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법승 기록에 나타난 관음보살과 인도의 관음상

        강희정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0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5 No.-

        East Asian Pilgrims like Faxian and Xuanzang recorded their own itin-erary including their accounts on Indian arts and Buddhism on their per-spective. Since a few images remained in India, their references to the Buddhist art in India are very helpful to explain the iconography in the transitional period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ilgrims' understandings on the belief in Avalokitesvara and its images. According to Faxian zhuan, Faxian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Avalokitesvara sculpture. In his reference he was only concerned about the belief in Avalokitesvara, He thought Avalokitesvara as a savior of any man in peril, His understanding of AvalokiteSvara shows us his recognition of the same period. While Faxi-an didn't mention any Avalokitesvara images in India, Xuanzang left some information on the Avalokitesvara images. In Datangxiyuji Xuanzang referred to several statues of Guanyin. However he mentioned few of their features. It means that the appearance of bodhisattva was no concern of his, Xuanzang was deeply impressed on the way which certain Avalokitesvara mages answered the prayer of buddhists. He believed jf a man prayed with whole heart for a long time, he would get Guanyin's answer and be finally saved. On the other hand, Xuanzang disregarded the transformed images of Avalokitesvara like Lokesvara, Lokanatha, and Kasarpa a Lokesvara which had multiple arms and heads, These multiple armed and headed Avalokitesvara images appeared in late Gupta period under the influence of Hinduism. Even if Xuanzang had known these vari-ous transformed Avalokitesvara, he described only two-armed Avalokitesvara images with the lotus flower. He seems to think that only Padma-pani would be Avalokitesvara. Although Indian buddhists in Kushan period began to make the Avalokitesvara image with a lotus flower, after Gupta period it was changed. Multiple armed and headed Avalokitesvara images were increasingly created with two attendants of nra and Bhrkutl, Sometimes Indian buddhists adored Tara in eastern region of the country. Tara, the female deity, has utpala on her hand and under her knee Ashokakantha Maffci and Ekajata are represented, Although Tara is regarded as one of the other incarnations of Avalokitesvara, there is no reference whether Indian people believed the deity, Tara, as Avalokitesvara, Most scholars agree that the iconography of Avalokitesvara in India influenced to East A ia, But it is doubted that the esoteric Avalokitesvara images also influenced to East Asia.

      • KCI등재후보

        고려 후기 體元의 관음신앙의 특성

        정병삼(Jung, Byung Sam) 한국불교연구원 2009 불교연구 Vol.30 No.-

        14세기의 고려 사회는 원의 간섭기로서 사회 전반에 변화의 기운이 감돌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사회 운영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던 불교는 중앙 교단이 일반 정치 상황과 같이 원과 연계되어 공덕을 중심으로 하는 보수적 경향에 젖어들었다. 이전까지 활력을 보여주던 수선사 계통의 결사불교 대신 법상종과 가지산문이 새로 대두되면서 친원적 성격을 띠게 되고 국가적 성향을 지니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왕실과 권문들에 의해 사경과 불화 제작이 크게 늘었다. 이 시기에 활동한 體元은 신라 화엄에서부터 강조되어 왔던 관음신앙을 강조하였다. 적극적인 관음신앙 신행자였던 체원은 『華嚴經觀自在菩薩所說法門別行疏』와『白花道場發願文略解』를 편찬하여 관음신앙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 사례를 해석하고 길잡이가 되도록 하였다. 『화엄경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는 40화엄에 수록된 선재동자가 관음보살을 찾아 법문을 듣는 부분을 따로 떼어 이에 대해 징관의 해석을 제시한 다음 자신이 다시 여러 전적을 인용하여 풀이한 것이다. 체원은 이 책에서 『화엄경』의 관음을 『법화경』의 관음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화엄경』의 관음은 관음이 20 여종의 공포에 처한 중생이 두려움을 벗어나게 하고 不退轉에 이르게 한다는 것으로 특히 해안가 보타락가산에 관음이 상주한다는 주처 신앙에 특징이 있다. 이에 비해 『법화경』의 관음은 칠난 삼독 등 온갖 고뇌에 처한 사람들을 구제해 주고 여러 응신으로 나타나 無畏를 베푸는 현세구원적인 것이다. 체원이 이 성격이 다른 두 관음신앙을 한데 모아 강조한 것은 당시 사람들이 바라는 관음신앙이 현실구제적인 데 있음을 파악하여 나온 것이었다. 『화엄경』의 20종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한다는 것과 『법화경』의 고난 구제가 상통하므로 이런 작업이 가능하였다. 나아가 체원은 그런 고난 구제의 구체적인 사례를 감응전 등에서 찾아 수록하여 실천적인 지향을 강조하였다. 체원은 이 책을 통해 고난 구제와 감응 사례를 중심으로 화엄적 관음과 법화적 관음의 융합을 시도하였던 것이다. 『백화도량발원문약해』는 신라 화엄의 정초자 의상이 관음을 예념하여 지었다는 발원문으로서, 관음의 백화도량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구도적 성격의 것이었다. 체원은 이를 의상과 법장 등 화엄 초기 조사들의 전적을 인용하여 풀이하였다. 체원은 이를 통해 화엄교단이 구도적 관음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체원은 40화엄 관음법문 부분을 지송용 『관음지식품』으로 간행하고 『삼십팔분공덕소경』을 간행하여 공덕을 강조하였다. 이 시기 급증하는 사경과 불화 제작의 경향도 공덕과 왕생을 강조하는 것이며 관음은 미타에 다음가는 많은 예를 보인다. 체원의 이와 같은 저술과 간행 작업은 상류층들의 사경 등 직접적인 공덕신앙을 지원하면서 특히 자신이 속한 화엄 교단을 중심으로 교단에서의 구도적 관음신앙의 정립과 공덕적 신앙의 일반인에 대한 이해와 확산을 통해 포괄적인 관음신앙을 전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14th century, Goryeo dynasty was transparenced in the intervene of Yuan. The Buddhism which took a role of social management changed conservative. It connected with Yuan and focused on merit belief. The Suseonsa school was weakened and Beopsang school and Gajisan school were arose. They were connected with Yuan and Goryeo government. Chewon tried to suggest the reason and practice of practical belief, he based on Avalokitesvara belief which was maintained from Silla. With his comrade Inwon, Chewon believed actively Avalokitesvara belief. He wrote Hwaomgyeong-Gwanjajaebosalsoseolbeopmun- byeolhaengso and Baekhwadoryangbalwonmun-ryakhae. He wanted these books would be a guide of Avaloki- tesvara belief. Hwaomgyeong-Gwanjajaebosalsoseolbeopmun-byeolhaengso is the interpretation of separated part of Gan- davyuha(40 volumes), which contains Sudhana meet Avalokitesvara and hear his sermon. The author Che- won innoted the interpretation of Chengguan and added his own interpretation which is consisted of various books. Chewon intended to expound Avatam- saka-sutra linked with Lotus-sutra in Avalokitesvara belief. The Avalokitesvara belief of Avatamsaka-sutra is the practice of great benevolence, and give empha- sis on the fact that Avalokitesvara lives on the shore of Mt. Potalaka. That of Lotus-sutra is accomplishing people’s desires. Chewon joined these two various Avalokitesvara believes, because people want to get actual helps. The Avalokitesvara belief of Avatam- saka-sutra which shows Avalokitesvara derives people from twenty fears is similar to that of Lotus-sutra which Avalokitesvara derives three disasters and seven difficulties. So Chewon could join these two Avalokitesvara believes. Furthermore he found actual prayers for Avalokitesvara and listed them in that book. With this work, he showed that he wants to indicate practical praying for Avalokitesvara. So most of quoted books are annotations on the Gandavyuha (40volumes), and the book of responding prayers. Baekhwadoryangbalwonmun-ryakhae is the interpre- tation of praying letter for Avalokitesvara after he ascertained Naksan is the holy place where Avalokite- svara lives now. The letter intends to not deriving fears but wants to rebirth in Pure Land. Chewon quoted this with Uisang and Fazang, the Silla and Tang founders of Hwaom Buddhism. And he interpreted the detail of the case of practical Avalokitesvara belief. Chewon made these two books and did other works. The one was publishing the part of Avalokitesvara preaching in Gandavyuha-sutra(40volumes) for men’s reading, and the other one was the publishing of Samsippalbungongdeoksogyeong. He emphasized the practical praying for Avalokitesvara. In those days the writingsandpaintingsofAvalokitesvarawereincre- ased. Those Avalokitesvara works were second to Amita works. This was based on that circumstances. In those records we can find people’s praying for merit and Pure Land. This is also reflected those trends. The writing and publishing of Chewon helped the noble class who made merit through writing sutras. And it gave important roles through his effort for profounding the praying Avalokitesvara belief on the basement of Hwaom school. In 14th century, Goryeo dynasty must seek the new change which contains lower people’s intention. In that case, Chewon’s works were a meaningful result.

      • KCI등재

        양양 낙산사 금당 전단토(栴檀土) 소조 관음보살상의 연구

        문명대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3 강좌미술사 Vol.61 No.-

        낙산사 금당에 봉안된 관음보살상은 원래 전단토라는 소조로 된 보살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 관음보살상은 의상대사가 낙산사 관음굴에서 관음보살을 친견(親見)한 기념으로 낙산사 금당에 조성 봉안했던 유명한 관음보살상이다. 이 관음보살상은 여러 가지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조성배경이다. 낙산사 금당 관음보살상은 의상대사가 관음보살을 친견한 후 관음보살의 인도로 관음굴 위의 성지에 금당을 짓고 본존 관음보살상을 조성 봉안했고 관음보살과 용왕에게 받은 두 보주도 이곳에 비장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둘째, 이 관음보살상과 두 보주는 몽고 난 때까지 잘 보존되고 신앙되어 왔는데 몽고 침략으로 관음상은 훼손되고 두 보주는 전쟁 통에 양주성과 명주성을 전전하다가 왕궁에 비장하게 되었으며, 관음보살상은 1260-70년 경 몽고 난 때 결국 들불(野火) 때문에 거의 훼손되어 새로 조성하다시피 중창했다는 것이다. 이 상은 여러 번의 중수 후 거쳐 내려오다가 6.25때 없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셋째, 현 원통보전에 봉안된 건칠관음보살상은 여말선초에 조성된 고려 후반기식 관음보살상으로 13세기 후반에 새로 조성된 낙산관음보살상을 모델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원래의 관음보살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넷째, 조선시대의 관음보살상은 성종 20년(1489. 2. 24) 관음전 화재 때 대대적인 보수가 이루어졌던 조선초 양식의 관음보살로 판단된다. 다섯째, 고려 때 1230년 경 관음보살상에 새로 넣은 복장품은 1260-70년 경 새로 중창된 관음보살상과 조선 성종 20년(1489)의 중수 관음보살상에도 넣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의상대사의 두 보주는 몽고 난 때 유전하다가 왕궁에 비장되었으며, 조선 초 세조 때 석탑 안에 안장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여섯째, 이 낙산사 관음보살상은 신라 통일기의 중생사 등 최고로 영험했던 소조관음보살상과 함께 가장 오래되고 제일 유명했던 관음보살상이 계승된 고려 후반기 내지 조선 초기(1489)의 최고의 걸작 관음보살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moldel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enshrined in the Geumdang Hall of Naksansa-temple is confirmed to be a bodhisattva statue originally made of molded clay. Thi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is the famou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that was created and enshrined in the Geumdang Hall of Naksansa-temple by Master Uisang to commemorate his personal encounter (親見) with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the Avalokitesvara-cave of Naksansa-temple. So far, we have looked at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t the Geumdang Hall of Naksansa-temple from various angles. First is the composition background. the moldel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t the Geumdang Hall of Naksansa-temple was created after Master Uisang saw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person, under the guidanc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Geumdang Hall was built in the sacred place above the Avalokitesvara-cave, and the main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as created and enshrined. The two Boju received from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the Dragon King of the sea were also stored here. Second, thi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nd the two Boju have been well preserved and believed to have been preserved until the Mongol invasion. Due to the Mongol invasion, the Avalokitevara statue was damaged, and the two Boju were moved around Yangju fortress and Myeongju fortress during the war and were stored in the royal palace.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as almost damaged by a wildfire (野火) during the Mongol invasion around 1260-70, so it was rebuilt as if it were a new one. It is known that this statue went through several renovations and disappeared during the 6/25 Korean War. Third, the dry-pain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currently enshrined in the Wontongbojeon is a late Goryeo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creat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modeled after the newly created Naksan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in the late 13th century, and so it can be seen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original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Fourth,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from the Joseon Dynasty is believed to be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underwent extensive repairs during the fire in the Avalokitevara Hall in the 20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February 24, 1489). Fifth, it is possible that the new costume added to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round 1230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also added to the newly rebuilt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round 1260-70 and the rebuilt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in the 20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1489) in the Joseon dynasty. Master Uisang's two Boju were inherited during the Mongol invasion and were stored in the royal palace, and they were found to be buried in a stone pagoda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ixth, it can be seen that thi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t Naksansa-temple is the greatest masterpiece of the late Goryeo or early Joseon dynasties (1489), a successor to the oldest and most famou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long with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hich had the greatest spiritual power, including the history of rebirth during the unification of Shilla.

      • KCI등재

        관음(觀音)신앙의 구조(構造)와 신행체계(信行體系)

        이기운 ( Lee Ki-wo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1

        대승불교가 발생하여 전파되는데 있어 觀音信仰의 역할은 적지 않아 보인다. 그것은 관음사상이 가지고 있는 폭넓은 구제사상과 다양한 관음신행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관음신앙을 설하고 있는 경전은 법화경을 비롯하여, 화엄 반야 정토 밀교 삼매 經典類와 疑經에 이르기까지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경전들 중에서 법화경은 보문품에서 관음보살을 설하고 있어 관음신행의 근본 경전으로 여겨져 왔다. 이 경은 일찍부터 전역되어 관음신앙 유포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고, 『觀音經』으로 別行 유포되기도 했다. 이와 더불어 수많은 관음관계 경전들이 함께 신행되므로써 관음 신앙을 한층 풍부하게 하였다. 첫째는 관음이 대자비의 위신력으로 중생이 당면한 실생활의 苦難과 惱亂으로부터의 해탈을 이루어 주고, 중생들이 祈求하는 소원을 성취시켜준다는 구제사상이다. 둘째는 관음이 應身하여 法을 설해주어 불도에 이끌어 들인다는 대승 보살도를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셋째는 이러한 구제사상이 관음의 因行시 서원과 보살도에 근거한 대자비의 실천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제사상은 중생들의 절실한 삶의 문제를 해결해 주고[利他行], 불도에 들도록 인도한다[自利行]는 점에서 대승보살도의 모범적 실천이라 할 수 있다. 관음신앙은 중생들의 생사고난에 대한 해탈의 祈求가 있고, 이에 관음은 대자비의 위신력으로 應하여 법을 설해 주며, 이러한 應現說法은 관음의 因行시 誓願과 菩薩道에 의한다는 重層構造를 보여준다. 관음의 신행 역시 이러한 관음의 구제사상에 의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신행 체계는 중생이 관음의 명호를 일심으로 칭명하고, 관음의 주(呪)를 誦念하며, 禮懺하고, 경을 독송하는 등의 수행에 의하여 삼매에 들면, 중생이 感하고 관음이 應하여 救濟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신행 방법들은 중생들로서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고 각자의 근기에 맞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들이라 할 수 있어서, 관음신행의 성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본다면 올바른 관음신행은 중생들이 당면한 고난의 해탈 뿐만이 아니라, 보살도를 실천하여 불도에 나아가는 수행임을 보여주고 있다. The role of Avalokitesvara belief has had a notable role in the rise and propagation of Mahayana Buddhism. This began from the wide ideas on compassion within Avalokitesvara’s beliefs and the diverse Avalokitesvara practices. Scriptures that explain Avalokitesvara Bodhisattva’s ideas compris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Lotus Sutra, Avatamska, Prajna, Pure Land, Vajrayana, and Samadhi. Among these scriptures, the Lotus Sutra has been regarded as the fundamental scripture of Avalokitesvara practices that explains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is scripture was completely translated from early on and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dissemination of Avalokitesvara belief, and was even circulated separately as the Sutra of Avalokitesvara. Additionally, numerous scriptures related to Avalokitesvara were practiced together, making Avalokitesvara belief even more abundant. Avalokitesvara belief in these texts mainly features ideas on compassion. Avalokitesvara’s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is composed primarily of perspectives. First, Avalokitesvara is an idea of compassion that delivers mankind from the suffering and confusion of the present life through benevolence and prestige, and one that fulfills the wishes and hopes of mankind. Second, is the practice of Mahayana Bodhisattva in which Avalokitesvara appears in order to save mankind, and explains the edicts to guide them to Buddhism. Third, these ideas of compassion are the practice of benevolence founded on vows and Bodhisattva at the time of Avalokitesvara’s Inhaeng(因行). These ideas of compassion are an exemplary practice of Mahayana Bodhisattva in the sense that they resolve the earnest problems of life and guide one to Buddhism. The practice of Avalokitesvara takes place in a variety of manners by Avalokitesvara’s ideas of compassion. That practice system mankind reaches Samadhi by practices such as calling Avalokitesvara’s name, reciting Avalokitesvara’s wishes, venerating Avalokitesvara, and reciting Buddhist scriptures. Mankind feels, Avalokitesvara answers, and compassion takes place. These practices are most easily accessible to mankind, and each can carry them out according to their own perseverance. Thus,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alence of Avalokitesvara practice. In this manner, the correct Avalokitesvara practice is not just for the deliverance of man from immediate suffering, but also is a practice that fulfills Bodhisattva and leads to Buddhism.

      • KCI등재후보

        新羅 文武王代의 洛山 觀音信仰

        소은애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This thesis examines on the Avalokitesvara-faith at Naksan, and searches relation with another Buddhism-faith in the same period. At first in india, The Avalokitesvara-faith shows character of blessing good fortune. Because of starting off with development of Mahayanist Buddhism, which assimilates endemic god. The Avalokitesvara-faith was introduced from China in later Hu-Han(後漢) period. That formed Avalokitesvara-residence faith(眞身常住信仰) of Botasan(普陀山) in center of blessing good fortune in this world. The early stage of The Avalokitesvara-faith introduced into Unified Silla shows blessing good fortune which is based on Samanta-mukha-parivarta(普門品) of Saddharma Pundarika Sutra(法華經). The Avalokitesvara-faith which was popular in Naksan region placed in East sea during 文武王 period, was showed especially. After returning of Uisang(義湘) from China, Naksan-temple(洛山寺) was build by Uisang for the first time. Real residence of The Avalokitesvara is based on Gandavy-uha-sutra(入法界品) of Buddhavata-msaka-nama-mahavaipulye-sutre(『華嚴經』) preached Buddhism there, and Naksan-temple was a center temple forming The Avalokitesvara-faith which stressed personality of practical ascetic exercise. The Avalokitesvara-faith showed in Bakwhadoryang-Balwonmoon(「白花道場發願文」), which was written in Avalokitesvara-cave of Naksan's by Uisang, was a wish that people want to be born in paradise of real world. Mainly practicing contemplating one's true character. The Avalokitesvara-faith was appeared with connecting with the land of happyness-faith(淨土信仰). When Wonhyo(元曉) come to Naksan's after Uisang, His seeing Avalokitesvara's remained appearance of the earth god strongly. All Several appearance remind appearance of the earth god as Avalokitesvara's being changed appearance, for example cutting down the rice plants, woman of washing Wolsubaek(月水帛) and bluebird on a pine and so on. thus basis, being able to combine Avalokitesvara-faith with the earth god, can see in Bumbon(梵本)'s Gwaneumkyoung of Samanta-mukha-parivarta of Saddharma Pundarika Sutra. Avalokitesvara-faith among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established Bakwhadoryang-faith(白花道場信仰) and spreading of Buddhist -world thought. In addition to it influence on Odesan-faith(五臺山 信仰) to be able to say as completion of Buddhist-world thought. It consider to defense of the fatherland(護國) in Naksan's Avalokitesvara-faith through the point of reading Suvarnaprabhasa-sutre(『金光明經』) and Inwang-sutra(『仁王經』) that consist of Hokuksambukyoung(護國三部經) at Dongdae Kwaneumbang(東臺 觀音房). And It also is considered to the same point that tried to enlarge to increase in population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Naksan's Avalokitesvara-faith had tried to unite Usik(唯識) and Esoteric Buddhism(密敎), even to include Avalokitesvara-faith of former Silla period. that is coincided in MoonMu King's will which had tried to achieve unification between denominations as well as ideologies with Naksan's Avalokitesvara-faith. We are able to consider not only relation with constructing unification rule system in MoonMu King period with Naksan's Avalokitesvara-faith. And but also meaning to be showed Bakwha-paradise that was showed real paradise in this world to war-stricken people. 이 글은 신라 문무왕대 형성되었던 낙산 관음신앙의 성립배경과 내용을 살핀 후, 當代 다른 불교신앙과의 관계에 대해 밝힌 글이다. 처음 인도에서 관음신앙은 토착적인 신들을 흡수한 大乘佛敎 흥기시 발흥하였기에 현세구복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後漢代 이후 중국에 전래된 관음신앙은 현실구복적 성격을 중심으로 唐代에는 普陀山의 眞身常住信仰을 이루었다. 신라에 전래된 관음신앙의 초기 모습은 『法華經』 普門品에 근거하여 現世求福的인 성격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문무왕대 동해안에 위치한 낙산지역에서 유행했던 관음신앙은 특수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낙산사는 義湘이 귀국 후에 처음 세운 사찰로서 80권 『華嚴經』 入法界品에 근거하여 관음의 眞身이 그곳에서 常住 說法하며, 실천수행적 성격이 강조된 관음신앙을 형성한 중심사찰이었다. 또 의상이 낙산의 관음굴에서 지은 「白花道場發願文」에서 보이는 관음신앙은 자신의 본성을 관조하려는 수행을 주로 하면서 현실정토인 백화도량에 現身往生하려는 것으로 淨土信仰과 연관되어 나타났다. 한편 의상의 뒤를 이어 찾아온 元曉가 만났던 관음에게서는 地母神的인 모습이 강하게 나타났다. 벼를 베는 여인과 月水帛을 빨래하던 여인, 그리고 소나무 위의 靑鳥는 모두 관음의 변신으로서 지모신의 생육적인 모습을 연상시켰다. 이처럼 관음신앙과 지모신 신앙이 융합될 수 있었던 근거는 梵本 『觀音經』과 『법화경』 보문품에서 볼 수 있었다. 신라의 菩薩住處信仰 중에서도 낙산 관음신앙은 백화도량신앙을 확립함으로써 佛國土思想을 확산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나아가 불국토사상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는 五臺山 信仰에도 영향을 미쳤다. 東臺 觀音房에서 護國三部經을 이루는 『金光明經』과 『仁王經』을 읽었다는 것에서는 낙산 관음신앙의 護國的인 성격도 볼 수 있었다. 통일전쟁기 지모신 신앙을 수용하여 인구증가와 농업생산력 증대를 모색했던 점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었다. 낙산 관음신앙은 華嚴을 중심으로 唯識과 密敎를 통합하려고 했으며, 이전의 신라 관음신앙까지도 그 안에 포함하고자 했다. 이는 낙산 관음신앙을 통해 불교 종파간의 통합과 사상면에서의 통일까지 이루려 했던 문무왕의 의지와 부합하는 것이었다. 낙산 관음신앙은 문무왕대 통일지배체제를 구축하는 것과도 관련되었지만, 당시 전쟁으로 피폐해진 일반 백성들에게 현신왕생이 가능한 현실정토인 백화정토를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십일면관세음보살의 신행관 고찰

        정성준 ( Seong-joon Cheong ) 천태불교문화연구원 2013 天台學硏究 Vol.16 No.-

        십일면관세음(十一面觀世音)보살은 밀교의 영향을 받은 변화관음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에 출현하였고, 인도불교를 비롯해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지역의 대승불교 신앙으로서 중요시 되었다. 십일면관세음보살은 인도의 전통 신격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으며, 그 유전에 있어서 치병을 비롯한 세간적공덕을 기대하는 신앙의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십일면관세음보살의 신앙이 점차 사상적으로 성숙해지면서 더욱 정비된 의궤로 발전하고, 출세간적인 정각과 자비심을 권고하는 내면적으로 성숙된 형식으로 발전한다. 십일면관세음보살의 경궤(經軌)는 후대로 갈수록 밀교적 요소가 더욱 증가하고 관정(灌頂)과 호마(護摩) 등의 의궤가 정교해지고 다양해진다. 십일면관세음보살의 조상은 두상의 안면조각을 통해 세간적 장애를 물리치는 분노존과 지혜, 자비를 고루 갖춘 대승불교 구도자의 이상을 반영하고 있다. 중국의 혜소스님은 십일면관세음보살의 해석을 두고 밀교의 오방과 중국의 음양오행사상을 대비시킴으로써 민간신앙과 불교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으며, 반면 한국에는 자비상을 강조함으로써 다른 지역과 다른 조각형태를 보인다.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the belief of Avalokitesvara Appeared as principal object of worship in sutra was begun with Eleven faced Avalokitesvara. The belief of Eleven faced Avalokitesvara is concerned with the God Shiva in Indian religion. Between 3th, 4th century under rule of Gupta dynasty the belief of Shaivism was spreaded and eventual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Eleven faced Avalokitesvara as Rudra, a son of Shiva also has eleven faces. The belief of Eleven faced Avalokitesvara took the lead in the early believes of Avalokitesvara along With that of White robe Avalokitesvara in Korea, China and Japan so that it has left many sculptures and relics in early propagation of Buddhism in Northeast Mahayana Buddhism. The four sutras concerned Eleven faced Avalokitesvara interpreted from Sanskrit text have features of Esoteric Buddhism, which the elements of Esoteric Buddhism like Homa, Mantra, Dharani and other Rites of incantation are increased and refined in the later period of Esoteric Buddhism. In Chinese Buddhism the belief of Eleven faced Avalokitesvara shows integration of Confucianism and Taoism on the grounds of Buddha families[Kula] and also found the mixtures with Hwaom idea of Buddhism. The changes of Buddhist ideas found in Eleven faced Avalokitesvara influenced on Korean Buddhism so that it is found the mutual exchanges of elements between traditional Shamanism, Buddhism and other religions. Concerning the works of Choi-chiwon(崔致遠) the belief of Eleven faced Avalokitesvara is deeply concerned with the idea of defending fatherland so that the sculpture of Eleven faced Avalokitesvara are also supposed to be built for the purpose of defending nation from invasion of Japanese pirate.

      • KCI등재

        新出 高麗 水月觀音圖 - 새로운 양식의 성립과 계승 -

        정우택,신광희 동악미술사학회 2013 東岳美術史學 Vol.0 No.14

        承天寺는 현재의 행정구역상 福岡市 博多區에 있는 臨済宗 사원으로 1242년 鎌倉時代에 창건되었다. 承天寺는 조선에 대장경을 구하러 오는 등 역사적으로 한반도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 사찰이다. 承天寺에는 현재 두 점의 水月観音圖가 전하고 있는데, 한 점은 전형적인 고려불화로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고, 또 한 점 은 이 글의 주제인 輪王坐像의 그림이다. 윤왕좌 수월관음도는 비단 바탕에 채색이며 크기는 세로 97.1㎝, 가로 47.5㎝로 거는 그림의 형상으로 보 존 상태가 아주 좋다. 画面의 중앙에는 관음보살이 바위 위에 정면을 향하여 앉아 있고 그 주위에 선재동자와 정병, 바위가 표현되어 있다. 채색은 몸체부 전면에 金泥를 칠하였고 윤곽선은 朱線이며 눈썹은 朱線 위에 녹청을 칠하여 표현하였고, 머리카락은 군청이다. 천의는 갈색계 안료를 전면에 칠하고 백색 안료로 二重 채색하였으며 그 위에 금니로 점문을 그려 넣었다. 베일은 백색 안료로 윤곽을 잡고 麻葉文을 그려 넣어 투명한 듯 표현하였다. 이 그림은 얼굴 표현, 베일의 마엽문, 목걸이, 치마의 백색안료에 의한 二重채색 등 화면구성요소의 표현 과 형상이 고려불화의 기본적인 묘법에 바탕을 두고 그려졌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大和文華館의 수월관음도는 承天寺 그림의 제작시기 추정과 관련하여 주목된다. 大和文華館本은 반가 좌이기는 하지만 正面向이어서 承天寺本과 상통하고 있다. 더구나 兩本은 천의와 영락 양끝의 두 가닥의 띠 의 형상이 거의 같고 특히 영락 양끝에서 시작한 두 가닥의 띠 자락을 왼손으로 누르는 듯 표현한 모습마저도 일치한다. 또한 兩本은 베일을 마치 띠 형상의 투명한 듯 표현된 베일을 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암좌의 좌 우로 흘려 내리게 한 표현 의도까지도 상통하고 있다. 그리고 兩本은 치마에 菊花文만 표현하고 있음도 동일 하다. 한편 兩本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한 점이 많지만 14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大和文華館本이 承天寺本에 비하여 채색이 부드럽고, 자세 역시 자연스럽다. 즉 大和文華館 수월관음도는 承天寺 그림보다 구성요소들 이 율동적이고 유기적인 관계에서 앞서고 있어 제작시기가 다르다고 짐작한다. 또한 承天寺 수월관음도는 베일의 백색 마엽문이 大和文華館本에 비하여 한층 두드러져 보이며, 치마의 국화문이 형식적이고 나아가 금니의 사용이 지극히 소극적이며, 바위의 표현에서도 화풍의 차이를 뚜렷하게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제작시기가 내려올수록 형식화 경향을 보이는 고려불화의 화풍과 일치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承天寺 그림의 제작시기는 14세기 말엽으로 짐작된다. 윤왕좌 도상의 수월관음도는 고려불화에서는 첫 사례로 매우 이례적이다. 그러나 윤왕좌 도상은 鏡像과 조각상을 통하여 볼 때 이미 고려의 불교 도상에 수용되어 있었고 朝鮮王朝에도 계속 제작되었다. 윤왕좌 관음도상의 源流는 淸凉寺 목조석가여래입상 복장품인 985년 鏡像에 새겨진 수월관음상이다. 宋 代의 윤왕좌 관음보살도상은 1132년경의 開化寺 石刻 수월관음도를 비롯하여 宋代뿐만 아니라 遼代에도 조각상의 중요 자세로 자리 잡는다. 윤왕좌의 수월관음도는 承天寺 수월관음도의 사례를 통하여 볼 때 경상, 조각과는 달리 고려시대 말기인 14세기 말엽이 되어서야 수용된 이유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 그 이유 가운데 하나는 고려불화의 특성인, 전 통도상을 固守하려는 保守性, 두 번째는 추측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지만, 신앙의 변화와 그에 상응하는 도 상의 필요성과 관련이 있다고 짐작한다. 즉 14세기 불교는 관념적 성향에서 점차 현실적 으로 인식이 바뀌었 고 이에 부응하여 觀想의 성격이 강한 측면향 보다는 顯現性이 강한 정면향, 對面的 관음보살상이 효과적이 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承天寺의 수월관음도에서 비롯된 윤왕좌 관음보살상은 고려불화 전통의 반가좌 도상을 대신하여 이 이 후의 관음보살상의 기본자세로 자리를 잡게 된다. 즉, 윤왕좌 관음보살도는, 京都 知恩院의 1550년 관음32 응신도를 비롯하여 특히 18세기에 유행을 한다. 한편 梅林寺의 1427년 수월관음도는 조선조 초기의 불화 경향을 전해주는 귀중한 그림으로 承天寺 그림 과는 기본자세가 다르지만 착의법은 물론 세부의 표현과 기법에서도 아주 유사하다. 이 그림은 고려불화 화 풍의 수용 양상을 짐작하는 매우 중요한 사례이다. 이를 통하여 볼 때, 承天寺 수월관음도의 표현과 기법은 大和文華館本을 수용하여 梅林寺의 1427년 수월관음도로 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承天寺의 수월관음도는 고려불화에서는 지금까지 사례가 없었던 윤왕좌 도상의 그림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즉 이 그림은 조선시대를 풍미하는 윤왕좌 관음보살 도상의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역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윤왕좌 도상의 수월관음도 출현은 당시의 신앙 경향과 새로운 도상을 요구하는 정 서에 부응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며, 이는 이미 정착하고 있었던 경상과 조각상 윤왕좌 도상을 수용할 수 있었 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짐작한다. 따라서 조선조 불화에 보이는 윤왕좌 관음보살상의 원류를 1443년경의 중 국 法海寺 벽화를 비롯하여 明代 불화에서 찾으려는 인식도 이제는 재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 承天寺의 수월관음도는 고려불화의 도상과 기법의 다양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사례라 하여도 과언이 아 니다. Zoten-ji(承天寺) which is currently located in Hakata district in Fukuoka city (福岡市博多区) was established in 1242 during the Kamakura period(鎌倉時代). Historically, the temple is known to have a close relation to Korean peninsula since it is known to have visited Joseon in search for Tripitaka. Currently, Zoten-ji holds two paintings of Water-Moon Avalokitesvara: one which is well known as the classic Goryeo Buddhist painting and the other is painting of bodhisattv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paper. Water-Moon Avalokitesvar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is painted on silk, measures 97.1cm high and 47.5cm wide and preserved in good condition. Avalokitesvara is seated above a boulder facing the front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and Sudhana, kundika, and rocks are depicted around the bodhisattva. With respect to coloring, the body is painted in gold, the contours are painted in red, eyebrows are painted in green above the red lines and the color of hair is blue. The entire garment was first painted in brown pigment and double-coated with white pigment. Lastly the surface of the garment was decorated in dot patterns with gold pigment. The contours of veil are shaped with white pigment and hemp leaf pattern was painted to give a sense of transparency. The facial expression, the hemp leaf pattern of the veil, the necklace, the use of double-coating technique with white pigment on the garment and etc. all indicate that the representation and form of the painting’s compositional elements are based on the representational method of the Goryeo Buddhist paintings. Water-Moon Avalokitesvara in Yamato Bunkakan(大和文華館) is worthy of notice with regard to the dating of the painting in Zoten-ji. Although the painting in Yamato Bunkakan is seated in half-lotus posture, it is similar to the painting of Zoten-ji in that both bodhisattvas are facing the front. Further, representations of two sashes at the end of garment and necklace are almost identical in both paintings. Especially, the delineation of the left hand as if it is pressing down the two sashes which begin at the end of necklace is also the same. Furthermore, both paintings depict bodhisattva as wearing a veil which looks transparent and the representation of veil flowing on each side of boulder is also identical. The representation of garment which is decorated only with chrysanthemum pattern is also identical in both paintings. Even though two paintings share similar qualities in many aspects, the painting in Yamato Bunkakan is softer and more natural in terms of color and posture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Zoten-ji. Since the compositional elements of Water-Moon Avalokitesvara in Yamato Bunkakan is relatively more organic and active compared to that of Zoten-ji, the period of production of the two paintings seems to be different. Further, the white-colored hemp leaf pattern of the veil in the Zoten-ji painting is more vivid than that of Yamto Bunkakan. Chrysanthemum pattern of the garment is more rigid, the use of gold pigment is extremely passive, and the difference in style can be easily distinguished in representation of boulder. This phenomenon corresponds with the style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whose style shows formalized tendency in later paintings. Therefore, the date of production of the Zoten-ji painting is presumed to be the late 14th century. Water-Moon Avalokitesvara in Zoten-ji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painting which depicts Avalokitesvar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in Goryeo Buddhist painting. However, the iconography of royal ease posture was already widely applied in Goryeo Buddhist art in bronze mirrors(Gyeongsang, 鏡像) and sculptures. The origin of the iconography of bodhisattv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can be found in Water-Moon Avalokitesvara carved in mirror which was found in a wooden standing Buddha sculpture at Seryo-ji(淸凉寺 ). The iconography of Avalokitesvar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is also found in the stone carving of Kaihua- si(開化寺) around the year 1132 during the Song dynasty. It is not only found in Song but also became an important posture of Buddhist sculptures in the Liao dynasty. Looking through the example of Water-Moon Avalokitesvara in Zoten-ji, it is uncertain as to why the iconography of royal ease posture was relatively applied later in the late 14th century in paintings compared to bronze mirrors, and sculptures. One of the reasons may be due to the conservative character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which persist the traditional iconography. The second reason, although it is a mere conjecture, may be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form of belief and the corresponding alteration of iconography.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14th century Buddhism have gradually shifted from a conceptual to a more realistic understanding. Correspondingly, I believe the frontal representation of Avalokitesvara which emphasizes the manifestation must have been regard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flanking view which emphasizes visualization. Water-Moon Avalokitesvar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starting from the painting in Zoten-ji began to replace the traditional half-lotus posture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and became the basic posture of Avalokitesvara. In other words, starting from 32 Transformations of Avalokitesvara in Jion-in(1550), Kyoto, paintings of Avalokitesvar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became quite popular in the 18th century. Meanwhile, Water-Moon Avalokitesvara in Balin-ji(梅林寺, 1472) is an important painting which shows the Buddhist painting style of early Joseon dynasty. Although the posture of bodhisattva is different from the one at Zoten-ji, the two works are very similar not only in dress but also in representation and technique of details. It is an important example which helps to conjecture how the style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was succeeded. From this instance, it is clear that the representation and technique of Zoten-ji painting was influenced by that of Yamato Bunkakan and was later succeeded into the painting of Water-Moon Avalokitesvara in Bailin-ji. Water-Moon Avalokitesvara of Zoten-ji is a significant work in that it is the first painting in which the bodhisattva is represented in royal ease posture. That is, it is a pioneering work which became quite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The advent of Water-Moon Avalokitesvara in royal ease posture corresponded to the contemporary form of religion and the demand for new iconography. Such shift in the iconography was made possible because the royal ease posture was already employed in bronze mirrors and sculptures. Therefore, attempts to look for the iconographic origin of Water-Moon Avalokitesvara in royal ease posture from murals of Fahai-si(法海寺) in China around 1443 or from the Ming Buddhist paintings need to be reconsidere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of Zoten-ji is an important painting which demonstrates the iconographic and technical diversity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 KCI등재

        관음신앙의 중국적 變容과 그 문화적 특징

        차차석 한국정토학회 2012 정토학연구 Vol.18 No.-

        중국에 관음신앙이 유입된 것은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토착화 과정에서 다양한 종교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중국에 전래된 관음신앙의 문화적 변용과 그 특징을, 관음신앙과 낭낭신의 습합, 관음신앙과 善書, 관음신앙과 민속의 상관성 등으로 구분해 살펴보았으며, 그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음신앙과 낭낭신의 결합은 두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우선은 대륙 內地를 중심으로 길흉화복을 주재하고 자식을 관장하는 도교의 여신과 관음이 융합하여 관음낭낭이 된 점이다. 이것은 관음신앙에 중국 대중의 현실적인 소망을 해결해주는 관음으로 인식되면서 대중 속에 토착화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해안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해신인 천후낭낭이 관음과 결합하여 해신관음으로 정착하는 것이다. 해신관음은 남해대사란 명칭으로도 불렸으며, 송․원․명 시대가 되면 본말이 전도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중국의 토착신에 해당하는 해신인 천후가 관음에게 기도하여 태어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불교와 속신, 도교의 간극이 완전히 사라지고 새로운 문화형태가 발생한 것이다. 둘째 관음신앙과 善書의 유행은 상호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중국 민중의 윤리의식을 고취하는데 일조할 뿐만 아니라 선서를 통한 求福 활동에 관음신앙이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의식은 관음신앙, 전통적인 선서의식, 밀교 등 복합적인 문화의 산물이다. 동시에 관음신앙의 유행은 의경, 영험록 등 무수하게 많은 유관 서적을 양산하게 된다. 민중구제와 윤리의식의 제고라는 차원에서 전통사상과 관음신앙이 절묘하게 융합된 문화유형이라 볼 수 있다. 셋째 관음신앙과 민속의 상관성이다. 관음신앙의 유행은 중국의 민속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것은 불교사상이 민간의 문화를 지배한 결과라 말할 수도 있지만, 서민대중의 소박한 욕망과 현실적인 소원이 불교사상과 융합해 다양한 세시풍속을 창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관음신앙이란 본래 인도에서 발생한 것이지만 완전히 중국화 되어 다양한 대중문화의 형태로 재구성된 것이다.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of China has a very long history. It had made various religion cultures in China during naturalization period. This paper considers the feature and the acculturat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which came to China from India, on the separated aspects as the fus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Niάng niάng shén(娘娘神, the goddess giving offspring in the taoism),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texts on the good de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folklore. The feature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fus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Niάng niάng shén had developed in two ways. The first is that, around the interior of China, through the fusion with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the goddess who giving offspring and prosperity in the taoism had changed to Avalokitesvara-Niάng niάng. This means that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was naturalized to China after Chinese had acknowledged Avalokitesvara as the Bodhisattva who helps people's worldly wish. The second is that, around seaside and southern area of China, Tiān hóu-Niάng niάng(天后娘娘, the goddess helping a seaman and a castaway) had changed to the sea god-Avalokitesvara from the fusion with Avalokitesvara. The sea god-Avalokitesvara was also called as the master of southern sea(南海大師), and in A.D. 10-16c, a phenomenon that put the cart before the horse occurred, it was that people acknowledged that Chinese indigenous god, Tiān hóu was born from the pray to Avalokitesvara. It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buddhism, indigenous religion, and taoism disappeared completely, and a new cultural form appeared in China. Secondly,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and the publication of texts on the good deed helped to strengthen chinese people's ethics through interaction. And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had been fused with the activity for worldly prosperity through texts on the good deed. This cultural form is a complex product from the fusion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the traditional thought on the text on the good deed, and buddhist tantrism. Meanwhile, the boom of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brought about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on mysterious experience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We can understand it as the new cultural form produced from traditional chinese thoughts fused with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excellently. Thirdly,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have given many influences to Chinese folklore. We can say that it is the result of buddhist domination toward Chinese people's culture, or the fusion between the Chinese common people' worldly wish and simple hope, and buddhism created different seasonal customs. Originally, the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 came about in India, after it was naturalized to China, it was recreated as different forms in popular culture of the day.

      • KCI등재

        한중 보타관음의 불교적 영성과 손행자(孫行者) 이미지

        박은경 ( Park Eun-ky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6

        『화엄경』과 『대당서역기』에 의하면, 관음의 진신처는 Potalaka산(補陀落迦山, 小白華樹山, 光明山) 관음궁전이다. 이 곳은 수목과 꽃이 만발한 가파른 산정에 시냇물과 연못을 배경으로 자리한 석천궁이다. 그런데 한중 수월관음도를 보면, 연꽃이 피어오른 수면을 잔잔한 蓮池로 표현한 경우와, 파랑과 포말이 일어나는 海水面을 연상케 하는 경우 등 2계열이 보인다. 나아가 해수면에만 볼 수 있었던 바다의 보화 산호를 점차 연지에도 장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관음의 진신처에 연지 외에 해수면이 등장하는 것은 인도로부터 출발한 관음신앙이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확산됨에 따라 해안절벽에 입지한 觀音聖窟 탄생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게다가 여기에는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을 비롯하여 다라니경류에 기술된 관음의 강력한 위신력인 海難救濟 신앙이 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다. 한중 보타관음의 새로운 진신처인 바닷가 성굴은 불교적 영성과 더불어 현세에 구현된 또 다른 관음정토 세계라 할 수 있다. 관음을 방문하는 용왕과 바다권속을 비롯한 도상들이 눈에 띈다. 해수면 등장으로 흥미로운 것은 일본 大德寺 소장 고려 <수월관음도>를 비롯한 일부 작품에 관음을 방문하는 손오공 행자(孫行者) 도상이 확인된다. 손행자 도상은 서유기 관련 도상으로, 이미 고려 14세기에 명대 서유기본 보다 이른 텍스트에 의거한 도상이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Avatamska Sutra and the Great Tang Records on the Western Regions, the real residence of Avalokitesvara is the Avalokitesvara palace in the Mount Potalaka(補陀落迦山, 小白華樹山, 光明山). This place is known as a Heaven's palace(Seokcheon palace), made of stones located near a pond on the tiptop of a steep mountain with full of trees and flowers. The appearance of sea water in the scenery of the Avalokitesvara's real residence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idea of the Avalokitesvara's sacred cave located on the cliff of the coast as the Avalokitesvara belief, originated from India, spread to Korea via China. This belief of the Avalokitesvara's sacred cave is based on the salvation from the sea risks-divine power of the Avalokitesvara- described in the Chapter of the Universal Gate of Bodhisattva Avalokiteshvara of the Sutra of the Lotus and other dharanis. The sacred cave by the sea known as the new real residence of the Potalaka-Avalokitesvara in Korea and China is not only Buddhist spirituality but also the world of Avalokitesvara's paradise embodied in the world. In addition, in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some figures who visit Avalokitesvara are found, such as the dragon king and his subordinates. Especially, with the emergence of sea water, the icon of the pilgrim Sun Wukong is identified in some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for example the painting in the Goryeo dynasty at Daitoku temple(大德寺) in Japan. The icon of the pilgrim Sun represents that the text of Journey to the West had already existed in the Goryeo dynasty in the 14th century, earlier than the one in the Ming dynasty.

      • KCI등재

        『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에 나타난 관음신앙의 특징

        차차석(Cha, Chaseuk)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39 No.-

        이 논문은 『제중감론』에 나타난 관음사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해 관음응현의 방식과 목적, 관음응현의 논리체계, 각 종파의 사상이 융합된 관음의 본질 등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논문의 전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중감로』에 나타난 관음보살의 응현은 自覺과 자비행의 실천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진여법신의 자각은 일체중생은 누구나 평등한 법신을 지니고 있으며, 존귀한 존재라는 사실에 대한 자각이다. 그리고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는 무한대의 관계 속에 살 수 밖에 없는 존재란 사실을 자각하고 일체 중생에 대해 자비를 실천을 강조한다. 이때 관음보살의 응현은 유신론적인 속성의 보살이 아니라, 자각한 관음수행자 자신의 자비행을 통해 구현되는 사회적 실천의 형상화 내지 자기동일성이다. 관음과 수행자 자신의 일체화를 통해 관음보살이 응현하는 것이다. 둘째 『제중감로』에 나타난 논리 형식은 체용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체용론을 기반으로 감응사상과 성기사상이 융합되어 독자적인 관음응현의 논리를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체는 진여법신이고 용은 일체의 존재 내지 자비행의 실천이라는 점에서, 개개의 존재는 그 자체로 존귀한 가치를 지닐 수 있게 된다. 그러면서도 본질과 작용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지쌍융론을 전개한다. 비지쌍융론 역시 체용론의 바탕 위에 있지만 무집착의 기반 위에서는 전개되는 실천적인 관음사상이 되고 있다. 셋째 『제중감로』는 다양한 형태의 종파사상이 융합되어 있다. 유심정토, 선사상, 화엄사상이 『제중감로』의 관음사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진여법신을 자기관음이나 不變의 속성으로 이해하는 등, 기존에 유행했던 다양한 고급이론을 활용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각종의 종파 사상이 융합된 관음이라 정의할 수 있다. 넷째 『제중감로』에 나타난 관음보살은 중생구제를 중시하며, 그것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실천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자비행의 실천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이조 후기의 사회적 불안을 연상하게 되지만, 그것보다는 전통적인 선사상이 지니는 관념적이고 탈사회적인 흐름에서 탈피하려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characteristic of the thought of Avalokitesvara in 『Gwanseumbosal-myoung-sihyeon-jejunggamro (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 (Avalokitesvara' mystic revelation for the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as like nectar, from now marking as Jejunggamro) on 3 points of view; 1) the form and aim of the revelation(示現) of Avalokitesvara, 2) the logic system of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and 3) the essence of the concept of Avalokitesvara which is made up different thoughts of many sects. The total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can be explained as the self-realization(自覺) and the practice of compassion(慈悲行). The realization to Dharma-kaya means to realize the fact that each living beings is valuable and has a same dharma-kaya. Here,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means a practicer of Avalokitesvara, himself who practice compassion for living beings, not the Avalokitesvara as a god. Secondly, the logic system in Jejunggamro builds it's own the logic to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which has the theory of substance and function(體用論) as a root, and is fused with the thought of divine response of the buddha and bodhisattva(感應思想) and seonggiseol(性起說, the thought of arising of all phenomena from the essence of the universe). Owning to this point that the substance is the dharma-kaya, and the function means all thing, or the practice of compassion, each living being can have a noble value. Morever, Jejunggamro develops the theory of fusion of karuna and prajna(悲智融合論) to prevent to divide substance and function as mutually exclusive two realities. Thirdly, the thought of Jejunggamro is made up many thoughts of different buddhist sects, as like the pure land thought, Zen, Huayen. So we can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Avalokitesvara in Jejunggamro as one fused with different concepts of many buddhist sects. Finally, the characteristic of Avalokitesvara in Jejunggamro is a taking a serious view of the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and the emphasis on a practice to achieve it. In the point that the thought of Jejunggamro stresses the practice of compassion, although unstable society in the latter part of Jo-seoun(朝鮮) Dynasty is remined, but in this point that it tries to overcome the trend of traditional Zen thought which is unrealistic and desocial, it is worthy no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