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충북권 유아환경교육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철,김영식,은연아,진다희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2

        Focused on the case of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center in Chungbuk, we would like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cessity of pre-education.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pre-education. It conducted interviews with 1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visited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center in Chungbuk and conducted pre-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are as follows: First, pre-education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the contents and to induce interest. Second, pre-education is made by adding various efforts of teachers. Third, environmental education after pre-education can raise concern for both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hu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ase of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in Chungbuk, pre-education needs to be applied not as an option but as a necessity. Second, in order to apply environment education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required to make various attempts such as informing early childhood of prior knowledge or paying attention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nimals. Third, it is expected that the addition of the experience of pre-education and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in Chungbuk will be more effective in changing not only early childhood but also adults' environmental knowledge, skill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충북권 유아환경교육관 사례를 중심으로 사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전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충북권 유아환경교육관 방문한 경험이 있고,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교육을 실시한 교사 16명에게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분한 내용 이해, 흥미 유발을 위해 사전교육은 필요하다. 둘째, 사전교육은 유아교사의 다양한 노력이 가미되어 만들어진다. 셋째, 사전교육 후 환경 교육은 유아교사와 유아 모두의 관심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북권 유아환경교육관 사례를 통해 사전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에게 환경교육을 적용하기 위해 멸종위기동물, 환경에 대해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사전 지식을 알리거나, 주변 환경과 동물에 관심을 갖는 등의 교사의 다각적 시도가 요구된다. 셋째, 궁극적으로는 사전교육의 경험과 실제 충북권 유아환경교육관 경험이 더해지면 더욱 효과적으로 유아뿐만 아니라, 성인의 환경적 지식 습득, 환경을 위한 기술, 환경을 대하는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유아교수매체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점 탐색

        김정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what kind of viewpoints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toward childhood instructional media and how the viewpoint is biased. The research tool used the open question format in the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254 kindergarten teachers (110 kindergarten teachers and 144 daycare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yeongsangnam - do. The 254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were classified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and the first consultation proces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confirmed through a second round of consulta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s a result, the perspectivity of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materia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uld be Can classified as a conceptual perspectives, contribution perspectives, developmental perspectives, teacher perspectives, and typological perspectives. Among the five perspectives, early childhood teachers chose the most conceptual perspectives.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 perspective on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media influence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or early childhoo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aluable as a basic study of the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media and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media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is valuable as a basic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media and the basic research on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media.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수매체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 관점의 편향성은 어떤지를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도구는 질문지법 가운데 개방형 질문 형식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에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54명의 유아교사(유치원교사 110명, 어린이집교사 144명)이다. 연구에 사용된 254부의 질문지는 문헌고찰과 유아교육전문가와의 1차 협의 과정을 통해 나타난 관점을 분류하고, 유아교육전문가와의 2차 협의를 통해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의 유아교수매체에 대한 관점은 개념적 관점, 기여적 관점, 발달적 관점, 교수자적 관점, 유형적 관점으로 유목화 할 수 있었다. 다섯 가지 관점 중에서 유아교사들은 개념적 관점에 가장 많이 편향되어 있었다. 유아교수매체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점은 유아들에게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계획, 실행, 평가 등의 실제 적용에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수매체 관련 연수 내용의 방향성 제시와 유아교수매체에 대한 기초연구로서의 가치가 있다.

      • KCI등재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강상(Kang, sang),류경희(Ryu, Kyung-he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변화와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와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88명이다. 유아교사의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 및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수준은 중간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먼저 의사결정능력 중 가장 필요한 능력으로는 ‘정서활용능력’, 교육활동으로는 ‘상황에 따른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활용해 볼 수 있는 활동’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으로 ‘교재교구 및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라고 요구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교사연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상황에 적절한 여러 가지 대안을 모으고 최적의 선택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활동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연수를 통해 의사결정능력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교재교구 및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ducation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8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I-city and J-city areas.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depending on questions were produce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or the future society.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was shown to be positive by and large.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was shown to be upper-middling. Lastly, when it came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promote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or the future society, the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emotional literacy’ and ‘ability to use situational proper communication techniques’ were most needed. The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as necessary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lead to the following facts. First, a program development and a related teacher training are needed to improve the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Second, in the process of gathering some situational alternatives and selecting optimal conditions,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o give chances to regulate and control themselves need to be provided. Third, through teacher training, concrete information related to decision-making ability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need to be provided.

      • KCI등재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Friendship-Related Studies

        서현,임지윤,박미자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tries to analyze current trends in the study of childhood friendship,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ing a program that can activate the ground for childhood friendship related research and promote friendship among childhood. This study was done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friendship-related stud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154 articles, including 85 domestic dissertations and 69 domestic journal articl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chosen as subject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ollowing was found. First, early childhood friendship-related research was actively made after 2000. Second, mostly quantitative studi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friendship and related variables were performed. Third,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s, studies were done in the order of early childhood, parents, and then teachers. There was also some research analyzing literature and media. Fourth, in the trend according to research content, theoretical review of early childhood friendship-related theories and identification of friendship variables was continuously made from an early period, and the studies which deal with the formation and reten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friendships have been intensively made since 2003. This research will help early childhood friendship-related studies to be actively conducted, provide a firm base for the relevant research area by presenting a direction of research in terms of the analysis of current trends in the field, and it will also help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stablishing programs to promote interaction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with their peers.

      • KCI등재후보

        어릴 적 따돌림 경험과 유아기 따돌림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소고(小考)

        권혜진(Kwon Hye Jin)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3

        예비유아교사 각 개인은 양육과정, 어린 시절,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받고 개인의 변인과 특질에 따라 교육신념과 실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배경에 따라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어릴 적 따돌림에 대한 가해, 피해, 방관 경험과 유아기 따돌림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4년제 A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저널쓰기를 실시하였다. 수집 자료는 문서화하여 범주화하고 의미를 구조화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 추출된 범주는 38개의 의미 단위를 도출하였고 이를 상위 개념인 9개의 구성 요소로 통합하여 2개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초,중고등학교 시절 친구를 직접 따돌리는 경험을 하기도 하고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받기도 하는 중복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어린 시절 따돌림 경험은 교육기관의 폭력 예방에 대한 더 깊은 관심을 갖게 하였고 대학에서 예방과 실천을 위해 잘 배우겠다는 의지로 표현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따돌림 현상은 유아들의 따돌림과 구별되어야 하며 동일한 잣대로 유아에게 따돌림 가해, 피해 꼬리표를 붙이는 일이 정당한 것인지 의구심을 보였다. 반면, 유아교육현장에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유아, 따돌림 당하는 유아는 존재하며 어린 시기부터 친구를 배척하고 괴롭히며 이를 즐기는 행동은 옳지 못한 행동임을 단호하게 교육해야 한다는 관점도 공존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기 따돌림의 주된 원인으로 부모와 주변성인, 환경을 인식하였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의 따돌림 유아에 대한 교육적 개입에 대하여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교사개입과 중재, 대화, 관심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중심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을 강화하고 유아 따돌림 현상의 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의 시사점과 방안의 기초를 제공한 점은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re affected by each individual s parenting process, childhood, and student socialization process, and educational beliefs and practices may differ depending on each individual s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research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ullying experiences as bullier, victim, on-looker and perceptions, attitudes toward bullying in early childhood. For this, eigh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4-year A university participated and in-depth interviews, journal writing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documented, categorized, and the meaning was structured for qualitative analysis. In this study, 3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rom the categories finally extracted, and these were grouped into 9 components, which are higher-level concepts, and categorized into 2 categor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had the experience of being bullied directly by their friends dur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years, and they had the duplicate experience of being bullied by their peer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bullying in childhood led to a deeper interest in the prevention of violenc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was expressed as a will to learn well for prevention and practice at the university. Secon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xpressed doubts about whether it was justified to label children as victims of bullying and bullying according to the same criteria, as the phenomenon of bullying, a social problem,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bullying of children.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are children who can not get along with their friends and children who are bullied, and there was a view that it is wrong to reject, bully, and enjoy friends from an early ag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ain causes of bullying in early childhood were parents, surrounding adults, and the environment, as infants were not yet fully developed in their personality. In addition, it showed the recognition that direct and immediate teacher intervention, help, and attentions are necessary fo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of bullying childre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above results provided the basis for implications and measures to strengthen th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increase the sensitivity to bullying.

      • KCI등재

        유아교육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본 유아교육 공간 특성 연구 -몬테소리, 발도르프, 레지오 에밀리아 유아교육 이론과 유아교육 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강혜승,임경란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Early childhood is a significant period in the human life cycle. The body and perception are developed most actively, then, creativity and sociality are cultivated. Therefor, early childhood facilities need a space environment that an early child can support their development as they spend a lot of time the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and proposes spatial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These are the research method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ree meaningful theories that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and influenced 21st century talent development-Montesori, Waldorf, and Reggio Emilia- are selected. Second, central keywords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ie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pace were summarized by analyzing the cas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centering on the derived keywords. As a result, the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ies had differences in purpos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but they had the following common characteristics. There is an open and continuous spatial characteristic that supports free movement by considering the choice and freedom of early childhood’s development. Early childhood develop their sociability by interacting with children of their age. Therefore, a thread is placed around a large space serving as the center. It develops imagination and creativity by exhibiting children’s creations on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walls, ceilings, and windows. It supports children to experience nature and promotes the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by constructing a slope. Natural light creates a variety of spatial atmospheres, and soft wood is used for floors and furniture that the child’s body touches. It supports various spatial experiences such as changes in the size and height of various windows and floor heigh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facilities and expects the expansion of facilities reflect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유아기는 인간의 생애 주기에서 신체와 지각이 가장 활발하게 발달하며 창의력과 사회성을 함양하는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므로 유아교육 시설은 유아가 많은 시간을 보내는 만큼 유아의 발달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 이론에 따른 유아교육 시설의 공간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유아교육 시설에서 고려되어야 할 공간 특성을 제안한다.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유아교육 이론의 배경과 목적을 이해하고 21세기 인재상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세 가지 이론-몬테소리, 발도르프, 레지오 에밀리아-을 선정한다. 둘째, 선정한 세 유아교육 이론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중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유아교육 시설의 사례를 분석하여 유아교육 공간 특성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세 유아교육 이론은 각각의 목적과 공간적 특성의 차이가 있었지만, 다음의 공통적 특성을 갖는다. 유아의 선택과 자유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자유로운 이동을 지원하는 개방적이고 연속적인 공간 특성이 나타난다. 유아는 또래 유아와 만나 상호작용하며 사회성을키움으로 구심점 역할을 하는 넓은 공간을 중심으로 실을 배치한다. 벽, 천장, 창 등 건축 요소에 유아의 창작물을 전시하여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운다. 자연을 경험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경사진공간을 구성하여 유아의 신체 발달을 도모한다. 자연광으로 다양한 공간 분위기를 연출하며 유아의 신체가 닿는 바닥과 가구는 부드러운 목재를 사용한다. 다양한 창의 크기와 높낮이, 층고의 변화 등으로다양한 공간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시설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하며위의 특성들이 반영된 유아교육 시설의 확대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아동기의 다중적 위기와 그 해결을 위한 방안 모색

        심성보 ( Sim Seong-bo ) 방정환연구소 2019 방정환연구 Vol.1 No.1

        삶의 단계로서 아동기는 사회적 구성물이다. 고대의 아이들에 대한 광범위한 ‘잔인성’에서 시작하여 아이들은 ‘성인축소판’이라는 중세의 아동관을 거쳐, 그리고 근대 및 산업 사회의 등장과 함께 나타난 ‘아동기’ 개념의 탄생에 이르게 되었다. 아동기의 독립성, 발달의 한 단계, 어린이다움, 순결성에 대한 근대적 개념의 탄생은 문명화의 서막을 열었다. 아동기의 탄생은 개인의 능력에 따른 근대화의 물꼬를 튼 진보의 시작이기도 하지만, 아동기를 규제하고 통제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근대교육의 발달은 대중화 과정을 거치면서 아동의 삶을 분절화하고 유예화시키고, 훈육의 강화와 함께 점점 계층화, 성별화를 더욱 강화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아동기의 굴절과 왜곡으로 인하여 아동기자체가 파기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아이들이 어른으로부터 분리되고 아동기와 성인기가 절연화되면서 아동기가 사회변화를 따르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기가 출현하면서 아동기의 위치가 더욱 모호해졌다. 게다가 아동기가 상품화되고, 군사화되면서 아이들의 내재적 순수함이 훼손되어갔다. 이 모두 왜곡되고 굴절된 학교교육의 성격과 맞물려 있다. 이러한 다중적 위기를 보여주는 새로운 상황이 전개되면서 아이들의 위치를 재구성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중적 위기에 처한 아동기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첫째, 아동기와 성인기의 절연에 대한 방안으로 아동기의 주체화를 제안한다. 둘째, 아동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청소년기의 새로운 위치 설정을 위한 방안으로 시민으로서 청소년의 지위 인정을 제안한다. 셋째, 아동기의 상품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간적이고 비판적인 숙의적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넷째, 아동기의 군사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Childhood as a stage of life is a social construction. Starting from the widespread ‘cruelty’ of ancient children, through the medieval children’s view of the ‘miniature of the adult’, we have seen the birth of the concept of ‘discovery of children’ and ‘childhood’ with the emergence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birth of a modern concept of independence, a stage of development, childness, and purity in childhood opened the prelude to civilization. Today, however, children are in various crises. The birth of childhood is not only the beginning of the progress of moderniz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ability, but it also has become a time to regulate and control childhood. The development of modern education has brought about a situation in which children’s life is fragmented and deferred through the process of popularization, gradually increasing stratification and sexualization with the reinforcement of discipline. Such refraction and distortion of childhood have led to the total destruction of childhood itself. Children have been separated from adults, but as the distinction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becomes blurred, childhood which must exist as a phase of life, faces a new vacuum due to social change. The emergence of adolescence/puberty shows the positional ambiguity of childhood. The flood of consumption culture is causing multiple crises in childhood, including commercialization of childhood and the destruction of the peaceful minds inherent in children by militarization of childhood. That is because it is conjoined with the insulation of childhood and adulthood, turning youth into second-class citizens, and combining the nature of school education with consumerism and militarism. As a result of this new situation that shows multiple crises being developed, children are forced to re-position themselves. Whereas in western academic societies, there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developmental, cultural and political concepts of childhood that are understood as social constructs, our academic system is still in rudimentary stat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various aspects of childhood loss and finds a measure for solving i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dilemma of childhood in the multi-crises situ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childhood’s subjectification as a way to cope with the new vacuum. Second, as a way to set a new location for adolescents, one should recognize the status of youth as citizens. Third, we need a humane and critical deliberative education as a way to overcome the commercialization of childhood. Fourth, peace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needed to overcome the militarization of childhood.

      • KCI등재

        아동기의 다중적 위기 양상과 그 해결을 위한 방안 모색

        심성보 ( Sim Seong-b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3

        삶의 단계로서 아동기는 사회적 구성물이다. 고대의 아이들에 대한 광범위한 ‘잔인성’에서 시작하여 아이들은 ‘성인축소판’이라는 중세의 아동관을 거쳐, 그리고 근대 및 산업 사회의 등장과 함께 나타난 ‘아동기’ 개념의 탄생에 이르게 되었다. 아동기의 독립성, 발달의 한 단계, 어린이다움, 순결성에 대한 근대적 개념의 탄생은 문명화의 서막을 열었다. 아동기의 탄생은 개인의 능력에 따른 근대화의 물꼬를 튼 진보의 시작이기도 하지만, 아동기를 규제하고 통제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근대교육의 발달은 대중화 과정을 거치면서 아동의 삶을 분절화하고 유예화시키고, 훈육의 강화와 함께 점점 계층화, 성별화를 더욱 강화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아동기의 굴절과 왜곡으로 인하여 아동기 자체가 파기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아이들이 어른으로부터 분리되고 아동기와 성인기가 절연화되면서 아동기가 사회변화를 따르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기가 출현하면서 아동기의 위치가 더욱 모호해졌다. 게다가 아동기가 상품화되고, 군사화되면서 아이들의 내재적 순수함이 훼손되어갔다. 이 모두 왜곡되고 굴절된 학교교육의 성격과 맞물려 있다. 이러한 다중적 위기를 보여주는 새로운 상황이 전개되면서 아이들의 위치를 재구성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중적 위기에 처한 아동기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첫째, 아동기와 성인기의 절연에 대한 방안으로 아동기의 주체화를 제안한다. 둘째, 아동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청소년기의 새로운 위치 설정을 위한 방안으로 시민으로서 청소년의 지위 인정을 제안한다. 셋째, 아동기의 상품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간적이고 비판적인 숙의적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넷째, 아동기의 군사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Childhood as a stage of life is a social construction. Starting from the widespread 'cruelty' of ancient children, through the medieval children's view of the ‘miniature of the adult', we have seen the birth of the concept of ‘discovery of children' and ‘childhood' with the emergence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birth of a modern concept of independence, a stage of development, childness, and purity in childhood opened the prelude to civilization. Today, however, children are in various crises. The birth of childhood is not only the beginning of the progress of moderniz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ability, but it also has become a time to regulate and control childhood. The development of modern education has brought about a situation in which children's life is fragmented and deferred through the process of popularization, gradually increasing stratification and sexualization with the reinforcement of discipline. Such refraction and distortion of childhood have led to the total destruction of childhood itself. Children have been separated from adults, but as the distinction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becomes blurred, childhood which must exist as a phase of life, faces a new vacuum due to social change. The emergence of adolescence/puberty shows the positional ambiguity of childhood. The flood of consumption culture is causing multiple crises in childhood, including commercialization of childhood and the destruction of the peaceful minds inherent in children by militarization of childhood. That is because it is conjoined with the insulation of childhood and adulthood, turning youth into second-class citizens, and combining the nature of school education with consumerism and militarism. As a result of this new situation that shows multiple crises being developed, children are forced to re-position themselves. Whereas in western academic societies, there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developmental, cultural and political concepts of childhood that are understood as social constructs, our academic system is still in rudimentary stat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various aspects of childhood loss and finds a measure for solving i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dilemma of childhood in the multi-crises situ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childhood's subjectification as a way to cope with the new vacuum. Second, as a way to set a new location for adolescents, one should recognize the status of youth as citizens. Third, we need a humane and critical deliberative education as a way to overcome the commercialization of childhood. Fourth, peace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needed to overcome the militarization of childhood.

      • 유아 교사의 생태유아교육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연구

        이장미 ( Lee Jang-mi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생태유아교육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생태유아교육을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유아교사들의 생태유아교육 인식도 수준에 따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행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임의표집으로 선정된 U시 소재 유아교 육기관들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49명이었다.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 식도와 실행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이 실행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응답한 교육 현장에서의 생태유아교육 실행도는 `보통이다` 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 중 근무기관 유형, 교사 연령,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수경험 여부에 따른 생태유아교육 실행도의 차이가 있었다.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 인식도 수준에 따라 전체 프로그램 및 모든 하위영역 프로그램들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teachers who work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U-si and G-si of Gyeionsangbook-Do. All teachers responded their perceptions and levels of practice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questionnaires individually. For data analyis, reliability test, frequency test, descriptive ananlysis, correlation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program 18.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mean scores of perception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ppeared to slightly over the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ce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age, teacher training education. Second, teachers` mean scores of levels of practices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ield appeared to slightly over the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s` practices in the fields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ypes of education institutes that they work for, teacher age, teacher training educatio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s` practices in the fields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level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eco-early childhood.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developing teachers`s levels of perceptions about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practices of eco-early education at the educational institute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보통합을 위한 유아교육진흥법 재조명: 역사사회학적 접근으로

        나은경 ( Eun Kyung Na ),오경희 ( Kyung Hee Oh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1980년대 ‘유아교육진흥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이원화체제 형성의 역사적배경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유보통합을 위한 올바른 방향 정립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역사상 처음으로 정부가 유아교육을 국정지표로 선택하고 정책추진의 근거법으로서 제정한 유아교육진흥법에 대한 정치적·역사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유아교육진흥법이 유치원과 보육시설에 미친 영향을 재조명하고 유아교육진흥법이 개념적으로는 유보일원화, 제도적으로는 유보이원화의 양면성이 있음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유아교육진흥법은 유아교육의 이원화를 고착화시키는 단초를 제공하였으나 역설적으로 유보통합의 결정적 기회였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진흥법에 관한 재조명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유보통합의 올바른 방향을 유아교육의 공교육화에서 찾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right way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doing so,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n the evolution of the dual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role of ‘the Act for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acted in 1980s. We analyzed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ct for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provides the first legal basis for the policies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le reviewing the influence of the act o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efound the dual aspects of the act. The act, in fact, systematically deterred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lthough it conceptually combine the education and care for early childhood. Moreover, we found that although the act eventually became a crucial cause of du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ronically could have promoted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f it had designed appropriately. Lastly, we suggested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n appropriateway to achieve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