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박종철,이한준,김경진 한국마케팅학회 2010 ASIA MARKETING JOURNAL Vol.12 No.2

        It is not new that today’s business organizations are expected to exhibit ethical and moral management and to carry out social responsibility as a good corporate citizen. Since South Korea emerged as a newly industrialized country during the 1980s, Korean corporations have become active in carrying out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s a good corporate citizen to society. In spite of the short histor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Korean companie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corporate philanthropy. Corporations’ significant donations to various social causes, no-lay-off policies, corporate volunteerism and green marketing are evidences of their commitment to corporate citizenship.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now an essential management practice whereby corporation can strengthen its sustainable value creation processes by enhancing the trust assets underl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usiness and the stakeholders. Much of the conceptual work in the area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s originated from researches conducted in the management field. Carroll(1979) proposed that corporations have four types of social responsibilities: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Most past research has investigated CSR and its impact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corporations and corporate performances. Although there exists a large body of literature on how consumers perceive and respond to CSR, the majority of past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The stability and applicability of past findings need to be tested across different national/cultural settings, especially sin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a reflection of implicit conformation with the expectations and criticism that society may have toward a corporation(Matten and Moon, 2004). In this study, we explored whether people in Korea perceive CSR of Korean corporations in the same four dimensions as done in the United States and what were the measurement items tapping each of these four dimens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of CSR and the measurement items for CSR perceived by Korean people, nin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ral stakeholder groups(two with undergraduate students, two with graduate students, three with general consumers, and two with NGO groups). Scripts from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Korean stakeholders perceived four types of CSR which are the same as those proposed by Carroll(1979). However we found CSR issues unique to Korean corporations. For example for the economic responsibility, Korean people mentioned that the corporation needed to contribut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ountry by generating corporate profits. For the legal responsibility, Koreans included the “corporation need to follow the consumer protection law.” For the ethical responsibility, they considered that the corporation needed to not promote false advertisement. In addition, Koreans thought that an ethical company should do transparent management. For the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people in Korea thought that a corporation needed to return parts of its profits to the society for the betterment of society. The 28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ine focus group interviews, while considering the scale developed by Maignan and Ferrell(2001). Following the procedure proposed by Churchill(1979), we started by developing an item poll consisting of 28 items and purified the initial pool of items through exploratory,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176 samples were sued for this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28 items in order to verify the underlying four factor structure. Study 1 provided new measurement items for tapping the Korean CSR dimensions, which can be useful for the future studies exploring the effects of CSR on Korean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corporations and corporate performances. And we found the C... 그동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개발이 국·내외적으로 일부 연구자들에서 수행되어져 왔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하고 있는 구성개념(측정항목)들에 대한 이론적 배경의 결핍과 기업의 네 가지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이 과연 서로 이질적인 차원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관련된 지난 30년간 발표된 정량적 분석에 의하면, 대부분의 연구들이 측정항목과 방법론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CSR)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오래 지속되고 있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차원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어떻게 바라보는지, 혹은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가 서구사회 위주로 개발되어 국내에서 인용되다보니, 국내 특성에 맞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이해관계들을 대상을 집단면접(FGI)을 실시하여 국내 상황에 맞는 척도를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새로운 척도가 기존 척도에 비하여 더 높은 예측력을 지니는지를 간접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새롭게 개발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우선, 경제적 책임은 ‘제품의 품질개선 노력’, ‘고객의 불평처리에 대한 체계구축’, ‘이윤창출을 통한 국가경제발전 이바지’, ‘고용창출 노력’, 법률적 책임으로는 ‘법적기준 준수’, ‘직원들의 복지추구와 고용관련법 준수’, ‘명시된 계약적 책임이행’, ‘기업경영 관련법 준수’, ‘소비자보호법 준수’, 윤리적 책임으로는 ‘윤리강령 지침마련’, ‘과장광고나 허위광고’, ‘투명경영’, ‘사업파트너와의 공정한 거래’, 자선적 책임으로는 ‘지역사회와의 협력사업’, ‘스포츠 및 문화활동 지원’, ‘지역사회 봉사’, ‘사회환원’등이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기업들에게 경제적 책임활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지시키고 있으며, 특히 국내 기업들에게 자사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CSR 이행의지와 지속가능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돈희(DonHee Lee) 대한경영학회 2016 大韓經營學會誌 Vol.29 No.1

        본 연구는 공급자 관점에서 관계적 자본과 CSR 이행의지가 지속가능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고자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파트너십의 정도에 따라 파트너십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모형의 가설검증을 위해 국내 원청기업 및 1․2․3차 협력업체 구매/물류/자재담당 관리자를 중심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304개 응답 자료를 본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관계적 자본은 CSR 이행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CSR의 경제적 · 윤리적 · 법률적 책임이행의지는 지속가능 SCM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CSR의 윤리적 책임이행의지는 지속가능 SCM 성과의 환경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파트너십의 정도에 따라 CSR 이행의지와 지속가능 SCM 성과와의 관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협력업체와의 정보공유, 협업 수준 등은 협력업체의 역량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CSR 이행의지는 파트너십의 정도에 따라 지속가능 SCM 성과 향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구조 내에서 기업간 협력을 통해 경제생태계를 보호하고 같이 공존할 때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경제생태계 구성원들의 이해관계를 존중하고 기업은 사회구성원들에게 신뢰를 구축해야 만 생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사회적 자본 구축은 CSR 이행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외형적인 사회적 책임 이행보다는 이행을 증진 실천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된다. 지속가능 SCM을 통하여 기업은 협력업체 간 신뢰구축 및 상호협력, 가치 창출, 윤리적 경영 등 CSR 이행을 위한 실질적이고 실천 가능한 전략적 방안을 강구해야 된다. 또한 지속가능 SCM 내에서의 기업 간 실천적 전략방안을 기업의 특성에 맞게 도출하여 협력기업 간 상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ny factors (economic, ethical and legal) impact a firm’s commitment willingness to undertak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CSR in the field of supply chain management (SCM) are commonplace, but their measured success does not frequently appear in the literature. The complexity of potential relationships in supply chain organizations has made researching connections between CSR and sustainable supply chains difficult. As the process of SCM flows through inter-firm cooperation, building partnerships within the supply chain is a critical factor for CS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firm’s CSR may drive to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achievements that improve the firm’s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reducing total costs, improving quality, and enhancing corporate image with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 understanding of social capital is necessary to create strategic plans for sustainable SCM. As social capital can promote positive CSR willingness through partners, the improvement of sustainable SCM performance with regard to CSR importance should differ based on the type of partnerships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inter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CSR commitment, and sustainable SCM. The research model is proposed that describes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ccumulation in SCM on sustainable SCM performance through CSR commitment and partnership. This paper assumed that social capital accumulation affects CSR commitment and sustainable SCM performance. In addition, CSR commitment would differently affect sustainable SCM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various types of partnerships.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collected from 304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that the relational dimension of social capita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SR commitment. Also, economic, ethical, and legal responsibility commitment of CSR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structs of sustainable SCM performance. However, ethical responsibility commitment of CSR is not related to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sustainable SCM. Results show the moderating effect of partnership influence the relationships between CSR commitment and sustainable SCM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relational dimension of social capital is a prerequisite for CSR commitment, which is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SCM performance. Also, the degree of inform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with vendors may vary according to vendor competencies. Thus, improvement in sustainable performance of SCM with regard to CSR commitment may diff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rtnerships with other organization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to social capital accumulation as a prerequisite to CSR commitment for sustainable SCM performance was discussed. As social capital accumulation provides cultural and economic grounds for sustainability, cooperation becomes imperative for nurturing a sustainable business. As importance of partnerships to CSR commitment and sustainable performance of SCM, building long-term trust, share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scope or type of cooperation with vendors. Therefore, through sustainable SCM firms can devise substantial and practical strategic plans for CSR commitment such as building trust among vendors, cooperation or collaboration, value creation, and ethics management.

      • SCOPUS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imensions on Firm Performance: A Perspective of Government-Linked Companies in Malaysia

        ABD JAMIL, Farazila Rita,ALI, Mazurina Mohd,YEBOAH, Michael Korea Distribution Science Association 2022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9 No.7

        Past studies on the influe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on firms have been inconsistent,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examining how CSR affects the performance of Malaysian government-linked companies (GLCs).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SR dimensions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on firm performance from 2016 to 2020 using a sample of 31 GLCs from the top 100 companies under the Main Board of Bursa Malaysia. A total of 35 GLC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ample size based on the top 100 businesses listed under the board of Bursa Malaysia as of 31 December 2020. The study employed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dimensions and firm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is evaluated using accounting-based models of return on assets (ROA) and return on equity (ROE) and market-based models of earnings per share (EPS) and market value (MV). The CSRHub database was employed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of company CSR dimensions. The findings suggest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and philanthropic CSR and firm performance regarding ROE. Thus, GLCs prioritized ethical and philanthropic CSR over other dimensions.

      • KCI등재

        CSV와 투자효율성에 관한 연구

        김호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3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의 주요한 관심사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이 투자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기존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정성적 연구로 진행하고,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요 주장 세 가지를 정 리하고, 연구 변수, 연구 모형들을 서술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는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기업의 높 은 수준의 사회적 책임 이행이 투자 효율성을 어떻게 증가시키는지 살펴보기 위해 세 가지 논점을 제시하여 보았다. 첫째, 기업 의 높은 사회적 책임 이행은 투자 효율성과 양의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둘째, 투자 효율성은 1차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CSR 개별 구성 요소들과 양의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셋째, CSR 지수가 너무 높은 기업과 CSR 지수가 너무 낮은 기업은 투자효율성과의 연관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의 기여도는 CSR이 기업의 투자 효율성 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망으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 가지 주장을 가설로 채택하여 실증 분석한 연구가 나와서 보다 추가적인 발견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In this study, we aim to examine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mplementation, which is a major concern in previous research, on investment efficiency. The research method will be a qualitative study with reference to existing previous research. The three main claims to be addressed in this study will be summarized, and the research variables and research models will be described. As a result of the study, based on existing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presented three issues to examine how a high level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formance increases investment efficiency. First, we argue that a company's high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investment efficiency. Second, it is argued that investment efficienc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individual CSR components that represent the interests of primary stakeholders. Third, it is argued that companies with too high a CSR index and companies with a too low CSR index will have less correlation with investment efficiency.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will be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impact of CSR on corporate investment efficiency.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additional discoveries will be made through research that adopts the three claims presented in this study as hypotheses and empirically analyzes them.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This space is for the abstract of your study in English.

      • KCI등재

        브랜드 위기 유형별 브랜드 연상 하위차원의 재구성

        백선미,전중옥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논집 Vol.22 No.3

        본 연구는 Brown and Dacin (1997)의 기업 역량 관련 브랜드 연상(CA)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브랜드 연 상(CSR)의 하위 차원들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여, 브랜드 연상 유형에 근거하여 구분된 브랜드 위기 유형별 소비자 반응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성적, 정 량적 조사방법을 이용한 통합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1의 결과, CA관련 브랜드 연상은 기업역량과 관련된 본질적 차원을 넘어 브랜드의 외재적 영역까지 포함 하고 있었으며, CSR관련 브랜드 연상은 기업의 사회적 기여 외에 국가 경제에 대한 기여도 등 다양한 요인들 을 포함하고 있었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 2의 결과, CA관련 브랜드 연상의 하위 차원은 본질적 연상과 외재 적 연상의 두 가지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CSR관련 브랜드 연상의 하위 차원은 기업의 경제적, 법적, 윤리적, 재량적 책임 영역의 활동까지 모두 포함한 단일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1) investigates sub-dimensions of two types of brand associations(CA/CSR), and (2) redefines these sub-dimensions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on consumers' responses to brand crisis. For this, an integrative approach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s conducted. In Study 1, it is found not only intrinsic attributes for corporate ability(CA) associations such as technological ability and innovations, product quality, and A/S, but also extrinsic attributes such as brand image and personality.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ssociations,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economy and improvement of national pride are included in addition to corporate giving and community involvement. The sub-dimensions of consumers' brand associations are empirically reconstructed in Study 2, based on the results from Study 1. The sub-dimensions of corporate ability(CA) associations are related to 'intrinsic brand associations' and 'extrinsic brand associations'. On the other hand, consumers for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ssociations in a single dimension with a comprehensive perspective. Furthermore, it is highlighted that this single dimension comprises corporate's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instead of considering corporate giving only as in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Explor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imension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Sujin Mo,조윤정 재단법인 서암순창장학회 2019 Journal of Marketing Thought Vol.6 No.2

        The import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 corporate business is increasing worldwid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 into CSR practice by examining the effects of CSR’s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dimension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and applied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The outcomes demonstrate that the economic dimension across three dimensions of CSR is valid and significant for attitudes toward the firm,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ided manageri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both corporation and government.

      • KCI등재

        반기업정서, 기업 CSR, 기업 평판 간의 상관관계

        김현정(Kim, Hyun Jeong),조남숙(Cho, Nam Sook),강경희(Kang, Kyung Hee)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5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0 No.3

        우리나라는 대기업, 재벌에 대한 반기업정서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어 반기업정서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반기업정서와 기업 평판, 사회공헌 활동의 관계 및 영향력에 대해서 평상시와 위기시로 구분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실제 우리나라 유수 대기업들의 반기업정서 태도에 대하여 기업별 점수를 측정하여 삼성, SK, 현대, CJ가 반기업정서가 높은 기업임을 분석하였다. 둘째, 반기업정서들은(인지적 차원이건, 감정적 차원이건) 모두 조직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기 상황, 그것도 기업의 도덕적 위기 상황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반기업정서가 평판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더욱 높은 영향력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평상시 지속적인 사회적 책임 수행의 필요성에 대한 함의를 던진다. Debating of anti-corporate affection have been dealt with a main issue in our Korea society.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s aimed to investigate som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reputations and anti-corporate affection. Also, it was to find CSR’s mediating effects in crisis situations and non-crisis. AMOS was carried out i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nti-corporate affection influenced negatively on corporate reputations. Also, these influences was mediated by their CSR performances. This result suggested to implications for the CSR’s importance in corporate crisis situations.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제품 및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한준(Han Joon Lee),박종철(Jong Chul Park) 한국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연구 Vol.24 No.1

        많은 기업들에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필수항목이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Carroll(1979)의 정의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제품 및 기업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심리적 메커니즘을 찾고자하였다. 이러한 심리적 기제와 관련해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해당 기업에 대한 신뢰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제품 및 기업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제안하고자한다. 그리고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가 신뢰의 차원을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로 구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차원이 각각 두 신뢰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 노력은 전문성에 기초한 신뢰와 호의성에 기초한 신뢰를 매개로 제품 및 기업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 노력이 높으면 소비자들은 해당 기업에 대하여 전문성에 기초한 신뢰와 호의성에 기초한 신뢰를 형성하여 해당 기업 및 그 기업의 제품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업의 법률적 책임활동과 윤리적 책임활동, 그리고 자선적 책임활동 노력은 모두 호의성에 기초한 신뢰형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법률적 책임활동과 윤리적 책임활동, 그리고 자선적 책임활동이 해당 기업에 대한 전문성 신뢰가 아닌 호의성 신뢰를 매개로 해당 기업 및 제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제시해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들에게 우리 사회가 인지하는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에 대한 각 부분을 이해시킴으로서 자신들의 수익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거나, 또한 기업의 신뢰형성에 결정적이고, 실무적인 도움을 제공해줄 것이다. According to the great economist Milton Friedman, corporate has only one responsibility that is economic responsibility making a profit while observing the law. Market economy would result in improved efficiency and increased economic results. However, corporate efficiency-oriented activities may exert detrimental impact on well-beings of society through environmental pollution,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exploitation of labor in under developed countries. Business entities exist within a market society. Their activities influence the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are influenced by the society. Corporate is not separated from society. Since the globalization process starting 1990s, society witnessed the movement of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Consumers and investors have been asking corporate to conduct socially responsible actions such as producing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s, embodying product with socially responsible attributes, fair labor condi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etc. Business integrates social demands into its management. It is not new that today`s business organizations are expected to exhibit ethical and moral management and to carry out social responsibility as a good corporate citizen. Since South Korea emerged as a newly industrialized country during the 1980s, Korean corporations have become active in carrying out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s a good corporate citizen to society. In spite of the short histor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Korean companie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corporate philanthropy. Corporations` significant donations to various social causes, no-lay-off policies, corporate volunteerism and green marketing are evidences of their commitment to corporate citizenship.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now an essential management practice whereby corporation can strengthen its sustainable value creation processes by enhancing the trust assets underl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usiness and the stakeholders. A critical but elusive issue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search has been the impacts of a company`s social initiatives on the consumers` evaluation of product and corporation. Researchers in the area of management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s. These researchers explored a direct relationship either between CSR and its financial successes. However,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inconclusive and inconsistent. In the area of Market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CSR on consumers` product evaluation and corporat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not conclusive either. Different from the past studies, in this study we postulates that the consumers` trust play an essen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dimensions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arroll,1979) and the product/corporate evaluation. Trust is conceptualized into two different forms: expertise-based trust and benevolence-based trust. A model integrating four dimensions of CSR, two forms of trust, and the product/corporate evaluation is tested using data of 384 young consumer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 that the corporate economic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expert-based trust and benevolence-based trust. However, the corporate legal, the corporate ethical, and the corporate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not on the expert-based trust but only on the benevolence-based trust. Final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ert-based trust and the benevolence-based trust both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duct evaluation and on the corporate evaluation.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rust indeed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CSR and the product/corporat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corporations to understand the rela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문화적 차원에 따른 윤리적 소비동기 차이분석

        윤남수 한국외식산업학회 2017 한국외식산업학회지 Vol.13 No.4

        A cross-cultural survey was conducte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find the effect of cultural dimensions on ethical consumption motives. The four cultural dimensions were administ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riandis’ research. For dependent variables, two ethical consumption motives were administered: personal consumption motive and social consumption motive. The results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for ethical products marketing, on how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market should be taken account of when promoting ethical consumption. In the light of these findings, couple strategic marketing solutions are suggested in context of ethical consump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소비자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

        박종철(Park, Jong Chul),방광수(Bang, Kwang-Su) 한국소비문화학회 2012 소비문화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에 대한 평가와 제품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고 있으며, 나아가 이들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고찰하고 있다. 기존 연구와 다르게 본 연구는 신뢰의 차원을 세 차원으로 구분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네 차원이 각각의 신뢰차원에 미치는 차별적인 효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의 인식차이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분석결과, 한국 소비자의 경우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은 정직성 신뢰, 전문성, 신뢰, 호의성 신뢰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경제적 책임활동이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정직성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법률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한국 소비자든 중국 소비자든 기업의 법률적 책임활동은 정직성 신뢰와 전문성 신뢰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소비자들과 다르게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법률적 책임활동이 호의성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윤리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한국 소비자들의 경우, 기업의 윤리적 책임활동이 정직성 신뢰, 전문성 신뢰, 호의성 신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기업의 윤리적 책임활동이 전문성 신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끝으로 기업의 자선적 책임활동이 소비자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모두 기업의 자선활동 노력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정직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 모두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 소비자 모두에게서 기업의 자선적 책임활동 노력이 전문성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postulated that the trust plays an essen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corporate evaluation and product evaluation. In addition, we examined the perception difference to the Korean-Chinese consumers in these relations. A model integrating four types of CSR activities(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three dimensions of trust(integrity trust, expertise trust, social benevolence trust), and the corporate evaluation, product evaluation was tested using data of 400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economic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grity trust, expertise trust and benevolence trust in the case of the Korean consumers. But, in the Chinese consumers, the economic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expertise trust and benevolence trust. The legal 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grity trust and benevolence trust in the case of both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Also, ethical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integrity trust and benevolence trust in the case of Chinese consumers. Finall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xpertise trust in case of both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corporations to understand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four responsibilities and to make decisions in allocating their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