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R과 원주의 가격차 결정요인 연구

        정영우 ( Young Woo Jeong ),정현철 ( Hyun Chul Chung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3 國際經營硏究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론상으로 환율을 고려하고 나면 동일하여야 하는 DR과 원주의 균형가격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가격괴리현상에 대하여 어떠한 요인이 이러한 괴리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지를 찾아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점진적인 자본시장 자유화 진행에 따라서 원주와 DR과의 가격괴리 현상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먼저 DR과 원주 가격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며, 특히 DR가격이 환율을 고려한 내재가격에 비하여 할증되어 거래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가격괴리현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R과 원주의 가격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원·달러 환율의 변화가 DR할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KOSPI지수 수익률과 MSCI지수 수익률은 DR할증에 각각 음(-)과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가 DR할증에 미치는 영향력은 ADR과 GDR에서 각각 음(-)과 양(+)으로 서로 상반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ADR과 GDR을 모두 합한 분석에서는 그 효과가 서로 상쇄되어기업규모가 DR할증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배당의 경우는 DR할증에 양(+)의 영향을, DR의 변동성은 DR 할증에 음(-)의 영향을 그리고 ADR시장에 국한해서는 거래량이 많을수록 DR할증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보비대칭에 기인한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활용된 외국인보 유지분율만이 유일하게 통계상 비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일 재화에 대한 두 자산 DR과 원주의 가격이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그러한 이유로 시장별투자자심리와 거래장소에 따른 차이, 유동성과 거래비용 등에 따른 차이, 서로 상이한 위험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정보비대칭에 기인한 가격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그 차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 to see whether the DR price equals to original stock price after adjusting for foreign exchange rate. And then we search for the factors which can explain the price differentials between them. Finally, we study any changes in price differentials between them as the financial market liberalization proceeds gradually.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price differential between DR and original stock. Especially DR prices have premium compared to the implied FX adjusted price. In addition to that, this price differential is time-varying. The determinants of price differential between DR and original stock price are: (1) Won-dollar exchange rat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R premium, (2) KOSPI and MSCI world index have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respectively. Firm size has a negative an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ADR and GDR premium, respectively. No firm size effect, however, shows with the dataset including both ADR and GDR. Dividends has a positive effect on DR premium, DR volatility has a negative effect and trade volume in ADRs has a negative effect. Foreign ownership used as a proxy for information asymmetry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 the price differential between DR and original stock. And these price differentials are caused by each market investors` sentiment, different exchange venue, differences in liquidity and trade expense, different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risks, and information asymmetry. Also, these price differentials are time-varying.

      • KCI등재

        DR과 피크저감을 고려한 ESS의 운용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원종흥(Jong-Heung Won),유현상(Hyun-Sang You),최성문(Sung-Moon Choi),김지명(Ji-Myung Kim),노대석(Dae-Seok R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8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원의 계통연계 안정화 및 피크저감용으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설치가 매년 급증하고 있다. 여기서, ESS의 투자비용은 고가임으로 투자비 회수에 대한 사전 계획단계에서 편익과 비용 요소들에 대한 적정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고, ESS의 설치 및 운용에 따른 수익성은 제도나 정책에 크게 의존되므로, 경제성에 대한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SS의 수익창출의 극대화를 위해, 기존의 피크저감과 더불어 DR(demand response) 참여를 고려하고, 이에 따른 운용 전략을 제시한다. 또한, 많은 일반 수용가에서 운용 중에 있는 피크저감용 ESS를 대상으로 피크저감 및 DR을 고려한 ESS의 운용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용요소와 편익요소로 구성된 경제성 평가 모델링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비용요소는 ESS 건설비용과 운용비용을 고려하고, 편익요소는 기본요금 절감, 전력량요금 절감, 특례 요금제에 의한 기본요금 할인, 전력산업기반기금 및 부가가치세 절감, DR참여에 의한 수익을 바탕으로 산정한다. 상기의 알고리즘과 모델링을 바탕으로 DR을 고려한 피크저감용 ESS의 경제성을 평가한 결과, 피크저감 및 DR을 각각 80%, 100% 수행한 경우 ROI가 17.7년으로 산정되고, 피크저감 및 DR을 각각 100%, 80% 수행한 경우 ROI는 7.3년으로 산정되며, 피크저감과 DR을 동시에 100% 수행하면 ROI는 7년으로 산정되어, 피크저감용 ESS를 DR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서 어느 정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ecently, the installation of energy storage system(ESS) for stable grid-connec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for peak shaving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worldwide. Where, proper economical evaluation of cost and benefit factors is required in the pre-planning stage due to the high investment cost of ESS and the variation of profitability according to the policies.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profit of ESS for peak shaving, this paper proposes operation strategy and algorithm by considering demand response(DR), and performs modeling of economical evaluation for peak shaving ESS in customers, which is composed of cost and benefit factors. Where, the cost factors consist of construction and operation cost, and also the benefit factors are calculated by benefit of basic electric price reduction, kwh price reduction, electrical industry foundation fund reduction and DR operation. From the simulation results based on the proposed algorithm and modeling, the ROI is calculated as 17.7 years when peak shaving and DR are performed by 80% and 100%, respectively, and the ROI is 7.3 years when peak shaving and DR are performed by 100% and 80%, respectively, and the ROI is calculated as 7 years when performing 100% of peak shaving and DR at the same time. Consequently, it is confirmed that additional profit is secured by utilizing ESS for peak shaving in DR.

      • KCI등재

        DR발행을 통한 해외상장과 주가수익률과의 관계

        정현철 ( Hyun Chul Chung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2 國際經營硏究 Vol.23 No.4

        지금까지 DR발행 공시효과에 대한 국내연구가 일부 있었으나, 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다루는 연구범위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DR발행 공시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DR발행을 공시한 전체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자본시장이 완전개방되는 계기가 되는 IMF금융위기 전후를 비교하고, 동일 기업이 복수로 DR을 발행하는 경우 최초발행과 차후의 발행을 비교하고, 자금조달과 함께 DR이 발행되는 경우와 단순히 유통만을 위한 DR발행과의 차이를 살펴보고, 해외상장이 이루어지는 시장별로 DR발행 공시에 대한 주가반응은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자본시장통합시점과 상관이 없이 DR발행공시 시점에 주가가 하락하였다. 최초발행여부에 따른 DR발행효과를 보면, 최초발행을 공시한 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가 전체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보다 주가수익률이 30bp~115bp 더 하락한, 5일 평균 2.35%p~3.2%p의 주가수익률 하락을 보이는 반면, 재차 DR발행을 실시 한 기업의 경우는 아무런 공시효과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자금조달여부와 발행시장에 따른 DR발행 공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낮으나, 유상증자의 부정적효과가 해외상장의 긍정적효과를 능가하는 것으로 그리고 발행시장별로 주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have been a few researches on the announcement impact of DR issuance of Korean firms in foreign markets. These researches have dealt with very limited aspects due to the lack of relevant information. This study attempt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f course this still exists, and to deal with various aspects of the DR issuance announcement impact on domestic firm value. Starting investigation with the whole DR issuing firms, we extend our research to compare any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1997 financial disturbance in Korea, between the initial issuance and the subsequent issuance when a firm issues DRs more than once, between with and without capital raising with DR issuance and across the DR issuing markets. We found that stock price decreased around DR issuance announcement regardless of capital market integration, in other words no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1997 financial disturbance in Korea. The initial DR issuance firms showed average decline of stock prices of 2.35%p~3.2%p for 5 days which is 30bp~115bp lower than that of whole DR issuances firms, while there were no DR issuance impacts with firms` subsequent DR issuances. The negative effect from new stock issuance seems to surpass the positive effect from cross-listing when we compare the impacts of DR issuance between with and without capital raising with DR issuance. The impact of DR issuance announcement varies across the DR issuing markets.

      • SCOPUSKCI등재

        B형 간염 표면항원이 양성인 사구체신염 환자에서 HLA-DR 유전자의 분포 양상

        송은영 ( Eun Young Song ),박명희 ( Myoung Hee Park ),안규리 ( Cu Rie Ahn ),오국환 ( Kook Kwan Ho ),양재석 ( Jae Seok Yang ),강수진 ( Su Jin Kang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1

        배경 : B형 간염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 HBV) 연관성 사구체신염 (HBV-associated glomerulonephritis, HBGN)은 아시아에서 비교적 발생빈도가 높으며 한국인에서 이차성 사구체신염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HLA와 여러 종류의 사구체신염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된 바 있으마 HLA와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한국인에서 HBGN과 HLA-DR 유전자와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50명의 한국인 HBGN 환자와 100명의 HBsAg 음성인 건강한 대조군, 글고 89명의 HBsAg 양성대조군 (만성 B형 간염 대조군으로 HBsAg가 6개월 이상 지속)을 대상으로 하였다. HLA-DR 검사는 reverse-SSO (sequence specific oligonucleotide) 키트 (Amplicor DRB test, Toche Diagnostic System, Branchburg, NJ, USA)를 이용하여 검사하였고, HLA-DR2 양성인 검체에 대하여 HLA-DRBI 대립유전자 형별검사를 PCR-SSCP를 이용하여 추가로 실시하였다. 결과 : HBGN 환자에서 HLA-DR2가 HBsAg 음성대조군에 비해 매우 유의한 증가를 보엿으며 (p=0.0002, corrected p=0.002, OR=4.0) HBsAg 양성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005, corrected p=0.006, OR=3.7). 또한, HBGN의 조직학적 아형과 서로 다른 HLA-DR2 아형이 연관되어 있어, DRBI*1502는 B형 간염 연관성 막증식성 사구체신염(HBV-associated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HBV-MPGN)에서 HBsAg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HBV-associated membranous nephropathy, HBV-MV)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5, OR=3.8). 이러한 증가는 HBsAg 양성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하였다 (각각 HBV-MPGN, p=0.002; HBV-MN, p=0.04) HBsAg 양성대조군에서 HBsAg 음성대조군에 비해 DR13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1, OR=0.3) DR11은 유의하게 증가하여 (p=0.01, OR=4.6), 이들 HLA 형별은 각각 만성 B형 간염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저항성 및 감수성에 약한 연관성을 보이는 인자로 생각되었으며 HBGN 발병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 한국인에서 HLA-DR2 또는 이와 연관된 유전적 인자와 B형 감염바이러스 연관성 사구체신염의 질환감수성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었고 HLA-DR2의 아형에 따라 B형 간염바이러스 연관성 사구체신염의 서로 다른 조직학적 아형 (MPGN, MN)의 발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 Hepatitis B virus (HBV)-associated glomerulonephritis (HBGN) occurs with high prevalence in Asia, and accounts for over 30% of secondary glomerulonephritis in Korea.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HLA and HBGN has been hardly reported upon in the literature. Methods : A total of 50 Korean patients with HBGN, 100 HBsAg (-) healthy controls and 89 HBsAg (+) controls (subjec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HBsAg positive at least for 6 months) were included. HLA-DR typing was done using a reverse sequence specific oligonucleotide typing kit and HLA-DRB1 genotyping was done for-HLA-DR2 positive samples by PCR-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method. Results : In the HBGN patients, HLA-DR2 positive samples by PCR-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method. Results : In the HBGN patients, HLA-DR2 was highly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HBsAg (-) controls (p=0.0002, corrected p=0.002, OR=4.0) and also compared with HBsAg (+) controls (p=0.0005, corrected p=0.006, OR=3.7). Different HLA-DR2 allele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different pathologic subtypes of HBGN : DRBI*1502 was associated with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thritis (MPGN) (p=0.0003, corrected p=0.004, OR=14.5), and DRBI*1501 with membranous nephropathy (MN) (p=0.05, OR=3.8). These associations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compared with HBsAg (+) controls (HBV-MPGN, p=0.002; HBV-MN, p=0.04). DR13 was found to have some protective effect in HBV infection (p=0.01, OR=0.3) and DR11 was found to be weakly associated with HBV infection (p=0.01, OR=4.6), however these HLA alleles were not associated with disease susceptibility to HBG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LA-DR2 or a closely associated genetic factor is associated with disease susceptibility to HBGN, and different HLA-DR2 subtypes are associated with different pathologic subtypes of HBGN in Koreans.

      • KCI등재

        조용기 박사와 몰트만 박사의 구원의 서정 (Ordo Salutis)에 관한 구속론적 대화: 『오중복음과 삼중축복』과 『생명의 영』을 중심으로

        오성욱 ( Sung Wook Oh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7

        조용기 박사와 몰트만 박사는 서로 다른 신앙적 전통과 맥락 가운데, 각각 자신들의 고유한 목회와 신학을 전개하고 있는 목회자와 신학자의 대명사이다. 그런데 그들은 서로 다른 신앙적 입장과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매우 유사한 신앙의 여정(Ordo Salutis)을 제출하고 있다. 특히, 조용기 박사의 『오중복음과 삼중축복』과 몰트만 박사의 『생명의 영』을 비교 분석해 보면, 양자는 ‘차이’보다는 ‘유사함’을 드러내준다. 이유는 이들의 방법론에 있다. 조용기 박사는 오순절적 성령론에 기초한 오중복음과 삼중축복을 신학적으로 전망한다면, 몰트만 박사는 삼위일체론적 성령론으로 자신의 신학을 펼쳐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양자는 매우 유사한 신앙의 서정(Ordo Salutis)을 제출하고 있다. 조용기 박사와 몰트만 박사의 신학을 비교함으로써 기대되는 효과는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조용기 박사와 여의도 순복음 교회는 성령의 직접적인 역사와 증거와 표적이 경험적으로 상당 부분 축적되어 있다. 반면, 몰트만 박사는 그의 예리한 신학적 지성으로 성령론 연구에 관한 이론적인 방법론을 그의 저서 『생명의 영』에서 분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그러므로 조용기 박사가 오중복음을 보다 정교하게 신학화하고 이론화하기 위해, 몰트만 박사의 성령론적 방법론을 선용하는 것이 유익이 된다면, 몰트만 박사는 조용기 박사의 신학과 목회 속에 축적되어 있는 성령의 경험적 증거들을 자신의 이론에 적용할 때, 양자 모두는 보다 풍성한 성령론적 신학을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r. Yonggi Cho and Dr. Jurgen Moltmann are highly honored pastortheologians with entirely different cultural and theological backgrounds. This study examines a few of their works to draw a comparison of the Ordo Salutis between them. Dr. Cho’s The Five-Fold Gospel and The Three-Fold Blessing, as well as Dr. Moltmann’s The Spirit of Life, will be the primary concern of this article. A careful analysis of these volumes will reveal that Dr. Cho and Dr. Moltmann propose substantially similar orders of salvation, which are based on Trinitarian and experience-oriented pneumatology. Fostering dialogue between the two theologians demonstrates that Dr. Cho’s Fivefold Gospel can be theoretically supported by Dr. Moltmann’s theological works. In contrast, Dr. Moltmann can employ various spiritual experiences that have accompanied Dr. Cho’s Pentecostal Fivefold Gospel (Full Gospel) movement in his theological contemplations. Hence, while Dr. Moltmann’s theology may provide a theoretical ground for Dr. Cho’s Pentecostal theology, Dr. Cho’s Yoido Full Gospel Church can provide Dr. Moltmann’s trinitarian pneumatological theology with vivid pieces of evidence of the Holy Spirit.

      • 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해외 DR 상장기업의 이익조정

        정태범 글로벌경영학회 2019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6 No.1

        This study empirically tested whether there is earnings management when the firm cross-lists its DR(depositary receipt) abroad. The earnings management was measured using the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as well as the discretionary accru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R cross-listing firms significantly decrease their earnings by reducing the discretionary accruals. It is more likely when the firms have negative discretionary accruals. Second, in the context of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the decrease of earnings was not found without variation. The DR cross-listing displays negative significance not only in the abnormal cash flow from operations but also in the abnormal discretionary expenses. This implies that the cross-listing of DR abroad results in the increase of earnings by the decrease of cash flow from operations as well as the decrease of discretionary expenses. On the other hand, DR cross-listing displays negative significance in the abnormal production cost which implies the decrease of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In conclusion, DR cross-listing firms reduces discretionary accruals leading to the decreases of the earnings but this goes into reverse in part by th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which has the direct impact on cash flow fo the firm.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여 해외 DR.상장 기업이 재무제표 작성시 이익조정 행태를 둔화시키는지를 재량적 발생액(Discretionary Accruals)뿐만 아니라 실제 영업활동 이익조정(Real Activities Manipulation) 측면에서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해외 DR 상장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의 정도가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재량적 발생액이 부(-)의 수치를 가지고 있는 그룹에서 잘 발견되고 있다. 둘째, 발생항목의 조정을 통한 이익조정이 아닌 실제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흐름에 직접 영향을 주는 실제 영업활동 이익조정 측면에서는 해외 DR 상장 기업의 유의한 수준의 이익 감소는 일률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비정상 제조원가 영역에서는 DR 상장 기업의 이익조정이 감소하고 있으나, 비정상 영업현금흐름과 비정상 재량지출액 영역에서는 DR 상장 기업의 이익조정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세 가지 요소를 모두 합한 전체 이익조정 측정치에서도 이익조정이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매출정책과 비용지출 시기 등의 결정에 있어서는 이익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결정하지만 생산량은 증가시키지 않아 매출원가의 증가를 통한 이익감소로써 이익증가분을 일부 다시 돌려놓는 것으로 해석된다. 종합하면 해외 DR을 발행하는 기업은 경영자의 재량에 의한 재량적 발생액을 감소시켜 이익조정을 감소시키지만, 현금흐름에 직접 영향을 주는 실물 활동을 통해서는 부분적으로 이익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관련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 혈청학적 방법과 PCR-SSP 법을 이용한 HLA-DR 형별 분석 경험

        이정녀,박종인,이정화 인제대학교 1997 仁濟醫學 Vol.18 No.1

        일반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혈청학적 HLA-DR 형별검사는 DR의 일반 형별(generic type)의 판별만 가능하여 대립유전자 판별이 되지 않고, B 림프구의 분리가 어려운 검체나 B 림프구의 항원 발현량이 적은 검체, 검사용 항혈청의 잦은 교차 반응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부정확한 결과가 나오는 일이 흔하여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저자는 본원에서 신장 이식을 위한 환자와 공여자에서 혈청학적인 방법과 DNA 수준에서의 DR 형별검사가 가능한 PCR-SSP법을 시행하여 BR 형별 검사에 있어서 PCR-SSP법의 유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CR-SSP법에 의한 검사는 소량의 검체로 약 2.5시간내에 신속한 검사가 가능하였고 또한 혈청학적 방법에서 문제되었던 동형 접합체 또는 blank의 해결과 B 림프구의 분리가 어려운 환자나 사체 공여자 그리고 제대혈 등에서의 DR 형별검사를 소량의 혈액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향후 HLA-DR형 판정은 혈청학적 방법보다는 PCR-SSP법이나 다른 DNA를 이용한 방법이 보다 유용하게 사용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The HLA-DR typing by serology performed for selection of transplant donor and diagnosis of DR associated disease has several limitations. To evaluate HLA -DR typing method more accurate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PCR-SSP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erology. Methods : Thirty nine samples of transplant recipients and donors was typed by the conventional serologic method. The PCR amplication was performed using sequence specific primers and the PCR products were detect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ssignment of alleles was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icfic amplified products and the accuracy, precision, rapidit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erologic method. Results : Nine individuals(20.5%) showed discrepancies between their serologic and PCR-SSP results. DR11 homozygote serologically was corrected to DR12 homozygote by PCR-SSP. Three DR homozygote setologic method was confirmed hetrofygotes by PCR-SSP and five patients which have too low number of B lymphocytes or poor seperation of B lymphocytes was successfully determined DR type by PCR-SSP.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PCR-SSP is accurate, rapid and simple method providing reliable HLA-DR type. Therefore, this method will be useful in clinical laboratory, especillay in the case of poor serologic results, cadaveric donor or emergency typing for transpla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