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이미지 유형에 따른 도시브랜드 정체성 형성의 영향요인

        권재경,최원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최근 들어 도시의 성장환경 변화와 미디어의 발달로 도시들은 국내․외적으로 치열한 경쟁구도에 있다. 따라서 시민의 공감과 공유를 통한 도시이미지와 도시브랜드 정체성은 도시의 생존과 발전과정에 반드시 필요하고, 도시는 하나의 브랜드로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는 시각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삶의 질로서 도시이미지의 수준을 설명하기도 하며 때론 개방화, 현대화, 정체성, 안정성이라는 추상적 사안으로 도시이미지를 유형화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도시이미지 유형인 실체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 유형에 따라 도시브랜드 정체성의 구성요인인 태도, 인지도, 선호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하여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분석이 비교적 용이하고 응용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는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절차를 통해 그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도시이미지의 실체적 이미지 구성요인(도시시설, 자연환경, 도시공간, 도시환경)과 도시이미지의 상징적 이미지 구성요인(역사성, 도시생활기반, 도시기능, 외적이미지)은 도시브랜드 정체성의 구성요인(태도, 인지도, 선호도, 충성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도시 정책 수립자와 도시브랜딩 플래너에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시민이 도시이미지와 도시브랜드 정체성을 통하여 기쁨, 즐거움, 행복감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되면, 도시이미지의 실체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에 따라 도시브랜드 정체성 형성의 영향이 증가하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다. 둘째, 도시브랜드 정체성에 긍정적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도시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마케팅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고, 도시브랜드 정체성에 대한 의미를 보다 다차원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도시이미지의 실체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에 따른 도시브랜드의 정체성에 대한 효과적인 실천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다시 말해, 도시이미지의 다양한 유형과 도시브랜드 정체성에 기초한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도시브랜딩을 실시하고,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전략에 활용하여야한다는 의미이기도하다. 결국,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도시환경에서는 도시브랜드의 차별적인 경쟁우위의 확보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여 적극적이고 전략적 관리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re are cities in competition composition that is heavy into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by growth environment change of city and development of media. Therefore, city image and city brand identity through sympathy and public ownership of citizen need in survival and development process of city. and, city by a brand continuous, is examined systematically and actively. This study is empirical study on effective factor of city brand identity formation by city image type. Therefore, substantial image factor and symbolic image factor of city image analyz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about factor that influence to attitude, awareness, preference, loyalty of city brand. also, searche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cision and analysis method to inquire effect factor of city image and city brand identity. If summarize result that appear in this research, was expose that (city facilities, natural environment, city space, city environment) that is city image's substantial image main point and symbolic image factor (it is history attribute, city life base, city function, image) of city image causes all effects to city brand identity factor (attitude, cognition, preference, loyalty). Finally, security of discriminating competition of city brand may have to recognize deeply that first of all is important, and look for strategic administration plan in city environment that change.

      • KCI등재

        도시 브랜드 개발을 통한 도시 이미지 구축에 대한 연구

        윤옥경(Ok Kyong Y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6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새로운 도시 브랜드인 ``메디시티 대구``의 등장 과정을 살폈다. 또한, 이 연구는 또한 ``메디시티 대구``라는 브랜드가 가지는 수동적인 장소 이미지와 능동적인 장소 이미지를 고찰하였다. 수동적인 장소 이미지는 이 도시 브랜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여 파악되었다. 반면에, 능동적인 장소 이미지는 도시 당국과 홍보관계자들이 이 브랜드를 통해 구축하려는 도시 이미지 전략과 더불어 이미지 구현을 위한 경관과 이벤트 등을 통해 파악되었다. 대구광역시는 ``메디시티``라는 새로운 도시 이미지를 이용하여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의도와 달리 새로운 도시 이미지 확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의료산업이나 의료서비스를 도시이미지로 내세우는 다른 도시들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This study reviews in detail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Medicity Daegu``, new city brand of Daeg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also analyses both passive and active aspects of place image named ``Medicity Daegu``. To reveal passive images toward the city`s new brand name,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On the other hand, active images are explored by analyzing strategies the city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s has adopted for the image-making and examining diverse landscapes and events the city have taken place. It was expected in the first place that the new image could help the city make more competitive, and boost its regional economy through the spread of the new city image. However, the city has currently faced difficulties to spread the new city image and has a limitation to acquire uniquely distinctive image because of overlapped images pursued by other city governments in the fields of medical industry and medical services. Some considerations are then suggested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image of "Medicity Daegu".

      • KCI등재

        제주향토음식이미지가 관광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제주방문 관광객의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최광수(Choi Kwang-soo) 제주학회 2018 濟州島硏究 Vol.50 No.-

        본 연구는 제주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제주음식이미지와 관광지역 이미지를 파악하여, 제주음식이미지에 의해 제주관광지역이미지형성과 관련하여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제주음식의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제주음식이미지가 관광지이미지인 관광도시이미지 요인에는 전통 이미지(.317)과 지역이미지(.301)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절도시이미지 요인에는 청정이미지(.110), 지역이미지(.195), 메뉴이미지(.327), 거리이미지(.203)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광지역이미지인 홍보도시이미지 요인에는 청정이미지(.315), 전통이미지(.149)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락도시이미지 요인에는 청정이미지(.255), 지역이미지(.259), 메뉴이미지(.164), 거리이미지(.179))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지 이미지를 제주향토음식이미지로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이미지와 청정이미지를 높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광지역이미지가 관광객 만족에 대한 영향력은 관광도시(.238), 홍보도시(.429), 위락도시(.222)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객 만족도를 위해서는 관광도시이미지 중 관광도시, 홍보도시, 위락도시 이미지를 높이였을 경우 관광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관광도시이미지 중 홍보도시이미지 인 제주에 대한 명성과 평판, 안내 정보 습득이 용이, 쾌적한 숙박시설의 구축, 관광 홍보를 높여서 관광객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지에서 음식으로부터 생긴 이미지가 관광객을 증가 시킬 수 있는 하나의 요인으로 지역의 향토 음식 관련된 자료를 개발하고 스토리텔링 함으로써 관광지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관광자원임을 증명하였으며, 서비스 품질에 대한 개선, 향토음식을 이용한 활동, 체험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of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of Jeju food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Jeju food image and image of Jeju tourist image on the tourism image of Jeju.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aditional image(.317) and the regional image(.301) were influenced by the image of the tourist city, which is the image of the tourist image of Jeju food, and the clean image (.110), the local image(.195), the menu image(.327), and the street image(.203) was found to affect the friendly city image. In addition, the PR city image factor which is the tourism area image was influenced by the clean city image (.315), and the traditional image(.149). While, the entertainment city image factor was decided by the clean city image(.255), the local image(.259), the menu image (.164), and the street image(.179). This suggests that the local image and the clean city image should be raised in order to enhance Jeju tourism image with the Jeju local food image. The influence of tourism image on tourist satisfaction is higher in the PR city (.429), tourism city (.238), and entertainment city(.222). This means that the images of tourist city, PR city and entertainment city should be raised in order to satisfy tourists.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satisfy tourists by increasing reputation of Jeju, easiness to acquire guidance information, the number of comfortable accommodations, and promoting Jeju tourism. Therefore, it is proved that the local food image can enhance the tourism image by developing and storytelling related materials of local food.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service quality and develop hands-on activity programs in relation to local food.

      • KCI등재

        도시이미지 결정요인과 도시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 비교

        김훈 ( Hoon Kim ),송윤환 ( Yun Hwan Song ) 국제지역학회 2007 국제지역연구 Vol.11 No.1

        지방자치단체의 도입과 정착으로 도시마케팅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마케팅의 핵심인 도시이미지 결정요인 도출과 도시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의 차이를 비교하고 도시이미지와 관광희망도시 선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도시이미지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문헌조사 및 전문가와의 집단토의를 통해 51개 도시이미지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51개의 도시이미지 구성요소를 대상으로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을 통하여 8개의 도시이미지 결정요인(주거편의, 시민성, 역사문화, 도시발전가능성, 휴양의료, 자연환경, 보수성, 경제수준)을 도출하였다. 도시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을 비교하기 위하여 서울, 대구 및 제천, 영천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대도시(서울, 대구)의 도시이미지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시발전가능성과 경제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소도시(제천, 영천)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민성, 역사문화, 보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importance of city image increases as regional governments competition becomes fierce. As a result, many regional governments have adopted city marketing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eterminants of city image and suggests strategic directions of city marketing. In study 1, we derived relevant variables of city image and identified 8 image factors by literature review and group discussion of city marketing specialists. In study 2, we compared main determinants of city image between big city(Seoul, Daegu) and small city(Jecheon, Youngcheon). By multivariate analysis, we focused 8 determinants of city image; live convenience, citizen consciousness, history · culture, development capability, nature environment, relax. medical treatment, conservatism, economic standard. We found that big citys` image is mainly influenced by development capability, economic standard factors while small city image is determined by citizen consciousness, history · culture, conservatism. The implications of this result for city marketer and researchers are discussed.

      • KCI등재

        The Effects of City Brand Image on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Do-Heon Kim 한국유통과학회 2018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9 No.3

        Purpose - Competition among cities around the world are rapidly shifting from competition of production factors such as labor costs and quality of raw materials to competition between the consumption factors such as quality of life, settlement environment, culture, and place. The entry into the era of competition between consumption factors is not only attracting investment for strengthening city competitiveness, but also actively inducing urban image reconstruction and new image making. Therefore, various studies related to urban marketing are being carried ou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ty brand image on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external citizens about Changwon c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Seoul and Busan citizens.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progra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by using the AMOS program. Results -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six hypotheses were adopted among the nine hypotheses. In summary, pleasant image, dynamic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ity brand recognition. The magnanimous im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ity brand recognition. In the impact of city brand image on city loyalty, magnanimous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ity loyalty. Pleasant images and dynamic imag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ity loyalty. In addition, city brand recognition positively influenced city loyalty. Conclusions - First,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re is an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n its contribution to regional revitalization by investigating mutual influences in urban aspect by combining place marketing with image, recognition, and loyalty. Secondly, kinetic images such as pleasant image and dynamic image have more influence on recognition, and static images such as magnanimous images have more influence on loyalty. So,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ories. Finally, In order to increase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to local city,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urban images such as pleasant image, magnanimous image, dynamic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 KCI등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부천시 도시이미지 사례연구

        최윤선(Choi, Yun Se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부천시는 5대 전략사업의 하나로 만화영상 사업을 진행해 왔고 만화 테마거리 조성과 함께 만화 관련 사업들을 지속 추진하며 만화 도시로서의 이미지를 축적해 왔다. 그 결과물로 부천시 도시 곳곳에 만화를 활용한 거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천의 대표적인 3대 축제인 부천국제만화축제는 아시아 최고의 축제로 평가 받으며 많은 관광객이 축제를 보기위해 방문한다. 부천은 ‘문화도시 부천’이란 슬로건으로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왔고 만화축제와 더불어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및 만화박물관이 부천에 입주해 있어서 만화콘텐츠로서 도시이미지 구축의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부천시의 문화적 자원인 만화콘텐츠가 도시의 활력을 제고할 수 있는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천의 도시이미지 자원으로서의 만화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부천시 정책과 사업안에서의 만화와의 관계와 부천시 도시에 흩어져 있는 유형자원과 무형자원으로서의 만화도시 이미지를 찾아보고 만화 관련 도시이미지가 잘 나타난 국내사례를 연구한 결과 동피랑벽화거리는 벽화중심 명소 형성전략 강풀의 만화거리는 이야기 기반 벽화 연계전략, 명동재미로는 유무형 자원 복합형 연계전략 이었고 해외사례로 일본의 미즈키시게루 로드(요괴마을)는 이야기 기반 명소 형성 전략, 앙굴렘은 축제기반 유무형 자원복합형 전략 이었다. 부천의 만화를 활용한 사례로 부천상상거리는 유무형 자원 복합형 연계 전략과 함께 산학관 연계 프로그램 운영이 이루어져 타 지역에 비해 만화도시이미지 구축에 공헌할 수 있는 가능성 측면에서 우수한 사례로 분석되었다. 소사공구거리는 벽화 중심 명소 형성 전략으로 분석되었다. 부천은 타도시에 비해 부천시 문화정책 추진과 함께 만화 관련 유무형 자원이 풍부하여 만화 기반 도시 이미지 형성 및 제고에 유리한 도시로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이 가능한 도시이다. 문화적 도시 재생의 성패는 총체적 도시 이미지 형성에 달려 있다. 단순한 조형과 시각적 요소를 넘어서서 도시 내 핵심 자원인 부천시 문화육성 정책과 교육기관인 대학 내에 관련인재 양성, 만화관련 산업 연계 등 무형자원과 조형물 등 유형자원의 유기적 결합 및 관리에 기초한 중장기적 도시 이미지 구축 전략 수립과 지속적인 관리가 시행 될 때 보다 특색 있는 부천시 도시이미지가 구축될 것이다. Bucheon City has implemented a cartoon screen project as one of the city’s five strategic businesses. The city has continued to carry out a series of projects relating to cartoon along with the building of comic streets, accumulating the city image as a city of cartoon. As a result, there are numerous cartoon streets in every corner of the city and many tourists visit the city to see Bucheon International Cartoon Festival, one of the three biggest festivals in Bucheon known as the best festival in Asia. The fact that Bucheon has stablished its image under the slogan of `the Cultural City Bucheon` and the existence of the Korea Manhwa Contents Agency and the Manhwa Museum as well as the cartoon festival in the city increases the chance to build its urban image with cartoon contents. This paper is aimed at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artoon contents, the cultural asset of Bucheon city, in regenerating a cultural city that will energize the urban atmosphere. In order to verify the potentiality of cartoon as a cultural property creating a city image, it examined the image of a comic city everywhere in the form of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as well as the relation between the policy and the cartoon as a business of Bucheon. Then, it studied domestic cases that best represent the image of a comic c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ongpirang Mural Street in Busan turned out to be a strategy to form a mural-centered attraction, the Kang Full Cartoon Alley to be a story-based strategy associated with mural, and the Jaemiro, a cartoon street in Myeong-dong to be a hybrid strategy that combined tangible resources and intangible resources. The overseas cases include the Mizuki Shigeru Road (a ghost village) in Japan and the Angouleme in Paris. The former was a strategy to form a story-based attraction and the latter was a festival-based hybrid strategy that combined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The Imaginative Road in Bucheon that uses cartoons is evaluated as a modeling case in terms of its potentiality that will lead Bucheon to have an image of comic city. On the street, a program connecting industry, academy and government is operated along with the hybrid strategy that combines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The Sosa Tool Street is analyzed as a strategy to create a mural-centered attraction. Compared with other cities, Bucheon is of good advantage to build and develop the image of a comic city because it is rich in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related to cartoons and quite a number of cultural policies are promoted in the city. The urban regeneration using culture is possible in Bucheon. The success and failure of cultural city regeneration is dependent upon whether a comprehensive urban image can be created. To establish a unique urban image, it is required more than mere formative and visual efforts. That is to say, the city needs a mid-and-long term urban imaging strategy that organically combines both tangible assets and intangible assets along with continuous management. The intangible assets, the core resources in the city include its cultural formation policy, the cultivation of talented manpower in educational institutes such as universities and the connection with a comic industry, and tangible assets include three dimensional artworks.

      • KCI등재

        경관계획을 위한 도시 이미지 설정 방안 연구 ― 과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홍관종 ( Hong Kwan-jong ),정윤희 ( Jung Yun-hee ),신영선 ( Shin Young-sun ),강영은 ( Kang Young-eun ),권윤구 ( Kwon Yoon-ku ),유미경 ( Yoo Mi-kyoung ),변재상 ( Byeon Jae-sang ),임승빈 ( Im Seung-bin ) 한국경관학회 2009 한국경관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경관계획을 수립하기에 앞서 경관계획의 기본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시의 정체성 및 이미지를 살펴보고,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경관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도시 이미지를 설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과천시를 대상으로 현재 과천시의 이미지 및 미래의 바람직한 도시 이미지를 대응일치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하고, 과천시를 대표하는 지형지물의 이미지 및 도시 전체 이미지를 다차원 척도법(MDS)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한 후 과천시에 적합한 대표 지형·지물 및 랜드마크 이미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과천시의 도시 유형은 전원도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과천시의 바람직한 도시 유형 또한 전원도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전국의 주요 도시 유형과 도시들 간의 관계를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과천시는 자연도시, 전원도시의 특성을 다른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천시 대표 지형 및 지물로는 ‘관악산’과 ‘서울대공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천시 대표 지형지물의 이미지와 과천시 전체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과천시 이미지에 부합하는 랜드마크는 중앙공원과 시민회관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도시 이미지 형성 및 경관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도시 이미지 향상을 위한 경관계획 기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ity image in devising landscape planning by examining the image, the identity of cities and analyzing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image of the cities as a method to deduce a fundamental course of landscape planning before establishing landscape planning. With these results, the study derived city image of Gwacheon and appropriate city image of the future by applying Correspondence analysis, then present appropriate representative geographic form, man made feature and landmark image by applying MDS(Multi dimension scaling), the method to compare each other to represent Gwa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t the present, the city type representing Gwacheon is a garden city resulted from the previous study and also the future city type from the research resulted as a garden city, the most suitable city type of Gwacheon. 2. Gwachen city has more characteristics as a green city and a garden cit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jor cities nationwide and their classification of cities and the by Correspondence analysis as a fundamental data to improve city image. 3. The representative topography and man-made feature of Gwacheon city are 'Gwanak mountain' and 'the Seoul Grand Park', and also the landmark corresponding with Gwacheon city image are 'Choongang park' and 'city community center' that resulted from analyzing representative image of topography and man-made feature in Gwacheon city between the entire image of Gwa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as landscape planning method for forming city image and establishing landscape planning as a fundamental basis to improve city image in the future.

      • KCI등재

        한성과 경성의 불안한 공존: 식민지시대 서울의 도시 이미지 형성에 대한 연구

        성효진 ( Sung Hyoji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8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2 No.-

        이 글은 식민지시대 서울의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한성(漢城)과 경성(京城)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공존한 양상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는 한성에서 경성으로의 변화와 그 이미지의 형성을 이분법적인 분리보다는 복잡하게 얽힌 중첩으로 이해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 한성과 단절된 듯한 도시로 여겨진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서 한성을 상징하는 요소들이 발견된다는 사실이다. 둘째, 경성의 도시 이미지는 당대인들의 인식 및 반응과 시각문화를 활용한 일본의 정책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다는 것이다. 이를 논의하기 위해 본고는 1897년에서 1939년까지의 시기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한성과 경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기 구분은 당대인들이 한성에서 경성으로의 전환을 인식할 만한 시각적인 변화들이 나타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었다는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1897년에서 1910년까지의 시기에 한성의 도시 공간에서 나타난 변화들은 한성의 저항과 경성의 태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성의 도시 공간에서는 대한제국의 상징인 경운궁(慶運宮)을 중심으로 근대화사업이 시행되었으며 아울러 서양 공사관 영역과 일본인 거류지가 형성되었다. 이들 사이의 균형은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무너졌다. 한성은 경성으로 불리기 시작하였으며 남촌 전반으로 확장된 일본인 거류지 인근에서는 경성박람회(京城博覽會)가 열렸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인 남대문(南大門) 일대의 성벽은 해체되었으며 창경원(昌慶苑)은 동물원으로 격하되었다. 덕수궁(德壽宮)으로 불리게 된 경운궁에는 1910년에 서양식 건물인 석조전(石造殿)이 완공되었다. 이와 같이 경성의 태동과 한성의 쇠락은 도시 공간에서 압축적으로 드러났다. 1910년에서 1920년대 중반까지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어가던 과정은 식민지 조선의 수도인 경성의 건설과 조선왕조의 왕도(王都)였던 한성에 대한 기억의 공존으로 논의될 수 있다. 경성으로 바뀐 도시 공간에서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점차 사라졌다. 이 공간은 식민 지배를 상징하는 건물들인 조선총독부 청사(朝鮮總督府廳舍), 조선신궁(朝鮮神宮) 등으로 채워졌다. 경성의 건설은 다양한 행사와 매체를 통해 기념되었다. 당대의 조선인들은 새로운 시각 경험을 즐겼으나 동시에 조선인 지역인 북촌과 일본인 지역인 남촌을 구분 지으며 일본인들의 북부 진출을 우려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사라져간다는 사실을 인식하며 이 장소들을 기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는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지속적으로 남아있었다. 경성은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대경성(大京城)’으로 불렸다. 1926년에서 1939년에 이르기까지 대경성과 그 이미지는 소비문화의 정점에 있었으나 이는 허상에 가까웠다. 남촌의 중심인 조선은행 일대는 백화점과 함께 근대 도시 대경성의 핵심적인 이미지로 굳어졌다.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여가의 중심지인 공원으로 변용되었다. 그러나 대경성은 남촌과 북촌이라는 각각의 도시로 여겨질 정도로 격차가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대인들은 대경성의 도시 이미지 속에서 스스로를 파편으로 보았다. 산책자(flaneur)도 그들 중 하나였다. 대경성의 거리를 부유하며 남촌과 북촌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한 이들은 조각난 대경성이미지 그 자체였다. 이는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하나의 이미지가 아닌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종합으로만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음을 보여준다. 경성의 도시 이미지 안에서 이렇게 한성과 경성은 불안하게 공존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 to explore the coexistence of Hanseong and Gyeongseong in the urban image of Seoul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examines the transition from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anseong to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and the formation of the image of the city. There are two main focuses in this study. Firstly, it is the fact that elements representing Hanseong are found in the image of Gyeongseong, which seems to be disconnected from Hanseong. Secondly, the image of Gyeongseong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Japanese politics. The period from the founding of the Great Korean Empire (Great Han Empire) to the 1910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witnessed the birth of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Modernization projects on the Gyeong’un Palace (Gyeong’ungung) were carried out. At that time, there were a Legation Quarter around the Gyeong’un Palace and a Japanese town near the Catholic Cathedral. The political balance among the Korean Empire, the Western superpowers, and Japan collapsed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After this event, Hanseong began to be called Gyeongseong. The Gyeongseong Fair was held near the Japanese settlement that extended to the whole of Namchon (South Village). In contrast, the walls near Namdaemun (the Great Southern Gate), a place symbolizing Hanseong, were demolished. In the Gyeong’un Palace, which was called Deoksu Palace (Deoksugung), the construction of Seokjojeon (Stone Hall), a Western-style building, was completed. The emergence of Gyeongseong and the decline of Hanseong appeared together simultaneously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ity of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1910 to the mid-1920s, when Hanseong was replaced by Gyeongseong, the image of Seoul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colonial capital was created. During the time, Korean people attempted to remember the lost Hanseong. Their strong feelings of nostalgia for the lost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were found in numerous textual records. The places symbolizing Hanseong were gradually dismantled. This space was filled with buildings that symbolized colonial rule. The construction of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was commemorated by various events and popular media. While Koreans enjoyed a new visual experience of witnessing the birth of a modern city, they worried that the Japanese would occupy Bukchon (North Village), the Korean territory in the city. In this process, they recognized and remembered the places symbolizing the old capital city of Hanseong that was disappearing and fading into oblivion. As a result, the urban image of the new capital city of Gyeongseong was filled with Korean people’s sorrowful memories of Hanseong. After the mid-1920s, Gyeongseong came to be called Dae-Gyeongseong (Great Gyeongseong). The image of Dae-Gyeongseong was created and constantly reproduced in popular media. The rise of modern consumer culture played a key role in the proliferation of the urban image of Dae- Gyeongseong. However, the image of Dae-Gyeongseong was nothing but an illusion. In the urban space of Dae-Gyeongseong, the difference between Namchon and Bukchon was extremely huge to the extent that they appeared to be two separate cities. In this situation, the city-dwellers of the time saw themselves as fragments in the city. The flaneur was one of them. The flaneur who did not belong to either Namchon or Bukchon strolled the streets of Daegyeongseong. The sense of alienation and uncanniness that the flaneur felt was inseparable from the fragmented urban landscape of Dae-Gyeongseong. The urban image of Dae-Gyeongseong can only be achieved by a synthesis of fragmented images rather than a single image.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장소자산과 도시이미지- 동두천에 나타난 장소상실의 역설

        김민주(Kim Min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3

        연구는 도시이미지에 영향을 준 장소자산이 상실되면 기존의 도시이미지는 약화되는 것일까라는 궁금증에서 시작되었다. 장소자산이 도시이미지에 영향을 주었다면 해당 장소자산이 상실되었을 때 기존의 도시이미지도 약화될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그에 반대되는 사례분석의 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미군공여지라는 장소자산으로 인해 미군기지촌 혹은 미군부대 도시라는 이미지를 지니게 된 동두천시의 사례를 분석한다. 분석에 따르면, 상실되는 장소자산은 전략자원이 되어 오히려 의미부여 등의 활동을 통해 기존의 도시이미지가 더 지속되는 결과를 낳는다. 미군공여지가 반환되면서 도시이미지에 영향을 준 장소자산이 상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실된 장소자산을 더 활용하게 되면서 기존의 도시이미지가 약화되기 보다는 더 지속되는 것이다. 특히 미군기지촌이라는 도시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느껴져서 그 이미지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열망이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기존의 미군기지촌이라는 도시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준 상실된 장소자산을 전략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비록 상실된 장소자산이지만 계속 이용되고 전략적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미군기지라는 장소자산에 의한 기존 도시이미지도 약화되기 보다는 지속되는 결과를 낳는다. 이는 역설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상실되는 장소자산이 더 이상 전략자원이 되지 않을 정도의 지원과 혜택을 발생시켰다면, 그 이후에는 전략자원으로의 활용도가 낮아져 궁극적으로는 도시이미지가 약화될 수 있다. 이는 이중적 역설 현상의 발생이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소자산과 도시이미지 간 연구에서 장소상실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도의 분석이고, 또 통념과 다른 분석결과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ity image is weakened if the place asset that affected the image of city is disappeared. In other words, if the place asse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city imag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xisting city image will be weakened when the place is vanished. However, this study presents the opposite case. The place asset related to the city image in Dongducheon is analyzed in this paper using data on components of the image and placelessness. Dongducheon has the image of US military bases due to the US military camps account for about 42 percent of the city s land. This study finds out that the placelessness becomes a strategic resource, which results in the existing city image being more persistent through activities such as giving meaning. Despite the city image that citizens in Dongducheon want to weaken, they continue to strategically utilize the place that created the city image. As a result, the image of US military bases continues in Dongducheon. This is an unexpected paradoxical phenomenon. However, if the placelessness is used strategically enough in Dongducheon, then it will not be used anymore and ultimately the image of the city may be weakened. This is the occurrence of a dual paradox.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s on the placelessness in the study of place and the city image and suggests a new perspective.

      • KCI등재

        서울의 도시이미지와 구성요인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 :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In cas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ubjective evaluation

        서운석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6 서울학연구 Vol.- No.26

        Competition between nations has been taken the form of competition between cities since the realization of globalization tendency. The age of unlimited competition between cities provides Seoul with opportunities to link directly with world especially with north-east asia. In this situation, the competition of regions or cities is growing fiercely. One of the alternatives for the survival of city is 'city marketing'. City marketing is a strategy which pursues the competitive advantages by commodifying city. City image is a one of major component of city marketing. Facing the changing environment, issues on the city image have been studied lately. This study enables to check the level of Seoul's city image an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nd direc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strategies for Seoul's city marketing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evel of Seoul's city imag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 factor of city image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ubjective evaluation among East Asia's major cities : Seoul, Beijing and Tokyo. The object of this survey is 461 students of 3 major Universities in China(Peking University, Tsinghua University and Renmin University of China). The composition factor consists of four major criteria : condition of economic, living quality, level of citizen moral stature, natural environment. The evaluation of city image score is obtained by averaging the scores in each criterion from 12 items. Based on this study, the composition factors of Seoul city image are cognition of Seoul's economic condition, living quality and natural environment. The score of Seoul city image is 7.69. Beijing shows the highest score(8.17). The level of city image of Tokyo is 6.3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