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빈문고의 中國飜刻本과 그 가치-「近思錄」과 「韻府群玉」을 중심으로-

        영정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This paper that is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Book Culture of East Asia deals with value and meaning of Geunsarok and Unbugunok belonging to Dongbin Collection of Yeongnam University and printed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In other words, I proceeded to study focusing on Geunsarok and Unbugunok belonging to Dongbin Collection of Yeongnam University which had been reprinted in Joseon in the process of importing Chinese edition printed in Song-Yuan Dynasty. Examining the real books, I inquired into pattern and circulation of the book exchange and found out new materials. Also I think this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origin and early form of Korean old books. In case of reprinting Chinese books imported in Joseon, they were reprinted as original forms or printed in new style maintaining original format. Also at first having reprinted as original forms, later they were printed in new layout making use of movable type. Based on Chinese books, Geunsarok and Unbugunok were reprinted as original forms. I consider that the comparison between reprinting of Song-Yuan books and original books remaining in Korea, based on the physical bibliography of Song-Yuan edition, will be helpful in clarifying influence and contents of Chinese books in East Asian Book Culture. 이 연구는 동아시아 서적문화에 관한 서지학적 고찰로 영남대 동빈문고 소장의 중국 번각본 중 고려말과 조선전기에 간행된 「근사록」과 「운부군옥」에 대하여 그 가치와 의의를 다루었다. 송・원시기 중국에서 간행된 서적이 조선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조선에서 간행된 번각본인 「근사록」과 「운부군옥」을 중심으로 영남대 동빈문고의 두 책을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실물자료에 의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서적 교류의 유형과 유통 및 새로운 자료에 대한 발굴이란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국내 고문헌의 원류와 초기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조선에 유입된 중국간본은 간본을 저본으로 하여 그대로 번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래의 판형을 유지하되 새롭게 중간하는 경우가 있다. 또 처음에는 간본을 그대로 번각하였다가 새로운 활자가 제작되면 해당 활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판식으로 간행하기도 하였다. 「근사록」과 「운부군옥」은 저본을 바탕으로 그대로 번각하는 경우의 예로서 그 방식을 잘 보여준다. 송・원간본의 형태서지적 속성을 바탕으로 고려・조선에서 간행된 송・원간본의 번각본들 중에서 현존하는 자료를 파악하여 한국에 남아있는 송・원간본과의 실증적인 예를 통한 확인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동아시아의 서적문화에서 중국 간행서적의 영향과 그 내용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16세기 퇴계학파의 서당 경영

        이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69 No.-

        Like the image in Kim Hongdo's paintings drawn in the 18th century, the Seodang is generally known as an elementary education space. It was not that there was not a Dongmong Seodang(童蒙書堂) which teacher teaches young children.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odang showed various forms of existence. In the 16th century Andong(安東) area, the Seodang, which was influenced by Yi Hwang(李滉)'s aspect of Seodang, was erected since he built the Gyesang Seodong(溪上書堂) and Dosan Seodang(陶山書堂). The Toegye school basically settled in a quiet and scenic place, away from the world, and used it as space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Yi Hwang, Kim Seongil(金誠一), and Ryu Seongryong(柳成龍), who had been in office, withdrew from the mediation and used the Seodang as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By the way, while Yi Hwang and Kim Seongil used the Seodang as a place to teach their disciples, Ryu Seongryong built the Seodang as the main purpose of his discipline. Accordingly, Kim Seongil erected the Seokmun Jeongsa(石門精舍) and the Okbyeong Seojae(玉屛書齋), and Ryu Seongryong ran the Wonji Jeongsa(遠志精舍) and the Okyeon Seodang(玉淵書堂). On the other hand, Jo Mok(趙穆) expanded the Wolcheon Seodang(月川書堂), which was the traditional Jo's family school, and used it as a space for students to learn the basics of their studies. They basically managed the Seodang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However, they managed to run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academic tendency and personal preference. 18세기 그려진 김홍도의 풍속화 속 이미지처럼 일반적으로 서당은 훈장에 의한 초등교육 공간으로 알려져 있다. 훈장이 어린아이들을 가르치는 동몽서당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조선후기 서당은 이보다 다양한 존재 양상을 보인다. 이황이 계상서당과 도산서당을 건립하여 강학한 이래로 16세기 안동 지역에서는 그의 서당관에 영향을 받은 서당이 건립되었다. 퇴계학파는 기본적으로 세속으로부터 떨어져 조용하고 풍광 좋은 곳에 서당을 세워 藏修講學處로 활용하였다. 관직 생활을 한 이황ㆍ김성일ㆍ류성룡은 모두 조정에서 물러나 강학처로 서당을 활용하였는데, 이황과 김성일이 문인에게 학문을 전수하는 공간으로 서당을 활용한 반면, 류성룡은 자신의 수양을 주요 목적으로 서당을 건립하였다. 이에 따라 김성일은 석문정사와 옥병서재를, 류성룡은 원지정사와 옥연서당을 경영하였다. 한편, 조목은 기존의 가숙서당인 월천서당을 확장하여 문인들에게 학문의 기본을 다지는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도학형 서당을 경영하였으나, 각자의 상황과 학문적 성향 및 개인적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서당을 경영하였다.

      • 경기도 스마트도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옥진아,조무상 경기연구원 2016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Smart cities are emerging as an important agenda of ICT in recent years.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has become an effective planning tool to improve the lives of residents and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For about 10 years in Korea, we have built a Smart City named "U-City".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transition to a new urban regeneration paradigm, interest in Smart cities has begun to grow globally with the aim of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vitalizing the economy. In recent years, it is attempting to switch from existing U-City policy to Smart City policy. The role and necessity of the metropolitan road in Smart City policy is expected to expand gradually. Therefore, at this time, Gyeonggi Province needs to establish a basic strategy for building a Smart City on a wide area. The Gyeonggi-do Smart City project, which is being pursued so far, is mainly a public-oriented service, lacking citizen-experience-oriented services and localized services. In addition, the project is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lacking Smart City strategies and services for existing cities. The basic strategy for building a Smart City in Gyeonggi-do is as follows. First, we will pursue building a Smart City that is tailored to the region. Gyeonggi-do has diverse regional characteristics by region. We need a model of a Smart City that is specific to the region. Second, there should be a plan to introduce livinglabs in Gyeonggi-do. In order for Gyeonggi-do to become a sustainable Smart City, it is necessary to select a living lab model in the Gyeonggi-do and build an innovative model in which the local residents take a leading role. Third, to promote the Smart City project, we will promote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While U-City is centered on building infrastructures, a new approach is important because Smart cities are the concept of providing services to citizens. Fourth, we will establish a new Smart City strategy to create synergies between differentiated new city models and new cities and existing cities. Especially, Gyeonggi-do is a City where new city and old City coexist, and Smart City strategy that can develop new city and existing City is needed. Fifth, control tower and propulsion system should be provided for City promotion. The role of the control tower is important in terms of not only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operation, but also the solution of urban problems and the provision of service for citizens in Smart City.

      • KCI등재

        행정서비스 활용을 위한 디지털 트윈 정책 연구

        옥진아,유순덕,정효진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3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서비스 활용을 위한 디지털 트윈 정책 연구이다. 본 연구는 1,000명의 대상을 기반으로한모바일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디지털 트윈을 활용하기 위해 경기도 측면에서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서비스 발굴이 선행되어야 한다. 경기도의 현장 업무에 적절한 디지털 트윈 서비스 발굴 시도가우선적으로 선행되고 이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증진이 필요하다. 둘쨰, 경기도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는 중앙정부 사업과의 중복성은 방지하고 연계 활용 가능한 모델을 구축해야 하며, 도와 시군의 현안 연관성이 높고 수요자 즉 도민이원하는 행정서비스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셋쨰, 행정서비스 운영방식은 경기도의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개발을위해서 시범사업 참여를 통한 표준모델 구축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사업 추진 방식으로 경기도가 주관기관이 되어, 협약사업 방식으로 추진하고, 경기도 디지털 트윈 자문위원단을 통해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라는 것을제언하고자 한다. 넷째, 전담부서와 행정서비스 구축, 운영, 관리 등을 위한 관련 제도 마련이 되어야 한다. 경기도에서디지털 트윈 실현을 위해서는 사업 추진 및 운영과 법⋅제도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전담 조직이필요하며, 전담 조직 지정을 위해서 기존 부서의 확대 개편 방안과 신설 부서 운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한계 요인은 경기도 중심의 참여자들에 대한 조사로서 향후에는 전국을 기반으로 연구하는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의기대효과는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공적인 업무를 적용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정지용의 「옥류동(玉流洞)」과 이백의 「망노산폭포(望盧山瀑布)」비교연구

        박명 ( Park Myongok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7 No.-

        Jung Jiyong seems to have agonized over the kind of poetry he wanted to cultivate in colonized Chosun which, having lost its unique Oriental aesthetics amid the influx of Western civilization, was now pursuing a new, Western version of aesthetics. Thus in 1938 he presented "A Note on Jo Taekwon, A Fresh Oriental Dancer" as if it was meant to reflect his agony. "Poetry exists in the Orient," he said, carefully revealing in it the type of poetry that he had intended to explore with references to Oriental art and poetics. In the choreography of Jo Taekwon who studied Aesthetic of the Orient and Courtesy of Chosun, Jiyong wanted to find some cues for his poetry. Jo Taekwon was a choreographer who, together with Choe Seunghee, took tutorial lessons from their Japanese teacher Yisiyi Baku (石井漠) and studied in Paris. He and Jiyong were close friends. Having landed in Paris to major in Western choreography and learn about the West, Jo realized that what he had to do in Paris, the center of Western choreography, was to pursue Oriental traditions. Jiyong took notice of Oriental aesthetics because he created a method to show the realistic and historical aspects of colonized Chosun in an indirect, circuitous manner. What he created was a form of poetry in which the self and the thing completely merge with one another while the writer remains totally hidden behind his poems. However, he actually exists inside his poetry in a latent form instead of completely disappearing therefrom. Jiyong borrows, rather than quoting, from Oriental classics in order to broaden his world of art. He was fond of reciting the Shih Ching and T'ang Poem while creating (石井漠) wherein classics and modernism blended. Yi Baek lived his life as a wanderer under adverse circumstances. And yet he contemplated on the mundane world, wherein he sought beauty and solace while transcending secular interests and gains and losses. One may thus conclude that, though set apart in time and space, Jiyong and Yi Baek pursued a similar kind of poetry in which the self and object fused into one amid the beauty and permanence of nature.

      • KCI등재

        「童蒙先習」의 서지적 재검토

        영정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78 No.-

        Dongmongseonseup has been known as the representative children’s textbook published by private initiative in Chosun Dynasty. Considering the significant value as the independent textbook for the children published by a domestic scholar, however, it seemed to be treated carelessly compared to the other children’s books such as ‘Thousand-Character Classic,’ ‘Classic of Filial Piety,’ and so on. This might be resulted from unrevealed aspects of the book in terms of cultural history including the process of its publication, publisher, system, type, transition, distribution, and so on so far. In this article, several points were reviewed to be treated or supplemented newly in view of bibliography upon confirmation of the evidence for the distribution of early Chosun edition in addition to the woodblock-printed book of Dongmongseonseup or author related contents reviewed in the previous bibliographical studie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Dongmongseonseup had been wood-blocked, printed, and distributed at least before February 1547 from the records of the document that was sent to Baek Woon Dong Private School. Second, upon the supplementary review result of the author theory with An Kook Kim referring to the data that were not reviewed in the past, the background that An Kook Kim was described as the author of Dongmongseonseup in the preface and the main contents of Daedong Woonboo Goonok by Moon Hae Kwon might be the error from the process transited from the transcribed copies into the woodblock editions. Third, the edition possessed by Jangseogak was assumed to be produced since nineteenth century from the bibliographical historical investigation for copied edition of Dongmongseonseup in Jangseogak. Fourth, the publication period of Dongmongseonseup in Choonbang edition was determined by the analysis of Ganyuk Diary. These studies seem to be the evidences to be able to approach Dongmongseonseup in view of cultural history in the future. 「동몽선습」은 조선시대에 민간에서 주도하여 편찬한 대표적 아동학습서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동의 학습서 중에 국내 학자에 의해 저술된 독자적 교재라는 큰 가치를 고려하면 「천자문」, 「효경」 등 다른 아동학습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룬 면이 없지 않다. 이는 그동안 이 책의 생성과정, 편찬자, 체제, 유형, 변천 및 유통 등 책의 문화사적 측면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서지적 연구에서 다룬 『동몽선습』의 판본이나 저자관련 내용파악에 더하여 판본정리와 함께 특히 조선전기본의 유통에 대한 단서를 확인하고 서지적 측면에서 새롭게 다루거나 보완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검토해 보았다. 그 내용은 백운동서원에 보낸 문서의 기록을 통해서 「동몽선습」이 최소한 1547년 2월 이전에 판각, 인쇄되어 유통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기존에 살펴보지 못했던 자료를 참고하여 김안국 저자설에 대한 보완적 검토결과 권문해의 「대동운부군옥」 인용서목과 본문에서 김안국을 「동몽선습」의 저자로 표시하게 된 배경에는 여러 필사본의 작성과 후에 목판본으로 이어지는 과정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오류가 생성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장서각 소장 필사본 『동몽선습』에 대한 서지적 고증을 통해서 장서각 소장본이 19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간역일기의 분석을 통해 춘방장판 『동몽선습』의 간행시기를 확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향후 『동몽선습』의 문화사적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드론을 활용한 실증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옥진아,유순덕,정효진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4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발굴 및 드론 활성화를 위한 수요조사 기반으로 드론 실증도시 구축 방향 제시 및 드론 활용 지원체계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설문자의 결과에 따르면, 드론 실증사업에 대한 이해도와 도입 필요성도 높고 특히 도시문제 해결에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쨰, 우선순위와 장단기적 접근 분석 결과를 보면, 우선순위는 재난 관련 업무이고 중장기적 전략을 통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사업 진행시 예산이 가장 중요한 이슈로 등장 햇다는 것이다. 실무자와 전문가들은 드론 기반 기술들이 예산과 기술이 준비 되었을때는 업무에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는 의사를 보유하고 있었다. 현재 적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예산 부족 문제가 가장 크게 지적되었으며, 이 부분이 해결되는 것이 필요하다고도 조사되었다. 넷째, 일부 영역에서 사업 발굴시 수요조사의 필요성이 조사되었다. 실증을 위한 수요조사는 반드시 필요하며, 공공에서 주도할 필요성이 조사되었다. 드론 기반 실증도시 구축에 있어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수요조사가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며, 공공에서 주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다섯째, 분야별 접근 방식에 대해서는 안전 재해관리 영역이 가장 적용이 필요한 부분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 drone utilization model tailored to local characteristics, propose directions for building a drone demonstration city based on demand surveys for drone activation, and suggest ways to utilize and support a drone application system.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re was a high understanding of and necessity for drone demonstration projects, particularly in addressing urban issues, which were deem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priorities and short- and long-term approaches, disaster-related tasks were evaluated as a priority, requiring an approach through medium- to long-term strategies. Third, it was noted that budgetary considerations emerged as the most critical issue during project implementation. Practitioners and experts expressed willingness to actively introduce drone-based technologies into their work when budget and technology were ready. Budgetary constraint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obstacle to proper implementation, emphasizing the need for resolution. Fourth, the necessity of demand surveys during project development was identified in certain areas. Demand surveys were deemed essential for drone-based demonstration city construction, and a survey indicated that public leadership in this regard was also necessary. Fifth, concerning approaches in specific areas, the field of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was highlighted as the most crucial for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