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브랜드 디자인이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도시브랜드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이수태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6 No.1

        시대가 변화하면서 도시 디자인은 단순히 도시환경 디자인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브랜드라는 추상적 가치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도시브랜드는 도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디자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브랜드는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주어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적 발전에도 일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 디자인이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 도시들의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우선, 도시브랜드와 도시이미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해외 도시인 런던, 뉴욕, 도쿄, 홍콩의 4개 도시 브랜드 디자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도시는 수도 서울과 부천의 도시브랜드 디자인을 분석하여 국내외도시브랜드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도시브랜드 가치 순위가 높고 국가 이미지가 가장 좋은 뉴욕의 도시브랜드 ‘I♥ NY’가 혁신적, 친근함, 국가적 이미지, 브랜드 차별화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신뢰감 또한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 반면, 우리나라의 도시브랜드는 친근함을 제외하고 모든 부분에서 높은 점수를 얻지 못하였다. 또한, 도시브랜드 디자인의 점수가 높을수록 국가 이미지가 높게 나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것으로 도시브랜드 디자인과 국가 이미지는 정비례의 관계에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향후 도시브랜드는 시각적 이미지(디자인, 색상, 서체 등)에 관한 문제도 시급히 처리되어야 할 사안이지만 도시브랜드를 위한 전략적 토대를 갖추고 도시 이미지의 계획적인 설계와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s time goes by, the design of city is now not limited to an environmental design of the city, but expanded to a city brand which has an abstract value. Developing a city design is a new domain of design based on a city. Further, a city brand could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ountry by influencing the image of the city. In this research, we examine cases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to see how the city brand design affects the image of the country and discuss the need for innovating a city brand design. In addition, we conduct a survey about how each city brand design can affect the image of the country from the city brand expertise and the public.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the direction of future of the city brand design. This research contribute to expanding the role of design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design, and consequen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city brand design by providing ground for further research.

      • KCI우수등재

        스마트시티 인덱스 프레임워크 연구 - 국내 공공기관 개발 인덱스의 통합 및 연계 가능성을 바탕으로 -

        김주만(Kim, Juman),이강은(Yi, Kang Eun),서명원(Seo, Myeongwon),신중호(Shin, Jung Ho),김도년(Kim, Donyun)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11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are adopting smart city as a new urban model. In this context, smart city index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for assessing and evaluating smart cities. A number of smart city indexes were developed in Korea in the past few years, by different entities for different purposes and with no relation to each other. From a user’s perspective, this led t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mart city indexes and also reduced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various index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mart city indexes currently being developed in Korea, and present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can integrate and link these smart city indexes. First, we define ‘result-centric’ and ‘process-centric’ evaluation structures for smart city indexe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Second, the features and structures of smart city indexes under development were analyz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all smart city indexes, with focus on the indexes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ird, the concept of smart city index framework is presented, in which various smart city indexes can be organized and utilized. This framework is expected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different smart city indexes in Korea, and enable better usage and communication among different users of these indexes to address various economic, environmental, social, and other urban issues.

      • KCI등재

        U-City 서비스에 대한 수요자의 선호도 분석 연구

        여옥경(Yuh, Ok Kyung) 한국부동산학회 2010 不動産學報 Vol.41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the preference of consumers to the ubiquitous city service. By analyzing the preference of the consumer, it can establish the scope and detail service for Ubiquitous City. (2)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methods is a survey analysis. The data for this analysis were collect from the questionnaire. (3) RESEARCH FINDINGS In the results of this survey, service standardization should be supplemented In some part. In order of prioritizing U-City services are Transportation service, Health service, and Leisure & Tourism service. Job cruit service and Green Environment service are not familiar to the customer. U-city technology and infra standard should be explored and combined with service standard classification from whole viewpoint of nation and enterprise. 2. RESULTS This study offers alternatives to improve the U-City service contents in Korea. Service standardization should be supplemented in some part. U-city technology and infra standard should be explored and combined with service standard classification

      • 도시의 가치 향상을 위한 도시 브랜드디자인 사례 연구

        김문석(Kim, Moonseok),오은석(O, Eunseo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2 No.-

        도시브랜드는 다양하고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도시의 정체성을 보전해 주는 역할과 동시에 도시 마케팅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세계적인 대도시는 이미 오래전에 도시브랜드를 활용하여 도시의 이미지 관리에 힘써 왔으며 이를 확장하여 독일, 영국,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국가 브랜드 관리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우리나라 역시 국가브랜드를 적용하고 활용하여 세계 중심으로 나아가야 한다. 최근 인천광역시는 신도시개발 및 도심확장, 재건축, 아세안게임 유치 등의 많은 변화의 현장에 있다. 인천광역시는 물론이고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자치단체인 서구청의 로고 및 도시브랜드 재정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구청의 로고 및 도시브랜드 현황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기 위한 기초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로고 및 도시브랜드가 현재의 서구청이 지향하는 바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인천광역시 차원의 도시브랜드 정책과도 맞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서구청 도시브랜드 재정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City branding preserves the identity of the city composed variously and complicatedly and also plays a role in city marketing. Major cities of the world have been supervising the image of the city using city branding for a long time. Advanced countries have been focusing on the management of nation branding in Germany, England, USA and Japan. In this respect, Korea should also adapt and apply the nation branding. Recently Inchon Metropolitan City is in the middle of momentous changes such as new town development, urban expansion, reconstruction and 17th Asian Games.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to reestablish the logo and city brand of Seo-gu Office, a local government, and Inchon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is as a basic research to analyze the current states and find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logo and city brand for Seo-gu Office. There is a big gap between Seo-gu Office’s view points and the existing logo and city brand in the result of the research. Even the logo and city brand are different from the city branding policy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d for a basic data to reestablish the city brand of Seo-gu Office.

      • 스마트시티 신서비스 발굴 및 특화단지 조성방안

        옥진아 경기연구원 2018 정책연구 Vol.- No.-

        해외의 스마트시티는 민간차원의 스마트시티로 참여하는 사례가 많고, 실증 및 특화단지의 경우도 덴마크 코펜하겐의 코르스로드, 일본의 후지사와 스마트타운과 같이 주로 쇠퇴도시의 재생을 위한 사업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이 주로 추진되고 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의 시범도시 및 테마형 스마트시티는 세종, 부산 에코델타시티, 판교, 평택고덕, 동탄 등 신도시를 대상으로 실증 및 특화모델을 구축 중에 있다. 시범사업의 성격으로 추진되어 온 스마트시티 또한, 단발성 지원에 그쳐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고, 다양한 스마트기술을 적용된 대표적인 스마트시티의 성공사계가 부족한 것도 문제점과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서비스 부분에서도 도시민의 편의성 제공을 위한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사업화를 도모하였으나, 실증사업 중 최초 제시된 서비스 중 상당수가 중간에 종료되거나, 서비스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도시민이 체감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즉, 아직까지는 체감도가 높은 서비스 솔루션을 접목한 특화단지는 부족하고, 대표적 스마트 기술이 구현된 단지조성 또한 미흡하여,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저변확산과 연관산업 육성에는 기여하는 바가 크지 못한 게 현실이다. 현재까지는 대부분 신도시형 모델을 중심으로 기존도시의 여건과 산업 등을 고려한 서비스 모델보다는 신도시에 적용가능한 일률적인 서비스가 주로 제공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적인 지역 발전을 위한 계획적 수단으로써 스마트도시 계획을 수립하려며, 지역의 인구, 산업 등의 지역적 특성에 맞는 특화된 스마트도시의 방향과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화단지는 산학연과 지자체 협력방안, 과감한 규제 완화와 R&D 투자 등의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기술 융·복합과 다양한 기술개발을 유도해야 한다. 지역 산업생태계에 맞는 스마트시티 모델을 발굴하고 규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특화단지 조성을 통해서 융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모델 발굴과 서비스 운영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서비스는 지속가능한 모델이어야하며, 지역적 특화문제를 반영한 특화된 모델과 주민참여형으로 도시발전의 모델이 될 수 있어야 하며, 기존도시와 쇠퇴지역에 대한 혁신모델이 필요하다. 기존도시에 대한 도시재생 모델은 신도시와 달리 재원조달형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재원조달 측면에서 중앙부처의 지원방안 등이 함께 검토되어야할 것이다. 유관산업 연계형 실증특화 단지로는 자율주행 투어 모빌리티 단지, 에너지산업단지, 친환경 수자원단지, 대중교통 시설 첨단 복합단지 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구축을 위해서는 지역맞춤형의 리빙랩 모델을 선정하고, 지역 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생태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에너지, 환경, 교통, 건축, 농업 등의 스마트도시 분야별로 도시의 특성에 맞게 리빙랩을 선정하여 지역 주민들의 주도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공-민간-시민의 협력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es in overseas smart cities. In the case of the demonstration complex, the Smart City project is being promoted mainly as a business for the regeneration of declining cities such as Corse Road in Copenhagen, Denmark and Fujisawa Smart Town in Japan. On the other hand, Korea "s pilot city and theme city Smart City are building demonstration and specialized models for new cities such as Sejong, Busan Eco Delta City, Pangyo, Pyeongtaek Godeok and Dongtan. Most of the new city models are mainly provided with uniform servic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new city rather than the service model considering the existing city conditions and industries. In addition, the Smart City, which has been promoted as a pilot project, is not able to compete in the world market due to its one-off support, and lack of success in the representative Smart City with various smart technologies is pointed out as a problem and a limitation. In the service section, w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citizens and planned commercialization. However, many of the services initially presented in the demonstration project are terminated in the middle or the range of services is limited,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urban residents have difficulty in feeling. So far, there are not enough specialized complexes that combine service solutions with high visibility, and it is not enough t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smart city services and fostering related industries Specialized complexes should induce technological fusion, compounding and various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intensive support such as industry-academia-research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 bold deregulation and R&D investment. It is necessary to find a smart city model suitable for the local industrial ecosystem and to find out a smart complex city service model and a service operation pla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complex free from regulation. The service should be a sustainable model. It should become a model of urban development with a specialized model that reflects the regional specialization problem and a citizen participation type, and it needs an innovation model for existing cities and declining regions. It is possible to examine self-driving tour mobility complex, energy industrial complex, eco-friendly water resource complex, and public transportation complex advanced complex. To build a sustainable smart city for solving region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elect a living-lab model tailored to the region and build an ecosystem model in which local residents take a leading rol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ublic-private-citizen cooperation model that can lead th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selection of living lab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 by energy, environment, transportation, architecture, agriculture.

      • KCI등재후보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시티 정책

        배성호 한국지역학회 2019 지역연구 Vol.35 No.3

        도시문제 해결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의 新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의 전략적 가치가 증대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2003년 ‘유비쿼터스 도시(U-City)’를 한국의 고유 스마트시티 브랜드로 도입하여추진하였다. U-City의 한계 극복을 위해 2018년 백지상태 부지에 4차 산업혁명기술의 테스트베드로서 국가 시범도시(세종 5-1生, 부산 EDC; Eco Delta City) 조성을 포함한 「스마트시티 추진전략」이 수립 및 발표되었다. 이후국내외 변화된 여건과 그간의 정책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도시성장단계별(신규-기존-노후) 맞춤형 스마트시티조성·확산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조성 및 확산은 혁신 생태계 구축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 강화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으로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19~’23)을 중점으로 추진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하는 데에는 시민, 민간기업,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함께 참여하여 따뜻한 삶의 공간으로 열린도시이자 포용 도시로서 스마트시티를 조성 및 추진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important of Smart City has been increasing on the driving forc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ethod to solve urban problems. Korea government introduced and implemented ubiquitous City as an intrinsic Smart City brand from the early 21th century. Diverse types of Smart City projects were announced as national strategy b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National Test-Beds in Sejong city and Busan(EDC: Eco Delta City) are urban planning to be future city models for new town development. In the old towns in cities, various type of Smart City projects are support by government by urban growth stage; frontiers, stable or declining urban realm. 「3rd Comprehensive Plan for Smart City(2019 ~ 2023)」 in Korea plans an important role to build innovative ecosystem and reinforce global competiveness by spreading of Smart Cities. For the successful Smart City as open and inclusive space, it is need that this space should be made by the cooperation of citizens, private sectors and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 KCI등재

        U-City정보의 생산ㆍ수집ㆍ가공ㆍ활용 및 유통 등 정보관리방안 수립 연구

        안종욱(Ahn Jong Wook),신동빈(Shin Dong B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2

        U-City법의 제정 및 시행에 따라 U-City를 건설하기 위한 제도적인 기틀은 마련되었으나 U-City법에 의한 계획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고 세부적인 지침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특히 U-City의 핵심인 정보와 관련해서도 구체적인 계획과 지침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City법에 의해 국가와 지자체에서 수립해야 할 U-City종합계획과 U-City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U-City정보의 생산ㆍ수집ㆍ가공ㆍ활용 및 유통 등 정보관리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먼저 U-City종합계획은 U-City계획 수립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세부 실천과제는 ‘연계 및 공유를 위한 U-City정보 생산ㆍ수집ㆍ가공 기준 수립’, ‘U-City정보의 가공 및 활용 활성화 방안 수립’, ‘U-City정보 유통체계 기반구축’, ‘U-City정보 품질 및 가격제도 확립’이다. 그리고 U-City계획은 U-City종합계획을 기반으로 지자제단위의 정보의 생산ㆍ수집ㆍ가공ㆍ활용 및 유통 등 정보관리사항을 수립해야 한다. U-City law was enacted U-City construction to support efficiently. But U-City planning system is not set. And detailed instructions are not also available. In particular, U-City data is not available and specific plans and instructions. Therefore, in this research, "U-City Law"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establish in the U-City Comprehensive Plan and the U-City master plan to be included in U-City data management was presented matters. U-City comprehensive plan provides the direction of the U-City master plan. Detailed action task are ① U-City data management standards for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and sharing ② Establishment of U-City data processing and activation ③ U-City data distribution system infrastructure ④ Establishment of data quality and price. U-City master plan is based on the U-City comprehensive plan. And U-City master plan for the data managements are ① U-City data on the production plan ② U-City data on the collection plan ③ U-City data on the processing plan ④ U-City data on the activation plan ⑤ U-City data on the distribution plan.

      • KCI등재

        도시경관디자인 개선을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브랜드 구축

        진용주(Jin, Young-Ju),박창일(Park, Chang-Il),권경주(Kwon, Kyung-Ju)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4 No.1

        City brand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werful tool in city marketing strategy. There has been a general agreement among academics and practitioners that cities can be branded in the same way as consumer goods and services can. This paper reviewed the published articles regarding "city marketing, city brand and city Landscape design", "The role of city brand in Regional government", "city renovation", city marketing through Community business". And this paper also reviewed the success case of city Landscape improvement design which was executed in Sangdong-myen, Milyang city. That is to say, many academical and practical things were discussed such as "background of city renewal plan", "problems which should be solved", "solution alternatives", "the guidelines of city renovation design", "things that community should cooperate with regional government", "governmental suppor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major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influence to other cities which are planning to improve city landscape in terms of the guidelines of city brand design and city marketing.

      • KCI우수등재

        u‐City 서비스 구현을 위한 GMA 기반의 CIM 설계에 관한 연구

        옥영석(Young Seok Ock),안창원(Chang-Won Ahn),김민수(Minsoo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09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4 No.4

        유비쿼터스 도시(u-City)의 구축과 관련한 연구에 많은 관심을 집중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연구가 도시건설과 관련된 건축 측면과 기반 ICT 기술의 구현 측면으로 서로 개별적으로 다루어 지고 있다. u-City에는 다양한 서비스와 기술요소들이 혼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개별적인 접근은 효과적인 u-City의 구현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특히, u-City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확장된다는 점에서 u-City 인프라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더욱 다양한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u-방재 참조 인프라에서 개념적으로 제시한 WBEM/CIM 표준과 그리드 모니터링 아키텍처 (GMA)의 결합을 더욱 구체화하여 모델링 함으로써 WBEM/CIM 개발 도구를 활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기존의 u-City 인프라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추상적인 상태에 머물러 있는 현실에서, u-City 통합 인프라 모델을 구체화하여 구현에 더욱 다가선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향후 u-City 인프라에 대한 다른 연구에도 많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ough the interest for the construction of ubiquitous city (u-City) has been increased in many researches, many of those efforts are still done somewhat separated ways such as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tectural design of urban city or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ly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mplementation. Since there are various services and technical components involved in u-City implementation, those separated approaches can cause much troubles while implementing u-City. In addition to this, because u-City components are continually changing and expanding, to cope with this evolution, many researches about the infrastructure of u-City should be done in a systematic way while integrally considering various perspectives of u-City. In this research, by combining WBEM/CIM standards to GMA (Grid Monitoring Architecture), we could provide WBEM/CIM design that is usable for u-City implementation.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research that is still abstract, our study presents concrete and implementable u-City infrastructure model. We hope our result will be a valuable reference for the other u-City infrastructure-related researches.

      • KCI등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부천시 도시이미지 사례연구

        최윤선(Choi, Yun Se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부천시는 5대 전략사업의 하나로 만화영상 사업을 진행해 왔고 만화 테마거리 조성과 함께 만화 관련 사업들을 지속 추진하며 만화 도시로서의 이미지를 축적해 왔다. 그 결과물로 부천시 도시 곳곳에 만화를 활용한 거리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천의 대표적인 3대 축제인 부천국제만화축제는 아시아 최고의 축제로 평가 받으며 많은 관광객이 축제를 보기위해 방문한다. 부천은 ‘문화도시 부천’이란 슬로건으로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왔고 만화축제와 더불어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및 만화박물관이 부천에 입주해 있어서 만화콘텐츠로서 도시이미지 구축의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부천시의 문화적 자원인 만화콘텐츠가 도시의 활력을 제고할 수 있는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천의 도시이미지 자원으로서의 만화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부천시 정책과 사업안에서의 만화와의 관계와 부천시 도시에 흩어져 있는 유형자원과 무형자원으로서의 만화도시 이미지를 찾아보고 만화 관련 도시이미지가 잘 나타난 국내사례를 연구한 결과 동피랑벽화거리는 벽화중심 명소 형성전략 강풀의 만화거리는 이야기 기반 벽화 연계전략, 명동재미로는 유무형 자원 복합형 연계전략 이었고 해외사례로 일본의 미즈키시게루 로드(요괴마을)는 이야기 기반 명소 형성 전략, 앙굴렘은 축제기반 유무형 자원복합형 전략 이었다. 부천의 만화를 활용한 사례로 부천상상거리는 유무형 자원 복합형 연계 전략과 함께 산학관 연계 프로그램 운영이 이루어져 타 지역에 비해 만화도시이미지 구축에 공헌할 수 있는 가능성 측면에서 우수한 사례로 분석되었다. 소사공구거리는 벽화 중심 명소 형성 전략으로 분석되었다. 부천은 타도시에 비해 부천시 문화정책 추진과 함께 만화 관련 유무형 자원이 풍부하여 만화 기반 도시 이미지 형성 및 제고에 유리한 도시로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이 가능한 도시이다. 문화적 도시 재생의 성패는 총체적 도시 이미지 형성에 달려 있다. 단순한 조형과 시각적 요소를 넘어서서 도시 내 핵심 자원인 부천시 문화육성 정책과 교육기관인 대학 내에 관련인재 양성, 만화관련 산업 연계 등 무형자원과 조형물 등 유형자원의 유기적 결합 및 관리에 기초한 중장기적 도시 이미지 구축 전략 수립과 지속적인 관리가 시행 될 때 보다 특색 있는 부천시 도시이미지가 구축될 것이다. Bucheon City has implemented a cartoon screen project as one of the city’s five strategic businesses. The city has continued to carry out a series of projects relating to cartoon along with the building of comic streets, accumulating the city image as a city of cartoon. As a result, there are numerous cartoon streets in every corner of the city and many tourists visit the city to see Bucheon International Cartoon Festival, one of the three biggest festivals in Bucheon known as the best festival in Asia. The fact that Bucheon has stablished its image under the slogan of `the Cultural City Bucheon` and the existence of the Korea Manhwa Contents Agency and the Manhwa Museum as well as the cartoon festival in the city increases the chance to build its urban image with cartoon contents. This paper is aimed at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artoon contents, the cultural asset of Bucheon city, in regenerating a cultural city that will energize the urban atmosphere. In order to verify the potentiality of cartoon as a cultural property creating a city image, it examined the image of a comic city everywhere in the form of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as well as the relation between the policy and the cartoon as a business of Bucheon. Then, it studied domestic cases that best represent the image of a comic c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ongpirang Mural Street in Busan turned out to be a strategy to form a mural-centered attraction, the Kang Full Cartoon Alley to be a story-based strategy associated with mural, and the Jaemiro, a cartoon street in Myeong-dong to be a hybrid strategy that combined tangible resources and intangible resources. The overseas cases include the Mizuki Shigeru Road (a ghost village) in Japan and the Angouleme in Paris. The former was a strategy to form a story-based attraction and the latter was a festival-based hybrid strategy that combined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The Imaginative Road in Bucheon that uses cartoons is evaluated as a modeling case in terms of its potentiality that will lead Bucheon to have an image of comic city. On the street, a program connecting industry, academy and government is operated along with the hybrid strategy that combines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The Sosa Tool Street is analyzed as a strategy to create a mural-centered attraction. Compared with other cities, Bucheon is of good advantage to build and develop the image of a comic city because it is rich in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related to cartoons and quite a number of cultural policies are promoted in the city. The urban regeneration using culture is possible in Bucheon. The success and failure of cultural city regeneration is dependent upon whether a comprehensive urban image can be created. To establish a unique urban image, it is required more than mere formative and visual efforts. That is to say, the city needs a mid-and-long term urban imaging strategy that organically combines both tangible assets and intangible assets along with continuous management. The intangible assets, the core resources in the city include its cultural formation policy, the cultivation of talented manpower in educational institutes such as universities and the connection with a comic industry, and tangible assets include three dimensional ar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