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지원사업에 대한 시론적 연구 - 지역정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

        안채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Local Creator Development Support Project, which is actively underway in each region of the country, has a positive function as an alternative tool to enable young people to settle in the region and lead a sustainable life. Focusing on the case of the local creator development support project in Gyeongnam, this study closel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local creators who have succeeded in starting a business and how the contextual meaning of "local" is constructed among them. The study found that local creators have considerable difficulty in incorporating the element of "local" into their business, and they also feel a great burden on the social role that is expected of so-called local creators. In addition, an issue has been raised regarding the fac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start-up acceleration programs and the sessions for local creator start-ups. This paper emphasizes the need to develop a specific program for local creator start-ups, highlighting that the social role expected of local creators currently depends on individuals' willingness and suggesting the need to implement policies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such businesses.

      • KCI등재

        일로부터 추구하는 ‘재미’의 중요성 - 창의 노동과 내재적 동기의 관계에 대한 고찰

        안채린 한국문화경제학회 2017 문화경제연구 Vol.20 No.3

        This paper analyzes the actual ‘content’ and ‘role’ of the intrinsic motivation of creative laborers during the creative production process. Based on semi-structured intensive interviews with 16 light-entertainment television PDs in South Korea, this paper articulated that intrinsic motivation towards creative work could be understood as a desire to maintain their level of enjoyment from creative work. The desire was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types of ‘enjoyment’, one was the enjoyment based on the expectation regarding the creative job, and the ‘enjoyment’ experienced primarily related to the creative production process that allows creative workers to actualize individual creative ambitions. In addition, such intrinsic motivation tended to provide a strong driving force for creative workers as they endured unfavorable working conditions that resulted from market principles(viewership ratings), economic stability, and work-life balance.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tendency of creative workers to endure various undesirable working conditions is based on a strong intrinsic motivation to maintain their level of enjoyment from their creative career. 본 연구는 창의 노동자들의 업무에 대한 내재적 동기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의적 생산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16명의 예능 방송 PD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창의 노동자들의 일에 대한 내재적 동기는 일을 통해 ‘재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로 해석되었다. 이는 외부적 시각을 바탕으로 한 재미와 창의적 생산자로서 경험하는 재미의 두 가지로 분류되었다. 이어서 창의 노동자들의 내재적 동기는 창의적 업무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여러 충돌과 갈등(시청률, 경제적 안정성, 일-삶의 균형)에 맞서 해당 직업을 유지하기 위한 강한 원동력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창의 노동자들이 창의 노동 과정에 산재해있는 자기 착취적 요소들까지도 자발적으로 감내하도록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이상적이지 않은 창의 노동 조건과 환경을 받아들이고 창의 노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창의 노동자들의 특수한 경향에는 일에 대한 강한 내재적 동기가 기초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술인 근로자 의제’에 대한 재 고찰- 「예술인복지법」 국회 논의 과정을 중심으로

        안채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8 예술경영연구 Vol.0 No.45

        본 연구는 「예술인복지법」의 초기 입법과정에서 야심차게 제기되었다가 국회 논의과정에서 삭제된 ‘예술인 근로자 의제’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다시 고찰하였다. 예술인 집단을 위한 별도의 사회보장체계를 정립해야 하는 정당성의 근거를 예술인노동특수성으로 인한 경제적 허약성과 예술인 활동이 사회에 기여하는 긍정적 외부성의 두 가지로 도출하고, 유네스코의 <예술인의 사회적 지위를 위한 권고> 및 주요 유럽 국가들의 예술인 사회보장제도 체계의 근간에 위의 두 가지 요소가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적 상황에서 ‘예술인 근로자 의제’는 예술인 노동 특수성 및 예술인 활동의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드러내는 의미와 역할을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하고, 실제「예술인복지법」 입법 및 개정 과정에서 ‘근로자 의제’의 함의가 충분히 이해되지 못했음을 지적하였다. 결론으로는 향후 「예술인복지법」의 발전을 위해 고용형태에 상관없이 전문예술인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예술인 노동 특수성과 그로 인한 경제적 허약성에 다시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aper aims to rethink the meaning and the role of the legal fiction of artists as worker, which was included in the initial bills of the Artists’ Welfare Act. For this, the research first articulates two major factors that explain the legitimacy to introduce a separate social security system for artists: the economic vulnerability of artists due to the specificity of artists’ work, and the positive externalities of artists’ activities. The paper then observes that the majority of well-established artists’ welfare systems in Europe are based on the importance of above two factors, as well as the UNESCO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he Artists. Based on this, the paper argues that the previous attempts to bring legal fiction of artists as worker during legislation process had a very crucial role to reveal the need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artists’ working process and the positive externalities of their activities. After identifying that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Artists’ Welfare Act was unsuccessful to fully acknowledge the undertone of the initial content of the bill, the paper argues that there is a need to refocus on the specificity of artists’ work and the economic vulnerability, which are experienced by the majority of professional artists, regardless of employment status.

      • KCI등재

        창의 노동자의 다중정체성과 창의적 자율성 간의 상관관계 - 한국 예능 프로그램 PD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채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1

        Although creative laborers in the context of today’s cultural/creative production are large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rtistic workers, there has been an historic tendency to define the concept of both creative autonomy needed by contemporary creative workers as ‘aesthetic autonomy’. The present research first analyse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creative labor and the concept of creative autonomy. To understand the specific tendency of creative workers who endeavor to maintain and develop their level of creative autonomy under the pragmatic constraints, the current research applies the theories of identity work.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the concept of multiple identities of creative laborers as an alternative method to closely observe the negotiation process of the level of creative autonomy.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multiplicity theory, the paper analyse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6 Main PDs in South Korean entertainment broadcasting industry. Through the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Main PDs in television entertainment genre had three different but concurrent identities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In particular, both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reflected organizational aims and the shared standards among professional PDs respectively. Since the multiple identities are constructed throughout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the factors that limit the level of creative autonomy was continually increasing. Consequently, the level of creative autonomy was always subject to negotiate and compromise throughout career trajectories. 현대의 창의 산업이 전통적 예술 시장의 구조와 크게 차별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많은 연구 속에서 창의 노동자의 창의성과 창의적 자율성의 개념은 전통적인 미학적 자율성의 개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창의 노동과 창의적 자율성에 대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분석한 뒤, 창의적 자율성이 제한될수밖에 없는 현실 속에서도 개인의 창의적 야망을 쉽게 버리기 보다는 최대한 유지하고 발전시키려 애쓰는 창의 노동자의 특수한 경향을 정체성 노동 이론을 통해 이해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창의적 자율성의 협상 과정을 보다 면밀히 들여다볼 수 있는 방법으로 다중정체성 개념을 소개하며, 해당 개념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 방송 산업 내의 예능 프로그램 메인 PD들과의 심층인터뷰 데이터를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능장르에 종사하는 PD들은 창의적 개인, 조직구성원, 전문직업인의 세 가지 다른 정체성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으며, 커리어 발전 과정에서 형성되는 조직구성원 및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은 조직적 목표 및 전문직업인 간에 공유되는 우수성의 기준들을 내재하고 있었다. 창의 노동자의 다중정체성은 커리어가 발전해가는 과정에서 확립되기 때문에, 노동 시장 내의 지위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의 창의적 자율성 수준을 제약하는 요소들은 오히려 늘어나게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창의 노동자의 자율성 수준은 커리어 발전 과정에서 늘 협상과 타협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산업 창의인재 양성정책이 촉진하는 창의성 영향요인 및 맥락에 대한 연구

        안채린(Chairin, A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창의인재 양성정책이 상대적으로 일찍 시작된 문화콘텐츠산업 내의 주요 인재양성사업인 〈콘텐츠 코리아 랩〉과 〈창의인재 동반사업〉, 〈콘텐츠원캠퍼스 구축·운영 사업〉의 세 사례를 분석하여 ‘창의인재’라는 개념 속의 ‘창의성’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창의성 발휘에 영향을 주는 ‘창의성 영향요인의 다층적 구조와 창의성의 맥락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개인적 수준의 P-창의성이 맥락적 가치를 지닌 H-창의성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현재 문화콘텐츠산업 창의인재 양성정책이 촉진 하고자 하는 창의성 영향요소의 내용과 창의성의 맥락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문화콘텐츠산업 창의인재 양성사업은 개인적 차원의 기술적 역량 제고와 조직·사회적 차원의 기술적 선진성 및 전문집단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집중되어 있었으며, 창의성의 맥락은 암묵적으로 개인적 수준의 P-창의성에 머무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보다 장기적 시각에서 창의인재가 가져야 할 창의성의 개념과 맥락에 대한 본질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nalyzing the three cases of creative talent fostering policy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ies(CCI): Content Korea Lab, Creativite Talent Partnership Project, and Content One Campu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theory of "Creativity" in the concept of "Creative Talent". Through a multilayered structural model of creativity influence factors and the context of creativity(P-creativity and H-Creativity), the current policy of fostering creative talent in the CCI were also carefully analyzed. As a result, the creative talent fostering policies in the CCI was focused on enhancing technical capabilities at the individual level and promoting social networking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at the organizational and social level. This study raised the need for a realistic workforce training policy that employed a clearer set of human resources with a closer grasp of the demand for workforce in practice. It also emphasized a need of a long-term perspective that could lead to sustainable career development, rather than a one-off workforce training policy.

      • KCI등재

        혁신적 포용 국가가 필요로 하는 문화정책에 대한 시론(試論)적 논의 - 장애인 문화예술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

        안채린(An, Chairi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0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0

        문재인 정부가 제시한 <혁신적 포용 국가> 건설을 위해 필요한 ‘포용적 문화정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포용적 문화정책’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향성과 내용을 가져야 하는지는 아직 충분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것 같다. 본 연구는 혁신적 포용 국가를 위해 필요한 ‘포용적 문화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한 시론적 논의로서 먼저 <혁신적 포용 국가>의 개념을 정의하고, 국내에서 ‘포용적 예술’과 연관된 논의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 장애인 문화예술지원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며 관련 분야 정책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문화정책에 있어 ‘포용’과 ‘다양성’, ‘형평성’, ‘평등’ 등의 개념을 보다 빠르게 활용해온 영국과 미국, 호주의 장애인 및 소수인종 문화예술지원 정책 사례를 살펴보며 <혁신적 포용 국가> 건설을 위해 보완되어야 할 소외계층 예술인들을 위한 정책적 지원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선진국의 장애인 및 소수인종 예술가들을 위한 국가 주도의 지원은 단순히 창작의 기회를 열어주거나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를 늘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예술인들의 실질적인 커리어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시도가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관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가적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포용’적 문화정책의 일환으로서 장애인 및 소외계층 예술가들의 리더십 및 커리어 성장을 돕는 국내의 정책적 장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A discussion of ‘inclusive cultural policy’ supporting the inclusive & innovative growth presented by the president Moon Jae-in is becoming more crucial. However, it seems that there has yet to be sufficient agreement on what direction and content the “inclusive cultural policy” should have in detail. This study is a preliminary discussion on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inclusive cultural policy” needed for an inclusive-innovative country. First,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inclusive and innovative country’ and looked around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support for the disabled, which has been the most active discussion related to “inclusive art” to dat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policies in related fields. The study then looked at examples of policies to support the disabled and minorities in Brita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where have been using concepts such as inclusion, diversity, equity, and equality in cultural policies much earlier, and looked at the contents of policy support for underprivileged artists who should be supplemented for the construction of an ‘inclusive-innovative’ nation. The study found that state-led support for disabled and minority artists in developed countries did not merely open up opportunities for creation or increase opportunities for enjoying culture and arts, but continued various policy attempts to help artists grow their career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e current study highlighted the need for policy devices to help disabled and underprivileged artists grow their leadership and careers as part of an ‘inclusive’ cultural policy that could lead to national innovation.

      • KCI등재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전문인력양성사업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안채린(Chai-Rin A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6 No.1

        2015년부터 시작된 〈지역문화전문인력 지원사업〉은 지역 간 문화향유 수준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상황에 맞게 문화를 매개해줄 수 있는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올해로 시행 7년째에 접어든 지역문화전문인력 지원사업은 지금까지 인력양성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지속적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는 사업 첫해부터 참여해 온 경남지역 사례를 바탕으로‘지역문화전문인력 지원사업’의 현실을 들여다보고 인력양성사업의 한계와 발전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심층인터뷰와 사례연구를 통하여 인력양성사업과 인력배치사업 간의 연결성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역문화전문인력 지원사업을 통해 교육생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어느 정도의 차별적 실무 역량을 어느 정도 갖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양성교육을 수료한 것만으로 문화현장에서 신진인력이 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찰과 분석을 바탕으로 정부 주도의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신진인력들이 전문가로 활동하는 데 필요한 수준의 전문성을 획득하기 어려운 현실을 확인하고 제도적 측면의 개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Local Cultural Professional Support Project”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5 with the aim of discovering human resources who can work with expertise in the local cultural field. The policy, which started based on a sense of problem that the gap in the level of cultural enjoyment between regions should be resolved, started with a sense of problem with the need for professionals to mediate culture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each region. The local cultural professional support project, which has entered its seventh year of implementation, consists of three stages: human resource discovery, training, and activity support, and organic connection at each stag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Based on the case of Gyeongsangnam-do Province, this study looked into how the “local cultural professional support project” is actually experienced in the region.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various primary and secondary data,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ining education project and the professional manpower assignment project was observed. Based on these observations and analyses, this study confirmed the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for new human resources to acquire the level of expertise necessary for them to work as experts through the government-led human resource training project and suggested the need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aspect.

      • KCI등재

        창의노동 관점에서 바라본 ‘예술인 복지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최보연,안채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2

        The artists' welfare act, which was enacted in 2011, was designed based on the need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artists and to enhance their economic stability. Although the specific welfare act ostensibly recognizes the important social role of artists, it is seemingly that the ac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specificity of artistic/cultural working process, which tends to force artists/cultural laborers become vulnerable in society. It may not be easy to build a sustainable welfare system for a longer term, unless there is solid social consensus on the particular reasons why social supports for artists/cultural labourers are necessary.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analyse the current artists’ welfare act in relation to the theories of creative labour process. Firstly, the study examines why and how artists/creative labourers are vulnerable to economic inst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ive labour process, Then it moves on to present a case analysis about the bill texts of Artists’ Welfare A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ed artist policy initiatives. By doing so it illuminates some critical problems in both the ends and means of the current artists welfare policy initiatives. In conclusion, it presents some possible suggestions that may help the current artists welfare policy initiatives better reflect the specificity of artists’ creative labour process. By articulating the fundamental economic vulnerability of artists’ creative production processes with theories of creative labour, the current research explores several important issues of the current artists’ welfare act, and suggests possible future directions of the amendment of the act. 2011년에 제정된 『예술인 복지법』은 문화예술분야에 종사하는 예술인들이 노동 현장에서 겪게 되는 구조적 문제를 보완하고 이들이 수행하는 예술활동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예술인복지법』제정 이후 현재까지 진행된 예술인복지를 위한 정책내용을 들여다보면 여전히 문화예술분야의 노동과정이 갖고 있는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매우 미흡한 것이사실이다. 다른 직업과 비교했을 때 특별히 예술인들을 사회적으로 지원해야 하는이유에 대해 충분한 사회적 공감과 동의가 전제되지 못한다면, 문화예술분야의 노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은 오래 지속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예술인 복지법』에 반영된 예술인 노동에 대한 인식과 주요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창의노동 관련 연구들을 통해예술인을 포함한 창의노동자들의 노동과정 특성이 직업적 불안정성과 경제적 취약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음을 검토한다. 이어 『예술인 복지법』과 관련 정책들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예술인복지정책에 투영된 예술인 노동에 관한 정책 인식 및 주요 쟁점들을 가치정향의 문제 및 정책수단적 방법론 차원에서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이 본질적으로 경제적 취약성에서 자유로울 수없는 창의노동 특수성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현재의 예술인 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새로운 관점에서 탐색,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