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인 근로자 의제’에 대한 재 고찰- 「예술인복지법」 국회 논의 과정을 중심으로

        안채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8 예술경영연구 Vol.0 No.45

        본 연구는 「예술인복지법」의 초기 입법과정에서 야심차게 제기되었다가 국회 논의과정에서 삭제된 ‘예술인 근로자 의제’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다시 고찰하였다. 예술인 집단을 위한 별도의 사회보장체계를 정립해야 하는 정당성의 근거를 예술인노동특수성으로 인한 경제적 허약성과 예술인 활동이 사회에 기여하는 긍정적 외부성의 두 가지로 도출하고, 유네스코의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를 위한 권고> 및 주요 유럽 국가들의 예술인 사회보장제도 체계의 근간에 위의 두 가지 요소가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적 상황에서 ‘예술인 근로자 의제’는 예술인 노동 특수성 및 예술인 활동의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드러내는 의미와 역할을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하고, 실제「예술인복지법」 입법 및 개정 과정에서 ‘근로자 의제’의 함의가 충분히 이해되지 못했음을 지적하였다. 결론으로는 향후 「예술인복지법」의 발전을 위해 고용형태에 상관없이 전문예술인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예술인 노동 특수성과 그로 인한 경제적 허약성에 다시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aper aims to rethink the meaning and the role of the legal fiction of artists as worker, which was included in the initial bills of the Artists’ Welfare Act. For this, the research first articulates two major factors that explain the legitimacy to introduce a separate social security system for artists: the economic vulnerability of artists due to the specificity of artists’ work, and the positive externalities of artists’ activities. The paper then observes that the majority of well-established artists’ welfare systems in Europe are based on the importance of above two factors, as well as the UNESCO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he Artists. Based on this, the paper argues that the previous attempts to bring legal fiction of artists as worker during legislation process had a very crucial role to reveal the need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artists’ working process and the positive externalities of their activities. After identifying that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Artists’ Welfare Act was unsuccessful to fully acknowledge the undertone of the initial content of the bill, the paper argues that there is a need to refocus on the specificity of artists’ work and the economic vulnerability, which are experienced by the majority of professional artists, regardless of employment status.

      • KCI등재

        ‘작가미술장터’와 작가들 - 대안적 미술시장에 참여한 작가들의 경험담 -

        고동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8 예술경영연구 Vol.0 No.47

        지난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작가 주도형(작가 직거래) 아트페어가 확산되었다. 국 내에서도 예술경영지원센터가 2015년부터 후원하는 ‘작가미술장터’가 작가들의 경 제적인 권익을 향상하고 미술시장의 대중화를 위한 대표적인 연례행사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작가주도형 아트페어의 특징과 필요성을 문화정책, 미술시 장, 그리고 작가 권익과 연관된 사회적 이슈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역사적으로 미술사에서 등장해온 작가 직거래 아트페어와 최근 작가 주도형 아트페어가 지닌 차이점, 나아가서 대안적인 미술시장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된 역 사적, 사회적 배경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연구자는 ‘유니온아트페어,’ ‘블라인 드데이트,’ ‘그림도시’의 3개 국내 ‘작가미술장터’에 참여하였던 12명 작가들에 대한 10개 문항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도 진행하고자 한다. 판매액이나 관람객의 수치가 아닌 미술장터에 참여한 작가들의 경험담을 분석하는 질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자 한다. 이것은 작가미술장터의 중요한 목적인 미술시장의 대중화나 컬렉터 층의 확대에 대한 향후 개선책, 문제점 등을 정책가가 아닌 참여자의 목소리와 경험담을 통하여 도출해 내기 위함이다. For the last decade, artists’ initiative art fairs become international phenomena. In Korea, “Artist Art Market,” which is financially supported by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establishes itself as the top annual event that promotes artists’ rights and the popularization of arts market. This study examines the key traits and needs of artists' initiative art fairs in light of art policy, art market,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artist’s rights. Through this, I highlight the differences between historical artists’ art fairs and recent artists' initiative art fairs as well as particular histor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that necessitate alternative art market for the last decade. In addition, I proceed with the survey of ten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of twelve artists who participate at the three “Artist Art Market”--namely Union Art Fair, Blind Date, and Art City. Rather than relying on the statistics of total revenues and number of visitors, I apply the qualitative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narratives of participating artists. This aims to reflect the voice of artists participating at “Artist Art Market” related to issues of the popularization of art market and diversification of collectors in Korea; and to drew the guideline for corrections, criticism for future improvement of “Artist Art Market” based upon artists’ stories and experiences--rather than based upon those of policy makers.

      • KCI등재

        예술가의 사회적 지위 보장을 위한 법제연구

        김수갑(Kim, Su-Kab)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4 No.2

        Artist' is taken to mean any person who creates or gives creative expression to, or recreates works of art, who considers his artistic creation to be an essential part of his life, who contributes in this way to the development of art and culture and who is or asks to be recognized as an artist, whether or not he is bound by any relations of employment or association. UNESCO defined 'status of artists' in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he Artist' as follows: on the one, hand, the regard accorded to artists, defined as above, in a society, on the basis of the importance attributed to the part they are called upon to play therein and, on the other hand, recognition of the liberties and rights, including moral, economic and social right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income and social security, which artists should enjoy. 'Artists Welfare Act' in South Korea was enacted with extremely abstract form according to opposition of government department and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Pension Insurance 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were excluded, Artists only may be subject to receive compens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I think, we should approach from the point of responsibility of people who use the work produced by the artist in the market, not from the worker status of artists. That is effective measures to protect the status of artists, And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which determine the Insurance Eligibility and Obligation of artists is urgent task. In order to realize artists welfare effectively, it is needed to harmony with relevant laws such as existing labor laws, copyright laws,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in the short term. But in the long term, we should secure artists welfare as a part of the special social security system(Employment Insurance, Health Insuranc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ension Plan etc.) under the recognition of social characteristics of artists's activities. To do this, funding is essential and the scope of artists as a target beneficiaries is to be objectified.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legislation s of many countries of Europe could be a good reference.

      • KCI등재

        아티스트피 지급에 대한 제도적 접근에 대한 고찰

        김혜인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37

        This study is intended not only to examine the methods of and standards for the payment of artists’ fees as the minimum reward which represents the minimum approach to the survival of artists and the recognition of the particularity of art creating activities, but to review the meaning of arguments originating therefrom.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s what particularit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what conceptual discussions should take place for the institutional approach to the artists’ fee system, on which domestic discussions have recently been initiated in earnest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started to seek a plan to institutionalize the artists’ fees. This study also aims to identify the considerations needed to introduce a scheme for artists’ fees and propose a plan to launch a policy by analyzing the concepts mixed in the term of “Artists’ Fees”, checking the current domestic situation and reviewing several overseas cases which have summarized the standards and methods for the payment of artists’ fee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the conceptual approaches to the payment of financial rewards for artists’ creative activities implicit in the terms such as artists’ fees, participating artists compensation, production fee, artworks rental fee, etc. is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on the terms used by the professionals in the art community and their awareness of the current statu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dentified in the cases of paying artists’ fees by national museums, public museums, private museums and alternative spaces in Korea, as well as close examination on the details of the guidelines for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artists’ fee payment led by a private art organization or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such analysis and examination, this study not only defines artists’ fees as a pure concept of ‘reward’ that can be considered in the domestic art community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production fee or artworks rental fee, but also presents the necessity and methods of institutional approach to the payment of artists’ fees. 본 연구는 그간 예술가의 생존문제에 대한 최소한의 접근이자 예술창작행위의 특수성을 인정하는 의미로서의 최소 사례를 지급장치로서의 아티스트피 지급방식과 기준은 무엇이 있으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담론들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따라서 최근 국내 예술계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도화 방안 모색이 시작된 아티스트피 관련 제도적 접근은 어떤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어떤 개념적 논의가 있어야 하는 가를 분석해보았다. 아티스트피 라는 용어 안에 혼재되어있는 개념들을 분석하고, 국내 예술계 구조로 인한특수성을 살펴보고, 아티스트피에 대한 기준과 방식을 정립하고 있는 해외사례들을분석함으로써 제도적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과 정책적 도입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예술계 전문가들의 아티스트피와 연관된 용어에 대한 인식조사와 국내 특수성을 고려한 아티스트피 지급 문제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분석을 통해 아티스트피, 참여작가 보상비, 제작지원금, 작품 대여비 등의 용어 속에 예술가의 창작활동에 대한 지급에 대한 개념적 접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은 전문가는 공공 및 사립미술관 및 예술기관 관계자, 예술가, 정책연구자 총 25명으로 구성되었고, 반구조화인터뷰 방식을 사용한 FGD방법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국내 국·공·사립미술관및 대안공간들의 현황조사를 실시하여 아티스트피 지급사례들의 특징과 문제점을분석하고, 해외사례 중 민간단체 주도형 방식과 정부주도형 방식의 아티스트피 가이드라인의 특징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국내 예술계에서 고려해볼 수 있는 아티스트피의 개념적 정의로 제작지원금 및 대여비 등과 분리되는 순수한 ‘사례’의 개념의 아티스트피의 정의를 제시하고, 아티스트피 지급에 대한 제도적 접근의 필요성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포용예술과 장애예술인에 대한 공연예술인의 인식

        옥혜숙,강영심,김경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erformance artists working on performance site towards the inclusive arts and artists with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ten performance artists who are engaged in theater directors, regular actor and musical actor working for theater company or municipal/provincial governments, performance planner, or performance staff and have career of artists recognized by the Korea Artist Welfare Foundation. The in-depth interview, a qualitative methodolog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artists perceived the inclusive arts as an unfamiliar and unusual term and they had no accurate understanding of whether it refers specific objects or it is encompassed broadly in the field of arts broadly. The performance artists also expressed concern about the problems that would result from a lack of their proper awareness of disability when performing with artists with disability. They, however, responded very positively to the collaboration with artist with disability and, given opportunity, had a strong commitment to lead such performance to lead.Second, The performance artists, after seeing the performance stage of the artist with disability, thought that they are artists certainly just with disabilities and had the same profession with them, and responded that the stage of artists with disabilities w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reflect on their lives. The performance artists had concerns that the current performance facilities in Korea were too poor to expose the performance of artists with disabilities though they expected a collaboration stage with artis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and specific planning for excellent collaboration stage of artists with disability and non-disability and to improve cultural environments ensuring social integra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본 연구는 포용예술과 장애예술인에 대하여 공연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연예술인들의 인식은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2019년 5월 15일부터 7월 1일에 걸쳐 면담 회, 전화상담 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에서 활동 중인 연극 연출가, 극단이나 시립·도립에 소속된 정단원 배우, 뮤지컬 배우, 공연기획자, 공연 스태프로 종사하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서 예술인 활동경력이 인정된 공연예술인으로 선정하였다. 면담 시 질문지 구성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5가지 반구조화된 질문내용을 추출하였고, 면담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인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를 위해 삼각측정법과 코딩자간 신뢰도, 참여자 확인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2개의 대주제, 4개의 상위주제, 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예술에 관하여 공연예술인들의 생각을 들어보면 낯설기만 하고 많이 접하지 않은 용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 포용예술이란 단어는 생소하지만 장애예술인과 함께 공연하는 것에 대해서는 예술인으로서 당연히 먼저 앞장서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공연예술인들이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인식 부족으로 장애예술인과 공연했을 때 생기게 될 문제점에 대해 앞서 큰 걱정을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둘째, 장애예술인에 대한 공연예술인들의 생각은 어떠한가에 대한 결과는 장애예술인들이 공연하는 무대를 보고 자신을 돌아보기도 하고 장애예술인들이 가진 능력에 무척 놀라웠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그 무대를 보면서 장애예술인도 나와 같은 직업을 가진 예술인이라는 생각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 나아가 공연현장에서 장애가 있는 역할을 실제 장애예술인들이 한다면 훨씬 리얼하고 그로 인해 많은 사람에게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그러한 면으로 볼 때 장애예술인과 협업은 상당히 의미 있고 기대할 만한 일이라고 이야기하였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의 극장 환경과 구조가 실제 장애예술인들이 공연을 하기에 너무 위험하며, 적절하지 못하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장애예술인들과 비장애예술인들의 올바른 협업의 무대를 위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문화예술의 올바른 사회적 통합을 이룰 수 있는 문화 환경을 개선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창의노동 관점에서 바라본 ‘예술인 복지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최보연,안채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2

        The artists' welfare act, which was enacted in 2011, was designed based on the need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artists and to enhance their economic stability. Although the specific welfare act ostensibly recognizes the important social role of artists, it is seemingly that the ac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specificity of artistic/cultural working process, which tends to force artists/cultural laborers become vulnerable in society. It may not be easy to build a sustainable welfare system for a longer term, unless there is solid social consensus on the particular reasons why social supports for artists/cultural labourers are necessary.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analyse the current artists’ welfare act in relation to the theories of creative labour process. Firstly, the study examines why and how artists/creative labourers are vulnerable to economic inst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ive labour process, Then it moves on to present a case analysis about the bill texts of Artists’ Welfare A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ed artist policy initiatives. By doing so it illuminates some critical problems in both the ends and means of the current artists welfare policy initiatives. In conclusion, it presents some possible suggestions that may help the current artists welfare policy initiatives better reflect the specificity of artists’ creative labour process. By articulating the fundamental economic vulnerability of artists’ creative production processes with theories of creative labour, the current research explores several important issues of the current artists’ welfare act, and suggests possible future directions of the amendment of the act. 2011년에 제정된 『예술인 복지법』은 문화예술분야에 종사하는 예술인들이 노동 현장에서 겪게 되는 구조적 문제를 보완하고 이들이 수행하는 예술활동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예술인복지법』제정 이후 현재까지 진행된 예술인복지를 위한 정책내용을 들여다보면 여전히 문화예술분야의 노동과정이 갖고 있는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매우 미흡한 것이사실이다. 다른 직업과 비교했을 때 특별히 예술인들을 사회적으로 지원해야 하는이유에 대해 충분한 사회적 공감과 동의가 전제되지 못한다면, 문화예술분야의 노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은 오래 지속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예술인 복지법』에 반영된 예술인 노동에 대한 인식과 주요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창의노동 관련 연구들을 통해예술인을 포함한 창의노동자들의 노동과정 특성이 직업적 불안정성과 경제적 취약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음을 검토한다. 이어 『예술인 복지법』과 관련 정책들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예술인복지정책에 투영된 예술인 노동에 관한 정책 인식 및 주요 쟁점들을 가치정향의 문제 및 정책수단적 방법론 차원에서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이 본질적으로 경제적 취약성에서 자유로울 수없는 창의노동 특수성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현재의 예술인 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새로운 관점에서 탐색, 제시한다.

      • KCI등재

        미술계 작가보수제도(Artists' Fee)에 대한 법률적 접근과 정책적 제언

        이재경(Lee Jae Kyoung)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法學論叢 Vol.22 No.2

        2014년 9월경 문화체육관광부는 미술산업의 발전방안을 담은 "미술진흥 중장기계획"을 발표하면서, 미술작가의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작가보수제도와 표준계약서를 도입한다고 예고하였고, 2015년 1월경 대통령에 대한 업무계획 보고에서 미술작가의 창작활동에 대해 정당한 비용을 지급하는 작가보수제를 구체적으로 시행할 방침이라고 밝힌 이래, 작가보수제도(Artists' Fee)와 관련하여 미술계 안팎으로 논의가 뜨겁다. 우리나라 관련 법령이나 정책적 지침에는 미술전시회와 관련하여 작가보수제도를 직접 다루지 아니하고 있다. 사적자치의 원칙상 보수는 작가와 갤러리 등의 당사자가 계약을 통하여 자율적으로 정할 문제로 판단하는 입장에서는 작가보수제도의 도입은 자유시장경제 및 미술시장에 대한 국가의 부당한 간섭으로 파악하고 비용의 증가는 오히려 미술시장을 위축시킬 것이라고 반대하지만, 미술계 종사자들의 기본적인 권리 및 예술인의 복지 차원에서 접근하는 목소리에서는 예술계의 동반성장 및 갑을관계 해소를 위하여 선진국에서도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작가보수제도의 도입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예술인의 복지 및 작가의 권익을 보호함과 동시에 미술계의 부당한 비용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작가보수제도의 적절한 기준을 제시하여 미술시장에 역효과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운영한다면, 미술시장의 부당한 개입을 최소화하고 예술인의 복지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작가보수제도에 대하여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를 제외하고, 미국, 영국, 프랑스 등 미술산업 선진국들의 사례를 살펴보면, 국가 또는 협회의 차원에서 작가보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중국, 홍콩, 일본 등 아시아의 경우, 작가보수제도의 개념조차 찾을 수 없거나, 작가보수제도에 대한 뚜렷한 기준을 찾을 수 없었으며, 다른 비용의 지급을 통하여 사실상 작가보수에 준하는 사례비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문광부에서 발표한 '미술진흥 중장기 계획'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및 미술시장 수준에 비하여 다소 늦은 감이 있다. 그러나 정부에서 처음으로 내놓은 계획이 예술가들의 안정적인 창작환경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우선순위에 따라 신중한 현장연구가 비교법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미국의 W.A.G.E.같은 자치단체의 인증제도의 활용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minimum fee schedule, so called "Artists' Fee" is sort of a minimum wage for artists and it sets minimum recommended rates for the use of artwork and certain services that visual artists provide. Widely recognized as the national standard, rates are all recommendations. That said, many arts councils in various countries require that public galleries pay artist's fees as a condition of their funding and artists is believed to have rights that help them to get paid. In Korea, since the announcement of "Long term plan for development of art industry" by the government, the topic of artists' fee has been heavily discussed and its inclusion into model contract for art industry has been controversial, where some are arguing it might draw negative influence over art industry cause it could lead to the increase of exhibition cost over all. There is, therefore, a need for comparative study for settling down artists' fee policy in Korea. In Canada, artists' rights for payment when their work is used in exhibitions are legally enshrined by CARFAC. NAVA(Australia) maintains close contact with a-n The Artists Information Company, a sister organization in the UK which is conducting a parallel campaign to secure industry adherence to payment of artists' fees. a-n has published survey findings about artists' experience of exhibiting in publicly funded galleries in the UK and is undertaking a campaign 'Paying Artists' to ensure the payment of artists' fees. W.A.G.E. of US, which is a self-governing community in US art society, deploying the system of certification with no legislation or administrative enforcement by any government. To avoid excessive intervention by the government into art industry and free market, certification system regarding artists' fee by non-government organization would be the most plausible and appropriate solution.

      • KCI등재

        예술인의 소득 지위와 격차

        이슬기,금현섭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conomic status of artists in Korea. Economic status is usually measured and discussed based on the measures of income level and its disparity, but it is rather scarce in the literature when it comes to artists. It is well known that artists income as a whole is lower and irregular, and has wider distribution compared to other job holders or industries. That is why many artists hold dual jobs to complement their weak income flow. However, it is hard to find relevant literature on this issue in particular for Koreaa artists. In this study, we attempt to measure the income level and disparity of artists focusing on overall, various sub-groups , income sources and factors assuming to be related to income generation using Gini and GE(2) inequality index and their decomposition techniques. The empirical results based on 2015 Survey on Artists and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artists’ income level is lower and its disparity is more severe. Also in terms of disparity of income, females, people over 60 years, residents in the capital, people engaged in broadcasting fields, and people holding dual jobs are found to be more vulnerable than other artists. And the contribution of non-artistic income to the total income inequality is much bigger than artistic income and external funds. It reveals that economic activities of artists is so skewed which means the artists have no choice but to having more than one job. Although it is still preliminary, the results are significant to provide hints for the policy makers the hard economic dimensions artists have faced even with various policy measures to subsidize their artistic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활동의 근로성을 인정하는 최근의 경향에 비추어 예술인의후생(well-being)이라는 차원에 대한 검토가 그동안 부족했다는 문제의식 하에 우리나라 예술인의 소득지위의 취약성 정도를 실증적으로 파악해 보는데 있다. 그동안 소수 인기 작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예술가들이 저소득으로 인해 예술활동은물론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고 이에 대한 다양한 예술인 지원정책이 이루어져 왔으나, 정작 예술인들의 소득지위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분석결과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정책의 타당성이나 효과성 측면에서 지속적인 비판이 이루어져 왔는데 여기에는 예술분야의 특성 상 체계적 소득정보의 획득 자체에어려움이 있다는 점도 한 이유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소 제약적이긴 하지만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5 예술인 실태조사』를 자료로 활용해 우리나라 예술인의 소득구조에 대한 검토를 시도하였다. 특히 예술가의 소득지위에 대해서 다양한 하위집단의 소득수준과 소득격차 및 이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예술인의 소득수준은 일반국민에 비해 낮을 뿐 아니라 그 격차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예술인 간 고소득과 저소득의 격차가 일반국민의그것에 비해 훨씬 클 뿐만 아니라 중간소득층이 매우 작은 상황이었다. 또한 소득불평등 수준으로 측정된 소득격차는 하위집단(예를 들어, 예술분야)별로도 상당한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이는 그동안 분야별 소득수준에만 주목하였던 기존 접근의 미비점을 지적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하지만 보다 주목할 점은 예술인의 소득격차를 설명하는데 문화예술분야 간 차이점보다는 해당 분야 내에서의 소득격차가 보다 지배적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으로서 이는 기존의 분야간 형평성에 주목하였던정책적 접근이 향후 분야내 형평성으로 전환될 필요성을 제시하는 결과라고 할 수있다. 마지막으로 소득불평등 수준에 대한 소득원천별 기여도를 살펴보면 비예술활동소득, 예술활동소득, 그리고 창작지원금소득 순서로 나타났는데, 비예술활동소득이 그 자체의 불평등 수준도 높지만 전체 소득 대비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이고, 예술활동 소득은 그 자체 불평등 수준은 가장 높지만 전체 소득 대비 비중 측면에서 비예술활동보다 조금 낮아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곧 우리나라 문화예술인의 소득활동 자체가 매우 불안정하고 편중되어 있으며 겸업을 통해 이를 보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예술인 복지 제도가 예술인들의 경제적, 예술적 활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 「2021 예술인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강지나,김윤경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3 문화정책논총 Vol.37 No.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various types of welfare systems expanding and developing in promoting artists’ welfare and their impact on artists' economic and artistic activitie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and foreign welfare systems for artists. It analyzed the status of domestic welfare systems for artists by type according to UNESCO's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he Artist.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welfare systems on artists us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2021 Survey on the Status of Artists. The analysis showed that systems for securing the social status of artists related to protection in employment, contracts, and artistic labor; policies for labor protection for artists; and support for the formation of artist labor unions and occupational organizations positively impacted artists' economic activities. In addition, systems for creating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artistic activities, such as support for artistic activity conditions, education, and training, also positively impacted artists' artistic activities. Full-time status, age, and education also significantly affected artists' economic and artistic activities.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welfare systems for artists: First, realistic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ystems that support artists’ economic stability. Second, indirect support systems for creating environments where artists can actively and safely engage in activities should be further advanced and diversified in place of cash support systems. 본 연구는 예술인 복지 제도가 확대, 발전하고 있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유형의 제도들이 예술인의 경제적, 예술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 예술인 복지 제도의 동태를 살펴보고, 유네스코의 「문화예술인의 지위에 대한 권고」에 따라 현재 국내 예술인 복지 제도의 현황을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2021 예술인 실태조사」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예술인 복지 제도가 예술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용, 계약, 예술노동의 보호와 관련한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 보장, 예술인을 위한 노동정책, 예술인 노동조합 및 직업단체 결성 지원의 제도들은 예술인의 경제적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인의 예술적 활동에는 위 세 가지 제도와 더불어 예술활동 여건 지원 및 교육ㆍ훈련 지원과 같은 환경 조성의 제도들까지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전업 여부, 연령, 학력이 예술인의 경제적, 예술적 활동 모두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예술인 복지 제도의 발전을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예술인의 경제적 안정화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들의 효과가 더 발휘될 수 있는 방안을 현실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둘째, 현금 지원 방식보단 예술인들이 활발하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간접지원 방식의 제도가 더욱 고도화, 다각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제18, 19대 국회에서 처리된 예술인복지법에 대한 비교 연구

        정다정(Jung, Da-ju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3

        지난 5월 30일 20대 국회가 개원한 후 현재까지 총 18개 상임위에 발의된 법률안은 1,556건에 달하고 이 중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 발의된 법률안은 전체의 약 10%정도에 해당하는 162건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예술인 복지에 관련된 법률안은 단 1건도 발의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주요 목적은 우리나라의「예술인 복지법」제·개정이 제 18, 19대 국회에서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처리되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예술인 복지를 위한 입법 활동을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18대 국회 회기 중이었던 2011년 11월 17일「예술인 복지법」이 제정되기까지의 과정, 두 번째로 제정법 시행 이후 2013년 12월 30일 1차 개정·2016년 2월 3일 2차 개정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입법 활동, 세 번째로 2016년 5월 29일 19대 국회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처리되지 못하고 자동폐기된 법률안까지 정리한 후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법률안 내용별 처리현황을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제18, 19대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적으로 가결된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관 법률안 중「예술인 복지법」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저조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향후「예술인 복지법」에 대한 정비나 논의가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19대 국회에서는 예술인 복지 관련 법률안 발의 건수가 18대 국회에 비해 양적으로는 2배 이상 증가했지만, 내용면에서는 기존 제정안의 한계를 극복하기 보다는 또 다시 최소한의 개정만 반복되는 소극적인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국회에 발의된 「예술인 복지법」의 주요 정책기제 비교를 통하여 예술인을 근로자에 준하여 보호하는 조항을 신설하고, 포괄적인 예술활동 기준을 적용하여 정작 복지 수혜가 필요한 예술인이 누락되지 않도록 하는 등 예술인의 복지를 실질적으로 증진할 적극적인 제도를 마련하고 미흡한 내용은 보완하여 앞으로도 법적인 정비가 지속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화의 세기를 표방한 정부의 문화 정책 하에서 정작 주체자인 예술인들은 ‘4대 보험’이라는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에서도 제외되어 있었음이 현실로 들어남으로써, 그동안 예술인들은 특별한 대우를 받는 대상으로 여겨졌으나 사실상 국민이라면 당연히 누려야 할 사회보장제도와 직업인으로서의 사회적 인정에서 마저 배재되어 왔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On May 30th, since 20th National Assembly opened, a total of 18 standing committee proposed legislative bill is 1556 cases to date. Among the proposals, those proposed by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is 162 cases, approximately 10 percent of total proposals. However, there hasn"t been a single legislative bill addressing welfare of artists to date.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to assess the draw backs of the contents of this country"s "Artist"s Welfare Law"enactments/amendments as well as the procedures undertaken in handling of the matter. This will lead to a possible derivation of implications. Thus, more specifically, legislative activity addressing Artist"s Welfare have been largely divided into 3 broad groups. First, the process of enactment of "Artist"s Welfare" on Nov 17th, 2011 by the 18th National Assembly session; Second, legislative activity undertaken until Dec 30th, 2013"s 1st revision and Feb 3rd, 2016"s 2nd revision of legislation; Lastly, unprocessed and automatically disposed legislative bill as a consequence of 19th National Assembly"s tenure expiration on May 29th, 2016 will be analyzed and aggregated allowing categorization of legislative bill. This will lead to a possible deriving of implication. Upon analysis, definitively passed legislative bill within the remit of Culture Sports Tourism Broadcast and Communication Committee and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during 18th and 19th National Assembly"s plenary session remained extremely low. Thus, it seems necessary to draw a detailed and practical modification or discussion of "Artist"s Welfare Law" in the future. Also, while legislative bill addressing the needs of welfare of Artists has doubled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compared to 18th session, instead of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pre-existing proposals of legislation, passive attempts of minimal revision is only being repeated, content wise. Lastly, comparison of main policy mechanismof National Assembly"s proposed "Artist"sWelfare Law" calls for some necessary revisions. These include establishment of a clause including artists as a worker within the framework of "worker" designation and application of comprehensive artist activity standard in order to eliminate situations where welfare benefit needed artists are not left out. Practical attempts to enhance welfare of artists require aggressive implementation of such systemwhere lacking content can be supplemented and legalmodification is continued. In conclusion, in a so called "century of culture" governmental policy, artists, the actual principals, being excluded in the most minimal form of social safety net called "Four Major Insurance" have been deemed real. The artists have been viewed as recipients of special treatment. But in reality, artist"s rights have been excluded the social security policy and social acknowledgement as aworking professional which most citizens receive. 지난 5월 30일 20대 국회가 개원한 후 현재까지 총 18개 상임위에 발의된 법률안은 1,556건에 달하고 이 중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 발의된 법률안은 전체의 약 10%정도에 해당하는 162건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예술인 복지에 관련된 법률안은 단 1건도 발의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주요 목적은 우리나라의「예술인 복지법」제·개정이 제 18, 19대 국회에서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처리되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예술인 복지를 위한 입법 활동을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18대 국회 회기 중이었던 2011년 11월 17일「예술인 복지법」이 제정되기까지의 과정, 두 번째로 제정법 시행 이후 2013년 12월 30일 1차 개정·2016년 2월 3일 2차 개정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입법 활동, 세 번째로 2016년 5월 29일 19대 국회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처리되지 못하고 자동폐기된 법률안까지 정리한 후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법률안 내용별 처리현황을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제18, 19대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적으로 가결된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관 법률안 중「예술인 복지법」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저조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향후「예술인 복지법」에 대한 정비나 논의가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19대 국회에서는 예술인 복지 관련 법률안 발의 건수가 18대 국회에 비해 양적으로는 2배 이상 증가했지만, 내용면에서는 기존 제정안의 한계를 극복하기 보다는 또 다시 최소한의 개정만 반복되는 소극적인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국회에 발의된 「예술인 복지법」의 주요 정책기제 비교를 통하여 예술인을 근로자에 준하여 보호하는 조항을 신설하고, 포괄적인 예술활동 기준을 적용하여 정작 복지 수혜가 필요한 예술인이 누락되지 않도록 하는 등 예술인의 복지를 실질적으로 증진할 적극적인 제도를 마련하고 미흡한 내용은 보완하여 앞으로도 법적인 정비가 지속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화의 세기를 표방한 정부의 문화 정책 하에서 정작 주체자인 예술인들은 ‘4대 보험’이라는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에서도 제외되어 있었음이 현실로 들어남으로써, 그동안 예술인들은 특별한 대우를 받는 대상으로 여겨졌으나 사실상 국민이라면 당연히 누려야 할 사회보장제도와 직업인으로서의 사회적 인정에서 마저 배재되어 왔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On May 30th, since 20th National Assembly opened, a total of 18 standing committee proposed legislative bill is 1556 cases to date. Among the proposals, those proposed by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is 162 cases, approximately 10 percent of total proposals. However, there hasn"t been a single legislative bill addressing welfare of artists to date.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to assess the draw backs of the contents of this country"s "Artist"s Welfare Law"enactments/amendments as well as the procedures undertaken in handling of the matter. This will lead to a possible derivation of implications. Thus, more specifically, legislative activity addressing Artist"s Welfare have been largely divided into 3 broad groups. First, the process of enactment of "Artist"s Welfare" on Nov 17th, 2011 by the 18th National Assembly session; Second, legislative activity undertaken until Dec 30th, 2013"s 1st revision and Feb 3rd, 2016"s 2nd revision of legislation; Lastly, unprocessed and automatically disposed legislative bill as a consequence of 19th National Assembly"s tenure expiration on May 29th, 2016 will be analyzed and aggregated allowing categorization of legislative bill. This will lead to a possible deriving of implication. Upon analysis, definitively passed legislative bill within the remit of Culture Sports Tourism Broadcast and Communication Committee and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during 18th and 19th National Assembly"s plenary session remained extremely low. Thus, it seems necessary to draw a detailed and practical modification or discussion of "Artist"s Welfare Law" in the future. Also, while legislative bill addressing the needs of welfare of Artists has doubled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compared to 18th session, instead of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pre-existing proposals of legislation, passive attempts of minimal revision is only being repeated, content wise. Lastly, comparison of main policy mechanismof National Assembly"s proposed "Artist"sWelfare Law" calls for some necessary revisions. These include establishment of a clause including artists as a worker within the framework of "worker" designation and application of comprehensive artist activity standard in order to eliminate situations where welfare benefit needed artists are not left out. Practical attempts to enhance welfare of artists require aggressive implementation of such systemwhere lacking content can be supplemented and legalmodification is continued. In conclusion, in a so called "century of culture" governmental policy, artists, the actual principals, being excluded in the most minimal form of social safety net called "Four Major Insurance" have been deemed real. The artists have been viewed as recipients of special treatment. But in reality, artist"s rights have been excluded the social security policy and social acknowledgement as aworking professional which most citizens rece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