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靑銅器 銘文과 毛筆書寫

        빈동철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6 No.-

        One of the difficulties in arguing for the calligraphic qualities of inscriptions on durable materials, e.g., bronze and stone media, is that the inscriptions lack direct evidence of brush-and-ink writing. Based on the visual reflection of the inscriptions on such media, we can only imagine that the writing activities for the inscriptions were performed by carving with a stylus. However, some inscriptions seem very clearly to exemplify modulations that are most persuasively explained with reference to brush writing. I asserts in this article that inscriptions by carving with a stylus can be used for insights into writing by a brush, because brush writing was, in most cases, the basis for the engraving process of bronze inscriptions. This association of non-brush calligraphy with brush calligraphy, in both aesthetic and technical aspects, makes it possible to discuss scribal practices in Warring States brush calligraphy in relation to earlier non-brush calligraphy on bronzes, and to fill to some degree the lacuna of brush calligraphy prior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From the beginning of writing in the Shang dynasty, brush writing may have been the basis of everyday documents, as well as of ceremonial inscriptions. However, this brush writing on perishable materials has not survived archaeologically. However, my hypothesis on the role of brush calligraphy in bronze inscriptions not only provides a way to explain the vacuum of brush calligraphy during the pre-Warring States era but also opens the possibility that Warring States brush calligraphy relates to the previous non-brush calligraphy in terms of scribal tradition. 甲骨文과 金文의 서법 특징을 논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새긴 글씨가 毛筆書寫를 반영한다는 직접적 증거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단지 銘文에 드러난 시각적 인상과 우리의 경험에 기초하여, 銘文을 만들기 위하여 예리한 도구를 이용한 書寫 활동이 있었다고 상상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어떤 銘文은 그 글자 획의 변화가 매우 다양하여서 毛筆書寫의 서법 특징을 언급하여야만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본 연구자는 대부분의 경우 毛筆書寫가 청동기 銘文을 주조하는 과정의 기초 작업이었기 때문에, 예리한 도구로 새긴 銘文은 毛筆書法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심미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에서 金文과 毛筆書法의 연계는 戰國時代 이전의 서법 활동을 戰國時代의 서법 활동과의 연결시켜 논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戰國時代 이전의 毛筆書寫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의 공백을 보완해 준다. 商나라 書寫의 시작부터 毛筆書寫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록을 위하여 사용되었고, 또한 甲骨文과 金文 같은 특별한 목적으로 만든 銘文의 토대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의 썩기 쉬운 재료에 붓으로 쓴 글씨는 현재 남아 있지 않다. 金文에 대한 毛筆書寫의 역할과 관련해서 제기한 본 연구자의 가설은 戰國時代 이전의 毛筆書法을 설명하는 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書寫 전통의 측면에서 戰國時代의 毛筆書法은 그 이전 시기 金文書法과 연결되어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준다.

      • KCI등재

        Correlation analysis of brush temperature in brush-type DC motor for predicting motor life

        Wae-Gyeong Shin,Young-Sik Song,Young-Kyo Seo 대한기계학회 2012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6 No.7

        Some critical components of motors and generators have sliding electrical contacts. Electrical brushes are usually used in these contact points to conduct current between the stationary part and the moving part of the motor. In this paper, studies on brush wear against copper commutators are briefly reviewed.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in brush wear are associated with both mechanical wear and electrical wear. Brush wear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material properties, sliding speed, contact force, and interfacial as well as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mechanical wear of brushes is proportional to brush spring pressure and sliding speed, and the electrical wear of brushes is associated with current and contact voltage drop. For characterization, a brush wear test machine is designed,and influential factors, such as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temperature, wear mass loss, and so on, are measured. The wear tests are processed using a small brush-type automotive DC motor. The study primaril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wear behavior of copper-graphite brushes on small brush-typed DC motors. The variable conditions of electrical current are obtained by changing the brush spring pressure and the sliding speed. The results are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voltage drop, brush surface temperature rise, and so on. Brush wear is greatly changed by electrical current, which indicates that high current itself not only produces more Joule heating but also causes an increase in voltage drop that will result in additional Joule heating.

      • KCI등재

        Grooming brush 제공에 따른 한우 암소 육성우의 사양성적, 행동특성 및 혈액성상의 변화

        하재정,양가영,송영한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7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1 No.5

        본 연구는 grooming brush의 제공에 따른 한우 암소 육성우의 사양성적, 행동특성, 혈액 내 cortisol 및 혈액성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6개월령의 암소 육성우(110.63±12.23kg) 32두를 32m2 우방에서 대조 구(non grooming brush), 처리구 1(Chevron angle type grooming brush, CHAT), 처리구 2(Straight type grooming brush, ST) 및 처리구 3(Chevron angle type and Straight type grooming brush, CHAST)으로 처리당 4두씩, 4처리 2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여, 2주간 예비시험 후 8개월간 본 시험 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grooming brush 제공에 따른 사양성적으로 종료 시 체중과 일당증체량에서 는 대조구 대비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고, 사료요구율에서는 대조구에서 가장 낮은 사양성적을 보였다(p<0.05). 행동특성 중 횡화 및 걷기시간은 대조구 대비 grooming brush를 제공한 모든 처리구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음수행동의 빈도는 처리구 3에서 유의적(p<0.05)으 로 증가하였다. 또한, 몸단장행동인 자기몸 핥기, brushing 행동과 투쟁행동은 대조구에서 다른 처리구 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액성상에서 헤모글로빈수치는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 으로 높았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sol 농도는 대조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grooming brush 제공에 따른 한우 육성 성적, 행동특성 그리고 혈액 내 cortisol의 변화는 집 단생활을 하는 소의 사회적인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스트레스 저감으로 인해 건강한 발육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effects of installed grooming brushes on growth performanc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blood composition including cortisol levels. Thirty two heads growing Hanwoo heifers(110.6 ± 12.2 kg) at 6 months age were randomly allocated 4 heads into each treatments which were Control, Treatment 1(Chevron angle type grooming brush, CHAT), Treatment 2(Straight type grooming brush, ST), and Treatment 3(Chevron angle type and straight type grooming brush, CHAST). There were pre-experiment for 2 weeks period, and then the present investigations were counducted for 8 months period. Final body weight, average daily gain were highest in the treatment 3 group(p<0.05), and lowest in the control group(p<0.05) among the treatments. Feed conversion ratio was excellent for treatment 2 or 3 groups. Behavioral characteristics, lying down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p<0.05) in the treatment 3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Walking time was higher in the treatments group than the control group(p<0.05). Drinking frequen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eatment 3(p<0.05). Also, body care behavior, such as licking, rubbing, brushing, and aggressive were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than treatment group(p<0.05). As the blood composition, hemoglobin levels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ntrol group(p<0.05). Cortisol leve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with other groups(p<0.05). Therefore, the grooming brush could have desirable positive effects such as growth performance, behavior and stress in relation to blood cortisol level in rasing cattle. Also, the present results indicating that supplementation of grooming brush could contribute to improve animal welfare in Hanwoo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백자필통 연구

        류주형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20 文物硏究 Vol.- No.38

        A brush case is to hold brushes used to write or paint and is one of the stationery objects. A brush case was one of the stationery objects that were made in the largest amount along with Yeonjeok during Joseon. Porcelain-type brush cases were all white porcelain, and their production began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when white porcelain brush cases were not only made to serve practical purposes, but also cherished by classical scholars as a piece of living art to appreciate. There were three shapes of white porcelain brush cases: circle homotype, and square. The former was made more than the latter because it was easier to make and the most convenient to hold brushes. White porcelain brush cases were also divided into the ones with no patterns and the ones with patterns. They can further be classified into Somun, Cheolhwa, Cheonghwa, Yangak, Eumgak, and Tugak according to decoration techniques. Various patterns were used including plants, animals, flowers, and geometric ones, of which plant patterns recorded the highest percentage. The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brush cases became active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when the production of the entire white porcelain stationery objects including brush cases was more active than the previous period. The emergence of white porcelain brush case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holds significance in two way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appreciation culture became visible. At the end of Ming, there was a huge trend among literary figures to make the old tradition of literary figures' culture a part of their life, appreciate it, and enjoy is as part of their daily convention. The trend was still in vogue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and resulted in the collection and appreciation of stationery antiques enjoyed by the noblemen. White porcelain brush cases emerged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and made the introduction of this appreciation culture visible. Secondly, it represented the popularization of white porcelain.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white porcelain was characterized by the Sabeon and privatization of branches, which created an opportunity for porcelain, which used to be restricted only to the ruling class, to spread to various social classes. White porcelain brush cases emerged and mass produced for these reasons. 필통(筆筒)은 문방구(文房具) 중 하나로 연적(硯滴)과 함께 조선시대에 가장 많이 제작된 기물(器物)이다. 문방구는 서화를 그리고 책을 읽기 위하여 서재의 책상 위에 비치하는 기물을 뜻한다. 그 중 필통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는데 도자 필통은 모두가 백자로 제작된 것이며 이는 조선 후기부터 활발하게 제작되기 시작했다. 백자필통은 조선 후기에 제작되기 시작하며 비교적 늦은 시기에 출현하여 다양한 기형, 장식기법으로 제작되며 시문되는 문양은 장식적, 길상적 의미를 지닌 채 제작된다. 또한 수량도 증가하는데 이 흐름은 19세기까지 이어진다. 이는 조선 후기 분원의 사번화, 학문의 발달, 양반층의 확산, 사치화 경향이라는 시대적 배경 등에 의거하며 이러한 조선 도자사의 큰 흐름 속에서 백자 필통은 출현하였으며 조선후기가 백자 문방구의 전성시대가 되었다. 백자필통의 출현은 조선의 문인들이 선호하고 따르던 완상문화의 유입을 가시화시키며 이러한 완상문화는 문방애호사상으로 발전해 조선의 예술품에 큰 영향을 끼친다. 또, 백자필통은 조선시대 사대부에만 한정되어있던 백자 수요층이 확대된것을 상징하기도 한다.

      • KCI등재

        An analysis of the main factors on the wear of brushes for automotive small brush-type DC motor

        Wae-Gyeong Shin,이수홍 대한기계학회 2010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4 No.1

        Some critical components in motors and generators have sliding electrical contacts. Electrical brushes are commonly used in those contact points to conduct current between the stationary and moving parts of a motor. Brushes are exposed both to mechanical and electrical loading. In this paper, studies on the wear of brushes against copper commutator were briefly reviewed.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of brush wear are associated with both mechanical and electrical wear. Brush wear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material properties, sliding speed, contact force, and interfa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mechanical wear of brushes is proportional to the brush spring pressure and sliding speed, while the electrical wear of brushes is associated with current and contact voltage drop. To characterize the wear, a brush wear test machine was designed, and influential factors were measured such as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temperature, wear mass loss, and so on. The wear tests were processed using a small brush type automotive DC motor.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wear behavior of copper-graphite brushes in a small brush-type DC motor. The variable conditions are with and without electrical current by changing the brush spring pressure and sliding speed, and the results are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voltage drop, brush surface temperature rise, and so on. Brush wear greatly changes with electrical current. This shows that the high current not only produces more Joule heating but also causes an increase in voltage drop, which will result in additional Joule heating.

      • 초소형 ABS/ESC 모터용 고 내구성 금속흑연 브러쉬 소재 개발

        김대열(Daeyeol Kim),김주행(Juhaing Kim),박태원(Taewon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0 No.11

        ABS(Anti-lock Brake System) 및 ESC(Electro Stability Control System) 은 자동차의 제동 성능 및 차량 자세제어를 향상시키는 System으로 점차 장착률이 증가되고 있고 자동차 엔진룸의 공간이 작아짐으로 인해 System의 소형화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그 중에 무게 및 부피 40%를 차지하는 Motor의 소형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ABS/ESC Motor는 DC Motor로 통전성과 윤활성 역할을 하는 금속흑연 Brush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동일출력에서 Motor의 소형화로 인해 Brush 단면적이 작아짐에 따른 Brush에 가해 지는 전류밀도 상승으로 Motor 회전시 Spark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적 마모를 촉진 시킬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Brush 에 가해지는 전류밀도가 증가하여도 정류자에 통전성과 윤활성을 향상시켜 Brush 마모를 줄이기 위해 Copper 함량, Copper의 분말 크기를 조절하여 Brush 미세조직과 물리적 전기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마모를 최소화 시킬수 있는 조건을 선정하여 이들 Brush가 실제 Motor에서 기존 소재 Brush 특성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지에 대해 Motor 내구시험 및 소음특성으로 판단 하였다. 또한 Motor에서 소음과 마모특성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Brush 및 정류자 표면의 피막을 관찰 하였다.

      • KCI등재

        동아시아 붓공예 마을의 역사와 전승 환경의 변화

        박창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2

        한국과 중국, 일본의 붓은 역사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여 오늘날까지 전승되었 다. 중국에서 처음 만들어진 붓은 한국과 일본으로 전파되고 각 나라에 맞는 기법 을 통해 제작되어 문화예술이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붓이 전파 가 되고, 각국의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공통적 요소가 많이 있기는 하지만 각 나라 에 특색에 맞게 발전하여 차이가 생기기도 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각국은 문화가 발달하면서 점점 붓의 사용량이 늘어났으며, 이에 우수한 붓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했다. 이를 맞추기 위해 필장들의 수도 급 격하게 늘어났으며, 지리적 이점이 있고 유명한 필장들이 기법을 전승하고 있는 곳으로 사람들이 모이게 되었다. 한 지역에 사람들이 모이게 되면 해당 지역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이에 각국은 대부분의 마을 사람들이 붓과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는 주요 전승지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한 지역에서 나오는 붓이 유명해지고, 점점 그 지역의 붓이 많이 만들어지면서 붓공예 마을이 형성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중․일 각국의 전승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주요 전승지의 변화를 종합해보고 전승 환경에 대한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 일본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문화의 발전이 계속해서 이루어졌고, 다양한 문화도 유입되고 서로 교류하기도 했다. 또한 필장들은 우수한 붓 제작 기 법을 사사하기 위하여 한 지역으로 모이기 시작하였으며, 협업하여 붓을 제작하기 도하였다. 이에 각국에서는 붓공예 마을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경우에는 쉬안청(宣城)과 후저우(湖州) 지역의 붓이, 일본은 나라(奈良), 쿠마노(熊野) 지역 등의 붓의 유명했다. 이 지역들은 오늘날까지 붓의 전승이 이루 어지고 있으며, 중국의 후저우 지역과 일본의 쿠마노 지역은 각국의 주요 전승지 로 가장 많이 붓이 제작되고 있기도 하다. 한국의 경우에는 1930년대 이후에 광주 광역시의 진다리 지역과 서울특별시의 인사동 지역이 붓공예 마을이 형성되기도 했으며, 한국의 주요 전승지로 알려지기도 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급격하게 붓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활동하고 있는 필장의 수도 각각 급감하면서 붓공예 마을 의 성격도 사라지고 전승 환경도 변화하였다. 이에 붓공예 마을 및 붓공예 관련 문 화, 붓공예 제작 환경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오늘날 다양한 현대 문화의 발전으로 인하여 붓을 사용하는 인구가 줄어들게 되면서 붓의 전승도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붓공예도 변화를 시도하고 개혁을 해나가야 한다. 끊임없이 국가의 정책과 사회의 분위기가 바뀌기 때문에 붓 또한 한층 더 발전시켜 나가려는 시도가 필요한 것이다. 전통과 현대의 격차가 벌어지게 되면 붓 및 제작 기법 같은 전통문화의 방향은 쇠퇴할 수밖에 없다. 새로운 판로도 개척해 나가고 동아시아 지역의 붓 공예 산업이 서로 협력하면서 발전해 나가는 것도 필요하다. 급변하고 있는 시대에 맞춰 역사 속에서 붓이 적응했던 것처럼 새로운 전승 방향을 연구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Brushes have a very rich history as tools for painting and calligraphy. Prior to the invention of brushes, a long, complex process was required to complete such works. Hence, brushes are a sophisticated result obtained through human practice. After the basic form of Chinese brushes developed, various reforms and further development occurred, and over time, brushes have continued to be improved to meet national cultural demands. These changes in brushes have enabled people to create more intricate art and record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brushes have played an significant role in bringing developed artwork into existence. For this reason, tracing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brushes reveals rich cultural changes and detailed period-specific historical records. Korea, China, and Japan have a history of cultural exchange, including of brush-making skills. Brush makers gathered in one area to learn and share excellent brush-making skills. Over time, they also gathered in one area to jointly produce brushes. Brush craft villages were created in each country due to culture to study excellent brush production techniques under renowned teachers and produce brushes through cooperation. Xuancheng and Huzhou became famous for brushes in China. Additionally, brushes from Nara and Kumano became famous in Japan. In South Korea, brush craft villages have existed in Jindari in Gwangju, and in Insa-dong in Seoul, since the 1930s. Today, as the number of people using brushes has de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modern cultures, brush transmission is facing a crisis. In the midst of these changes, new brush work efforts are needed. However brush makers transmitting each country’s traditional techniques do not know how to change and transmit their skills in modern times. Efforts to vitalize the brush craft field are needed, specifically by developing an overall brush culture and combining it with new fields to go beyond simple transmission. Historically, brushes have always changed and adapted. Therefore, the attempt to revitalize brushes is a new challenge to be taken on today.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daptation, change,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brush craft in modern society, keeping in mind that brush craft i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VR 디지털 매체 탐색 및 활용에 나타나는 인식 탐구: 초등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백윤소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3 미술과 교육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utilizing VR digital media and interpret the process based on 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To this end, I conducted an art program using Tilt Brush, a VR digital medium, after school for six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rom October 2021 to February 2022 using the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using the tilt brush b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fter-school program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is the transition stage of the medium, the second is the application stage of the existing expression method, the third is the search stage for a new expression method, and the fourth is the implementation of a new expression method. The four stages of VR digital media exploration and utilization are based on theory of cognitive constructivism and Deleuze's epistemology. What penetrates the two theories can be said to be the collapse and reconstruction of the frame of cognition, and based on this, the steps of exploring and utilizing the Tilt Brush are as follows. The first stage of medium transition is the stage of forcing reason to the thinker. For students, Tilt Brush is a new stimulus and an object of chance encounters, and Tilt Brush forces students to think. The second step of applying the existing expression method i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Tilt Brush with the existing cognitive frame and schema, and at this stage, students reach a state of failure of thought. The third stage of finding a new way of expression seeks to reconstruct the cognitive structure.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occur dynamically, and and a successful reorganization of the cognitive frame is achieved by meeting contingencies in the learner's environment. The fourth step of implementing the new expression method can be interpreted as the realization of the expression method by achieving a successful asymmetric synthesis of emo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VR 디지털 매체 탐색 및 활용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을 인식론적인 관점에 근거하여 해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해 2021년 10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초등 6학년 학생 6인을 대상으로 방과 후에 VR 디지털 매체인 틸트 브러쉬를 활용한 미술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방과 후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틸트 브러쉬를 탐색 및 활용하는 과정은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매체의 전환 단계, 둘째 기존 표현 방식 적용 단계, 셋째 새로운 표현 방식의 모색 단계, 그리고 넷째 새로운 표현 방식의 구현이다. VR 디지털 매체 탐색 및 활용의 네 단계는 인지적 구성주의 이론과 들뢰즈의 인식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한다. 두 이론을 관통하는 있는 것은 인식 틀의 붕괴와 재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근거하며 틸트 브러쉬 탐색 및 활용 단계를 이해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매체의 전환 단계는 사유자에게 사유를 강요하는 단계이다. 학생들에게 틸트 브러쉬는 새로운 자극이자 우연한 마주침의 대상이며, 틸트 브러쉬는 학생들에게 사유를 강요한다. 두 번째 기존 표현 방식의 적용 단계는 기존의 인식 틀과 도식으로 틸트 브러쉬를 이해하는 과정이며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사유의 실패 상태에 이른다. 세 번째 새로운 표현 방식의 모색 단계는 인지 구조의 재구성을 꾀한다. 동화와 조절 작용이 역동적으로 일어나며, 학습자의 환경에서 우발점을 만남으로써 성공적인 인식 틀의 재편을 이룬다. 네 번째 새로운 표현 방식을 구현하는 단계는 성공적인 가성의 비대칭적 종합을 이루어냄으로써 표현 방식이 현실화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中庸을 통한 筆墨의 교차와 융합

        신지민(Shin, Ji Min)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3 No.13

        본 연구는 양식과 그 기법의 범주를 나누고 규정하기 어려운 현대 미술에서, 동양회화의 근간이 되어온 필묵(筆墨)이 어떠한 의미로 자리하고 있는지 그 가치를 모색해 보고 필과 묵을 분리하고 반복하고 교차함으로써 탈(脫)전통의 융합적 필묵 운용과 그에 따른 조형적 가치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동양회화에서의 필묵의 전통적 흐름을 살펴보면 필(筆)을 중요시 여기기도 하고 먹(墨)을 필(筆)에 귀납시키기도 하였으며, 먹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필과 먹의 가치와 의미가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근・현대에 이르면서 시대적 배경과 환경, 서구의 영향 등으로 전통을 혁신하려는 분위기가 성행하게 되었고, 이는 작가 고유의 창작 의지와 더불어 ‘먹’이 전통적으로 중요시되었던 ‘필’을 넘어 그 위상을 높이고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오늘날의 탈(脫)경계적・탈(脫)전통적 회화는 필묵이 새롭게 변화하고 발전해 나가야만 하는 상황에 이르게 하였다. 이렇게 다변화하는 현대 미술계의 현실 속에서, 본 연구자는 필묵의 반복과 교차를 통한 탈전통의 융합적 필묵을 획득하기 위해, 격변하던 시대 속에 생성된 근대적 필묵이 전통을 넘어 어떻게 혁신을 이루어 왔는지 고찰하였다. 특히, 중국과 한국의 근대 이후의 필묵을 중심으로 중국의 해상화파(海上畫派)의 근대 필묵, 석도(石濤) 필묵의 재해석, 오관중(吳冠中)의 혁신적 필묵 등을 살펴보고, 한국 수묵의 근대적 필묵으로 사경산수의 이상범과 변관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필묵은 끊임없이 혁신되고 발전할 수 있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한국 필묵의 현대화를 구현한 작품들과 그 경향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유교 사상의 요체라 할 수 있는 ‘중용(中庸)’을 연구작품의 내재적 의미로 삼고 있다. ‘중용’은 인간 행위의 이상적 기준으로 ‘중(中)’이란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함이 없이 꼭 알맞은 것을 말하며, ‘용(庸)’은 언제나 변함없이 바른 것을 말한다. 특히, 중용사상의 중심개념인 ‘중화(中和)’와 ‘성자자성(誠者自成)’은 연구자의 작품과 그 과정 안에 내재되어 바탕을 이루고 있다. 이는 절도(節)에 알맞은 융합적 필묵의 완성을 위해 끊임없이 반복과 교차의 필묵을 실천해가며 조화로운 필묵의 조형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작품은 필과 먹을 분리하여 탈(脫)전통적・(脫)탈중복적 필묵으로 반복과 교차를 융합함으로써 새로운 필묵의 운용과 조형적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앞으로의 연구자의 작업에 있어 명료한 방향성과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데,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value of ink brush, which have been a foundation of Oriental painting, in respect to morden art in which the category of styles and techniques are difficult to classify and define. Also this study seeks to acquire the operation technique of ink brush in the unity of de-tradition as well as its subsequent formative value through separation, repetition, and crossover of brush and ink. If we examine the traditional flow of ink brush in Oriental paintings, brush was considered important and ink was induced to the brush. Also there were processes of new perceptions of focusing on the ink. Through such processes, one can see that the value and meaning of ink brush has changed. Beginning in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it has become prevalent to seek innov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time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influence of the West, and this has had a great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the status of and advancement of “ink” along with the unique will of creation of an artist while exceeding the status of a “brush”, which was taken as being important traditionally. In this situation, in today’s painting, which is beyond borders and is de-traditional, there is a need for renewal and advancement of brush and ink. In this ever diversifying contemporary art world, the researcher reviewed how modern ink brush, which have been created in this rapidly changing era, have realized innovation by going beyond their tradition to accomplish the unity of brush and ink of de-tradition through the repetition and crossover of ink brush.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ink brush of China and Korea after the modern ag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modern ink brush of the Shanghai School of China, the re-interpretation of ink brush of the Shi Tao, and the innovative ink brush of Wu GuanZhong. Also the researcher looked into Yi Sang Bom and Byun Kwan Sik of the realistic landscape painting as modern ink brush examples of Korean ink painting. Through this, ink brush were discovered as indispensable for continuous innovation and advancement;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some trends and paintings on which the modernization of Korean ink brush has been materialized. The researcher took the inherent meaning of the research work as “中庸(Zhongyong)” , which may be the key to Confucian ideology. Zhongyong refers to an ideal standard of human behavior, and “中(Zhong)” means something that is arguably suitable without being excessive or lacking whereas “庸(Yong)” means being always correct. Above all, “中和(Zhonghe)” and “誠者自成(Chengzhezicheng)”, which are the key concepts of Zhongyong ideology, become a foundation while being inherent in the work of the researcher. This aims to obtain the harmonious formativeness of ink brush by practicing a brush and ink of repetition and crossover without ceasing toward the completion of ink brush in a unity suitable for moderation. Based on this, from the work of the researcher, the new operation of ink brush and formative possibilities were deduced by uniting repetition and crossover with ink brush that moves away from tradition and 中鋒(Zhongfeng). This process became a precious opportunity for the future works of the researcher to establish a clear direction and identity.

      • KCI우수등재

        Review of Brush Painting for Cost-efficient Paintable Electronics

        Gye-Won Kim,Yong Jun Kim,Han-Ki Kim 한국진공학회(ASCT) 2021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30 No.1

        We briefly review a recent research development of brush-painting technologies for cost-efficient paintable electronics. Although several techniques of solution-coating, such as slot-die coating, inkjet printing and screen printing, have been developed for printable electronics, there have been great advances in brush-painting technologies and paintable electronics. This review demonstrate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brush-painting process and its applications, including paintable interconnectors, paintable transparent electrodes, and paintable semiconductor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brush paintable conducting polymer, metal nanowire and nanoparticles for paintable electrodes. In addition, we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brush painting-based paintable electronics. Furthermore, we introduce promising examples of visual art works based on brush-paintable electronics. By comparing typical solution coating methods with brush-painting method, we suggest potentials of brush-painting electronics for the next generation techn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