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Image of God and Pastoral Ministry

        Kim, Duck-Soo 한국실천신학회 2009 신학과 실천 Vol.0 No.2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inistry of the pastors who participated in Imago Couple Relationship Therapy and the experiences of their reforming God's image by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rapid increase in divorce rate in Korea causes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family break down, its subsequent juvenile delinquency, suicide, increase in crime, phenomenon to avoid marriage, low birth rate, aging, and etc. To save broken families and restore healthy couple relationship is biblical teaching and mission for churches and pastors. Therefore, the experiences of the pastors in Korean churches, looking for the alternatives for the couple problems which is the core of family crisis today, participated in the Imago Couple Relationship therapy, which is proven to be the best program of the worldwide couple therapies, were studied. Also, how the experiences influence their ministry and what perceptional change there is in reforming God's image were studied. For this, the change in couple relationship, the influence in the ministry, and the meaning of reforming experience in God's image for six pastors who were educated according to the structured manual by internationally certified Imago Couple Relationship professional were investigated and conceptualized on the basis of interview, voice recording, e-mail, and non-verbal expression during the interview. In order to introduc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uple therapy, internationally widely known leading models of couple education were examined comparing with Imago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mod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Imago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and its need were looked into. As a result of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experiences in Imago Couple Relationship therapy were categorized into 6 following subjects: 1. Unfinished Imago(wounds in childhood) from relational experience in original family influences the causes of the meeting of couples and their conflict. 2. What is important in couple relationship is not character but their relationship. 3. What is important in ministry is family ministry and restoration of couples. 4. Imago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is integral and biblical. 5. Men and God are relational beings. 6. Restoration of couples through Imago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experience reforms God's image.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formation of pastoral couple relationship is very important and especially its contents greatly affect reformation of God's image.

      • KCI등재

        기독인 부부 관계요인과 증진 프로그램 개관

        김광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0 No.-

        Couple relationship grows its significance in a family. Now it is considered to be the core of a family. Hardships of a family members’ result from a broken couple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couple’s bonding factors in detail. And it is widely useful to develop and implement a couple education program. By surveying the literature, this article identifies the bonding factors in a couple relationship. This illuminates the relationship enhancement factors in a Christian couple. This shows their relationship enhancement factors by analyzing the three couple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which are developed in USA and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Korea; Marriage Encounter, Marriage Enrichment, and PREPARE/ENRICH. This article is composed of introduction, couple relationship factors, the three couple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the programs’ relationship enhancement factors, and suggestions for developing a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the Korean Christian couples. This article provides a basis on developing a couple education program for the Korean Christian couples. This provides practical knowledges as well as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the couple education as a Christian education. 남녀가 결혼을 통해 부부가 되면 부부는 상호관계를 통해 함께 성숙해야 한다. 만약 부부의 잘못된 관계가 형성되면 이 부부체계는 가족 내의 여러 다른 체계와 연결하여 많은 문제들을 야기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오늘 날 가정 문제의 근원은 부부체계 즉 부부관계의 잘못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부부관계요인에 대한 연구와 함께 그것에 기초한 부부교육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실행되어 부부관계 증진을 도와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 관계에 미치는 주요요인들이 무엇이며, 건강한 기독인부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어떤 요인이 강조되어야하는가를 문헌연구를 통해 밝힌다. 그리고 부부관계 증진을 돕기 위해 미국에서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여러 가지로 연구, 시행되고 있는 다음의 세 프로그램들을 개관한다. 그것들은 ①Marriage Encounter ②Marriage Enrichment 그리고 ③PREPARE/ENRICH이며 각 프로그램에서 강조하는 관계 요인들을 분석한다. 연구의 구성은 들어가는 말, 부부의 발달과제로서의 관계요인과 기독교교육의 과제, 관계요인을 증진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들의 개관 그리고 프로그램에 나타난 부부 관계요인과 한국기독인 부부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참고할 수 있는 제안으로 되어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기독인 부부관계 증진을 위해서 어떠한 요인이 강조되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함으로 부부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기독교교육의 장(場)의 하나인 가정이 감당해야할 부부교육에 대한 학문적 기여와 함께 기독인 부부들이 건강한 부부관계를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 KCI등재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이 고등학생의 관계형성능력과 결혼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유인영,박미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4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influence of 'Healthy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on the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ies and marriage values of high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Healthy couple relationship' lesson plan developed by the author was executed in two high schools for eight weeks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 2018 from which the effect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ealthy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has been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relationship performance, which is a part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S high school, the paired t-test of pre-/post-test comparison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s of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 performance'. For Sejong City campus-type joint curriculum group, where Wilcoxson signed-rank test was applied due to small sample size, showed that the overall scores as well as all the subsections of ‘relationship formation performance’ (i.e., ‘communication’, ‘self-understanding’, ‘conflict resolution’, and ‘empathy’) have improved,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Healthy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arriage valu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arriage values rende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hange, while in campus-type joint curriculum in Sejong City,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cted. In conclusion, the ‘Healthy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can help high school students build positive values by cultivating their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e’, which is a part of the competencies listed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lso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marriage, by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to build healthy couple relationships, and learning to implement the knowledge and skills in their own lives.

      • KCI등재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통합적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한남 통합적 커플 프로그램: 우리 커플 이대로 좋을까요?-

        양명숙,최연화,이정미,진선애,전지경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1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the relationship increase of the college couple. In order to attain like this research objective it was notified publicly with an electrification wide area hour H college student consultation center sponsorship “Our couple like this it is good the bedspread?”. The public information which is the report which it will ask the college man and woman couple total 56 pair which participates voluntarily it composed general program effective verification of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in the object, avail oneself of the pretest-posttest understanding, expropriation, opening and a couple satisfactory moral quantitative change it analyzed. Also search for understanding, expropriation, opening of each couple leveling change, recordings reportedly contains it led and the quality change from the inside couple being it analyzed. The result the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the relationship increase of the college couple increased own understanding, own expropriation, own opening, a partner understanding, a partner expropriation, a couple relationship understanding, a couple satisfactory degree and with the fact that it is effect to couple relationship increase it appear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H대학 학생상담센터 주최로 공고된 ‘우리커플 이대로 좋은가요?’라는 홍보물을 보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대학생 남녀 커플 총 48커플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이해·수용·개방과 커플만족도의 양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커플의 이해·수용·개방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 녹취록 분석을 통하여 커플관계 내에서의 질적 변화를 사례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대학생 커플의 관계증진을 위한 통합적 집단 프로그램은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개방, 파트너이해, 파트너수용, 커플관계이해, 커플만족도를 증진시켜 커플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IBCT에 기반한 커플관계 다름 수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임아영,이훈진 한국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9 No.4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eport scale to measure attitudes toward accepting differences in couple relationships. The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BCT; Jacobson & Christensen, 1996) was used as a theoretical model in the study. ‘Acceptance for differences’ was defined as an attitude acknowledging inter-partner differences and trying to develop intimacy through those differences without expecting one’s partner to change. Based on primary concepts of IBCT, five factors were constructed for the Acceptance for Differences in Couple Relationships Scale (ADCRS), and 75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existing measures of acceptance and couple relationships. In Study 1, three hundred and twenty-seven college students and 68 adults completed the 75-item ADCRS. Results showed the ADCRS consists of 22-items and five factors, as follows: (i) Tolerance for Difference (TD), (ii) Perspective taking for Difference (PD), (iii) Respect for Difference (RD), (iv) Growth through Difference (GD), and (v) Distancing for Difference (DD). In Study 2, three hundred and five adults and 136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to investigate the instrum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ADCRS and related sca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e five-factor model as the best model fit, and the hierarchical model as reasonable. The ADCR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2-week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addition, the fit of the Bifactor model assuming the general factor and five group factors was good, and it was concluded that it is reasonable to use the total score as a single dimension. The ADC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couple relationships, especially for married couple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커플관계에서 서로의 다름을 수용하는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커플치료에서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한 Jacobson과 Christensen(1996)의 통합적 행동 커플치료(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BCT)를 이론적 틀로 삼고, 커플관계에서의 다름 수용을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상대방을 변화시키려 하기보다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다름을 통해 친밀하고 발전된 관계로 나아가고자 노력하는 태도’로 정의하였다. 또한 IBCT의 주요 개념을 바탕으로 커플관계 다름 수용 태도 척도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기존의 커플 대상 척도들과 수용 관련 척도들을 참고하여 75개의 예비문항을 마련하였다. 연구 1에서 대학생 327명과 온라인으로 모집한 성인 66명을 대상으로 문항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름에 대한 인내, 다름에 대한 역지사지, 다름에 대한 존중, 다름을 통한 성장, 다름에 대한 거리두기의 5요인, 22문항으로 이루어진 커플관계 다름 수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일반인 305명과 대학생 136명을 대상으로 커플관계 다름 수용 척도와 관련 변인들을 측정하였고, 이 중 45명으로부터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본 척도가 5요인으로 이루어졌음을 재검증하였고, 수렴 및 변별타당도, 준거타당도,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양호한 수준임을 밝혔다. 또한 다섯 개의 집단요인과 다름에 대한 수용이라는 일반요인을 가정한 쌍요인(Bifactor) 모형의 적합도도 양호하여, 단일차원으로서 총점을 사용하는 것도 타당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커플관계 수용 태도는 커플관계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특히 기혼자의 관계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백워드 디자인에 기반한 고등학교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 개발

        유인영,박미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백워드 디자인에 기반하여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따라 문헌 분석을 통해 ‘건강한 커플관계’의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가정과교사 197명, 고등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건강한 커플관계’ 내용 요구도 조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으로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여 전문가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건강한 커플관계’ 내용 요소에 대하여 5점 리커트 척도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 내용 요소에대한 평균은 가정과 교사 4.39, 고등학생 4.02였으며,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이해’의 내용 요소가 교사 4.70, 학생 4.19로 두 집단에서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은 교육과정 목표와 2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었고, 각 단원은 단원 목표, 세부 학습 주제 및 내용 요소, 평가계획, 수업계획을 포함하였다. 각 단원별에 대하여 템플릿을구성하여 총 2개의 템플릿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비하여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선택과목으로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을 제안하고, 선택 과목 개설의 기반을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ealthy Couple Relationship' curriculum(plan) for high school home economics based on backward design. In this study, the content elements of 'Healthy Couple Relationship'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he need for contents of 'Healthy Couple Relationship' was surveyed in 197 familie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154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is, the 'Healthy Couple Relationship' curriculum(plan)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was developed as the backward design, and it was verified by the expert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measured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mean scores of the need for content elements of 'Healthy Couple Relationship' was 4.39 for teachers, and 4.02 for students, respectively. The content elements of 'understanding dating violence' was 4.70 for teachers and 4.19 for students. Second, the developed 'Healthy Couple Relationship' curriculum consists of two templates, one for each unit, including curriculum goals, unit composition and unit goals, 8 learning subjects and content elements, evaluation plans including 24 lesson plans.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propose a "Healthy Couple Relationship" curriculum as an elective course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lay the foundations for opening elective courses.

      • KCI등재

        재난으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부부관계 변화

        정순둘,김종희,김고은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changes of married couples after the disaster occurred in 2007 in South Korea and to seek solutions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by identifying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86 married couples either who were victims of Typhoon in Koheung and Jeju island in September or who have suffered from oil spill in Taehan in December, 2007. The result showed that 51 respondents (27.4%) reported that their relationship had been changed negatively, compared to a total of 37 respondents (19.9%) were changed in a positive way. Negative change occurred approximately 2.5 times higher than positive change. The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actors affecting married couples’ relationship wer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subjective health status, degree of anxiety or depression symptom, state of recovery, and religion. Based on the results, solutions to prevent marital relationship from deteriorating after going through disaster and implications of social work to enhance the relationship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한국에서 발생한 재난 이후 부부관계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여 재난사건 이후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7년 9월, 태풍 '나리'로 극심한 피해를 경험한 전라남도 고흥 및 제주도 지역과 같은 해 12월, 유조선 충돌로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한 충청남도 태안지역 피해주민 중 기혼자 186명이다. 연구결과, 전체 응답자 186명 중 부부관계가 변화한 경우는 51명(27.4%)이었으며, 이 중 부부관계가 악화되었다는 응답자는 37명(19.9%)으로 부부관계가 향상되었다고 응답한 14명(7.5%)에 비해 약 2.5배 정도 많았다. 재난지역 주민들의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 중 자녀와의 관계가 부부관계를 악화시키거나 향상시키는데 모두 유의미했다. 이 밖에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및 불안의 정서증상, 복구정도, 그리고 종교가 부부관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유의미한 변수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을 경험한 주민들의 부부관계가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고, 부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 KCI등재

        인지 행동적 부부상담 모델과 부부신앙교육의 통합을 위한 연구

        김규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0 기독교교육논총 Vol.24 No.-

        Couples of these days show the tendency of pursuing their own satisfaction more than the meaning, essence and nature of office in marital relationship. This trend is evidenced b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ivorces due to the reduction of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qualities of marital relationship. This study purposed to discuss the severity of marital distress and to look for solutions. The researcher chose the Cognitive Behavioral Model (CBM) as a couple counseling model applicable to Christian couple in church. The reasons for choosing CBM are: 1) it does not see couples as the subjects of therapeutic treatments from a pathological viewpoint but treats marital relationship from the viewpoint of the growth of couples and the prevention of problems; 2) it can be an education model in which couples from different age groups can learn together; and 3) because CBM deals with couples on the three dimensions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it can be integrated adequately in faith‐oriented education for couples. Nevertheless, the direct application of secular CBM to Christians has three problems. First, it views marital distress, mainly focusing on individuals’ satisfaction rather than on the essence, meaning and role of marital relationship. Second, metacognition, which is the standard for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subject’s opinion on marital relationship and the spouse, does not reflect Christian values. Third, CBM categorizes the phenomenon of dysfunctional thoughts into five forms assumption, standard, expectancy, selective perception, and attribution – rather than pursuing the change of the cognitive schema underlying dysfunctional thoughts. This categorization of cognitive distortion can help identify the form of cognitive distortion, but is little helpful in modifying cognitive distortion itself.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e application of CBM to Christian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integrate CBM to faith‐oriented education for couples. This is to accept CBM and, at the same time, to conduct faith‐oriented education for couples for modifying the cognitive schema. The content of faith‐oriented education for couples is the explanation about the essence, meaning and office of marital relationship in Martin Luther’s exposition of the Ten Commandments in the Large Catechism. Because Luther’s idea is the foundation of faith in reformation churches, it is considered adequate as the content of faith‐oriented education for couples. Faith‐oriented education for couples is expected to give a Christian viewpoint to couples’ metacognition and individuals’ attitude toward and thought of marital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 오늘날 부부들은 결혼과 부부관계의 의미 및 부부의 직무보다는 자신들의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부부들이 그 이혼사유로 부부관계 만족도 감소를 호소하고 있는 것이 그 증거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부부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부부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찾고자 하는 시도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교회에서 부부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부부상담 모델로서 인지 행동적 모델(CBM; Cognitive Behavioral Model)을 선택하였다. CBM을 선택한 이유는 첫째, 부부관계를 심각한 병리적 관점에서 치료적 중재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부부의 성장과 문제의 예방차원에서 다룬다는 것, 둘째, 다양한 연령층의 부부가 함께 배울 수 있는 교육모델이 될 수 있다는 것, 셋째, CBM이 부부의 인지와 정서 및 행동의 세 차원을 다루기 때문에 부부신앙교육과 CBM을 적절히 통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BM을 그대로 기독교인들에게 적용하기에는 세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부부문제를 부부관계의 의미 및 부부 직무의 차원에서 보지 않고 개인의 만족도 위주로만 본다는 것, 둘째, 부부관계와 배우자에 대한 자기 생각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통찰인지가 기독교적인 가치를 반영하지 않았다는 것, 셋째, 역기능적 사고의 근원이 되는 인지 도식의 변화를 추구하지 않고 역기능적인 인지현상을 가정(assumption), 기준(standard), 기대(expectancy), 선택적 지각(selective perception), 귀인(attribution)과 같은 5가지의 형태로 범주화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인지왜곡의 범주화는 인지왜곡의 형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인지의 왜곡 그 자체를 수정하는 데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처럼 CBM의 유익성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적 적용의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연구자는 CBM과 부부신앙교육의 통합을 시도했다. 이것은 CBM을 수용하되 부부신앙교육을 함께 실시하여 근본적인 인지 도식을 기독교적인 것으로 바꾸는 것이다. 부부신앙교육의 내용은 종교개혁자 루터가 결혼과 가정 및 부부의 의미와 부부의 직무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루터의 대요리문답의 십계명 해설 부분을 참고했다. 루터의 사상은 개혁교회 신앙의 토대가 되기 때문에 부부신앙교육의 내용으로 선택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부부신앙교육은 부부들의 배우자와 부부관계에 대한 통찰인지와 태도를 기독교적 가치로 인지재구조화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커플의 관계정서와 관계만족의 관련성 연구

        조영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커플의 관계정서와 관계만족의 관련성 연구조 영 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커플의 관계정서와 관계만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101명의 미혼커플과 부부에게서 수집한 온라인 설문 자료를 대응표본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커플 관계만족에 대한 부적관계정서와 정적관계정서의 자기효과 및 상대방 효과를 검정하고 이들 관계에서 성차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론 및 제언: 남녀 모두 커플 관계정서가 자기 자신의 관계만족을 설명하였고, 정적관계정서에 비해서 부적관계정서가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과 남성의 관계만족에 대한 관계정서의 상대방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하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커플 관계에서의 정서적 경험과 인지적 평가를 구분하고, 관계만족과 관계정서 간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관계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커플 및 부부상담 프로그램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정적관계정서, 부적관계정서, 관계만족, 성차, 커플 □ 접수일: 2022년 11월 10일, 수정일: 2022년 11월 2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한경대학교 브라이트칼리지 교수(Professor, Hankyong National Univ., Email: yjcho@hknu.ac.kr) The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Relational Affect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CouplesYoungju Cho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relational affec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couples. Online survey data from 101 dating and married couple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s,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of relational a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gender differences were examined. The actor effect of relational a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or both male and female, and the effect size of negative relational affect was bigger than that of positive relational affect. The partner effects of relational a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partially significant, which were different by gend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lational affect was separated from cognitive evaluation on couple relationship an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them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for evidence based couple counseling intervention. Key Words: Positive Relational Affect, Negative Relational Affect, Relationship Satisfaction, Gender Difference, Couple

      • KCI등재

        중ㆍ노년기 부부간 romantic relationship

        김윤정(Kim, Yun-Jeong),서선영(Seo, Sun Young)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1

        Romantic relationship이란 부부간 정서적 관계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상호간의 책임감과 친밀감, 성적인 만족감 등 정서적 관계의 다양한 차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랑과 성생활만족감으로 부부간 romantic relationship을 측정하여 중ㆍ노년기 부부의 romantic relationship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7쌍의 중ㆍ노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Sternberg(1986)의 사랑척도와 Hudson(1981)의 성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사랑과 성생활만족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전반적으로 남편의 동반자적 사랑과 성생활 만족감이 아내의 동반자적 사랑과 성생활 만족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랑과 성생활만족에 있어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60대의 부부가 다른 연령대의 부부에 비해 사랑과 성생활 즐거움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생활 부담감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집단에 따라 사랑과 성생활만족감간의 관계 패턴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40대는 남편의 낭만적 사랑이 아내의 성생활즐거움들 증가시키고, 아내의 낭만적 사랑이 남편의 성생활부담감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부부간 romantic relationship에서 남편과 아내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50대는 남편과 아내 모두 자신의 낭만적 사랑이 자신의 성생활만족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60대 이상의 경우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 사랑점수가 높고 성생활만족감이 높은 경향이 있으나, 남편의 경우만 낭만적 사랑이 자신의 성생활 즐거움과 성생활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Romantic relationship characterized by mutual commitment, intimacy, sexual satisfaction in intimate relationship intensively indicates intimate attachments in marital relationship.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omantic relationship of middle and old aged married couple.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187 middle and elderly married couple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Sternberg(1986) 'the Triangular theory of love scale' and .Hudson(1981) the' Index of Sexu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differences in love and sexual satisfaction emerged. Overall husbands' companionate love and sexual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wives'. Second, the generation differences in love and sexual satisfaction emerged. The values of love and sexual enjoyment were the highest whereas the values of sexual burdens was the lowest in 60 over-aged married couples. Third, among 40s married couples, husbands' romantic love affected to increase wives' sexual enjoyment and wives' romantic love affected to reduce husbands' sexual burdens. Among 50s married couples, all of husbands' and wives' own romantic love affected his and her own sexual satisfaction. Among 60. married couples, only husbands' romantic love affected to increase sexual enjoyment and sexual burd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