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지체 자녀 양육이 가족에 미친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김은서 ( Eun Sheo Kim ),박승희 ( Seung Hee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 자녀 양육이 가족에 미친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정신지체 자녀 양육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이 장애자녀의 연령과 장애정도 그리고 어머니의 종교 유?무와 가족의 월수입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소재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및 일반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2학년, 고등학교 2-3학년 정신지체 학생의 어머니 377명의 질문지 응답을 분석하였다. 정신지체 학생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긍정적 영향을 7가지 하위요인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신지체 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어머니들은 긍정적 측면이 존재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자녀 양육을 통한 어머니의 배움` 이라는 하위요인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이 가장 높았다. 정신지체 자녀 양육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자녀의 연령과 장애 정도에 따라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어머니 및 가족 변인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종교가 있는 어머니 집단이 종교가 없는 어머니 집단의 인식 평균보다 더 높았으며, 가족의 월수입이 많은 집단이 양육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 자녀 양육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은 종교를 통한 사회적 지원이나 물질적 자원이 풍부할 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자녀 양육의 부담과 스트레스 대처에 집중한 선행연구에 더하여 장애자녀 양육의 "긍정적 측면"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알리는 동시에 장애학생을 가족구성원으로 둔 가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경감시키고 옹호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thers` perception of the positive effects of rear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their families and to find out how mothers` perception could be var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variables; the severity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ages of children; mothers` religion and families` income. 540 mother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enroll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were randomly selected. The survey responses of 344 mothers were analyzed by T-test or one-way ANOVA and, then Scheffe post hoc tes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that: (1)mother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perceived there were some positive effects of rear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their families; (2)mothers` learning through the experience in rear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highest scored; (3)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the mothers` perception of positive effects according to the disability severity and the ages of the children.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mothers` perception of positive effects according to mothers` religion and families` income variables. The level of the positive effects of rea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rceived by the mother group with a religion was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positive effects perceived by the mother group without a religion. In addition, the perception mean of the family group with highest incom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amily group with lowest income. This study first generates the research data on the perception of "the positive effects" of rear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the families while the literature was full of the research on rearing stress and coping skills for stress management of famili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fight against the negative perception of famili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tereotypic attitudes toward rear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중재와 중도 지적장애유아의 반응과의 관계

        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14 발달장애연구 Vol.18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onversation partners and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132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o collect the data, the researchers pre-instructed the subjects’ parents who were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ir children on the last meal after observing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ir children for 3 days. The data was analyzed to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s of conversation partners for the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different for children’s sex, age, disability pattern, and degree of disability. Second,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for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onversation partners was different for children’s sex, age, disability pattern, and degree of disabiliti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onversation partners and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as very close. In conclusion, the children’s sex, age, disability pattern, and degree of dis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to choose suitable interventional strategy for next development of their communication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중재와 지적장애유아의 반응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자가 실시한 장애유아의 의사소통 지도방법에 대한 사전교육을 받은 어머니가 대화 상대자와 장애유아의 행동을 3일간 관찰한 후,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중재와 장애유아의 반응행동을 질문지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일원변량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에 의하여 처리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화상대자는 남자 장애유아에게 언어적 촉구에 의한 중재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중재에 대한 반응은 남자 장애유아는 지연 반응을, 여자 장애유아는 부분 반응을 더 나타내었다. 연령에 따른 대화상대자의 중재도 6세 이상의 장애유아에게 언어적 촉구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중재에 대한 즉각 반응은 6세 이상의 장애유아, 지연 반응은 4세부터 6세까지의 장애유아, 그리고 부분 반응은 4세미만의 장애유아가 더 많이 나타내었다. 신체적 촉구는 지적장애유아에게, 몸짓 촉구와 언어적 촉구는 발달지체와 중복장애유아에게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장애정도에 따라서는 신체적 촉구는 1급이나 2급 장애유아, 몸짓 촉구나 언어적 촉구는 2급이나 3급 장애유아에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도 지적장애유아에 대한 대화상대자의 중재는 장애유아의 성별, 연령, 장애정도, 그리고 장애유형 등을 고려하여 그에 적절한 중재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 통합교육 상황에서 지적장애아동의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심성계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민천식,오재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07 발달장애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심성계발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려는 질적 연구로써, 경주시 Y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동 3명을 대상으로, 7주간 주 2회 총 13회기에 걸쳐 실험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각 목표 행동에 대해 회기별로 관찰된 대상 아동의 행동변화를 회기별 질적 분석 내용 기록표로 제시하였고, 이를 각 아동별로 프로그램 적용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질적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심성계발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의 학업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심성계발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셋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심성계발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의 신체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넷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심성계발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아동의 정서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ind-developing program with peer in inclusion is efficient to improve the scholastic self-concep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os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felt a sense of inferiority on their learning ability, seemed like to improve their scholastic self-concept by becoming interested in what they learned, gaining confidences in their ability, and becoming affirmative on their learning abilities. Secondly, the mind-developing program with peer in inclusion is efficient to improve the social self-concep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os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were not well integrated with their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seemed like to improve the social self-concept by getting on very well with other same-aged friends, satisfying with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thinking their parents love them. Thirdly, the mind-developing program with peer in inclusion is efficient to improve the physical self-concep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os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were not confident of their body, appearance, and kinesthesia, seemed like to improve the physical self-concept by becoming satisfied with their body and appearance and positively participating in a physical exercising class. Lastly, the mind-developing program with peer in inclusion is efficient to improve the emotional self-concep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os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used to be too cautious, behaved capriciously, and were lack of self-confidence, seemed like to improve the emotional self-concept by delighting in exposing themselves to public and enjoying their school life through the minddeveloping program.

      • 지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기능 및 대처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윤경(Yeon-Gyeong Kim)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3 사회복지상담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family function, and coping behavior of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this end, 315 copies were used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use a total of 11 institution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ocated in Ulsan.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using IBM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be interpreted as an overall experience. Second, the family func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the overall average. Third, coping behavior of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overall average. Fourth,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e lower factors,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Fifth, the mother's coping behavior decreased as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 of a disabled child increased, and parental and family problems, which are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ixth, the higher the coping behavior of the mother of a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higher the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Seve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family func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coping behavior and coping behavior of the conforming type between coping behavior and subsequent sub-factors. The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기능 및 대처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울산에 소재한 총 12개소의 지적장애아동 관련 기관을 이용하는 지적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315부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IBM SPSS 21.0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는 전반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기능은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들의 대처행동은 전체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하위요인에서는 지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은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대처행동은 감소하였다. 또한, 부모 및 가족문제가 순응형과 의존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지적장애아동 어머니의 대처행동이 높을수록 가족기능,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은 증가하였다. 순응형의 대처행동이 많을수록 가족응집성은 증가하고, 의존형의 대처행동이 많을수록 가족적응성이 증가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의 관계에서 대처행동과 순응형의 대처행동이 매개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기능에는 순응형 어머니의 대처행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사동ㆍ피동문 이해

        송지희(Song, Ji-Hee),김승미(Kim, Seung-Mi)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논총 Vol.31 No.1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태(사동, 피동)와 문법형태소에 따른 이해 과제 수행력을 살펴봄으로써, 구문 및 형태론적 접근에서 특히 취약함을 보이는 경도지적장애 아동에게 적절한 문법적 단서와 중재 전략에 대한 임상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이며, 언어연령이 5~6세인 경도지적장애 아동 13명과 이들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3명을 대상으로 태와 문법형태소에 따른 이해 과제를 실시하고, 집단 간 태와 문법형태소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삼원혼합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태와 문법형태소에 따른 이해 과제에서 경도지적장애 아동은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태의 유형에 따라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사동문에 비해 피동문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셋째, 문법형태소의 유형에 따라 살펴본 결과, 문법형태소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중재를 위해서는 태에 따른 이해 수행력의 차이와 이들이 지니는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clinical data with regard to appropriate grammatical lead and intervention strategy for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ing vulnerability particularly in syntax and morphologic approach by comparing the ability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o perform tasks of understanding voices (causative and passive) and grammatical morpheme (-I-, -Hi-, -Ri-, -Gi-) with that of ordinary children of the same linguistic age. To that end, data was collected from tasks of understanding voices and grammatical morphemes performed by 13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whose linguistic age were 5~6 years and 13 other ordinary children of the same linguistic age. And, to identify potential difference in voices and grammatical morphemes between groups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ordinary children, three-way mixed ANOVA was performed. Following result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First, the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solving tasks of understanding voices and grammatical morphemes when compared with ordinary children of comparable linguistic age. Second, in terms of performance in tasks understanding causative and passive sentence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asks of understanding passive sentences when compared with causative ones. Third, in terms of difference by the type of grammatical morpheme in performance in tasks of understanding causative and passive sentences, no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across grammatical morphemes. Therefore, when we provide education of and intervention with causative and passive sentences, intervention strategy may be developed in relation to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voice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과 임상적 유용성

        함현진(Hyun Jin Ham)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을 분석하여 각 집단의 반응특성과 KOPPITZ-2를 통한 집단의 분류정확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일반아동 46명, 지적장애아동 35명, 영재아동 33명의 총 114명으로, 일반아동은 군집표집 하였고, 지적장애아동과 영재아동은 목적표집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검사자 및 채점자 훈련과 KOPPITZ-2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집단 간 KOPPITZ-2 반응 차이를 분석하였고, 단계적 판별분석을 통해 집단에 대한 분류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KOPPITZ-2의 발달지표총점, 정서지표총점, 반응시간은 일반 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KOPPITZ-2는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에 대하여 79.8%의 높은 분류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발달지표총점이 분류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PPITZ-2 response of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to verif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groups through the response nature of each group and KOPPITZ-2.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4 children including 46 ordinary children, 35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33 gifted children. Ordinary children were chosen through cluster sampling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were chosen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examiner and rater training and KOPPITZ-2 test were carried out for the study. The KOPPITZ-2 respons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analyzed through the one-way ANOVA an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n the group was verified through the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index total score, emotional index total score of KOPPITZ-2, and reaction time. Second, KOPPITZ-2 showed a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of 79.8% for the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particularly it was revealed that the development index total score made a lot of contributions to the classification.

      • KCI등재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시계그리기검사 반응특성 연구

        송다겸,김갑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기능의 차이를 시계그리기검사를 통하여 살펴보고, CDT가 인지적인 차이를 변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학령기에 있는 9세-13세의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 각각 110명, 총 220명을 대상으로 시계그리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CDT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고, 장애급수별에 따른 CDT 점수의 차이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CDT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반응특성의 차이는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내용분석을 통해 아동의 시계그리기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CDT의 점수는 총점과 하위영역인 시계 판(원), 숫자, 바늘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일반아동은 대다수가 시계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그리는 반면 지적장애아동은 모든 영역에서 대부분 오류를 범하였다. 둘째, CDT 점수는 지적장애아동의 급수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장애정도가 심할수록 시계그리기 수행능력이 떨어졌다. 따라서 CDT는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기능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는 도구로 활용가능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betwe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children by using the clock drawing test(CDT)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DT as a screening tool for cognitive differen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220 school-age children aged 9 to 13 years old, including 110 normal children and 110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CDT was performed by all participants. In terms of data analysis, the t-test,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nd the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the children's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CDT were identifie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DT scor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ther words, the majority of the normal children correctly perceived and drew the clock, while most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ade errors in all sub-domain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DT scores according to the disability grade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ore severe the degree of disability was, the lower the ability to perform the CDT was. Therefore, the CDT is thought to be a valid screening tool for discriminating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전래동요를 활용한 교육 방안이 지적장애 유아교육에 주는 의미

        정은경,김성애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0 국악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전래동요가 지적장애 유아의 발달을 극대화할 보다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 할 바가 크다고 보아, 전래동요를 활용한 기존의 유아교육 연구들을 분석하여 그 속에서 전래동요가 가진 특성 을 파악하고 그것을 활용한 교육적 방법을 파악해 지적장애 유아 교육에 주는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가진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발달을 장려하기 위해 그동안 전래동요를 활용한 선 행연구들의 연구 주제, 연구유형, 이론적 배경에 나타난 전래동요의 특성과 발달에 기여한 부분 등을 분석하고, 선행연구에서 실행된 전래동요의 활용 내용과 그것을 통하여 장려된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전래동요를 활용한 교육적 방안이 지적장애아 교육에 주는 의미를 탐색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우리나라의 연구 데이터베이스(KISS)에서 자료를 수집한 다음, 연구 의 동향 및 선행연구 속에 나타난 전래동요를 활용한 교육활동에서 유아발달 영역, 유아발달을 장려하기 위한 방안 등을 분석하여 정리한 후, 그 방안 내용이 지적장애 유아 교육에 주는 의미를 탐색하는 절차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실행된 자료 수집은 전래동요를 활용한 유아발달 관련 연구들을 선정하는 것이다. 그 과정은 국내 학회지 데이터베이스 5개 중 “KISS(한국학술정보)”에서 “전래동요”를 검색어로 선정하고, 연도의 제한 없이 유 아발달 관련 연구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선행연구 자료 분석은 두 가지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하나는 유아의 발달을 장려하기 위해 전래동요를 활용한 연구 동향이다. 이것을 위하여 전래동요를 활용한 연구주제,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나 타난 전래동요의 특성과 유아발달에 기여한 부분, 그리고 연구유형 등이 분석된다. 나머지는, 연구에서 실행한 전래동요의 유아발달 장려 내용과 전래동요를 활용한 교육 방안이 분석된다. 연구목적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첫째, 본 연구에서 분석된 전래동요를 활용한 유아교육 연구의 대부분은 유아발달과 밀접하였다. 다시 말해, 전래동요가 유아의 다섯 가지 기본발달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 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각 연구에서 언급된 선행연구 속에서 볼때, 전래동요는 유아발달을 장려하는 데에 매우 적합한 음악적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전래동요가 가진 특성이 유아의 발달 장려를 위한 다양하고도 풍부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도록 하여, 그것이 지적장애 유아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지대할 것으로 예상 되었다. As an effort to develop an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Korean children songs can be employed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alyzing prior stud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rst aim of the study is to analyze prior stud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songs and their contributions to and ap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making use of Korean children songs mean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ese purposes, the present study first surveys prior studies from the KISS database and investigates the trends, plans, and domains of research on the early child education with Korean children songs and further the significance of such research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ore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searches “Junraedongyo” in the KISS database and collects data in relation to child development without any restriction in the year of publication. Then, two subsequent analyses are performed. This study identifies the trends of research on child education with the employment of Korean children songs and the application of Korean children song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ly, the themes in most previous studies cited in this study are related to child development. In other words, most prior studies indicate that Korean children songs influences child development in motor, emotion, social skill, language, and intellectual. Secondly, in most prior studies, Korean children songs contain implicit musical characteristic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child development. Thirdly, the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aking advantage of Korean children songs, contribute much to educa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지적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서보준 ( Bo-jun Seo ),윤선오 ( Seon-o Yoon ),김우호 ( Woo-ho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자녀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D, K, S지역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자녀 부모를 대상으로 2016년 3월 15일부터 4월 21일까지 142명을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질문지중 불성실한 응답이 많거나 무응답 등의 부적합한 6명의 자료를 제외한 최종 136명의 질문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PSS / 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자녀연령은 양육부담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지적장애자녀 부모의 양육부담이 높을수록 가족탄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지적장애자녀 부모의 양육부담이 가족탄력성에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제시되었으며, 또한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지적장애자녀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탄력성은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미한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자녀 부모의 양육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과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the impact of parenting burden of parents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 the quality of lif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in 142 parents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ttending special-education school and special classes in region D, K, and S from Mar. 15, 2016 to Apr. 21, 2016. Among which, copies of questionnaire for 136 parents excluding the data for 6 parents who were considered as unfaithful or irresponsive were finally analyzed as object of our final stud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using SPSS / Win 20.0 and ou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children ag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child-fostering burden.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parenting burden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lower their family resilience is. Second, the parenting burden of parents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amily resilience and parents`` parenting burde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of life. Also, family resilience recognized by parents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parent``s parenting burden on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fore,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for developing education and programs to alleviate the parenting burden of the parents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ability and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were discussed.

      • KCI등재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문화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태 ( Ji Tae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아동의 전통놀이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문화정체성의 변화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충남지역에 소재한 4곳의 장애인복지관에 다니는 10-13세 사이의 경도 지적장애아동을 모집단으로 하여, 기준 표집방법을 이용하여 2곳의 복지관으로부터 각각 지적장애아동 26명을 전통놀이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다른 2곳의 복지관에 있는 지적장애아동 30명은 어떠한 체육 프로그램도 참가하지 않고 단지 사전과 사후검사만 참여하는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크게 2개의 집단에 대한 사전검사(1주), 중재기간(15주간 주 1회 70분의 프로그램 실시 유무), 사후검사(1주)로 구성되어 총 17주간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백희숙(2006)의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통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이전에 실시한 사전검사에서는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 요인에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전통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한 이후 실시한 사후검사에서는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 모든 요인에서 두 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두 집단 내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살펴보면, 실험 집단은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 사전·사후 검사 간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집단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ulture ident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a traditional play program.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56 children from 10 to 13 years of ag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rom four welfare-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by welfare-center units into experimental (E; n=26) and control (C; n=30) groups. The Questionnaire for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Culture(QRPTC) was an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culture identity.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course of a seventeen-week period. After one week of administering the prete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play program during 70-minute sessions once a week for fifteen weeks (15wks x 70-min x 1day/week); the control group, over the same time period, did not participate in any traditional play program. Also, data were gather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the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statistical tests (independent and paired-sample t test) were performed at the .05 alpha level. The results was as followings: (a)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 group displayed statistically equivalent QRPTC scores on the pretest to those in the C group; (b)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 group displayed statistically higher QRPTC posttest scores than those in the C group; (c)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 group had partially higher QRPTC scores o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however, thos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C group did not reveal any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QRPTC sco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