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DPPH법에 의한 식용유지의 열산화 안정성 비교

        이재민(Jae Min Lee),장판식(Pahn-Shick Chang),이재환(Jae Hwa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2

        유지의 산화안정도 측정을 위해 개발된 DPPH법의 최적화를 위해 시료의 양에 따른 유지의 산화변화를 분석하였고, 결정된 조건을 사용하여 시중에서 튀김유로 사용되는 4종류 식용유지의 열산화안정성을 측정하였다. CDA와 p-AV는 산화반응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며 시료간의 상대적인 산화안정성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에 DPPH법은 유지의 산화라디칼과의 반응성을 이용하며 흡광도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이로부터 유지산화라디칼의 변화를 측정 할수 있었다. 또한 유지의 초기 전자 혹은 수소공여능을 확인 할 수 있었고, DPPH 흡광도 증가를 통해 산화방지물질의 소진속도 및 산화라디칼의 생성속도를 계산할 수 있었으며, 산화방지물질의 소진시점을 결정 할 수 있었다. 따라서 DPPH법을 기존의 산화도 측정방법과 병용한다면 유지의 산화도는 물론 산화반응 단계를 측정 할 수 있고, 산화안정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2,2-diphenyl picrylhydrazyl (DPPH) method, which can be used to predict the oxidative stability of edible oils, was previously reported by our research group. Not only free radical scavenging antioxidants but also radicals from oxidized oils are capable of reacting with DPPH radicals, thereby reducing the absorbance of DPPH. In this study, the optimum sample size of edible oils for the DPPII method was determined, and the oxidation of the edible oils was monitored via DPPH, coupled with other conventional methods. The optimum sample size was determined as 1.5 g using soybean oil. Soybean, corn, virgin olive, and refined olive oils were thermally oxidized for 3 hr at 180℃ and analyzed via DPPH, conjugated dienoic acid (CDA) value, and p-anisidine value (p-AV) protocols. Soybean and com oils were found to be more sensitive to thermal oxidation than virgin and refined olive oils, on the basis of the CDA value and p-AV measurements. The DPPH method can indicate the inher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unoxidized samples, the time required for the depletion of antioxidants, and the rate of degradation of the antioxidants. The soybean and corn oils evidenced higher levels of free radical scavenging compounds, required more time for the consumption of inherent antioxidants, and also manifested steeper antioxidant degradation rates than olive oils, based on the results of DPPH analysis. The DPPH method, accompanied by other conventional methods, may prove useful in predicting the degree of oxidation of vegetable oils.

      • KCI등재

        Analysis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2,2-diphenyl-1 Picrylhydroazyl, Hydroxyl Radicals, and Nitric Oxide in Alaska Pollock Roe, with or without Natural Fermented Seasoned

        Ji-Young Hwang(황지영),Jong-Soo Jang(장종수),Man Kyu Huh(허만규)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4

        알래스카 산 대구(Gadus chalcogrammus)는 대구과(family Gadidae)의 해산어종이다. 알래스카 명란 원료, 고추장 명란, 발효 명란을 증류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2, 2- diphenyl - 1- picrylhydroazyl (DPPH), 하이드록시 라디칼(OH), 산화질소(NO)의 항산화 소거능을 평가하였다. 철 이온 환원력(FRAP)을 조사하였다. ABTS+ 소거능은 Brand-Williams 등의 방법에 따랐다. 고추장 명란의 증류수 추출물의 DPPH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71.9%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 소거능은 73.7%였다. 발효 명란의 증류수 추출물의 DPPH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78.0%였고 에탄올 추출물에서 소거능은 78.4%였다. 명란 원료의 증류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 값(IC50)은 각각 11.65 ug/ml과 11.47 ug/ml이었다. 명란 원료, 고추장 명란, 발효 명란의 에탄올 추출물의 OH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70.9%, 79.0, and 80.6%였다. 명란 원료의 증류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NO의 최소 저해 농도 값은 11.45 ug/ml과 11.41 ug/ml였다. 본 연구 결과, 고추장 명란과 발효명란은 원료 명란 보다 높은 DPPH, OH, NO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고추장 명란과 발효 명란은 자연 라디칼 소거능이 있어 식품으로써 항산화 보충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laska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s a marine fish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Gadidae. In this study, whether the Alaska Polloack Roe have antioxidant properties, 2,2-diphenyl-1 picrylhydroazyl (DPPH), hydroxyl radical (OH) reducing activity, and nitric oxide radical (NO) scavenging activity were evaluated in distilled water extract (DWE) and ethanol extract (ETE) of raw Alaska pollock roe, Gochujang Pollock roe, and fermented seasoned Pollock roe. The DPPH scavenging activity of the DWE with Gochujang Pollock roe was 71.9% at a concentration of 1.0 mg/ml and that of the ETE was 73.7%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DPPH scavenging activity of the DWE with fermented seasoned Pollock roe was 78.0% at 1.0 mg/ml, whereas that of ETE was 78.4%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IC50 values of the DWE and ETE of raw Pollock roe for DPPH were 11.65 μg/ml and 11.47 μg/ml, respectively. The OH scavenging activities of raw Pollock roe, Gochujang Pollock roe, and fermented seasoned Pollock roe ethanolic extracts at a concentration of 1.0 mg/ml were 70.9%, 79.0, and 80.6%, respectively. The IC50 values of the DWE and EWE of raw Pollock roe for NO were 11.45 μg/ml and 11.41 μg/ml, respectively. The DPPH, OH, and NO scavenging abilities in DWEs and ETEs of Gochujang and fermented seasoned Pollock roe were higher than those of instant (no Gochujang or season treatment) treatment Pollock roe. Both the Gochujang and fermented seasoned Pollock roes have natural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may be useful potential antioxidant food supplements.

      • KCI등재

        용매에 따른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이우행(Woo-Haeng Lee),한소라(So-Ra Han),유상철(Sang-Cheol Yu),오태진(Tae-Jin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에서는 식용버섯으로 사용되는 팽이버섯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탄올로 추출하여 팽이버섯 각각의 용매 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총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또한 한천배지확산법을 이용하여 6종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탐색하였다. 팽이버섯의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다른 용매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아세톤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다른 용매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ascorbic acid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용매들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에는 아세톤과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팽이버섯의 다제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Ent. cloacae에 대한 활성을 제외하고, 3종의 용매 추출물 모두에서 B. subtilis, S. aureus, M. luteus, E. coli, P. aeruginosa 및 Ent. cloacae 등 6종의 모든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경우에는 E. coli와 M. luteus 등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B. subtilis와 S. aureus에 대해서는 아세톤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생육저해환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산화 성분인 총폴리페놀 함량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인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팽이버섯의 항산화 활성에 주된 기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균주에 대한 팽이버섯의 항균 활성에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팽이버섯의 항균 활성에 기여하는 화합물인 것으로 생각한다. 지금까지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처럼 팽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및 다양한 균주에 대한 항균성 등 관련 기능성을 확인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팽이버섯은 천연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cetone, eth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ased on total content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content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were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extract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se extracts were in the order of ethanol (82.3%)> ethyl acetate (79.6%)> acetone (78.4%)> ascorbic acid (76.8%). Ethanol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AB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were 74.7% and 73.0% for acetone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 velutipes extracts were evaluated by the paper disk diffusion method against six strains of microbes, including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cus luteu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and Enterobacter cloacae. Acetone and ethyl acetate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all tested strains, and especially ethyl acetate extract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M. luteus and E. coli. Antioxidant activit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0.192 with DPPH and −0.953 with ABTS) and total flavonoids (−0.717 with DPPH and −0.704 with ABTS). A positiv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among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is study confirms positiv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for F. velutipes.

      • KCI등재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에 의한 감국 추출물의 항산화능의 변화

        이자복,최재영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5

        유산균에 의한 감국 추출물(CIL)의 항산화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64%, 80% ethanol 로 추출한 농도별 CIL를 발효시켜 total phenolic contents (TPC), flavonoi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educing power (RP), linoleic acid 자동산화 저해활성의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TPC의 경우 3109, 3237에서 증가하였으며, flavonoid에서는 모든 균주에서 감소를 나타냈다. DPPH 측정에서는 64% CIL 발효 후 3074, 3109에서 증가하였으며, 80% CIL 발효에서는 모든 균주가 증가를 나타냈다. RP측정에서는 64%, 80% CIL에서 모든 균주에서 증가를 보였으며, linoleic acid 자동산화 저해활성에서는 모든 균주에서 감소를 나타냈다. 특히 3109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DPPH와 RP 측정에서 다른 균주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측정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4종의 유산균 중에서 3109가 발효과정을 통해서 CIL의 항산화 효능을 효과적으로 증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CIL) was investigated by fermenting lactic acid bacteria with the CIL from 64% and 80% ethanol extraction and measuring the total phenolic contents (TPC), flavonoi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educing power (RP), and linoleic acid auto-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CIL was confirmed to inhibit bacterial auto-oxidation. TPC was increased in strains 3109 and 3237, while flavonoid decreased in all strains. DPPH was increased in strains 3074 and 3109 fermented with 64% CIL and all the strains with 80% CIL. RP was increased and linoleic acid auto-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decreased in all the strains fermented with 64% or 80% CIL. Among the 4 strains, strain 3109 had the highest DPPH and RP; thus, it was most effective in increasing CIL’s antioxidant efficacy through the fermentation process.

      • KCI등재

        토마토 잎 추출물이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이경준,마경호,조양희,이석영,이동진,정종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5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7 No.4

        토마토 부산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토마토 50 자원의 잎 추출물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검정하였다. DPPH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았던 자원은 IT191046 (130.9 ug/ml),IT189949 (136.8 ug/ml), IT033117 (138.8 ug/ml), IT191047(148.9 ug/ml), IT033130 (152.5 ug/ml)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았던 자원은 IT189949 (1348.6 ug/ml),IT033117 (1404.9 ug/ml), IT191046 (1516.8 ug/ml)이었고 총폴리페놀 함량은 IT207214 (59.9 mg GAE/g DW)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 활성이 높았던 자원은 IT189945 (24.8 ug/ml), IT173906 (26.5 ug/ml),IT033117 (27.1 ug/ml), IT191046 (27.4 ug/ml)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r = 0.677**)를 보였고 다음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과 NO 생성 저해 활성이 높은 상관관계(r = −0.406**)를 나타냈다. 토마토 잎 추출물의 생리 활성 및 기능성 성분 분석 결과를 자원별로 군집 분석한 결과, Cluster I (n = 17), II (n = 4), III (n = 11), IV(n = 16)와 따로 분리된 두 자원(IT229651, IT211836)으로 분류되었다. 토마토 50 자원 중 IT033117과 IT191046은 DPPH,ABTS 라디칼 저해 활성 및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 활성이 높았으며 Cluster IV내에서 매우 가깝게 존재하였고,IT173906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활성이 높았으며 Cluster II에 존재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토마토 잎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토마토 부산물의 다양한 활용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사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eaf extracts from 50 tomato accessions.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DPPH, ABT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and nitric oxide (NO) inhibition activities, respectively. Among 50 tomato accessions, IT033117 and IT191046 showed high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NO inhibition activities, while IT173906 showed high TPC and NO inhibition activities. In correlation analysi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 = 0.677**) with ABTS, and TPC (r = −0.406**), although DPPH did not show the correlation with NO inhibitor activity. 50 tomato accessions were divided four clusters by DPPH, ABTS, TPC, and NO inhibitor activities, except two accessions, IT229651 and IT211836. Our results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omato breeders in developing and producing functional food or feed additives resources.

      • KCI등재

        국내 시판 잎차 추출물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

        황아라,이소영,한명륜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2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0 No.4

        Purpose: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23 types of tea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ea research. Methods: Leaf tea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hot water at 70℃,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color intensity and pH, were analyze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bil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ere measured as antioxidant activity. Results: The color of most leaf tea extracts was brown, with black tea having the deepest color. Black tea had the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 at 593 mg QE/g. Eoseongcho tea had the highest DPPH scavenging ability at 97.56%.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black tea and Chinese bush-clover tea were strong, while those of mistletoe, plantain, and rosemary leaf teas were exceptionally low. Conclusion: Black tea which has excellent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scavenging abil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s expected to be most effective functional tea when consumed after meals among the multi consumption commercial leaf teas market. 목적: 본 연구는 잎을 이용하여 제조한 23가지 차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차류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70℃의 온수에서 추출한 잎차 추출물에 색도, pH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으로는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소거능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잎차 추출물의 색은 갈색 계통의 색을 나타내었고 black tea가 가장 강한 갈색을 나타내었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black tea로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93 mg QE/g이었다. DPPH 소거능이 가장 높은 잎차는 eoseongcho tea로 97.56%로 나타났다. Black tea와chinese bush-clover tea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강한 반면 mistletoe, plantain, rosemary leaf tea의 저해효과는 상대적으로매우 낮았다. 결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소거능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우수한 black tea가 국내시판 다소비 잎차류 중에서는 식후에 이용시 가장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차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참취 데치기 최적 공정 확립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변화

        조현선(Hyeon Seon Jo),하유진(Yoo Jin Ha),김연태(Yeon Tae Kim),강길남(Gil Nam Kang),유선균(Sun Kyun Yoo) 한국유화학회 2017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참취의 데치기 최적 공정 조건을 확립하고 조건마다 생산된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DPPH를 분석을 수행하여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데치기 최적공정은 시간 과 온도를 요인으로 하여 표면반응분석법으로 수행을 하였다. 데치기 공정 후에 추출물을 제조하여 데치기가 총 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데치기 시간 및 온도 범위에서 총 페놀 함량의 범위는 13.00 - 35.48 mg/g 이고 최대예측 총 페놀함량은 35.48 mg/g, 플라보노이드는 함량의 범위는 2.35 - 8.38 mg/g 이고 최대 예측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38 mg/g, DPPH 라디칼 소거능의 범위는 42.10 - 67.14%이고 최대 예측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7.14%로 측정 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총 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의 변화는 데치기 시간 보다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의 경향을 보면 데치기 시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지만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데치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총 항산화능은 데치기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aster scaber antioxidative activity,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during the blanching processes. With two parameters such as blanching time and temperatur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study the combined effect of blanching time (90 to 162 sec) and blanching temperature (75 to 99℃). We found that antioxidative activity,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during the blanching processes were influenced by blanching temperature and time. Within process condition,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extracted 3.00 - 35.48 mg/g and 2.35 - 8.38 mg/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42.10 – 67.14%. The change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lavonoi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dependent of blanching temperature more than time.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increased as temperature rise, but flavonoids not. Howev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during the blanching process.

      • KCI등재

        자생 양치식물 지상부와 근경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신소림,이철희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3 No.1

        Phenolic compound contents and scavenging activity on DPPH and ABTS radicals in twelve fern species were studied by analysing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of dried aerial parts and rhizomes using methanol solvent. Total polyphenol content ranged from 2.97 to 140.1 mg per 1 g dried sample and 0.80 to 49.58 mg·g-1 fresh sample. Highest polyphenol content was obtained with aerial part of Davallia mariesii and Polystichum lepidocaulon. Total flavonoid content of dried sample was 2.56~34.91 mg·g-1 and fresh sample 0.71~11.49 mg·g-1. Higher flavonoids were obtained with dried aerial part of Dryopteris crassirhizoma, but with fresh aerial part of P. lepidocaulon. In general,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r in rhizomes, except in case of total flavonoid. Scavenging effects on DPPH and ABTS radicals was higher with rhizome extracts compared to aerial parts. The rhizome of Polystichum polyblepharum showed highest effects on both radicals. However, the amount of fresh sample for RC50 with consideration of water content and extraction yield. P. lepidocaulon aerial part was more advantageous than P. polyblepharum rhizome. All the fern extracts except for the Coniogramme japonica extract demonstrated superior scavenging effects on ABTS radicals, being similar activity of ascorbic acid and BHT. 메탄올을 용매로 12종 양치식물의 지상부와 근경의 건조시료를 초음파추출하여 페놀성 물질 함량 및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건조시료 1 g에 2.793~140.014 mg·g-1, 생시료 1 g에 0.779~49.579 mg·g-1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넉줄고사리와 더부살이고사리의 지상부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조시료 1 g에 2.559~34.909 mg·g-1, 생시료 1g에 0.714~11.487 mg·g-1으로 나타났다. 건조시료 중에는 관중 지상부, 생시료 중에는 더부살이고사리의 지상부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높았다. 총 폴리페놀은 지상부보다 근경에 많이 함유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는 지상부에 많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지상부보다 근경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은 지상부보다 근경에 많이 함유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는 지상부에서 함량이 많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지상부보다 근경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모두 나도히초미 근경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시료의 수분함량과 추출수율을 고려하여 RC50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생시료의 양을 계산한 결과, 나도히초미 근경보다는 더부살이고사리 지상부가 DPPH와 ABTS radical 소거용 식물소재로 적합하였다. 양치식물의 추출물은 특히 ABTS radical 소거능이 매우 우수하였으며, 가지고비고사리 추출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가 ascorbic acid 또는 BHT와 유사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 KCI등재

        황기약침액(黃耆藥鍼液)의 NO, DPPH 소거(消去) 및 IL-4 억제효과(抑制效果)

        이경민,서정철,한상원,Lee, Kyung-min,Seo, Jung-chul,Han, Sang-won 대한침구의학회 2003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0 No.2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fo find out whether Astragali Radix Herbal-Acupuncture Solution(ARHA) can scavenge NO, DPPH and IL-4 or not. Astragali Radix has been clinically used to reforce the depression of immune reponse etc. in Oriental Medicine. Methods : Free radical metabolism seems to occupy a remarkably common position in the mechanisms of ageing and ageing related disease. Oxidative damage to DNA, lipids, proteins and other molecules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 and possibly neurodegenerative disease. The effects of ARHA on NO, DPPH and IL-4 were measured. Results :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 (1) There is a significant scavenging effect of ARHA on NO in 1, $10mg/m{\ell}$ group in after 24hrs. (2) There is no significant scavenging effect of ARHA on DPPH. (3) There is a significant scavenging effect of ARHA on IL-4 in 1, $10,100{\mu}g/m{\ell}$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HA has significant scavenging effect on NO, IL-4 and not on DPPH. This study shows that ARHA can be used for ageing related disease an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it.

      • KCI등재

        조릿대 추출물의 용매별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송원영,변소정,최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3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간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100~2500 μg/ml의 조릿대의 농도를 이용하여 in vitro 실험으로 관찰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물(2.27~80.71%)과 에탄올추출물(26.97~83.59%)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졌으며 에탄올추출물은 열수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는 열수추출물에서 12.17~90.53%, 에탄올추출물에서는 13.69~82.73%로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용매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환원력은 열수추출물에서 0.105~0.768, 에탄올 추출물에서 0.097~0.808의 활성을 보였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NO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물에서 46.62~68.74%, 에탄올추출물에서 27.48~65.28%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조릿대 추출물의 IC50값을 비교한 결과 DPPH, ABTS radical 및 NO radical에서 각각 열수추출물에서 1211.2 μg/ml, 410.5 μg/ml 및 228.1 μg/ml로 나타났고, 에탄올추출물의 경우에는 529.4 μg/ml, 300.2 μg/ml 및 461.3 μg/ml로 나타났다. DPPH와 ABTS는 에탄올추출물이 높게 나타났고, NO radical은 열수추출물에서 더 높은 IC50값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41.27 mg/g 그리고 에탄올추출물에서 41.46 mg/g의 함량을 관찰하였고, 용매간의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열수추출물(21.45 mg/g)에 비해 에탄올추출물(29.50 mg/g)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항염증을 관찰하기 위한 SLO를 측정한 결과는 열수추출물에서 45.94~176.6% 그리고 에탄올추출물에서 70.83~190.8%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조릿대의 용매에 따른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염증의 효과를 나타내는 실험 모두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므로 항산화와 항염증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천연식품으로 이용되어 질 수 있으리라 기대되어진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Sasa borealis (SB) by in vitro assays.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SB scavenged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nd 2,2'-azino-di-2-thyl-benzothia-zoline sulphonate (ABTS) radical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100 to 2500 μg/ml.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26.97~83.59%) was higher than that of water extract (2.27~80.71%). IC50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was 1211.2 μg/ml and 529.4 μg/ml respectively. The ABTS radical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was 12.17~90.53% and 13.69~82.73% respectively. IC50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was 410.5 μg/ml and 300.2 μg/ml. The reducing power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was 0.105~0.768 and 0.097~0.808 respectively. The nitric oxide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was 46.62~68.74% and ethanol extract was 27.48~65.28%. Total phenolic content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was 41.27 mg/g and 41.46 mg/g. Total flavonoid content of ethanol extract (29.50mg/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 (21.45mg/g). The soybean lipoxygenase (SL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was 45.94~176.6% and 70.83~190.8%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SB has the potential to activat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