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획논문 : 六堂崔南善의 『三國遺事』 인식과 「三國遺事解題」

        고영섭 ( Young Seop Ko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4 한국불교사연구 Vol.5 No.-

        이 논문은 육당 최남선(六堂崔南善, 1890~1957)의 『삼국유사』 인식과 그의 「삼국유사해제」에 대해 검토한 글이다. 최남선은 어린 시절부터 고전과 서양문물을 접하였다. 그는 일본 유학 이전부터 단군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있었고, 일본 유학 이후에는 『삼국유사』를 재발견하여 단군을 복원하고 역사를 복원하였다. 최남선의 민족의식과 문화이식은 일련의 「단군론」기술과 『삼국유사』에 대한 장문의 「해제」서술로 이어졌다. 최남선의 「해제」는 그의 「단군론」과 『불함문화론』을 뒷받침하는 주요한 논설이며, 이후 『삼국유사』 ``해제``의 ``전범``이자 ``전형``이 되었다. 그는 『삼국유사』의 재발견을 통하여 단군을 복원하고 역사를 복원하여 불함문화권을 확충하려 하였다. 최남선이 단군을 우리 역사의 구심으로 삼은 것은 매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그가 단군을 불함문화권의 원심으로 확산시킨 것은 단군의 초점을 흐리게 한 근거이기도 하였다. 최남선은 우리의 많은 고전 중에서 특히 『삼국유사』에 집중하였다. 그것은 이 텍스트가 머금고있는 민족의식과 문화의식 및 단군의 기록과 신화의 원천 때문이었다. 그는 이들 민족의식과 문화의식을 대립의식으로 제고시켰고, 단군의 기록과 각국의 신화를 일제에 맞서는 정치적 전략으로 활용하였다. 최남선의 고대사에 관한 일련의 집필은 일제의 문화정치에 맞서는 전략이었고,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전술이었다. 하지만 그 역시 그 전략과 전술에 휘둘린 감이 없지 않았다. 결국 그는 근대주의와 민족주의의 대립 구도가 제국주의의 길항구도 속으로 편입되자 친일로 기울어졌고 스스로 친일행위를 정당화하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최남선의 역사 복원과 문화 민족의 열망은 『삼국유사』를 통해서 표출되었다. 그리고 여러 편의 「단군론」과 『불함문화론』의 입론을 통해 확장되었다. 그는 대립의식을 통해 문화민족을 자각하려 하였고 역사의식을 통해 신화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최남선의 민족의식이 수립될 수 있었던 것은 『삼국유사』와 단군과 가야의 발견에 의해서였다. 이 발견을 계기로 그가 쓴 『삼국유사』에 대한 장문의 「해제」는 이후 『삼국유사』 「해제」의한 ``모범``이 되었다. 그 이후 『삼국유사』 번역자들은 저마다 육당의 「해제」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 번역자들은 육당의 「해제」보다 더 길게 쓰거나 또는 더 잘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 혹은 그 「해제」에 전거를 대면서 그에게 위임하려는 태도까지 생겨났다. 결국 번역자들은 『삼국유사』의 전모를 한 눈으로 또렷하게 엿볼 수 있도록 「해제」를 작성해야만 했다. 그러다 보니 ``해제`` 간에 상호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최남선은 『삼국유사』에 대해 "조선 상대를 혼자 담당하는 문헌"이며 "조선의 생활과 문화의 근원(源頭)와 고형(古形)을 보여주는 것은 오직 이 책이 있을 따름이다"고 하였다. 그의 말처럼 『삼국유사』는 우리 민족의 유전인자를 고스란히 간직한 보물 창고이다. 여기에는 민족 동질성의 인자인 언어 문자와 역사 문화로부터 철학 사상 및 예술 과학이 담겨 있다. 이처럼 최남선은 『삼국유사』가 민족공동체와 역사공동체의 근간이자 민족과 역사의 회복으로 나아가는 이정표이자 길잡이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삼국유사』의 핵심과 특장을 「해제」속에 잘 정리하여 한민족의 정체성을 수립하고 인식틀을 확보해 놓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Yukdang Choi Nam-Sun``s recognition over 『Samgukyusa』 and 「Samgukyusa Interpretation」. He experienced the classic and western culture from the childhood. He had the knowledge and recognition about Dangun prior to the study aborad in Japan. After returning from Japan, he rediscovered 『Samgukyusa』 and restored Dangun and history.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of Choi Nam-Sun was led to the description of 「Dangun Theory」and long 「Interpretation」about 『Samgukyusa』. 「Interpretation」 of Choi Nam-Sun was a main editorial to support his 「Dangun Theory」 and 『Buddhist Culture Theory』, After that, it became the ``standard`` and ``tradition`` of ``interpretation`` of 『Samgukyusa』. He tried to enlarge the baundary of Bulham Culture by restoring Dangun and history through the rediscovery of 『Samgukyusa』. Choi Nam-Sun``s selection of Dangun as the center of Korean history was very meaningful. On the contrary, his intention to enlarge Dangun as the center of the baundary of Bulham Culture was the basis to blur the focus on Dangun. Among many classics, he especially focused on 『Samgukyusa』. It was due to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the record about Dangun and the origin of mythology contained in the text. He reconsider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as the confronting consciousness and used the record about Dangun and the mythology of each country as the political strategy to fight against Japan. Choi Nam-Sun``s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 ancient history was the strategy against the cultural policy of Japan and the one to improve the national consciousness. However, he was shaken by the strategy and tactic. After all, as the conflict composition between modern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is biased to the antagonistic composition of imperialism, he became the pro-Japan collaborator and adhered to the position to justify the pro-Japan activity. Choi Nam-Sun``s aspiration for history recovery and cultural people was expressed through 『Samgukyusa』 and it was enlarged through various arguments of 「Dangun Theory」and 『Bulham Cultural Theory』. He tried to enlighten the cultural people through confronting consciousness and tried to go beyond the mythology through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Choi Nam-Sun could be founded because of the discovery of 『Samgukyusa』, Dangun and Gaya. Because of the discovery, the long 「Interpretation」about his 『Samgukyusa』 became the standard for 「Interpretation」about 『Samgukyusa』. After that, the translator of 『Samgukyusa』 should pay attention to Yukdang``s 「Interpretation」about 『Samgukyusa』. Translator had the obsession thought to write long or better 「Interpretation」than Yukdang``s one and the attitude to assign it to Yukdang by citing the authority of 「Interpretation」. After all, the translator should prepare 「Interpretation」in the way that he shows the whole story of 『Samgukyusa』 at a glance. It was connected to the mutual effects among ``interpretations``. In 『Samgukyusa』, Choi Nam-Sun said, "Only the book is responsible for the area before Joseon Dynasty and shows the origin and old form of Joseon``s life and culture." As he said, 『Samgukyusa』 was the treasure warehouse containing the gene of Korean people. Here, the factor of people``s homogeneity ranging from linguistic character to history, culture, philosophy, art and science is contained. Like that, Choi Nam-Sun recognized 『Samgukyusa』 as the milestone and guide to go to the recovery of people and history as well as the origin of national community and historical community. He arranged the key and characteristics of 『 Samgukyusa』 in 「Interpretation」well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and secure the recognition frame.

      • KCI우수등재

        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본 해설문화와 콘텐츠 액티비즘

        유영초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3

        ‘Interpretation' comes within the category of cultural activities which include various subjects.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case of 'Contents activism' in interpretation, particularly in the area of 'nature interpretation' and 'history interpretation' which is regarded as most invigorated among the various interpretation area. First of all, I'd like to discuss how we can define interpretation as cultural contents, And then, focus on a function interpretation performs in terms of contents activism issue as a specific type of cultural contents, Interpretation can be categorized as a cultural contents created by oral communication, In this respect, it is appropriate to consider it as a source of overall cultural contents. Important role and function of interpretation is to pave the way for contemplation on nature, place, history and human race according to the knowledge and impression conveyed by interpretation from each field. 'Activism' implies positive action. It consists of efforts to promote, impede, direct, or intervene in social, political, economic, or environmental reform to make changes in society. Main purpose of interpretation is to make people understand social, cultural phenomena through firsthand/secondhand experiences. In numerous cases, it contribute to establish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various fields of activism. That's why there should be more in-depth study on interpretation as effective tool of contents activism. 'Forest interpretation' or 'nature interpretation' is often regarded as nonformal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or forestry education. Both fields aim to raise awareness of diverse environmental issues and demand responsible action in common. It has great potential to emerge as significant area of contents activism. 해설은 최근 다양한 영역으로 전파되고 정착되어가고 있는 문화 영역이다. 특히, 자연과 역사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확산되고 있는 해설문화를 통해서 두 가지 측면에서 ‘콘텐츠 액티비즘’을 읽어보고자 했다. 하나는 문화콘텐츠 영역에서는 해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그리고 해설이 문화콘텐츠의 구체적인 유형이라고 할 때, 콘텐츠의 액티비즘의 논의에서 해설은 어떤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설을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오럴 미디어’에 의해 구현되는 문화콘텐츠의 한 유형으로 범주화시켰다. 그런 점에서 해설은 문화콘텐츠 생태계에서 원천소스의 영역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해설의 중요한 역할과 기능은 자연과 역사, 문화자원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통해서 장소와 역사, 인간에 관한 사유와 성찰의 토대를 만들어 주는 일이다. 액티비즘이 사회나 인류가 처한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하여 더 나은 방향을 촉구하고 추진하는 행동주의이다. 해설은 환경과 사회의 문제를 이야기하고 체험하게 함으로써 액티비즘의 철학적 토대를 조성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콘텐츠 액티비즘으로서의 해설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구술을 통해 현장에서 소멸되는 해설콘텐츠 뿐만아니라, 해설에 사용되는 교구와 교재, 해설판 등의 전시성 콘텐츠를 포함한 다양한 활용미디어들은 대체로 '생태보전', '문화유산의 보전' 등의 이념적, 실천적 콘텐츠를 담고 있고, 참여자(콘텐츠 소비자)들의 직접적, 간접적 행동을 촉구하고 유발하는 액티비즘의 콘텐츠로서 작동하게 된다. 숲해설, 자연해설의 분야는 환경교육, 산림교육의 영역과 중첩되는 분야로서 환경문제에 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 해결을 위한 책임있는 환경행동을 촉구하는 콘텐츠 액티비즘의 중요한 영역이기도 하다.

      • KCI등재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본 문화관광해설사의 역사해설 -홍성지역을 중심으로-

        안주홍 ( Juhong Ahn ),박현숙 ( Hyunsook Park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6 사총 Vol.88 No.-

        그 동안 역사교육에 대한 연구는 초 중등교육의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따라서 학교 현장 이외의 역사교육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다고 할 수 있다. 역사교육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의 문화재를 해설하는 문화관광해설사 역시 넓은 의미의 지역사교육의 실천자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역사교육의 측면에서 이들의 역할 인식과 ‘역사해설내용’의 형성과 해설 방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역사교육의 지평을 넓힌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역사해설내용’을 고찰하기 위해, 이들의 ‘역사해설내용’을 ‘역사내용지식’과 ‘역사현장지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들은 ‘역사내용지식’을 바탕으로 ‘역사현장지식’을 활용하고 있었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역사현장지식’은 해설 과정에서 이들만이 활용하고 있는 특징적인 지식이다. 이들은 ‘역사현장지식’을 통해 스스로를 역사교사와 차별화된 존재로 인식하였고, 방문객들이 흥미를 가지고 집중하도록 해설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전문성의 부족과 해설기준안의 미비, 그리고 적합한 교육 시스템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의 어려움을 해결해주고 문화관광해설사 교육을 체계화하려는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이들에게 부족한 ‘역사내용지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이들만이 가지고 있는 ‘역사현장지식’의 기록 보존, 그리고 해설기준안과 보수교육의 마련 등이 요구된다. 역사교육적 측면에서 문화관광해설사의 전문성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질 때, 이들의 역량이 극대화되고 제대로 된 역사현장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 질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문화재나 유적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역사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킴으로써 학교 밖에서도 제대로 된 역사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All the while, most researches on history education have emphasized the aspec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Therefore,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concern for the subjects of history education besides school field. In the midst of extending the scope of history education besides school field,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who are placed at local cultural properties to explain history, can be also regarded as the subject of history education in a broad sense. Accordingly, it might be meaningful to look into their role perception, acquisition of ‘Knowledge of Interpretation History’ and method of interpretation from the aspect of history education.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have conducted interpretation targeting visitors from various backgrounds while making use of ‘Knowledge of History Contents’and ‘Knowledge of on-site History’ through ‘Knowledge of History Interpretation’ in their interpretation activity.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hardships due to the background, such as the lack of knowledge of individual historical accounts, inappropriate education, and insufficiency in systematized interpretation guidelines, etc. Here, the ‘Knowledge of on-site History’ possessed by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is the characteristic knowledge, which is utilized by the interpreters only, in interpretation activity. They have perceived themselves as differentiated from history teachers, and helped visitors to concentrate on their interpretation with interest. However,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have experienced many realistic hardships. Accordingly, the effort and support to resolve their difficulties and to systematize their advantages are needed. Solutions to this may include continuous and proper education of ‘Knowledge of Interpretation Contents’ that they need, record preservation of ‘Knowledge of on-site history’ possessed by the interpreters only and interpretation guidelines, and arrangement of refresher training. When an approach to a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professionalism is made from the aspect of histor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not only their capabilities could be maximized as well but it will be also possible to arrange a foundation for extending the concern for history of a wide variety of visitors to cultural properties or relics, and for conducting proper history education even at the outside of school field.

      • KCI등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e on the Culture Tourism Resource Interpretation based on Cultural Tourism Motivation

        Seo Yun-Jeong(서윤정),Lee Sung-Gag(이성각) 대한관광경영학회 2009 觀光硏究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자원해설의 중요성을 파악하여 문화관광동기에 따른 자원해설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화관광자원해설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거쳐 실증분석을 위한 측정척도를 도출,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문환관광동기의 ‘학습/지식습득’요인은 문화관광자원해설의 ‘교육성’, ‘흥미성’, ‘이해용이성’, ‘정보성’ 요인에 높은 영향을 미치며, ‘자기계발’요인은 ‘교육성’요인을 제외한 ‘흥미성’, ‘이해용이성’, ‘정보성’요인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분전환’요인은 ‘이해용이성’, ‘정보성’요인에 높은 영향을 미치며, 상대적으로 ‘교육성’, ‘흥미성’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가족친화/친목도모’요인은 ‘교육성’ 요인을 제외한 ‘흥미성’, ‘이해용이성’, ‘정보성’요인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관광객의 문화관광동기에 따라 문화관광자원해설의 내용을 교육적이고 이해하기 쉽도록 초점을 맞추어 접근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aim of paper is to figure that the relation of resource interpretation along the cultural tourism motives b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tourism asset interpret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on the cultural tourism motives and the cultural tourism asset interpretation were applied, the hypothesis was applied by deducting a measure for evidence analysis. As a result, the factor of learning/information acquirement in the cultural tourism motives have influence on education, interesting, understandable, and informative factors in the cultural tourism asset interpretation. I figured that the self education highly influenced on the interesting and understandable and informative factors excluding the educational factor. I understanded that the recreational factor highly influenced on the understandable and informative factors, relatively, never influenced on the educational and interesting factor. Also, I analysed that the family-friendly/promoting friendship were highly influenced in the interesting and understandable and informative factor except the educational factors. With respect to the result above, this paper comes out that focusing on making the interpretation on cultural tourism asset, accompanying with the cultural tourism motive of tourists, educational and understandable exercise its influence effectively.

      • 退溪의『大學』解釋과 그 意味

        최석기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5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6

        이 논문은 퇴계 이황의 『대학』 해석에 대해 구체적으로 그 내용과 특징을 살핀 글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퇴계의 釋義類 經書解釋과 『대학』에 대한 인식을 먼저 살펴보고, 그의 『대학』 해석을 『대학석의』의 해석과 기타 자료에 산견되는 문인들과 문답한 해석으로 크게 나누어 고찰하였다. 퇴계의 석의류 경서해석은, 15-6세기 학자들이 大全本을 텍스트로 사서삼경을 정밀히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종류의 釋義를 모아 정리하고 비평한 것으로, 후대 校正廳本 諺解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런 점에서 퇴계의 석의류 경서해석은 우리나라 경학사상 釋義時代에 생산된 釋義類의 集大成이라 하겠다. 퇴계는 『대학』을 大廈에 비유하고, 여타 경서는 그 대하를 수식하거나 장식하는 부속물로 보았다. 이것이 바로 『대학』을 경학의 根幹으로 보는 그의 經學觀이다. 또한 그는 『대학』을 修己治人之道를 담은 政治書로 보지 않고, 存心出治之本에 해당 하는 修身書로 보았다. 『대학석의』의 내용과 해석성향을 분석해 본 결과, 가장 큰 특징은 총 101항목 중 98항목이 字句의 諺解을 정리한 것이므로 註보다 本文 字句의 정확한 언해에 중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퇴계는 이를 위해, 첫째 語助辭 하나에도 신중을 기하였으며, 둘째 언해로 판가름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한문으로 그 의미를 정밀히 논변했으며, 셋째 字義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虛辭 등을 분변하였다. 이 가운데 한문 해석이 곁들여진 대목이 그의 『대학』 해석에 있어 주요한 설들이다. 기타 편지글 등에 수록된 『대학』 해석에 관한 자료를 살펴본 결과, 퇴계 『대학』 해석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퇴계는 '知止而后有定' 이하를 格物致知傳으로 보는 설에 대해 반대하였다. 둘째, 格物·物格의 해석에 있어 一身의 주재자인 마음이 대상에 있는 이치를 認知하는 것에 대해 정밀하게 논하였다. 셋째, 知止·定·靜·安·慮·得의 해석에 있어, 예컨대 誠意의 경우 誠意가 그칠 바를 알아 意誠을 얻는데 定·靜·安은 그 중간에 있는 것이라고 하여, 주자의 설보다 진전된 해석을 하였다. 넷째, 팔조목 중 誠意·正心·修身에 대한 해석에 있어 성의는 靜時의 存養工夫로 정심과 수신은 動時의 省察工夫로 보아, 意誠한 뒤에도 四有의 偏私處를 없애는 正心을 해야 하고 五僻의 偏私處를 없애는 修身을 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다섯째, 正心章의 兼體用說에 대해서는 주자의 설에 따라 心之用만을 말한 것으로 보고, '心不在焉'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는 心在軀殼說·心在視聽說 등을 모두 부정하고 主內應外說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is a detailed research on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Toi-gye(退溪), Yi Hwang(李滉)'s interpretation of [Dae-hak]. In this paper, I inquired into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and his cognition about it at first, and I studied classifying into the interpretation of [Dae-hak-seok-eui(大學釋義)] and several scattered datum like Q&A exchange letters with his pupils.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is a study way of arranging and commenting several kinds of Seok-eui(釋義) while minutely interpret the books of '四書三經' in 15~16th century, and he influenced very greatly in the Korean interpretation of '校正廳本' of next generat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is a compilation of Seok-eui-ryu which produced in Seok-eui-rye period of Korea. Toi-gye regarded that many other classics are decorations or ornaments if [Dae-hak] is a mansion. This is his very viewpoint of the classics that of [Dae-hak] is the root and the trunk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he thought that [Dae-hak] is the moral culture textbook of '存心出治之本' not to the political theory of '修己治人之道'.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ment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is that he concentrated to the accurate Korean literal text interpretation of [Dae-hak] judging from that the 98 items of his book is consisted of Korean interpretation arrangements. Regard for this, Toi-gye paid attention to the choice of each character, and detailed commented with Chinese character on the difficult point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classified the expletive concerning about the exact meaning of each character. The additional Chinese interpretation among this are his major theories of [Dae-hak] interpretation. The result of several datum inspection like other private letters, the major features of the Toi-gye's interpretation of [Dae-hak]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i-gye opposed the theory that regard [格物致知傳] below the text of '知止而后有定'. Second, he discussed minutely the principle that the mentality is aware of its object while interpreting of '格物' and '物格' Third, while interpreting '知止·定·靜·安·慮·得'. he suggested a progressed theory than Chu-tzu(朱熹)'s one, for example. '定·靜·安' exist in the middle place when achieve '意誠' in case of '誠意'. Forth, in interpretation of '誠意·正心·修身' among '八條目', he regarded '誠意' as '靜時 存養工夫', and '正心' and '修身' as '動時 省察工夫', more over he insisted that it needs not only '正心' which exclude '四有 偏私處' but also after achieve ‘修身’ which exclude '五僻 偏私處' after achieve '意誠'. Fifth, he followed the Chu-tzu's theory that mentioned about '心之用' for '兼體用說' of the chapter of '正心', however, he insisted '主內應外說' denying '心在軀殼說' and '心在視聽說' for the interpretation of '心不在焉'.

      • 문화와 예술의 해석 글로벌시대의 문화,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 -문화코드, 문화콘텐츠, 지역세계화 개념을 중심으로-

        박치완 ( Tchi Wan Park ) 한국해석학회 2011 해석학연구 Vol.27 No.-

        Each culture has its own particularities. This somehow indicates the idea that the word ``culture`` is represented by the heterogeneity and cultural diversity rather than the similarity and universality. Although there are many cultural exchanges among various countrie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culture still hits its own ``wall`` and is doing the self-preservation. It seems that the culture code is formed in this way and is expressed in the patterns of cultural customs which are made in a country or a cultural area. This could be the reason why the equation,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is to understand the other culture code, is possible. Of course, it is not so easy to precisely comprehend the history, tradition, customs,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values that has been shared by the citizens of a country or a cultural area for ages. And so, we must aware of dangerousness to comprehend all these with the diagrammatic (statistic) method. In this so-called ``global age``, culture is in crisis once again. Not only the political or economic territory but also the cultural territory becomes a sacrificial area of neo-liberal global market, since culture is commoditized. No doubt, today`s culture industries and culture contents industry has emerged with the same flow of this globalization. The Korean government is stressing the importance of globalization after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wave. In my view, it is time to seriously contemplate the real problems of globalization. And, it is a time that glocalization is to be focused. As the marriage customs and its meanings vary widely across cultures, the preferred cultural products such as favourite stars, cultural items vary across cultures. Because of this, considering countries and cultural areas, the genre or content of the cultural product needs to be distinct from one another. Unlike the advocates of globalization who do not accept other cultures, we shoul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local culture and further think of it with the economic growth, the objectives of the national development,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 benefits. We must not forget that culture is a kind of exceptional subject in the international trade, since it is not simply a cultural commodity.

      • KCI등재

        문화교육의 성립조건: 문화해석학

        이상오 ( Lee Sang-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2

        문화교육은 문화(文化)를 매개로 하는 교육이다. 그러나 기존의 문화를 있는 그대로 전수시키는 것만을 문화교육이라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전승된 문화가 우리의 삶에 부정적이고 불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문화는 “가치의 현실화”가 이루어질 때 비로소 문화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문화교육을 “문화비판” 또는 “문화비판교육”에 상당량 의존해 왔다. 이럴 경우 문화교육은 문화비판(교육)과 동일시될 소지가 있다. 이제 온전한 문화교육의 이론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문화비판에 되어 연구되어 온 문화교육을 새로운 각도에서 문화(본질)의 해석을 통한 문화이해에 근거한 문화교육의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물론 오늘날의 문화위기 앞에서 요구되는 문화비판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비판이 곧 문화교육과 동일시 될 수는 없다. 특히 문화(재)가 교육재 내지 도야재(Bildungsgutter)가 되기 위해서는 문화는 “해석”(解釋)될 필요가 있다. 문화의 가치와 의미가 해석될 때 비로소 (온전한) 문화교육은 가능해진다. 해석학의 목표는 “이해”(Verstehen, 理解)이다. 이렇게 본다면, 문화해석학의 목표는 “문화이해”가 된다. 그런데 문화교육의 최종 목표는 “인격교육”이다. 왜냐하면 결국 문화의미와 문화가치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은 개인이며, 개인은 문화를 통해서 종국적으로는 “자기교육” 즉 “도야”(Bildung)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교육(학)의 학문적 성립조건은 문화해석(학)이라고 할 수 있다. Cultural education takes cultural elements as a medium for education. It is not, however, simply to accept the existing culture. For a particular culture may not be as good as it is supposed to be for our lives. Culture in this paper is understood as something when values are realized through it. In this regard, this paper takes issue with the current research/practice trends that critiques of culture are taken as the central issue in cultural studies in education. In this case, cultural education may be regarded as a branch of critical pedagogy with culture. This paper examines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cultural education. It aims to establish the theory of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culture. It introduces a new perspective on cultural education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current trend of cultural studies in education. The critiques of culture, by all means, have the important role in education in the era of the cultural crisis today. Nonetheless, such criticisms do not fully embrace the meaning of cultural education as a whole. In line with the tradition of hermeneutics in its emphasis o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act of interpretation of culture. It suggests that cultural education is only possible when the value and meaning of culture are interpreted in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goal of hermeneutics of culture can be understood as "cultural understanding". Finally, this paper puts forward the idea of cultural education as "personality education". “self-education” or “bildung” (in German) with culture is only possible when one understands and accepts cultural meaning and values. It suggests, therefore, tha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ultural education is based on cultural interpretation, or the hermeneutics of culture.

      • KCI등재

        문화관광해설의 구성요인 및 해설전달과정 분석

        배기철,신학진,김영성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10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onents of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 and analyzed the cultural interpretation delivery process. Based on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is study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between visitors' experiences of four different dimensions of cultural interpretation, visito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etical constructs, data were conveniently collected from 240 visitors of Jeonju Hanok Village. Results showed that three dimensions of the interpretation factors(i.e. informative and educational, easy to follow, entertaining factors) positively affected kindness of the interpreters.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three factors did not directly but indirectly affect the interpretation satisfaction via the kindness factor. Moreover, finding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satisfaction on the interpretation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revisit intention. In conclusion, the interpretation delivery process verified in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ree heritage interpretation factors → kindness factor → interpretation satisfaction → behavioral intention. 관광문화해설의 해설요인이 문화해설만족으로 이어지는 인과적 과정과 해설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검증을 위해서 전주한옥마을에 방문하여 문화해설을 이용한 관광객 289명을 조사했고, 분석요건을 충족하는 247응답을 분석했다. 요약된 연구결과는 첫째, 문화관광해설요인인 정보교육성, 이해용이성, 흥미성은 친절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보교육성, 이해용이성, 흥미성은 흥미성을 매개로 문화해설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문화해설만족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주목할 점은 문화관광해설의 모든 구성요인이 친절성을 매개로 해설만족으로, 해설만족을 매개로 행동의도 이어지는 서비스전달과정(Service delivery process)이 확인되었다. 즉 문화관광해설을 구성하는 요인사이에 역학관계 및 요인사이의 인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검증은 문화관광해설의 교육과 실무에서 구성요인 중에서 정보교육성을 우선해야 하며, 친절성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관광자원 해설의 적정 수용규모와 영향에 관한 연구

        황금희,박용순,고동완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7

        This study explores the optimal capacity size and it’s impacts from the provider side of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cultural tourism interpreters of three national heritage tourism sites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preter's explication behavior was collapse of the interpretation contents, shortening of interpretation time, one-sided interpretation progress. Also, it had appeared a negative impact to the noise-induced, a lack of leadership, occurrence of missing children, and optimal interpretation of evidence from this study group of size 15 patients was enough. The interpreter's and tourists' eye contact while the size group of about 15 of the interpretation was to identify the size of the interaction, or can do enough interpretation. In the case of children group, the effective interpretation size was 6 to 8 children. The findings imply that the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is urgently needed a new approach and system to improve interpretation quality and communication between tourists and interpreters based on the optimal capacity size of interpretation. 본 연구는 해설사의 능력, 즉 공급자의 측면에서 관광자원해설의 적정 수용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설사 7인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해설집단의 규모가 클 경우 해설사는 해설내용 축소, 해설시간 단축, 일방적인 해설진행 등의 해설행태를 보였다. 또한 소음유발, 인원통솔 미흡, 미아발생 등의 부정적인 영향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해설집단의 적정규모는 15명 정도로 나타났다. 15명 정도의 해설집단 규모는 해설사와 관광객이 서로 눈 맞춤하면서 상호작용을 하거나 해설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규모로 파악되었다. 한편, 어린이를 위한 해설집단 규모는 6~8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해설집단 규모에 따른 해설행태와 영향, 그리고 관광객과 해설자가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양질의 해설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해설서비스의 적정 수용력을 논의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관광자원해설은 해설의 적정수용 규모에 바탕을 둔 관광객과 해설자 사이의 해설의 질과 의사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근과 시스템이 시급하다는 것은 함축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