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dersen 행동모형에 근거한 한국노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사 결정요인 분석

        김은영(Kim, Eunyoung),남은숙(Nam, Eunsook),채영란(Chae, Youngran),이혜경(Lee, Hyekyung)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3

        본 연구는 Andersen 행동모형을 분석틀로 이용하여 한국노인의 요양시설 및 재가서비스이용의사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이다.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65세이상 노인 3,019명이었다. 장기요양 서비스이용의사의 예측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Andersen 행동모형에 근거하여 소인성 요인(연령, 성별, 결혼상태, 교육정도), 가능성 요인(가족월수입, 주관적 경제수준, 직업유무, 자녀수, 가족형태, 거주지), 필요요인(주관적 건강상태, ADL, IADL, MMSE, 행동문제, 만성질환수)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29.7%가 요양시설 이용의사를 나타냈고, 45.7%는 재가서비스 이용의사를 나타냈다.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고, 자녀수가 적은 도시거주자들일수록 요양시설이용의사가 높은 반면, 연령이 낮고 가족수입이 적으며 주관적으로 인식한 경제상태가 어려운 농촌거주자들일수록 재가서비스 이용의사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을 비롯한 고령화 국가들의 노인장기요양제도의 발전과 개선을 위한 근거자료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stimate future demand for nursing homes and home care services by Koreans, the intention to use nursing homes and home care services was estimated, and the underlying influencing factors were explored. Method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Survey of Long-Term Care Need in the Elderly compiled in 2004 were used, and 3,019 people aged 65 and older for whom complete data were available were sampled. The following influencing variables were selected based on Anderson's behavioral model of health service use: predisposing factors(age,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enabling factors(family income, number of children, place of residence), and need factors(self-rated health, ADL, IADL, MMSE, comorbidity). Results: The result shows that, of all the participants, 29.7% intended to use nursing homes, and 45.7% intended to use home care services.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younger age, more education, fewer children, and urban residen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to use nursing homes. On the other hand, the intention to use home care services was associated with younger age, lower family income, and rural residents. Conclusion: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r reformation of long-term care systems in countries with ageing populations.

      • KCI등재

        서울시민의 부부교육 및 부모교육 참여의향 관련 요인 탐색: Andersen과 Newman의 행동모델 활용

        손서희,이재림 가정과삶의질학회 2023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Andersen과 Newman의 행동모델을 적용하여 부부교육 및 부모교육에 참여할 의향과 관련된 선행요인, 자원요인, 욕구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21 서울가족서베이 온라인 조사에 응답한 20세 이상 65세 미만 서울시민중 부부교육 참여의향은 기혼 남녀 769명의 자료를, 부모교육 참여의향은 미성년 자녀를 둔 부모 38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혼 남녀의 부부교육 참여의향 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선행요인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자원요인에서는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커플/부부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욕구요인에서는 가족관계 및 가족 간 불화 수준이 높을수록 부부교육 참여의향이높았다. 부모교육 참여의향 관련 요인을 살펴보면, 자원요인 중 가족센터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 그리고 부모/아버지교육 참여 경험이있는 경우, 욕구요인에서는 자녀돌봄 및 교육의 어려움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교육 참여의향이 높았다. 본 연구는 Andersen과 Newman의행동모델을 적용하여 부부교육 및 부모교육 참여의향 관련 요인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고, 부부교육 및 부모교육의 참여의향을 높이기위해 변화 가능한 자원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가족생활교육 활성화를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components related to the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and parenting education based on Andersen and Newman’s behavioral model. We analyzed a sample of 769 married adults for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and a sample of 381 parent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18 for parenting educa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was higher when the respondents were younger, had higher level of family resilience, had participated in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and had difficulties in family relationships. We also found that the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parenting education was higher when the parents had higher awareness of Family Centers, had participated in parenting education before, and had difficulties in caring for and educating their child.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crucial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Family Centers and to offer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family life education.

      • KCI등재

        산업재해 근로자의 근로복지공단 재활서비스 이용 예측요인: Andersen과 Newman의 행동모델을 이용하여

        황재건,김진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0 장애와 고용 Vol.30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dictive factors of rehabilitation service based on the Andersen and Newman behavioral model. Method: The current study used data from the workers’compensation insurance(WCI) panel survey of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including 2,000 injured worker samp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tilized to identify determinants of vocational, medical, an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services. Result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gender, total number of workers, total income, period of treatment, current health, frequency of pain, and disability grade. Second, gender, age, total number of workers, health before industrial accidents, total income, period of treatment and disability grade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utiliz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ird, gender, age, education, total income, period of treatment, current health, and disability grad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use of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s. Finally, the use of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predicted by gender, status of workers, total income, and period of treatm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enhance rehabilitation servic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jured workers, and address the blind spots of rehabilitation servic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 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의 예측요인을 Andersen과Newman의 행동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근로복지공단의 산업재해보험 패널조사 제1차 코호트 데이터에서 1차년도 데이터를 추출해 이용했다. 재활서비스 전체와 하위 유형인 직업, 의료, 그리고 사회심리재활서비스 이용 예측요인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활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전체 근로자 수, 한 해 총소득, 요양기간, 현재 건강 수준, 통증횟수, 장애등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직업재활서비스는 성별, 연령, 전체 근로자 수, 산업재해 전 건강상태, 한 해 총 소득, 요양기간, 장애등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료재활서비스 이용에는 성별, 연령, 학력, 한 해 총 소득, 요양기간, 현재 건강 수준, 장애등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심리재활서비스 이용에는 성별, 재해 당시 종사상 지위, 한 해 총 소득, 요양기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산업재해 근로자의 특성에 맞는 재활서비스를 좀 더 확대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재활서비스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 했다.

      • KCI등재

        독거노인의 고독사 위험 인식이 복지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 Andersen 행동 모형과 전망 이론의 적용

        하석철,유비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lonely death risk affects utiliza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Andersen's behavioral model. Additionally, a sampl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by age and level of relational resource considering the assumption based on the prospect theory that perception of lonely death risk may be different by current situations. In this study, data of 2018 Seoul survey of the elderly was used and it yielded the sample of 691 elderly persons aged 65 and older living alone in Seou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who highly aware of the risk of the experience of lonely death was likely to use of community welfare center. Moreover, the perception of lonely death risk positively affected the center use in relatively negative status groups(the elderly who older-aged and having low relational resource). However, the relationships were not significant in relatively positive status groups. Through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polic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독거노인이 인식하는 고독사 경험 가능성이 복지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Andersen의 행동 모형을 이용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더불어 전망 이론에 기초하여 독거노인의 현재 상황에 따라 고독사에 대한 위험 인식이 다르게 평가될 수 있음을 가정하고, 대상자 집단을 연령과 관계적 자원의 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고독사 위험 인식과 복지관 이용 간의 관계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8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691명의 독거노인이 연구의 대상자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독사의 경험 가능성을 높게 인식하는 독거노인일수록 복지관 이용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취약한 집단(후기 노인, 관계적 자원 수준이 낮은 노인)에서 고독사 위험 인식은 복지관 이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대적인 비(非)취약집단에서는 고독사 위험 인식과 복지관 이용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정책적, 실천적 및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 사회서비스 이용의 예측요인: Andersen 모형을 이용하여

        김성용 ( Sung Yong Kim ),강상경 ( Sang Kyoung Kah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4 사회복지연구 Vol.4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앤더슨 모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정신장애인의 서비스이용경험의 예측요인이 무엇인지 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으로 구분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8년에 전국의 정신장애인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서비스 수요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앤더슨 모형을 적용한 서비스이용 예측모형이 우리나라 정신장애인 집단의 서비스 이용에도 적용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선행요인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유병기간이 길수록 서비스이용경험의 확률이 높게 나타났고, 욕구요인에서는 조현병 이외의 정신장애를 가진 경우가 조현병이 있는 정신장애인보다, 서비스 필요욕구가 클수록 서비스이용경험의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장애인의 서비스이용에 있어서는 가능요인보다는 욕구요인이 상대적으로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의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service utilization among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SMI) using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individuals who were registered as persons with SMI disabilities. Data were processed using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ndersen Model is valid in predicting factors associated with service utilization among individuals with SMI in Korea. Specifically, a lower age, a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a longer duration of SMI were associated with lower probability of service uses. Individuals with non-Schizophrenia diagnosis and those with higher levels of service needs were more likely to use servic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show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SMI in Korea in relation to service utilization, as well as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need factors in service use among individuals with SMI.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on service provisions for individuals with SMI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앤더슨 행동모형 적용

        김영선,박병현,이희윤 한국노인복지학회 2014 노인복지연구 Vol.0 No.65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Korean older adults using Andersen’s health behavior model. We collected data in October-November, 2012,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640 older adults aged 65 and older were sampled and a total of 596 subjects were analyzed for further analyses. The following influencing variables were selected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of health literacy: predisposing factors(age, gender, marital status, place of residence), enabling factors(education level, literacy level, family income, job, social support), and need factors(self-rated health status, number of chronic comorbidities). Using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e found that age and single status among predisposing factors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health literacy. For enabling factors, educational attainment, literacy level, and family income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health literacy, when controlling for other pertinent fac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community-based health literacy programs should prioritize and educate those with a lower level of health literacy. 본 연구는 Andersen 행동모형을 적용하여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국 노인 59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소인성 요인(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거주지역), 가능성 요인(교육수준, 문해능력수준, 월평균가구소득, 취업여부, 사회적지지), 필요성 요인(주관적 건강, 만성질환 개수, 우울수준)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인성 요인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가능성 요인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기초문해력이 높을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성 요인에서는 만성질환 개수가 많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제고를 위해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이 높은 대상을 발굴하고 핵심적인 개입요인을 발굴하여 노인의 낮은 수준의 건강정보이해능력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정책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65세 이상 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앤더슨 모형을 활용한 융합적 연구

        박효은,서인순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on geriatric depression of the elderly by applying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of Health Service Use,. The research data was focused on the final analysis of 3,585 elderly population aged 65 or older among 21,724 participants in the 6th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multivariate analysis method of the variables for possible depression by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of Health Service Use.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of 0.49 times(0.31-0.78) for males.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of pain 1.56 times(1.05-2.31), stress 0.55 times(1.10-2.19), walking exercise 1.44 times(1.03-2.00) and outpatient use 1.48 times(1.10-1.98). Therefore, differentiated support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ommunity residents is necessary, and stress intervention or additional support for exercise is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앤더슨 모형을 적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능요인, 요구요인, 건강행태요인들 간에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제 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자 21,724명 중, 65세 이상 노인 3,5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앤더슨 모형에 따른 우울증 여부에 대한 변수들의 다변량 분석을 위해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 분석의 결과로 남성은 0.49 배(0.31-0.78)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통증이 1.56 배 (1.05-2.31), 스트레스가 0.55 배(1.10-2.19), 보행 운동이 1.44 배(1.03-2.00), 외래 사용이 1.48 배(1.10-1.98)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지역 주민의 성별에 따른 차별화 된 지원이 필요하며 스트레스 중재와 운동에 대한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Andersen모형을 적용한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진미(Kim, Jin-Mi),이윤주(Lee, Youn-J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Andersen의 행동모형을 적용하였다. 2012년 5월 21일부터 7월 31일까지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5차년도 자료 중 30세 이상 60세 이하 2869명을 대상으로 SPSS 20 program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인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소인요인으로는 학력, 결혼 상태이고, 기능요인에서는 취업여부, 비수급여부 및 자가주택 여부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노후준비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총수입이 증가할수록 노후준비 가능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욕구요인에서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일상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노후준비가능성은 증가하였다. 이에 장애인의 경제적인 노후준비를 돕기 위해서는 그들의 다각적인 요인을 파악하고 개별적인 요구들을 반영할 수 있는 정책마련 및 프로그램이 운영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of economic retirement preparation for people living with disabilities using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The 2012 Disabled Employment Pane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1, 2012 to July 31, 2012 and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SPSS 20 progra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a sample of 2,869 people aged 30 to 60 years. The predisposing factors (education, marital status), possibility factors (employment, non-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status, homeowner status, income), and desire factors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ffected the retirement preparation. To help people living with disabilities, policies and programs based on the factors that reflect the individual needs must be established.

      • KCI등재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 요인

        김예순,이은미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5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older Persons with Disabilities.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unmet medical experience among the disabled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dat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 It was found that 19.0%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unable to visit hospitals even if they wanted. The main reasons for experience unmet medical care were ‘in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economic reasons’.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he unmet medical experience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t was analyzed that age, education, subjective economic status, disability type, stress perception rate, and suicide attempt variables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 We should consider for practical interventions including health care policy establishment and medical guarante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e type of disability, economic status, and stress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first. Practical programs and projects that can reduce the unmet experiences of the elderly and disabled should be established. 연구목적: 이 연구는 Andersen 모형을 적용하여,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3,323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미충족 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 통계, X2-검정, 다중 로지스틱 회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령 장애인의 19.0%가 병원에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미충족 경험의 주요 원인은 ‘교통 불편’과 ‘경제적 이유’였다.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경험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연령, 학력, 주관적 경제상태, 장애유형, 스트레스 지각률, 자살시도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고령 장애인에 대한 실질적 개입에 필요한 보건의료정책 수립 및 실행 위해서는 장애유형, 경제적 상황, 스트레스 관리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경험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과 건강 사업 마련이 시급이 요구된다

      • KCI등재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services utilization between the years 2010 and 2012 in Korea: using Andersen’s Behavioral model

        김한결,이문재 질병관리본부 2016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tectives Vol.7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services utilization using Andersen’s behavioral model. Methods: We collected Korea Health Panel data between the years 2010 and 2012 from the consortium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analyzed the data to determine the outpatients and inpatients of health services utilization. Results: Health services utilization was more significantly explained by predisposing and need factors than enabling factors. The outpatients were examined more specifically; sex, age, and marital status as predisposing factors, and chronic illness as a need factor were the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services-utilization experience. The inpatients were examined more specifically: sex, age, and marital status in predisposing factors;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ies, and insurance type in enabling factors; and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status in need factors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having greater effects on health-services-utilization experie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viding health services for outpatients and inpatients. Moreover, verify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utpatients and inpatients by focusing on their health services utilization provides the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health service policies and programs with regard to the recently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