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자 사상으로 본 한국 다문화사회의 갈등 원인과 대안

        장지혜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3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14 No.-

        The study focuses on proposing Laozi’s philosophy to understand the causes of conflicts in Korean society and presents a solution centered around the role of a leader and the qualities required for conflict resolution in multicultural settings. 1. Understanding the Causes of Conflicts: The study examines the causes and types of conflicts in Korean society. By drawing on the ideas of daodejing, it aim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auses of conflicts, including conflicts in Korean society as a whole and conflicts within multicultural societies. 2. The Role of a Leader in Multicultural Conflict Resolution: From a philosophical standpoint, the study analyzes the required social spirit to solve the conflicts arising in multicultural societies. It suggests that the resolution of conflicts in a multicultural society necessitates the presence of a leader at the forefront. 3. Ideal Leadership Model: By delving into Laozi’s teachings, particularly concepts like the ‘saint’ and ‘goodness,’ the study examines the qualities and attitudes that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executives, working to address and solve these conflicts, should possess. Laozi’s teachings are presented as a model for conflict resolution. 본 연구는 사회문화의 근간이 되는 철학적 관점에서 다문화사회의 갈등의 원인을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한국 사회의 갈등의 원인과 종류를 살펴본 후 도덕경속에 나타난 노자의 사상을 통해 한국 사회의 전반적갈등이나 다문화사회의 갈등과 같은 갈등들의 발생 원인에 대해 이해하였다. 둘째, 기존의 철학적 관점에서의 다문화사회 문제해결 방법을 사회 전체가 가져야 할 정신이 무엇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사회의 갈등에 대한 문제해결을 하기 위한 중심에는 리더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셋째, 갈등해결사 모델로도덕경 속에서 이상적 리더쉽으로 제시된 ‘聖人’과 ‘善’의 의미 분석을 통해 문제해결을 위해 일하는 정치나 행정의 집행자들이 가져야 할 태도 및 정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공공갈등 유형별 원인과 대응방안의 탐색적 연구

        김대중(Dae-Joong Kim),오영석(Young-seak Oh),왕서정(Seo-Jeong Wang) 한국정책과학학회 201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공공갈등 전반에 걸쳐 갈등을 유형화하고, 각 갈등유형별 발생 원인과 대응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와는 달리 공공갈등의 특정 영역이나 사례중심에서 벗어나 좀 더 정책적 활용 모색이라는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공공갈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 기법이 활용되어졌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검토와 전문가 집단 논의를 거쳐 공공갈등은 정책 유형과 연계하여 8개 유형(정치, 국방, 남북, 복지, 경제, 노사, 에너지,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8개의 유형에 대한 2차례의 델파이 조사가 이루어졌다. 델파이 조사 결과, 각각의 유형별로 차별적으로 우선시 고려되어야 할 갈등 발생 원인과 대응방안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복지, 경제, 그리고 노사갈등의 주요원인이 ‘이해관계자 경제적 이익 충돌’이 반면에 남북갈등은 ‘이해관계자 간 가치적 대립’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공공 갈등유형에 관계없이 갈등 예방, 관리 및 해결의 일반 원칙이 발견된다. 그 일반적인 원칙은 ‘공감대 형성’→‘사전협의’→‘이행’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어진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공공갈등 유형에 대한 원인과 대응방안의 정보가 정책 대상 영역과 상호 연계되어 있어 정책적 활용으로 이어지는 측면의 결과의 함의가 발견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conflicts in the whole of public conflicts and to find out the causes and resolutions for each type of conflicts. In this study, unlike previous preceding studies,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an expert Delphi survey of the causes and methods of conflict by classifying conflict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ts related to each type of conflict. In this study, public conflicts were classified into eight types (politics, defense, inter-Korean, welfare, economy, labor, energy, and region) after prior research and collective discussion by experts. When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it is found that there exist causes and resolu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differently for each type. While the main cause of welfare/economic/labor conflicts was the economic value conflict between stakeholders, inter-Korean conflicts were found to be "idealogical value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In addition, general principles for preventing, managing and resolving conflicts regardless of the types of public conflicts are found. The general principle appears in the form of "collaboratory formation"→"pre-agreement"→ "implementation". Finally, information on causes and methods for public conflict types are linked to policy area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lead to policy utilization.

      • KCI등재

        사회갈등의 원인에 따른 국회, 정부, 대통령의 책임 연구: 갈등유형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희정 ( Hi Jeong Yu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6 의정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사회갈등의 원인과 국회, 정부, 대통령의 갈등 책임 간 영향관계에 있어서, 갈등유형별 심각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갈등에 대한 국회·정부·대통령의 공동 책임이 강화되어야 할 부문은 사회갈등 조정 제도의 확립과 노사갈등의 심화에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둘째, 이념갈등의 심각성은 국회 및 대통령의 사회갈등에 대한책임에, 계층갈등의 심각성은 국회의 책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셋째, 사회갈등의 원인 중에서 갈등당사자간 상호의존성과 상호이해는 국회 및 대통령의 책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세대·계층·환경·노사·지역갈등의 심각성은 사회갈등 발생의 원인이 국회·대통령·정부 책임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회갈등 발생 원인의 근본적 해결이 국회·정부·대통령의 책임과 연계되어야 하며, 관리적·제도적 접근이 사회갈등 유형별로 구체화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Given the few studies on the responsibilities of assembly, government, and president for social conflicts,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conflict causes upon that responsibilities. First, the need for the mediation mechanisms for dealing with social conflicts and the level of labor-management conflic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esponsibilities of assembly, government, and president. Second, the levels of conflict between social strata and ideological conflict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responsibility of assembly or president. Third, interdependence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stakeholder, among independent variable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esponsibilities of assembly and president. Finally, all of the levels of conflict types, except the level of ideological conflict, moderate the effects of conflict causes on the responsibilities of assembly, government, and president. These results reflect the importance of managerial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to the conflict resolution focused on conflict causes and types.

      • KCI등재

        갈등원인이 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쟁점요인과 매개요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임동진,윤수재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行政論叢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flict intensity due to causes of public conflict, and to suggest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set up research hypotheses and conducted a survey of 165 people involved in public conflicts (civil servants, experts, and NGO members). The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social inequit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ore factors (e.g., conflict of interest, one-sided assertion, change of goals) generating public conflicts. Second, among the core factors, conflict of interes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flict intensity, while one-sided assertion does not influence it statistically and change goals shows a negative impact on the intensity of conflict. Third, the main factors in order of importance influencing the intensity of conflict are lack of trust (Beta=0.261), insufficient procedures (Beta=0.254), conflict of interest (Beta=0.205), and change goals (Beta=-0.210). This means that the mediating factors (lack of trust, insufficient procedures) rather than the core factors in public conflicts (e.g., conflict of interest, one-sided assertion, change goals) more exacerbate the level of public conflicts. Final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egree to which the mediating factors influence the level of conflict show that the total effect, where conflict of interest influences conflict intensity through mediating factors, is 0.357 (mediator effect = 0.182), next that the total effect of goal changes is –0.168 (mediator effect = 0.04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갈등의 원인들이 갈등수준(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고,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공무원, 전문가, NGO 관계자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불평등은 공공갈등을 일으키는 쟁점요인(이해상충, 일방주장, 목표변화)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갈등쟁점요인 중 이해상충은 갈등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방주장은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목표변화는 갈등수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갈등수준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신뢰부족(Beta=0.261), 절차미흡(Beta=0.254), 이해상충(Beta=0.205), 목표변화(Beta=-0.210)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갈등핵심요인(이해관계, 일방주장, 목표변화)보다는 갈등매개요인(신뢰부족, 절차미흡)이 공공갈등의 수준(강도)을 더 악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갈등매개요인이 갈등수준을 얼마나 증가(감소)시키는지에 대한 영향에 대한 효과분석 결과, 이해상충이 갈등매개요인을 통해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가 0.387(매개효과=0.182)로 가장 크고, 그 다음이 목표변화로 총 효과는 –0.168(매개효과=0.042)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개성공업지구 갈등원인의 유형 분석

        김미연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0 통일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causes of conflict cases that occurred in the Kaesong Industrial District(‘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KIC constructed in the form of an industrial complex in the North Korean territory, and the matter that the origins of the conflict vary due to its main body of operation which is South Korean governmen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tenant compan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deeply about the conflict pattern of the KIC for the success of KIC. However, the scope of analysis is limited in that the existing research on conflict related to the KIC limits individual conflicts to the subject. It is necessary to extract and typify the causes from various conflict cases and analyze them in detail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KIC project that appears as a conflict. In this respect, this study categorized the causes of all the conflict cases that occurred in the KIC from 2004 to 2016. It is categorized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and presented implications for conflict manag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perception of conflict by using actual conflict experienced subjects as research subjects.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in subjective areas. 본 연구는 개성공단 내에서 발생한 갈등사례의 원인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개성공단은 북한지역에 산업단지 형태로 조성하였고 운영주체가 남한 정부, 북한 당국, 입주기업 3자라는 점에서 갈등원인이 다양하다. 그러므로 개성공단 갈등양상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갈등을 관리하는 것은 개성공단사업의 원만한 추진을 위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성공단 갈등 관련 기존 연구는 개별 갈등을 주제로 한정한다는 점에서 분석범위가 제한적이다. 갈등으로 나타나는 개성공단사업의 문제점 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갈등사례에서 원인을 추출, 유형화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개성공단 조성을 시작한 2004년부터 2016년 개성공단사업 전면중단 이전까지 개성공단 내에서 발생한 제반 갈등사례의 원인을 Q방법론을 적용하여 유형화한 후 갈등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갈등 경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갈등에 관한 인식을 계량적으로 측정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관적 영역을 주제로 한 북한연구의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환경갈등의 발생원인과 구조분석-계룡산자연사박물관 건립사례를 중심으로

        최진하,이진헌 한국환경정책학회 2004 環境政策 Vol.12 No.2

        This study were purposed to do the causing factors and structure analysis about the environmental conflicts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Natural History Museum at Gyeryong-Mountain. We surveyed 95 persons who were Government Officers and environmental NGO's in Chungnam-do, with questionnaire on August 2003.We analyzed factor I, II, and III from 25 environmental conflict causes. The explanatory power were 33.1% at factor I, 23.6% at factor II and 14.5% at factor III, respectively. Factor I included 12 conflict causes, which has the communality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Factor II included 5 conflict causes, which has the communality of ‘Environment-Economy'. Factor III included 5 conflict causes, which has the communality of ‘Political Factor'. Chronbach's α were 0.9271 at factor I, 0.9316 at factor II, and 0.8710 at factor III, respectively.The responses of females, 20 ages and NGO's were very negative at all factors, such as ‘Administrative Procedures Factor', ‘Environment-Economy Factor', and ‘Political Factor'. Their respon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0 ages and 50 ages(p<0.05), and between Government Officers and NGO's(p=0.000).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of conflict level with factor I, II and III was Y=4.526 - 0.466(factor I) - 0.272(Factor II) - 0.118(factor III)(R=0.478).We concluded that the first major factor was ‘Administrative Procedures Factor', and next were ‘Environment-Economy Factor' and ‘Political Factor' at conflict causes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Natural History Museum at Gyeryong-Mountain. And also depending to be NGO's 20 ages-female, their response were negative.

      • KCI등재

        지역축제와 주민의 갈등원인, 갈등관리, 축제성과와의 영향관계 연구 :횡성한우축제를 중심으로

        고미경,양희원,송운강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8

        This study is identified the causes of conflicts arising out of local festivals and implications for conflict management and festival performance. To this end, a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analysis of the Hoengseong Hanu Festival, which is currently in sharp conflict. And acquisitions of 292 validated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Analysis used SPSS 22 program, and conducted an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establish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derived through exploratory factors analysis. Research has shown that due to conflicts of interest, economic selfishness, hinder local development, communication disorder, and target difference in the management of conflicts have resulted in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onflict management. Cooperation and assertion in conflict management have shown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the festival, while evasion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Moreover, it appears that it is important to resolve the conflicts between the participating parties and the local residents in the region because of the relatively high incidence of conflict, such as avoidance of conflict and contention, and the formation of conflict between the participating parties and the local residents. These analys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eline for reducing conflicts with local residents as well as research and management of local festivals that have been insufficient to manage them. 본 연구는 지역축제에서 나타나는 갈등원인과 갈등관리, 축제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해 현재 축제를 둘러싼 지역 내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횡성한우축제를 사례로 지역민 대상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292부의 유효표본을 획득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은 SPSS 22를 이용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인 간 인과관계를 설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갈등원인으로 경제적 이기심, 지역개발 저해, 의사소통의 장애, 목표의 차이가 도출되었으며 갈등관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갈등관리 가운데 협조와 주장은 축제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회피의 경우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회피, 주장 등 부정적인 갈등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횡성한우축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참여 주체와 지역주민 간 갈등 해소 및 협력관계 형성이 우선 과제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그동안 미흡하였던지역축제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지역주민과의 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장과 교감 간 갈등에 관한 연구

        이정림(Lee, Jung-Rim),조흥순(Cho, Heung-Soon)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감이 교장과의 관계에서 겪는 갈등의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로서 교감이 교장과의 관계에서 겪는 갈등이 초래하는 현상, 갈등의 유발요인, 갈등의 관리방식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심층면담에 의한 질적연구이며, 대상은 서울 초등학교 교감 8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갈등이 초래하는 현상은 업무능률의 저하, 부정적 감정 지배, 건강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갈등의 유발요인으로는 직무수행갈등, 역할기대 갈등, 권한 갈등, 신념 및 리더십 갈등, 인격적 갈등, 좌절 갈등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교감의 갈등 관리방식은 관계 회피방식, 형식적 순응방식, 타협과 설득방식, 정면 돌파방식, 직장 이탈방식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장과 교감의 갈등해결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감과 교장의 갈등을 근본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는 법적으로 모호한 교감의 권한과 책임 그리고 교장 보좌의 범위 등을 법령으로 구체적으로 명시화해야 한다. 둘째, 교육청 차원에서 분기별, 혹은 학기별 교감 상담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교장과 교감과의 갈등을 예방하거나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부 차원의 정책적·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in-depth aspects of the conflict that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s face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 For this purpose, research problems were analyzed by setting up and analyzing the phenomena, causes of conflicts, and methods of managing conflicts that the vice-principal experienced in relation to the principal. The research method is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in-depth interviews, and the target was eight vice principals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irst of all, the phenomena that conflict leads to decreased work efficiency, negative emotional dominance, and health abnormalities. Second, the causes of conflicts were identified as job performance conflicts, role expectation conflicts, authority conflicts, belief and leadership conflicts, personality conflicts, frustration conflicts, and informal organizational conflicts. Third, the conflict management method of communion emerged as relationship avoidance method, formal adaptation method, compromise and persuasion method, head-on breakthrough method and workplace departure method. Based on this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e principal and the principal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사회 갈등의 원인 및 관리에 대한 연구: 갈등유형별 특성을 중심으로

        유희정 ( Hijeong Yu ),이숙종 ( Sookjong Lee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6 한국사회 Vol.17 No.1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갈등수준을 측정하고, 갈등유형 별로 원인 및 관리에 대한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다수의 시민들이 사회갈등 수준을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인 유형별로는 계층ㆍ계급갈등과 이념갈등을 공공 및 지역갈등 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둘째, 연령, 거주 지역, 직업상의 이유로 갈등쟁점에 노출될 확률이 높을수록 사회갈등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셋째, 한국사회의 전반적 갈등수준을 심각하게 인식할수록 갈등의 내ㆍ외부적 원인에 동의하는 수준이 높고, 갈등기능 및 해결의 관리방식에 대한 인식차이가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계층ㆍ계급갈등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집단에서 사회갈등의 외부적 원인과 순기능에 대해 동의하는 수준이 높고, 갈등해결의 관리방식 중에서 법원판결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공 및 지역갈등 유형의 경우 갈등수준에 따라 사회갈등의 내부적 원인과 갈등의 역기능 정도를 다르게 인식하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념갈등 수준별로는 사회갈등의 내ㆍ외부적 원인과 갈등기능의 인식차이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회갈등유형별 원인이 당사자들 간의 상호작용과 사회구조적 접근을 통해 명확히 규명되고, 사회갈등의 건설적 전개를 위한 관리 방식이 다양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measures Koreans’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in causes and managements of conflict types. On average, the level of social conflicts citizens perceive is above 3 on the 5-point Likert scale and the levels of public and regional conflicts are lower than other types. Citizens are often exposed to conflict issues regarding socioeconomic status consider social conflicts as much more serious problems. The research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uses and managements in terms of social stratification, public, regional, and ideological conflict. These results show, to understand causes of conflict, it is helpful to consider interaction attributes among stakeholders based on the socioeconomic structure. In addition, our findings imply that Korean government needs to focus on the strategic managements by conflict types.

      • KCI등재

        이중 관심사 이론을 적용한 공공갈등 사례연구:서울-광명 간 동부천 I/C 설치를 중심으로

        오선영 한국도시행정학회 2023 도시 행정 학보 Vol.36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ongoing conflict situation in the Dongbucheon IC section. Therefo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levant stakeholders and literature reviews, we analyzed the stakeholders, issues, and negotiation methods of the conflict.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ain stakeholders in this case ar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West Seoul Expressway Co., Ltd., who are trying to implement the road project, and the opposition is the Dongbucheon IC Countermeasure Committee and civic groups. As a research method, we analyzed whether the four basic requirements for negotiation proposed by Lax & Sebenius (1986) are met in the case study, and despite the four basic requirements being met, we applied the social conflict progression process of Pruitt & Rubin (1986) to the Dual Concern Theory to diagnose how both sides are currently dealing with the conflict in order to find out why negotiations are not taking place. As a result, the progress of social conflict is currently stuck in a deadlock where the conflict is maintained after repeating the amplification of conflict and deadlock. The result of the Dual Concern Theory is that the project implementers are consistently in a state of competition and pressure without a single concession to gain their own benefits, and the stakeholders of Bucheon City have taken the form of concessions to their own wishes by proposing the formation of two civil-government consultative bodies, but the competitive tactics of the implementers who think of their own benefits are so great that it is not easy to find a point of conflict resolution. The fact that a case that has the basic elements for such negotiations to take place has not resolved the conflict for 13 years is suspected to have problems in the method of information sharing or communication with Bucheon City, and future follow-up research needs to analyze Bucheon City's attitude towards public conflict management through past conflict cases. 본 연구는 현재 진행 중인 동부천IC 구간의 갈등 상황에 초점을 둔 연구이다. 따라서 관련 이해 관계자 심층면접과 문헌검토를 통해 갈등의 이해관계자와, 쟁점, 갈등의 협의방식을 내용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사례의 주요 이해관계자는 도로 사업을 시행하려는 측인 국토부와 ㈜서서울고속도로 이에 반대하는 측은 동부천IC 반대대책위원회와 시민단체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로 Lax & Sebenius(1986)가 제안한 협상이 이루어지기 위한 4가지 기본요건이 갖추어져 있는지 분석하였고, 4가지 기본요건들이 갖추어져 있음에도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찾기 위해 Pruitt & Rubin(1986)의 사회적 갈등 진행 과정을 이중 관심사 이론(Dual Concern Theory)에 적용하여 현재 양측이 어떤 마음으로 갈등에 대처하고 있는지 진단해 보았다. 그 결과 사회적 갈등의 진행과정은 갈등의 증폭과 교착상태를 반복하며 갈등이 유지되는 교착상태에 갇혀 있다고 진단되었다. 사업시행사측은 자신들만의 이익을 얻기 위해 한 치의 양보 없이 경쟁 및 강압으로 일관하고 있고, 부천시의 이해관계자측은 두 번의 민관협의회 구성을 제안하며 자신들의 뜻을 양보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자신의 이익을 생각하는 시행사의 경쟁적 전술이 너무 커서 갈등해결의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협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본적인 요소도 갖추어져 있는 사례가 13년 동안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부천시와의 정보공유나 소통방법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바, 향후 후속 연구로 과거 갈등사례를 통해 공공갈등관리에 대한 부천시의 태도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