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의 태도가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 이해의 매개효과

        전지경 융복합지식학회 2022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of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students on the process where student’s attitude affected teacher efficacy. Data of 1,034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II)’ conducted by nationa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analyzed. The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SPSS 18.0 and Process Macro 4.0 (Model 4)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showed that 1. student’s attitude and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students significantly influenced teacher efficacy, 2. student’s attitude showed not only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but also significant indirect influence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students. The study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to complement the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 and the relevant policy for students who could affect teach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태도가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 이해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한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2차 년도 조사지 중 초등학교 담임교사 1,0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4.0프로그램(Model 4)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t-test와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 태도와 학생 이해는 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태도는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학생 이해를 매개로도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에 대한 교육과 상담 과정 그리고 정책적 보완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육군 병사들의 커플관계에 관한 연구 : 군 생활 스트레스, 커플관계 탄력성, 그리고 군 생활 적응의 관계

        전지경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the CRR, MA, and MS of military solder’s who have experienced couple relationship troubles. Data collected from 239 soldiers in front-line division and post line division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analysis using SPSS 18.0. As the results, 1. CRR and MA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CRR and MS showed a negative corelation. 2. CRR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A. 3. CRR had a mediating effects on the process where MS influenced M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primary data for raising the adaptability to the military especially on the subject of couple relationship, and as an educational guidance for helping soldiers to see the positive aspect of the adversity and stress of military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커플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군 내 병사들의 커플관계 탄력성, 군 생활 스트레스, 군 생활 적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방 1개 사단, 후방 1개 사단에서 병사들을 대상으로 총 23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커플관계탄력성은 군 생활 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군 생활 적응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커플관계 탄력성은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커플관계 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커플관계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병사들의 군 생활 부적응 현상의 하나인 커플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커플관계의 역경과 스트레스를 부정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측면에서 성장 가능성을 찾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 증진을 위한 과정지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전지경,양명숙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and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process oriented psychology developed by Dr. Mindell was applied to the program.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the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through understanding of couple relationship, awareness of couple relationship, and working with edge of couple relationship.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evaluated through 6 steps as follows. 1.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2. A program draft focus on process oriented psychology. 3. Verification of contents validity by experts group and face validity through exercising the pilot program with process work experts group. 4. Development of the scales of the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5. Practice of the Program. 6. Evaluation of the Program. Final is compose of the final program.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e point that the program was developed which could help people to respond flexibly to the adversity and stress by realizing that the adversity and stress was not merely a problem but a signal implying an important awareness.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의 커플관계 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정지향 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하위 목표는 커플관계 이해, 커플관계 알아차림, 커플관계 경계확장이었다. 연구절차는 프로그램 개발절차와 효과검증 절차로 이루어졌고, 세부적으로 6단계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구안하였다. 첫째, 문헌연구 단계에서는 연구 필요성을 검토하고 선행연구를 고찰하며, 프로그램 이론적 근거를 정립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시안 구성에서는 과정지향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셋째, 타당도 검토 및 보완 단계에서는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과 과정지향 심리학 전문가의 안면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넷째, 프로그램 평가도구 제작에서는 미혼커플관계 탄력성 척도를 제작하였으며, 다섯째 프로그램 실시 단계에서는 예비프로그램 참가자를 선정하고 2개 집단 총 1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여섯째 프로그램 평가 단계에서는 집단원 자체 평가를 통해 탄력성 점수의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하였고, 경험보고서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목표를 달성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이에 마지막으로 최종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커플관계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역경과 스트레스를 ‘단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중요한 깨달음을 주기위한 신호라는 사실을 알아차림으로서 역경과 스트레스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커플관계의 긍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에 있다.

      • KCI등재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 개발

        전지경,양명숙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silience scale for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and to verify its validity. To achieve these objectives, firstly established the concept on resilience of the couple relationship, secondly, developed the resilience scale of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In order to make the resilience scale of the couple relationship, question items relevant to the 5 selected factors were develop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was evaluated by the group of counseling experts(1 counseling majored supervision/professor, 2 professors majored counseling associated, 2 students in counseling doctorate course). The face validity was also checked by 13 graduate and doctorate course students and 27 university students. Eventually, 50 items in the 5 factors were finalized from 112 draft item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actor structure of 50 items was tested. It was done with 257 university students or workers, and as a result, 20 items(4 items for each 5 factors) were selected. The explanation rate of factor structure was 59.442% which was turned out acceptable as the factor structur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done with 800 people by 200 quota samples from unmarried male/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male/female workers.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same construct as tha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alysis in the 5 lower component's fitness rate, all RMR was below .05 and GFI, NFI, IFI, CFI were above .90 which was in adequate range. The five factors model showed the most favorable results of GFI=.947, NFI=.902, IFI=.935, CFI=.934 in the modified model. It is expected to see the resilience factor of the couple relationship developed in this research to be used in counseling and education courses associated with the couple relationship in education field, clinical trials, military, and universities. 본 연구는 미혼 커플관계에서 경험하는 역경과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에 대한 구인을 탐색하고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기존 척도의 고찰, 미혼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질문조사와 개인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5개의 하위구성요인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5개 요인에 대한 112개 1차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5명의 상담전문가 집단의 3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과 상담학 전공 석사 및 박사과정생 13명과 대학생 27명의 안면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최종 5요인 50개의 예비문항이 선정되었다. 이를 미혼 대학생과 직장인 257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5개 요인에 4개 문항씩 총 20문항이 선정되었으며 요인구조는 59.442%의 설명력을 지닌 적합한 요인구조로 나타났다. 요인 1은 커플관계 긍정성, 요인 2는 커플관계 유연성, 요인 3은 커플관계 탈중심성, 요인 4는 사회적지지, 요인 5는 의사소통이었다. 또한, 미혼 대학생과 직장인 80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조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동일한 요인구조로 나타났다. 5개의 하위요인별 적합도 지수에서 모두 RMR은 .05미만, GFI, NFI, IFI, CFI는 .90이상으로 나타나 적합한 지수를 나타내었다. 5요인 모형은 수정된 5요인 모형을 제안하여 적합도 지수 GFI=.947, NFI=.902, IFI=.935, CFI=.934의 매우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 전체 척도에 대한 Cronbach's 계수는 .832이었고, 요인 1은 .737, 요인 2는 .690, 요인 3은 .717, 요인 4는 .816, 요인 5는 .777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는 미혼 남녀가 커플관계에서 탄력적으로 적응하는 정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도구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가 교육현장이나 임상현장, 군 조직 및 대학교에서 커플관계와 관련된 상담 및 교육과정에서 활용되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軍 내 배척병사와 선호병사 및 일반병사의 성격특성 연구 - KMPI를 중심으로

        전지경,이종형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utual relation among the soldiers by using and analyzing KMPI,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hat is in need of monitoring private soldiers.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789 soldiers(alienated:265, preferred:261, general soldiers: 268) of 300 platoons in two division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lower scales, except L scale,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greater than 1 percent. The rank of average scores of each scale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except F scale is alienated soldiers, preferred soldiers, general soldiers, and preferred soldiers Second, there has been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F, K scale of validity and D, Hy, Pd, Pa, Pt, Sc, Si scales of clinical scales after stipulating the ideal category as above 70 points of T-score. Third, the result of KMPI test are classified with four categories; normal, faking good, faking bad, and abnormal.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highest frequency for the positive distort is preferred soldier and for the negative distort and abnormal are alienated soldiers. Keywords : MMPI, KMPI, Personality, Military 본 연구는 군 내 배척병사와 선호병사 및 일반병사의 성격특성을 KMPI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병사들의 생활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개 사단 300개 소대에서 배척병사 265명, 선호병사 261명 및 일반병사 268명, 총 7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PI의 하위 척도 중 L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각 척도별 평균점수는 F척도를 제외하고 배척병사, 일반병사, 선호병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척도의 이상범주를 T점수 70이상으로 규정하고 집단간 차이를 확인해 본 결과 타당도 척도에서는 F, K척도, 임상척도에서는 D, Hs, Hy, Pd, Ma, Pa, Pt, Sc, Si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각 집단에 대한 분류분석을 한 결과 각 4가지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배척병사의 경우 faking-bad 형태의 프로파일이 가장 많았고, 선호병사와 일반병사의 경우 faking-good 형태의 프로파일이 가장 많았다. 주요어 : 성격특성, MMPI, KMPI, 배척병사, 선호병사, 일반병사

      • KCI등재
      • 어린 시절의 꿈과 만성적 신체증상의 관계에 대한 사례연구 : 과정지향심리학 접근을 바탕으로

        전지경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2 No.1

        Process oriented psychology is a new paradigm of the psychological approach of transpersonal psychology. This research presented two cases which dealt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childhood dream and chronic body symptom, and analyzed the relation from a unitary perspective, a developmental issue perspective, and a field phenomenon perspective focusing on the theory of process oriented psycholog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hood dream was connected to the chronic body symptom as well as fundamental pattern or process, and the experience from the childhood dream was converted to the chronic symptom. It also showed that the chronic symptom was connected to the large sociocultural process  rather than the personal process. Through the study on these cases, the expectation and prospect of the process oriented psychology in dealing with the chronic body symptom were suggested. 과정지향심리학(process oriented psychology)은 초 개인심리학 접근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본 논문에서는 어린 시절의 꿈과 만성적 신체증상의 관계를 작업한 국내․외 상담 사례 2가지를 제시하고, 과정지향심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이들의 관계를 비국소적이며 동일체로서의 관점, 어린 시절의 꿈이 질병으로 발전하는 관점, 장이론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이에 어린 시절의 꿈은 만성적 신체증상과 근원적 패턴이나 과정으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어린 시절의 꿈에서 나타난 측면이 신체증상으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만성적 신체증상은 개인의 과정보다 더 큰 사회문화적 과정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상담사례를 통해 만성적 신체증상에 관한 과정지향심리학 접근의 상담효과와 의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의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전지경,양명숙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새로 도입되는 개념인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탄력적인 커플관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한 조사연구와 개방형 질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의 구성요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들 연구에서는 전문가 그룹의 합의에 의한 질적연구방법(CQR)을 활용하였다. 개인면접조사의 연구대상은 커플관계 탄력성을 주제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17명 중 선정기준에 의해 커플관계 탄력성이 높게 평가된 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개방형 질문조사는 할당표집을 통해 미혼의 대학생 남녀, 직장인 남녀 각 50명씩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의 5개의 구성요인이 도출되었는데, 이는 커플관계 긍정성, 커플관계 유연성, 커플관계 탈중심성, 사회적지지, 의사소통이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이란 ‘커플관계에 대한 개인의 탄력성을 의미하며, 커플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측면에서의 역경이나 갈등을 긍정적, 유연적, 탈중심적으로 적응해 내는 개인의 능력이며 사회적지지 체계를 지니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탄력적인 커플관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의 특성 분석을 통하여 실제적인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의 개념과 하위특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하여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 연구가 명확한 이론적 근거를 갖고 다양한 연구로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We developed the concept of the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by understandings from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survey study’ wit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open-type questionnaires. Theoretical research was focused on finding a relevant resilience of couple relationship in foreign and domestic papers and classifying sub-components by the similarity of the concept to the resilience of the couple relationship. In the personal interviews, we selected 5 people from 17 participants who showed higher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open type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with 200 people by the quota sampling of 50 people from unmarried male/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workers. As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had 5 characteristics - Positivity, Flexibility, Decentralization,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is research,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can be defined as the personal durability in the couple relationship and the ability to adapt oneself positively, flexibly and decentriely to the adversities and conflicts, to possess and utilize the social support system, and to communicate effective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practical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through analyz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s.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es will be explor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