority of Documentary Films` Success Factor: AHP Analysis

        So-Yeon Im(임소연),Yun-Cheol Lee(이윤철)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2

        한국다큐멘터리영화가 2010년대 접어들면서 황금기를 맞고 있는 지금, 어느 때보다도 다큐멘터리영화의 성공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부응하여 처음으로 다큐멘터리영화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리트만(Litman)의 영화흥행요인 세 가지 카테고리인 창조적 영역, 배급유통의 영역, 마케팅 영역에 맞게, 한국다큐멘터리영화의 사례를 접목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통한 검증작업을 거쳐 다큐멘터리영화의 12개의 성공요인을 도출했다. 또한 AHP분석기법을 적용, 다큐멘터리영화의 성공요인의 중요도를 살펴보았는데,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창조적 영역의 영화자체가 가지는 완성도로 나타났고, 보편적 소재의 다큐멘터리는 배급, 마케팅의 요인을, 정치사회적 소재의 다큐멘터리는 전체적으로 정부의 지원과 인프라구축의 요인을 중요하게 평가했다. 온라인을 통한 참여관객의 현상을, 제작군은 높게, 배급,마케팅군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는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성공요인과 우선순위는 다큐멘터리영화 관련한 여러 분야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다큐멘터리 영화 실무자나 정책입안자, 그리고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A golden age for Korean documentary films has begun in the 2010s. At present, the success of documentary film is attracting interest than any time in history. To meet the timely deman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research on success factors of documentary films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adopted the three categories of Litman’s film success factors (creative domain, distribution domain, and marketing domain) and integrated to the cases of Korean documentary films to extract 12 success factors of documentary films through experts’ validation process. Moreover, this study applied AHP method and examin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success factors of documentary films. The result was as follows. The significant success factors mostly were found within creative domain. Documentaries that feature common themes rated the distribution/marketing factors highly whereas documentaries that cover socio-political themes rated highly the governments funding and infrastructure building. With regard to the online phenomenon of participating viewer, there was a gap in perception: the production field rated it high while the distribution/marketing field rated it relatively low. These success factors and priority will be used as baseline data in diverse fields related to documentary films, and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documentary film staff,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 KCI등재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

        김혜원(Kim, Hye-Wo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5 No.-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시대에 다큐멘터리의 스토리텔링 구조에 대한 연구다. 다큐멘터리 영화가 더욱 더 많은 관객들과의 소통을 시도하여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관객들의 관심을 유발시키는 적극적인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것이 이 연구의 출발점이다. 따라서 1억 원의 순제작비로 3백만 명 동원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사상 최고의 흥행기록을 세운 〈워낭소리〉의 스토리텔링 분석을 통해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의 방향성을 알아보았다.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해 다큐멘터리 영화의 기본적인 형식과 스토리텔링의 개념, 그리고 다큐멘터리 영역에서 스토리텔링이 지닌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난 후 〈워낭소리〉의 다큐멘터리 형식을 통해 본 현실과 진실 재현의 간극, 다큐멘터리 영화로서 드라마적 스토리텔링 적용의 적합성, 아리스토텔레스의 플롯구조를 통해 본 담화구조 및 드라마의 통일성과 스토리의 외적장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워낭소리〉는 다큐멘터리 형식을 빌어 감독이 관객들의 정서에 맞는 극영화 스타일의 스토리텔링으로 독립 다큐멘터리로서뿐 아니라 상업 극영화도 이루기 힘든 흥행기록을 세웠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다큐멘터리가 진실과 사실의 기록이라는 정체성을 전제로 하는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허구로 대변되는 극영화를 뛰어넘는 극적인 스토리텔링이 주된 흥행 원인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지금부터는 다큐멘터리 영화에 대한 논쟁의 핵심은 다큐멘터리가 묘사하고 있는 세계가 사실인가, 아닌가의 진위여부를 뛰어넘어 픽션과의 경계에 있다하더라도 현실 실재actuality를 근거로 한다는 전제 하에 다큐멘터리 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 개발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결론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storytelling structure of korean documentary films in this storytelling age.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growing number of viewers and popularize documentary films, active storytelling is needed which in turn could generate the interest of viewers. This study has been star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eeded change in storytelling strategies. It is about the direction in which storytelling strategies of Korean documentary films are going now. In the following an analysis will be done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 film ‘Old Partner’, which also is the highest grossing film among Korean documentary films with a 1 billion won budget. Firstly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fundamental form of documentary films and the concept and meaning of storytelling in the specific field of documentary films. Thereafter a gap between the realities and the truth reappearance, appropriateness of dramatic storytelling application as a documentary film, narrative structure and dramatic unity through ‘Poetics’ by Aristotle, and external device was analyze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Old Partner’ set the highest box office which is very hard to achieve. The reason for this success was that the documentary film was done in a narrative film form because the storytelling of narrative films matches with the Korean viewer’s emotions.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cause of reaching the highest box office was the dramatic storytelling style of a narrative applied to ‘Old Parter’ which is actually a documentary film. And the genre of documentary films is usually a neutral record of the reality and truth. In conclusion, the main focus of the discourse on documentary films should not be about neutral and realistic storytelling, which documentary films usually do, but it should be about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strategies even though they might border on fiction.

      • KCI등재

        다큐멘터리 영화 오프닝 타이틀시퀀스의 탈전형적 사례에 관한 고찰

        김정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1

        In the case of genre film,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 title sequence is easily presented due to the clarity of composition, mood, and narrative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non-fiction films such as documentaries can also obscure the direction of the title sequence, which is often understood and created as an extension of the documentary film while maintaining the formal weight of the documentary. This paper is presented for the empirical consideration of the 'expressive extensibility' of the documentary film title sequence. To this end, we examined how the original function and purpose of the film opening title sequence, which enables active conveyance of audiences, is working on documentary films. Through the analysis of documentary film title sequence cases that have escaped the typical form,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and directing the title sequence in the form of a post-document with flexibility while enhancing the interest and immersion of the audience. As a result, even a documentary film containing facts and reality can be used to express various expression elements and expression techniques that can be used in the title sequence. Through this, the implied meaning of the film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audience. Although it does not take the typical form of documentary,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quality as an opening title sequence more effectively when implicitly conveying the contents of the documentary film through change and transformation based on artistic creativity. I expect the creativ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director in the opening title sequence of documentary films. 장르영화의 경우 구성, 무드, 내러티브 전개 등의 명확함으로 인해 타이틀시퀀스 전개 방향은 수월하게 제시되며 이를 바탕으로 창작자의 예술성이 가미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 이에 반해 다큐멘터리와 같은 논픽션 영화는 타이틀시퀀스의 방향 설정 또한 모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큐멘터리의 형식적 무게감을 유지한 채 마치 본 다큐멘터리 영화의 연장선처럼 이해되고 창작되는 경우도 많다. 본고는 다큐멘터리 영화 타이틀시퀀스의‘표현적 확장성’에 대한 실증적 고찰을 위해 제시되었다. 이를 위해 수용자에 대한 적극적인 의미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영화 오프닝 타이틀시퀀스의 본연의 기능과 목적이 다큐멘터리 영화에는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통해 다큐멘터리 영화 오프닝 타이틀시퀀스의 전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형적 형태를 탈피한 다큐멘터리 영화 타이틀시퀀스 사례의 분석을 통해 수용자의 흥미도와 몰입감을 제고하며 동시에 유연성을 갖춘 탈(脫)다큐 형태의 타이틀시퀀스 제작 및 연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실과 실재를 담는 다큐멘터리 영화라고 할지라도 타이틀시퀀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표현요소와 표현기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화의 함축된 의미는 관객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다큐멘터리의 전형적 형식을 취하지는 않으나 예술적 창의성에 기반하여 변화와 변형을 통해 다큐멘터리의 영화의 내용을 함축하여 전달할 때 더욱 효과적인 오프닝 타이틀시퀀스로서의 양질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다큐멘터리 영화의 오프닝 타이틀시퀀스에서도 연출자의 창의적인 작품해석과 적용을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공간의 역사와 시간의 기억 : 오민욱의 구조주의 다큐멘터리 연구

        강소원 ( Kang So-won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8 아시아영화연구 Vol.11 No.1

        이 글은 2000년대 후반 한국독립다큐멘터리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실험적이고 미학적인 다큐멘터리의 예로 오민욱의 영화를 탐구한다. 오민욱 감독은 부산을 기반으로 도시 경관에 관한 다큐멘터리 작업을 꾸준히 해왔다. 그의 영화는 설득하고 논증하고 계몽하는 전통적인 다큐멘터리의 방식과 거리를 두고, 감각과 직관에 따른 이미지 중심의 영화를 지향한다. 이때 반복과 변주, 대조와 충돌, 지속시간과 종합적 리듬이라는 구조주의 영화의 형식은 오민욱의 다큐멘터리에서 주요한 미학적 도구가 된다. 느리고 긴 디졸브, 대비되는 이미지의 이중인화, 극단적인 롱테이크, 발췌한 필름의 창조적 편집, 필름 거꾸로 돌리기, 비동기화된 사운드와 이미지, 텍스트 자막과 일상적 소음의 변증법적 대비, 시공간이 불일치한 쇼트들의 연결 등 실험적인 기법들이 그의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흥미롭게 접합된다. 그리하여 도시 풍경의 과거와 현재를 탐색하는 오민욱의 구조주의 다큐멘터리에서 형식은 곧 내용이 된다. 이 글은 오민욱의 영화가 공간 속에서 시간을 읽어내고 그 공간의 역사성을 추적해가는 과정을 탐구한다. 2008년 한미 FTA 반대 촛불 시위와 1987년 6.10 항쟁의 순간을 겹쳐 놓은 그의 첫 번째 영화 <1987061020080610>(2008)부터 길 위의 일상적 풍경 속에서 거창양민 학살사건을 기억해내는 <적막의 경관>(2015)까지 공간과 시간, 역사와 기억에 대한 관심은 그의 필모그래피에 일관되게 나타난다. 이 글은 그중에서도 도시 공간의 생성과 소멸의 풍경을 포착한 <상>(2012), <재>(2013), <범전>(2015)을 주요하게 분석한다. <상>에서는 부산근대박물관이, <재>에서는 부산 황령산 기슭에 위치한 구상반려암군이, <범전>에선 부산미군부대가 주요 공간으로 등장한다. 이 공간들은 멀게는 중생대 백악기부터 가깝게는 일제 강점기와 전쟁, 군부독재기까지 긴 시간의 기억을 품은 상징적인 장소이다. 각각의 공간이 사라지거나 용도 변경되는 과정에서 오민욱이 주목한 것은 폐허의 이미지다. 그 점에서 ‘폐허 3부작’이라고 부를 만한 이 영화들은 특정 공간의 철거와 재개발 문제를 우리 사회의 긴급한 이슈로서 주목해주길 요청하는 대신 어디에나 편재한 도시 문명의 운명에 대해 사유해보자는 제안을 담고 있다. 이 글은 이미지와 말, 텍스트와 사운드라는 영화적 질료를 통해 한 공간의 현재와 과거가 재구성되는 방식을 탐구하고, 오민욱의 영화 안에서 그것이 변화하는 지점들을 살펴본다. In this paper, Oh Min Wook’s film will be reviewed as an example of new rising experimental and aesthetic documentary in the field of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in late 2000. Oh Min Wook has been making the documentary films on city landscape based on Busan. His films support the films that are focused on the images which follow senses and intuitions, while refused to the way of traditional documentary films that are persuasive, demonstrative and enlightening. In his film, the forms of the structualist film which are repetition and variation, contrast and collision and duration and overall rhythm becomes the prime aesthetic tool. The experimental techniques are connected interestingly as a form of his documentary such as slow and long dissolve, superimposition of contrasted images, drastic long take, creative editing of film footage, the film in reverse playing, nonsynchronization of sound and images, dialectical contrast of text and noise, and connection of discordant time and space. Thus, the form that explores the past and present of the city scenery becomes the contents in Oh Min Wook’s structualist documentary film. This paper will be explored the process in which Oh’s film reads time in space and tracks the historicity of the space. His interests in space and time, history and memory are shown constantly in his filmography from his first film <1987061020080610>(2008) that overlapped two protests, Korea-America FTA and June 10 uprising, to < A Landscape between Past and Future >(2015) which reminded slaughter of the innocent people in Geochang from daily life on the street. Among those films, < Phase >(2012), < Ash : Re >(2013), < A Roar of the Prairie >(2015) which were captured the scenery of the creation and disappearance of city space will be mainly analyzed. In < Phase >, Busan Modern History Museum is the main space and in < Ash : Re >, group of Round Gabbro located in the foot of a mountain Hwangnyeongsan, in < A Roar of the Prairie >, Camp Hialeah is the main space respectively. These space are the symbolic places that have historical memories as far back from the Cretaceous period of the Mesozoic Era to Japanese colonial era and war, and military dictatorship more recently. It was the image of ruin that Oh Min Wook paid attention to in the process of removal and redevelopment of each space. In this aspect, these films can be called a film in three parts of ruin and they suggest thinking deeply of the fate of the city civilization progressing widely instead of making social issues to the public about the problem of the removal and redevelopment of certain space. In this study, it will be studied the way in the past and present of the space is reorganized through cinematic material such as images, words, texts and sound. Furthermore, it will be reviewed how that sort of the cinematic style has been changed in his movie.

      • KCI등재

        한국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현황과 문화선교적 역할 연구

        강진구 ( Kang Jin Goo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9 No.-

        A new era of Christian documentary films has begun in South Korea. As many as 24 Christian documentary films were released in theaters between 2009 and 2017. Among them, there are 15 films directly related to missionary work. All of these films show the missionaries as the main characters. The reason for the revival of such films seems to have played a huge role in the popularity of documentaries such as < Old Partner(워낭소리) >(2008) and < Dont cry for me sudan(울지마 톤즈) >(2010). In addition, modern people of material civilization saw the purity and passion of the missionaries devoted to poor people in the faraway lands. There are three types of missionary documentaries. The first is a missionary film centered on missionary work in the field of missionary work, and is devoted to the dedication and distress of missionaries, who live in poverty or sometimes even primitive landscapes. The second is mission history documentary film, which reflects Christians beliefs and helps them learn about God`s call for missionary work. Third, there is a missionary documentary film about internal conflicts that occur inside the family until becoming a missionary. This shows that the missionary documentary film is developing in various ways. But most of all,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can act as a missionary to the people who watched the films and promote missionary work. And it can help restore the credibility of the Church towards a world of disbelief. Because the realistic and touching film has the power to move the mind. Therefore, the church needs to actively encourage Christians to watch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and assist in producing the films. Korean church needs to know that digital generations communicate via video. If the missionary documentary film becomes a popular genre, it will also have a good influence on the Korean cinema as well as the Korean church. The paper analyzes the production and release of Korean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that began in earnest in the 21st century. It will help to understand how the Korean church communicates with New Generation and performing culture missionary work.

      • KCI등재

        2016년 하반기 정국, 다큐멘터리 영화와 민주주의 -<자백>, <무현, 두 도시 이야기>를 중심으로-

        정민아 ( Jeong Min Ah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2

        예술은 언제나 우리 사회의 공통감각을 기록해왔다. 그렇다면 동시대 한국다큐멘터리 영화는 사회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을까? 민주주의가 훼손되고, 2016년 4월 총선 이후 더욱더 민주주의에 목말라 하던 시민들은 불통으로 일관해온 박근혜 정부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었다. 방송장악은 더 노골화되어 공중파, 종편, 케이블까지 방송에 대한 기대감을 접은 시민들은 팟캐스트 등의 SNS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대안 언론에 관심을 돌렸고, 또한 공정방송의 빈자리를 다큐멘터리 영화가 채워 주리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2016년 영화계의 화두는 `시대성`이 중심이 되었다. <동주>, <밀정>, <덕혜옹주>, <귀향>처럼 일제강점기에 일본제국주의에 항거한 독립군과 일본군 `위안부`를 다루는 영화가 성공하였다. 또한 2015년부터 이어진 사회비판적 영화 경향을 계승한 <부산행>, <터널>, <마스터>, <판도라>, <아수라>, <내부자들>과 같은 주류영화들이 주목을 받았다. 그리고 두 가지 다른 성격의 다큐멘터리가 크게 성공했다. 방송국 PD 출신에서 다큐멘터리 영화에 도전한 최승호 감독의 <자백>과, 극영화 경력에서 다큐멘터리로 선회한 전인환 감독의 <무현, 두 도시 이야기>이다. <자백>은 정치 추리 다큐멘터리이고, <무현, 두 도시 이야기>는 현장 기록성이 강한 인물 다큐멘터리이다. 제작 유형은 다르지만 이 두 작품을 관통하는 키워드가 있다. 그것은 `시대성`과 `비판성`이다. 이는 2016년 하반기 탄핵 정국을 예고하는 징후적인 작품인 동시에, 촛불 정국에 더욱 주목받은,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들이다. 본고는 두 작품이 2016년 탄핵 정국에서 가지는 의미를 `민주주의와 다큐멘터리 영화`의 관계에 주목하여 분석한다. Art has always recorded the common sense of our society. So how does contemporary Korean documentary film react to the society? The democracy was damaged and the citizen who was thirsty for democracy after the general election in April felt tiredness by Park Geunhye. Broadcast control became more and more explicit. Citizens collapsed the expectation of broadcasting from public channels to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and cables channels. They were interested in SNS such as podcasts and other media based on the internet, and were expecting to fill in the space of the fair broadcasts with documentary films. As a result, the theme of the film industry in 2016 was `contemporaneity`. Like Dongju, The Age of Shadows, The Last Princess and Spirit`s Homecoming, the movies dealt with the independence army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nd wartime sexual slavery by Japan have shown great success in mainstream film market. In addition, blockbuster films such as Train to Busan, Tunnel, Master, Pandora, Asura: The City of Madness, and Insiders, which inherited the social criticism tendencies that followed since 2015, attracted attention. Also, two documentaries of different characteristic have been successful in 2016. They are Confession of director Choi Seung-ho who challenged documentary film from broadcasting station PD, and Moohyun, a Story of Two Cities of director Jeong, In-hwan. Confession is an political chasing documentary, and Moohyun, a Story of Two Cities is a human documentary on the field.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production, but there are keywords that go through these two documentaries. They are `contemporaneity` and `political criticism.` These docs are symptomatic works that predict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in the second half of 2016. Also, they are works that attracted more attention to the candlelight vigil and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era. I analyze the meaning of the two docs in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in 2016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documentary film`.

      • KCI등재

        시사다큐멘터리의 다큐영화 장르전환에 따른 재현 차이에 관한 연구: 영화 <삽질>을 중심으로

        이규정 ( Lee Gyu Jeong ) 한국사진학회 2020 AURA Vol.0 No.45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various meanings of how the Representation is changed and what elements are appealing to the public as the TV current-affairs documentary is converted into a movie.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Representation of the documentary film <Sabgil>, in which the four major river-related programs produced as "Documentary" on TV were converted into "Documentary Movies". And despite the evaluation of a high-quality documentary film, the reason why the audience was turned away was confirmed through various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the TV current-affairs documentary <The Four Rivers, The Secret of 6-meter Depth> and the film <Sabgil> showed similarities in many ways. For example, in the narration expression method, it was found that both works used a lot of interviews and data screens of the person concerned to emphasize objectivity and reality. It is also very similar that the argument structure was adopted to prove the content of speech.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deo expression method due to past data and interviews with related person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factors of the documentary film <Sabgil> according to genre conversion, it showed a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the similar cases were repeated in the story structure of the film, or the boredom in a format where the interview of the persons concerned lasted for a long time. Even in the video Representation, cinematic elements were not added, and by using more data screens than TV documentaries, it was hardly provided for the audience to see. Consequentially, the lack of cinematic success factors led to the film's failure. This film, however, succeeded in delivering the true message of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while guaranteeing realism and objectivity.

      • KCI등재

        다큐멘터리를 통해 본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의 영화 세계: <병원>, <다른 연령대의 7명의 여자들>, <중앙역>을 중심으로

        김희정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2 동유럽발칸연구 Vol.46 No.2

        Polish film director Krzysztof Kieślowski has directed twenty-one documentaries. His films, which have consistently offered insights into “human” and ontological concerns, began with documentaries. Kieślowski employed his unique ethical sensibility in his move from pure documentary to feature film, and even in his feature films portrays an essential, poignant and detailed portrait of what it means to be “human”. In his early works, Kieślowski explored aspects of ordinary people's lives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political situation in Poland. In his feature films, he paints a portrait of an essential “human” with whom people can universally sympathize; these are not just stories of Polish people, but of Europe. In this study, the director’s film world is analyzed focusing on three of Kieślowski’s documentary films: Hospital (Szpital), Seven Women of Different Ages (Siedem kobiet w różnym wieku), and Central Station (Dworzec). In particular, by examining the techniques of Kieślowski’s three later documentary fil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jectory of his film world just prior to his shift into feature film. Hospital follows orthopedic surgeons for thirty-two hours through their point-of-view, revealing how they retained their humanity even in the harshest conditions. In Seven Women of Different Ages, the lives of seven ballerinas of different ages are sequentially shown during the course of one week. In Central Station, a surveillance camera, the story of the man behind it, and the ordinary people he watches are captured with the director’s unique, sharp perspective. This study also looks into why Kieślowski felt the need to shift from the documentary genre to feature films, concluding that the director’s will to portray what it means to be “human” could be more freely represented in feature films over documentaries. 폴란드 영화감독 크쉬슈토프 키에슬로프스키(Krzysztof Kieślowski)는 총 21편의 다큐멘터리를 연출했다. ‘인간’에 대한 통찰과 존재론적 고민을 꾸준히 스크린에 담아온 그의 영화이력은 다큐멘터리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키에슬로프스키가 만든 세 편의 다큐멘터리 영화 <병원(Szpital)>, <다른 연령대의 7명의 여자들(Siedem kobiet w różnym wieku)>, <중앙역(Dworzec)>을 중심으로 감독의 영화 세계를 분석해보았다. 특히 이 세 편의 작품들을 통해 후기 다큐멘터리 영화들에 나타났던 극영화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극영화로 전향하기 직전, 키에슬로프스키의 영화 세계가 어떤 지향점을 나타내고 있었는지 규명하고자 했다. <병원>에서는 정형외과 의사들을 32시간 동안 따라다니며 열악한 상황에서도 인간다움을 잃지 않는 의사들의 하루를 그들의 시점에서 들여다보았다. <다른 연령대의 7명의 여자들>에서는 일주일이라는 시간 속에서 7명의 각기 다른 연령대의 발레리나들의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중앙역>에서는 감시카메라와 그 뒤에 있는 한 남자의 이야기, 그리고 그가 지켜보는 보통 사람들의 모습을 감독 특유의 날카로운 관찰력으로 포착하고 있다.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이 다큐멘터리라는 장르에서 극영화로 옮겨갈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도 짚어보았는데, 다큐멘터리로는 미처 묘사할 수 없었던 ‘인간’의 모습을 극영화라는 플랫폼에서 보다 자유롭게 담아내고자 했던 감독의 의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두 개의 문〉에 드러난 “현실의 창조적 재구성"

        이승민(Lee, Seung Min) 한국영화학회 2013 영화연구 Vol.0 No.58

        This article will deal with the changes that are brought about in Korean documentary films by the recent trend in Two Doors. This documentary film deviates away from the traditional documentary filming, which puts strong emphasis on realistic representations, but coincidentally, this new trend indicates that the boundary of documentary filming is expanding. First, the presence of a director, who used to only exist outside the screen, breaks the boundary between a finished film and the actual process of production. Consequently, the narration of the subject and the narration of the director are both transcribed into the documentary. The point of note here is that documentary film making should no longer be understood as just capturing the subject but one should also keep in mind the intention and the vantage point of the director. Second, the appearance of the director in the film allows the director and the subject of the documentary to be on equal terms and hence it opens new possibilities in directing through interactions and interventions. Furthermore, director’s presence in the film not only creates a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but as oneself, director could try to influence the viewers of the documentary directly. Documentaries are no longer about directors telling a story by only capturing a subject but instead now directors try to convey and communicate with the viewers by capturing the subject with intentions and opinions of the director heavily incorporated into the film. This can be seen even in the timeline of the documentary. By deliberately synchronizing the real time of the viewers with that of the director himself, the documentary is viewed as events in the past that ends closer to the present time. The appearance of a director within a documentary film is more than just a new form of storytelling or a filming technique; in fact it can be viewed as pushing the boundaries of documentary filming by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 subject and the viewers in a completely new way.

      • KCI등재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역사적 기원 연구

        전우형 ( Chon Woo-h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이 논문은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역사적 기원을 점검하고 그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씌었다. 그간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는 주로 영화가 아닌 영상운동의 일환으로 다루어져 왔다. 이런 관점은 최근 제작된 <위로공단>(2015)이나 <그림자들의섬>(2016) 등 분명 영화를 지향하는 노동 다큐멘터리 등을 연속선상에서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 논문은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출발이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국사회가 맞닥뜨린 반민주적 현실이라는 재현 불가능한 현실을 재현함으로써 독립영화가 더 나은 세계를 기획하려는 새로운 시작과 맞물려 있음을 논구하고자 한다. 장산곶매의 극영화 <파업전야>(1990)와 노동자뉴스제작단의 뉴스릴(news reel) <노동자뉴스>(1989)가 거의 동시에 노동자 재현에 나섰으나 연일 계속되는 노동자투쟁, 그리고 정부의 탄압과 시민사회의 외면이라는 문제상황을 돌파하는 데 성공한 것은 <노동자뉴스> 쪽이었다. 16mm 비디오카메라와 VHS(video home system)를 거점으로 하는 <노동자뉴스>는 뉴스라는 형식 안에 극영화와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허물고 궁극적으로는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마련한 기원이었다. 덕분에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는 극영화의 미학과 뉴스릴의 사실주의 너머 항쟁의 현장을 기록하거나 특별한 기억으로 호명하는 대중적이고 미학적 정치 문화로 증식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identity of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The origin of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was engaged with the restart of Korean independent film`s establishing better life and world by representing im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which Korean society had been faced since the democratization revolution in 1987. The fiction film The Night before Strike(1990) and the news reel The Labor News(1989) represented labors almos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Labor News seems to achieve the task of representing continuous labor strike, government`s oppression. The 16mm video camera and Video Home System which The Labor News Production had exploited as media are proper for this. The Labor News exploited the language of the fiction film and news reel documentary as well, and established the new prospect of the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henceforth in Korea. By The Labor News`s favor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could be multiplied as popular and aesthetic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