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식 대안공간과 커뮤니티 아트의 시작: 나카무라 마사토

        고동연 미술사학연구회 2016 美術史學報 Vol.- No.46

        The essay focuses on Masato Nakamura’s path toward a successful curator of community art in Japan in light of the sociological condition of Japanese contemporary art in the 1990s. As I will argue, Nakamura’s undertaking of “Command N,” “Chiyoda Art Festival,” and the establishment of “3331 Arts Chiyoda” should be understood in close relationships with a number of guerrilla art events, either in the streets of Ginza or in Shinjuku during the early 1990s. The exhibitions are organized by a group of young artists called “Geidai,” the graduates of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 will also look at Nakamura’s 3331 Arts Chiyoda, the renowned community art center in Japan, regarding its financial support system as the essay is also purported to address both achievement and dilemma involved with community arts designed to popularize and exp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ntemporary art in Japan from the 2000s and onwards. 일본의 대표적인 커뮤니티 아트의 기획자이자 작가인 나카무라의 성장기를 1990년대 초 일본 미술계의 사회구조적인 상황에 비추어서 다루고자 한다. 1999년 아키아바라에서 열린 커맨드 N, 2005년 지역의 공예 예술가나 생활 예술가를 모아서 벌인 페스티벌, 그리고 3331 아트 치요다 등은 1990년대 초중반부터 작가가 동년배 작가들과 공동으로 조직하여 온 각종 거리 미술전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되어져 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자는 나카무라의 3331 아트 치요다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를 일본의 기금체계와도 연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예술을 통한 도시 재생이나 도시 속의 다양한 공동체를 연결시키려는 나카무라의 활동이 일본 사회에서 예술의 대중적인 역할을 확충하는 데에 있어 어떠한 성과와 문제점을 던져주고 있는지를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함이다.

      • KCI등재

        성 구분의 혼란과 가족의 몸: 레리 리버스의 누드화와 1950년대 미국

        고동연 서양미술사학회 2008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28 No.-

        During the 1950s, the idealization of conservative ideologies centered on the image of the American family–particularly the nuclear family composed of a responsible father, a careful mother, and two loving children. As Elaine Tyler May lays out in her Homeward Bound: American Families in the Cold War Era (1990), an increasing number of media outlets and politicians depicted the family and the home as the safest places for ordinary Americans to protect themselves from a range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nflicts. This study will explore how Larry Rivers challenged this idealized image of the American family and the strict gender dichotomy of that decade while he was closely affiliated with the circle of gay writers working in New York during the 1950s and 1960s. To this end, I will concentrate on Rivers’ nude paintings of families and friends in the mid 1950s through which he reconfigured how the naked bodies of the “ordinary” man and woman had been represented in both history of art and the decade’s notion of gender. The image of O’Hara (1954) was accorded with both exaggerated machismo and ambiguous gender attributes, moving away from its original source–a nineteenth-century nude study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Likewise, in Augusta (1954), a nude of his ex-wife, Rivers inserted the image of a staff, a motif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male nude. O’Hara’s and Augusta’s ambiguous bodies (neither feminine nor masculine) questioned the idea of gender division as the basis for the ideal family, as best theorized in Talcott Parsons’ study on the postwar American family. Moreover, a pair of leather boots in O’Hara complic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ily image and identity of the “proper” heterosexual man. As part of the postwar macho gay subculture, the image of the gay men in leather boots effectively challenge the notion that homosexual men are easily distinguishable from the “normal” heterosexual man by virtue of their obvious gender ambiguity, supposedly written in their body images.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homosexuality and heterosexuality is hardly rooted in bodily characteristics of gender; the category of “homosexuality” occupies an interesting place within the discourse of body, gender, and sexuality, never fitting into the traditional linkage between the body and identity. In situating my study on Rivers within the arenas of gender and sexuality, I will quote Judith Butler’s theory of “gender performance” (as best captured in her Bodies That Matter (1993) and Gender Trouble (1998, second edition)). For Butler uses her theory of body, ironically to question its stable and permanent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definitions of identity–either the normal homo or abnormal heterosexual man. Therefore, this study will shed light upon the complicated roles of body images within both historical and theoretical discourses of gender, sexuality, and sexual orientation.

      • KCI등재

        Hallyu Images, Subversive Pleasures and Female Fandom in Cyberspace: Sunhee Lim and Sylbee Kim

        고동연 현대미술사학회 2018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4

        The paper examines the two female media artists Sunhee Lim and Sylbee Kim with an aim of exploring how the digital environment has shifted the relationship among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known as Hallyu, online community, and contemporary media arts. Lim’s and Kim’s artistic production, comprise of fan cams, clips of melodramas circulated on the Internet, reveal their shared approach toward online community, in which female fans can explore their passion toward the alternative fictional reality of female protagonist as well as toward male idols, also known as “Kkotminam.” Thus, using theories on melodrama, gender dynamics in voyeurism, this essay further purports to explain participatory and even critical nature of (mostly female) fan culture in cyberspace, as best reflected and investigated in Lim’s Landscape in My Room (2011) and Kim’s Lover Boys (2009).

      • KCI등재

        초등학교 어린이를 위한 성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례와 수업안: ‘마이팝스튜디오 모델’의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고동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gender-equity media literacy class for elementary school age children. The research on rmedia literacy education of gender equity has been usually limited to adolescents, with special emphasis on writing in English and analytical skills in social science. I hereby intend to suggest a seven week lesson plan for elementary school age students to combines arts education and artistic practice. The study first compares and analyzes three domestic and foreign lesson plans of sexual media literacy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drawn upon Disney movies, domestic TV dramas, and emoticonssuch. The comparative analysis will be conducted in light of educational effects and strategies such as ①) enjoyment, play, ② creative technique, and ③ 'the participation on the onlie community,' the theoretical underpinning that have been recently emphasized in critical media literacy. The criteria have been also inspired by the program 'My Pop Studio,' which has been established in the Media Education Lab at Temple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Subsequently, the study also propose a 7 week lesson plan of “The Television Drama for Gender Equity” to reflect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ree media literacy educational program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연령대 어린이를 위한 성평등 관련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평등과 연관된 미디어 리터러시 국내의 연구가 주로 청소년에 한정되거나, 국어의 쓰기, 사회과학의 분석적인 태도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에 연구자는 문화예술교육, 특히 미술실습을 접목한 초등학교 연령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계획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차적으로 최근 미디어 리터러시에서 강조하고 있는 ① 즐거움, 놀이, ② 창조기술, ③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참여’ 등의 교육 효과 및 전략의 관점에서, 디즈니 영화, 국내 텔레비전 드라마, 이모티콘에 나타난 고정적인 성 관념을 다룬 세 가지 국내외 수업 사례들을 다루고자 한다. 위의 평가 기준은 미국의 템플대학 미디어교육랩(the Media Education Lab)이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 ‘마이팝스튜디오(My Pop Studio)’의 교육 효과에 대한 도표로부터 추출되었다. 이어서 최종적으로 사례 연구로부터 도출된 장단점을 반영한 7주차 수업계획안 ‘성평등 텔레비전 드라마’를 제안해보고자 한다.

      • 금속-유기 구조체 중공사막을 이용한 탄화수소 분리

        고동연 한국막학회 2017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7 No.11

        고기능성 소재를 기반으로 한 뛰어난 성능의 분리막이 적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 가능한 모듈로 통합 된다면 뛰어난 에너지 효율성을 가진 분리공정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유기 구조체 중에서도 제올라이트형 이미다 졸레이트 구조체 막을 이용한 가스상 탄화수소 분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올라 이트형 이미다졸레이트 구조체는 유연한 성질의 나노 사이즈의 동공을 이용한 고성능의 분자체로 최근 들어 각광 받고 있다. 특히 계면 미세유체 막 공정을 통해서 이와 같은 고기능성 소재도 스케일 가능한 막분리 플랫폼으로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미세동공 구조체 중공사 막을 이용한 부탄 이성질체 분리 및 에탄올, 프루푸랄 (furfural) 탈수 공정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메모리 효율을 증가시키는 송신단에서의 콘텐츠 저장 및 배치 기법

        고동연,최완 한국통신학회 2017 정보와 통신 Vol.35 No.1

        본고에서는 저장장치가 송신단 부분에 있는 환경에서 통신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콘텐츠 배치와 전송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먼저, 부호화(encoding) 되지 않은 온전한 콘텐츠를 제한된 메모리 에서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그래프 기반의 격자 모형에서부터 출발하여 페이딩이나 경로손실 또는 간섭과 같은 무선 채널 환경을 보다 엄밀하게 모델링 할 수 있는 확률 기하학 모형까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저장 기법인 콘텐츠 인기도가 높은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저장하는 MPC(Most popular caching) 기법이나 콘텐츠의 인기도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저장하는 UC(Uniform caching) 기법에 비해 평균 콘텐츠 전송 성공 확률(Successful transmission probability)를 증가 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저장 부호화 기법 중 MDS(Maximum distance separable) 코드를 기반으로 분할된 콘텐츠를 중복없이 저장할 경우 기지국에서 메모리 적재의 부담을 갖지 않고 더욱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여 콘텐츠 다양성을 보다 더 확보할 수 있다. 비분할 저장의 경우 단일 노드에 해당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면 기지국과 사용자 간 1개의 채널만 고려하여 성공적인 전송을 유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콘텐츠가 중복 없이 MDS 코드 기반으로 분할되어 여러 노드에 분산 저장된 경우 온전한 콘텐츠를 복구하기 위해서 무선 채널 환경을 고려하여 여러 개의 노드가 협력하여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MDS 코드에 기반하여 분할된 패킷들로부터 오는 콘텐츠 다양성 확보와 온전한 콘텐츠를 복구하기 위한 최소한의 소형 기지국 수 간의 상관 관계(tradeoff)를 통해 메모리 적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 저장 및 배치에 대해서 알아본다.

      • KCI등재

        (Un)making the “Korean” Astro Boy Atom: National Manhwa, Korean Pop Art, and Cultural Hybridity

        고동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Korea Journal Vol.52 No.1

        When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plan to lift the ban on the circulation of Japanese popular culture in 1998, it immediately articulated its intention to support “genuinely” domestic comic books (called manhwa in Korean) and animation in Korea. This policy move demonstrated the government’s ambivalence toward the influence of Japanese manga; at the same time that the government officially encouraged cross-breeding between Japanese and Korean popular cultures and audiences, they became overly protective of Korea’s domestic popular culture industry. This paper offer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notion of national culture or national aesthetics by looking at the official policy toward manhwa in Korea. In addition, Lee Dong-Gi’s and Hyun Tae-Jun’s artworks prove to be important alternatives to the notion of an authentic Korean manhwa culture. Using theories of the hybridizing process by Arjun Appadurai and Nikos Papastergiadis, I also investigate Lee Dong-Gi’s Atomaus, a hybrid of Japanese Astro Boy and Disney’s Mickey Mouse, as well as Hyun Tae-Jun’s 2007 replicas of classic Japanese animation characters. These characters and artworks show the ambiguous state between original and copy, or national and hybrid cultural products.

      • KCI등재

        국내외 초등학교 미술감상 관련 유튜브 동영상에 관한 분석 및 평가 -세 가지 디자인 기준을 중심으로-

        고동연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8 No.-

        The study was aimed at classifying and evaluating children's videos for 3-6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 short videos on YouTube that can be us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art appreciation videos in South Korea are compared to the websites and individual examples in the US; followed by a survey of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responding to 5 sample videos in South Korea. The evaluation is based on three criteria: 'physical' design, 'cognitive' (in relation to content), and 'affective' design, the framework commonly used in the realm of Information Studies or Information Design Studies. The existing researches related to technological apparatus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programs using games, hi-technological gadgets. Researches on converged STEAM programs have also concentrated on art expression and practice rather than on art appreci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s intended to grasp the current status and notable traits of YouTube videos for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e researcher also tries to point out the areas where domestic videos should be improved regarding diversity, accuracy of content, and analysis of art works--although these videos usually get favorable reviews in the areas of physical, formal, and affective design.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제작, 유통되고 있는 미술감상 관련 유튜브 동영상 중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영상을 분류하고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국내의 미술감상 동영상을 미국의 교사들이 정리한 사이트와 비교하고 최종적으로 5개의 샘플 동영상을 선택하여 국내 서울과 경기도 초등학교 교사 12명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평가는 정보학, 정보디자인학에서 사용되는 ‘물리적인(physical)’ 디자인, 내용적인 측면에서 ‘지적인(cognitive)’ 디자인, ‘감성적인(affective)’ 디자인의 세 가지 영역에 걸쳐서 이뤄졌다. 기존의 미디어 기재와 연관된 연구들은 개임, 앱 등을 활용하는 계획안들이 주를 이루어 왔고, 융합인재교육(STEAM)에 관한 연구에서도 감상보다는 표현이나 실습과 관련된 분야에만 연구가 집중되어져 왔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는 초등학생을 위한 미술감상과 연관된 유튜브 동영상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연구 결과로 물리적이고 형식적이며 감성적인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우수하나 다양성과 내용의 정확성, 작업에 대한 분석의 측면에서 국내 동영상들이 개선되어야 할 부분을 지적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