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박보라(Park, Bo-Ra)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7 년까지의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연구자료로 하였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총 122편을 대상으로 연구자의 특성, 연구참여자 및 연구장 소의 특성, 연구수준 및 연구주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논문은 평균 12.6편이 개제되었다. 연구자의 특성 중 연구자 수는 2인(36.06%), 주저자는 교수(47.84%), 교신저자도 교수(69.67%)가 많았다. 연구참여자는 성인(54.87%), 연구장소는 의료기관(50%)이 많았다. 연구수준은 Ⅳ단계(67.21%)가 많았고, 연구주제는 건강이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고령친화산업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미래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the Korea aging friendly Industries Association. To that end, the research paper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ies Association from 2009 to 2017 was used as research material. Method : A total of 122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 aging friendly Industries Associatio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participants and research setting place, research evidence levels and research subjects. Result : On average, 12.6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 aging friendly Industries Associ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2 researchers per research(36.06%), First author(47.84%), corresponding authors(69.67%) were professors. There were many adults (54.87%) and medical institutions(50%)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re were many 4 evidence levels of research(67.21%), and health issues were high. Conclusion : This study allowed u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the Korea aging friendly Industries Association.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think it will help future research.

      • KCI등재

        고령자와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도: 작업치료학과 대상

        김기태(Kim, Ki-Tae),양영애(Yang, Yeong-Ae)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 고령화 시대에 맞추어 고령 친화산업의 전문 인력이 될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른 고령 친화산업 및 고령자 인식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고령 친화산업의 활성화 및 발전을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0년 3월 20일부터 4월 20일까지 부산⋅울산광역시⋅경남⋅경북 소재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36명을 대상으로 고령 친화산업 및 고령자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문항, 고령자와 고령 친화산업의 인식도는 각각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고령자의 인식 내용에서 심리적 영역, 신체적 영역 모두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 주었으나, 가족관계 영역에서 3.0 이하의 낮은 점수의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개인적 변인(고령자의 유무, 고령 친화 서비스 이용 유무, 임상실습)에 따른 고령자 인식도 긍정적으로 보였다. 하지만, 임상실습과 고령자의 인식은 차이가 없었다. 고령 친화산업의 전망과 교육 및 필요성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고령자에 대한 인식 차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고령 친화산업의 필요성 및 활성화에 대한 가능성을 보았으며, 향후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전망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Objective :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ged-friendly industry through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the aged-friendly industry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s who will become professionals in the aged-friendly industry in line with the aging era. Methods :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136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in Busan, Ulsan, Gyeongnam, and Gyeongbuk from March 20 to April 20, 2020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friendly industry and the elderly. Implement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8 questions, the recognition of the elderly and aging-friendly industry was consisted of 10 questions, respectively. Results :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showed positive perceptions in both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areas of the elderly s perceptions, but showed a low score of 3.0 or less in the family relations area.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other senior citizens was also positive in the students personal variables (whether there is an elderly person, use of aged-friendly services, clinical practic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linical practice and perception of the elderly. Positive responses were shown in the outlook, education, and necessity of the aged-friendly industry. Conclusion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addition, we have seen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revitalization of the aged-friendly industry, and inten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the future role and prospect of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박보라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4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s reports on elderly-friendly foods using text mining and to understand the popular meaning of them. Methods : This study was data data of the subject of age-friendly food were analyzed using BIGkinds. A total of 426 data were analyzed, excluding pre-processing and duplicate articles, of 631 data from 49 media outlets. Results :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on age-friendly food is increasing. The number of articles was high in the order of 104(24.41%) in 2021 and 95(22.41%) in 2020. The weight was highest in Korea(9.82)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6.90) in that order. Conclusion :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that text mining was used to confirm the popular meaning of elderlyfriendly food. It is expected that the data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xpansion of the elderly-friendly foods industry and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in related field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을 실시하여 이에 대한 대중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고령친화식품의 주제의 데이터 자료를 빅카인즈(BIGkinds)를 활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49개 언론사 자료를 대상으로 631건의 데이터의 자료를 전처리 및 중복기사를 제외하여 총 426건의 데이터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서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기사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사의 수는 2021년에 104개(24.41%), 2020년에 95(22.41%)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가중치는 우리나라(9.82)와 해양수산부(6.90)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대중적인 의미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연구의 자료가 고령친화식품 산업의 확대와 관련분야 인프라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시니어산업(Senior Industry)에 관한 동향 분석: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김수형(Kim, Soo-Hyung),김형수(Kim, Hyoung-Soo)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3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신문기사의 내용분석을 통해 시니어산업의 동향을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에 따른 우리나라 시니어산업의 향후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등 4개 주요 일간지를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9년까지 발행된 시니어산업에 관한 499건의 기사에 대해 빈도분석과 인식과 대응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시니어산업에 대한 관심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기사의 빈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분류 측면에서는 시니어 용품과 주거에 대한 관심이, 활성화 측면에선 시니어산업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변화, 시니어 산업 관련 마케팅 전략 수립과 전시회 개최, 전문가 육성과 고령자들의 인력활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구구조의 변화와 정부 정책적 측면의 사회적 이슈가 발생함에 따라 시니어산업에 대한 대응을 제시하는 기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분석 결과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는 정책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니어 산업의 사회적 인식 제고를 위한 산업 영역별 선도기업의 발굴과 육성이 필요하다. 둘째, 최근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 접어든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한 시니어산업 관련 정책 및 제도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시니어산업을 이끌어가는 기업체, 기관, 개인 등 개별적 산업단위의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니어산업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고령자들의 숙련된 경험과 기술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시니어산업에 대한 인식과 대응에 대한 양적인 데이터로 파악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향후 질적인 측면의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of the senior industry through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focusing on recognition and countermeasures, and derives future policy tasks of the senior industry in Korea.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499 articles on senior industry published from 2005 to 2019 for 4 major daily newspapers, as well as content analysis on perceptions and countermeasures. Results :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frequency of articles that the proportion of interest in the senior industry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terms of industry classific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interest in senior goods and housing, and in terms of activation, change in social perception of the senior industry,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the senior industry, holding exhibitions, fostering experts, and utilizing the workforce of the elderly are necessary. In addition, as the demographic changes and social issues in the aspect of government policy arise, the number of articles suggesting countermeasures for the senior industry has been found to increase. Conclusion :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the policy tasks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foster leading companies by industry field to raise social awareness of the senior industry.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the senior industry reflecting the atmosphere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rd, active marketing activities of individual industry units such as companies,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leading the senior industry should be carried out. Lastl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experts in the field of the senior industry and utilize the skilled experience and skills of the elderly.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there is a part that is difficult to grasp as quantitative data on the perception of the senior industry and countermeasures, so a qualitative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의 고령친화용품 품목 분류 기준 고찰: 대학에서 창출한 고령친화용품 지식재산권을 중심으로

        한남경,양영애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5 No.1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Elderly-Friendly Equipment of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based on creat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senior-friendly equipment by a college. Methods : The adequacy of the Item Classification was analyzed by applying for 60 patents amo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reated by one university over the past six years to the large and medium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item classification system classified by the Korea Health Industry Promotion Agency (2017). by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7). Results : In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s Elderly-Friendly Equipment Classification Criteria, the range of items in the major category was appropriate, but the range of items in some middle categories was found to need to be expanded or improved.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imary data to improve the domestic elderly-friendly equipm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vitalize the senior product industry.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에서 창출한 고령친화용품 지식재산권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의 고령친화용품 품목 분류기준을 평가하여 개선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KHIDI(2017)가 분류한 고령친화용품 품목분류체계의 대분류 및 중분류 기준에 일개 대학에서 지난 6년여 동안 창출했던 특허권 60건을 적용하여 분류체계의 적정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KHIDI(2017)의 고령친화용품 품목분류 기준에서 대분류의 품목 범위는 적정하였으나, 일부 중분류의 품목 범위는 확대 또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국내의 고령친화용품 품목 분류체계를 개선하고 고령친화용품산업을 활성화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 요인

        김예순,이은미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5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older Persons with Disabilities.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unmet medical experience among the disabled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dat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 It was found that 19.0%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unable to visit hospitals even if they wanted. The main reasons for experience unmet medical care were ‘in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economic reasons’.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he unmet medical experience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t was analyzed that age, education, subjective economic status, disability type, stress perception rate, and suicide attempt variables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 We should consider for practical interventions including health care policy establishment and medical guarante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e type of disability, economic status, and stress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first. Practical programs and projects that can reduce the unmet experiences of the elderly and disabled should be established. 연구목적: 이 연구는 Andersen 모형을 적용하여,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3,323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미충족 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 통계, X2-검정, 다중 로지스틱 회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령 장애인의 19.0%가 병원에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미충족 경험의 주요 원인은 ‘교통 불편’과 ‘경제적 이유’였다.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경험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연령, 학력, 주관적 경제상태, 장애유형, 스트레스 지각률, 자살시도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고령 장애인에 대한 실질적 개입에 필요한 보건의료정책 수립 및 실행 위해서는 장애유형, 경제적 상황, 스트레스 관리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경험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과 건강 사업 마련이 시급이 요구된다

      • KCI등재

        사회적 상호작용이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강북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박성희,전병덕,김향선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4 No.2

        연구목적: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미래 고령화사회의 부양 의무자가 될 청소년들과 노인 간의 상호 긍정적 인식이 필요하며, 이에 두 세대 사이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끼치는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중학생 3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신뢰도검사,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대한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연구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의 노인에 대한 유의한 부정적인 인식(17.7%)이 있고 노인과의 교류 경험과 공감력은 성별, 종교, 주 성장지, 경제 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p>.05) 노인 세대를 좋아하는지로는 교류경험(F=23.603, p<.001)과 공감(F=20.753, p<.001)에서 차이를 보이고 거주지 1km 노인시설은 교류경험에 차이(F=3.110, p<.05)가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종교, 주 성장지, 경제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고(p>.05) 노인 세대를 좋아하는지로는 지식(F=47.186, p<.001)과 태도(F=9.115, p<.001)에 차이가 있으며, 지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t=-2.578, p<.05) 노인에 대한 태도는 교류 경험과 공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노인 지식과 태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교류 경험과 공감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높아지므로 청소년에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한다. 청소년들이 교육이나 자원봉사활동 등 상호적 작용을 통하여 노인 세대가 같은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협력적 관계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도 마련과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고령 정신장애인의 재활복지 서비스 이용경험과 필요성 연구: 일상생활도움 필요성과 삶 만족도를 포함하여

        문종훈(Moon, Jong-Hoon)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는 중년과 고령 정신장애인의 재활복지 서비스의 이용경험과 필요성을 비교하고 일상생활도움 필요성과 삶 만족도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대상자는 182명의 정신장애인 중 나이가 40세 이상인 중⋅고령층 152명이었다. 재활복지 서비스 이용경험과 필요성은 직업재활시설, 장애인복지관, 정신건강증진센터, 장애인 재활병의원, 정신재활시설 총 5곳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두 집단 간 분석과 스피어만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 고령 정신장애인은 중년 정신장애인보다 교육수준이 낮았고 장애발생연령이 높았다(p<.001). 152명의 중⋅고령 정신장애인의 재활복지 서비스 이용경험이 높았던 기관은 장애인복지관(14.5%), 정신건강증진센터(9.9%) 순이었고 필요성이 가장 높았던 기관은 정신건강증진센터(46.1%), 정신재활시설(42.1%) 순이었다. 중년 정신장애인은 고령 정신장애인보다 직업재활시설과 장애인복지관 참여를 더 요구하였다(p<.05). 고령 정신장애인은 중년 정신장애인보다 일상생활의 도움을 더 필요로 하였다(p<.05). 발병기간이 증가할수록 일상생활도움 필요성(r=.290, p<.01)이 높았고 삶 만족도(r=.206,p<.01)가 낮았다. 장애발생연령이 낮을수록 일상생활도움 필요성(r=-.165, p<.05)이 높았고 삶 만족도(r=-.205, p<.05)가 낮았다. 결론 : 중년 정신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중⋅고령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센터 및 정신재활시설의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habilitation and welfare service needs and utilization experience of middle to old ag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ssist need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life satisfaction. Methods : This investigation used raw data of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2017). Of the 6,549 all subjects in the raw data, 152 subjects were analyzed middle to old ag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he rehabilitation and welfare service needs and utilization experience are based on the questions of five institutions, which ar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rehabilitation hospital for the disabled, and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Statistical methods was performed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old age people had lower education level and higher age of disability emergence than middle age people(p<.001). The rehabilitation and welfare service needs and utilization experience of 152 middle-aged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ere followed by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14.5%)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9.9%). The most needed institutions wer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46.1%) and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42.1%). middle age people required m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than old age people(p<.05). old age people had a higher assist needs of ADL than middle age people(p<.05). As the onset duration increased, the needs of ADL(r=.290, p<.01) were higher and life satisfaction(r=.206, p<.01) was lower. The lower the age of disability emergence was, the higher the assist needs of ADL(r=-.165, p<.05) and the lower the life satisfaction (r=-.205, p<.05). Conclusion :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middle ag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for middle to old ag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 KCI등재

        중⋅고령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 연구: 중년기와 고령기의 비교

        문종훈,김예순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1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of middle aged and elderl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 This study used raw data of 2017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Of the 6,549 subjects in the raw data, 180 subjects were analyzed middle to old age adult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pendent variables were age(155 middle age, 25 old age), independent variable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variables including unmet medical need were chronic disease, depression experience. ADL consisted of 12 subdomain of basic ADL and 8 subdomain of instrumental AD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ndependent t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sult : Elderl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eeded help more than middle age people in telephone use, shopping, preparing meals, housework, laundry, using transportation in baisc ADL, and telephone use, shopping, preparing meals, housework, laundry, using transportation in instrumental ADL(p<.05).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ging-friendly industries related to health care and promotion for ADL improvement of elderl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목적 : 본 연구는 중년과 고령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을 비교하고 일반적 특성과 일상생활 사이의 상관관 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대상자는 총 인원 6,549명 중 지적 장애인이며, 중⋅고령층인 자 180명이었다. 종속변수는 연령집단(중년 155명, 노년 25명)이고 독립변 수는 일반적 특성, 미충족 의료를 포함한 건강관련 변수는 만성질환 여부, 우울 경험 여부, 미충족 의 료 여부로 설정하였다. 일상생활은 기본적 일상생활 12개 영역과 수단적 일상생활 8개 영역으로 구성 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 t검정과 피어슨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 고령 지적장애인은 기본적 일상생활에서 누운상태에서 자세바꾸기, 옮겨앉기, 앉은자세 유지, 보행, 배변, 그리고 수단적 일상생활에서 전화사용, 물건사기, 식사준비, 청소, 빨래하기, 대중교통이용에서 중년 지적장애인에 비해 더 많은 도움이 필요하였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지적장애 노인의 일상생활 향상을 위해 고령 장애인의 건강관리 및 증진과 관련한 고령친화산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뇌졸중 입원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에 관 한 연구: 예비고령자 및 고령자 대상으로

        이혜진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1 No.1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depend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mong pre-elderly and elderly patients who were admitted for stroke. The study aimed to use the findings to examine leisure activities that could be sustained even in older ag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lderly-friendly leisure industry. Method : During the study period of July 1 to August 30, 2018, the present study analyzed 92 pre- elderly and elderly patients with stroke among those receiving inpatient care at rehabilitation and long-term care hospital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s.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was used to classify the degree of independence in ADL of the participants, while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determine their level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using SPSS 23.0 Result :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all games among dynamic activities; events/festivals, singing classes, photography, and exhibition among cultural/festival activities; visiting friends and family, religion,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fellowship gathering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group activities among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shopping/going to the market among travel activities; mobile phone games among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information search and arts and craft activities among static activiti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 spent on leisure activities and barriers to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dependence. Conclusion : While development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is important, it is just as important to identify the barriers to leisure activities to establish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active leisure activities.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입원한 예비고령자 및 고령자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 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정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뇌졸중 질환을 가지고도 향후 고령 의 나이에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여가활동을 고민해보고 고령친화 여가산업의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기간은 2018년 7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의 재활병원 및 요양병 원에서 입원 진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중 예비고령자 및 고령자 92명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들 의 독립수준은 수정된 바델 지수(MBI)를 통해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을 분류하였으며, 여가활동 참 여설문지를 통해 여가활동 참여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빈도분석과 일원 배 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동적활동에서는 구기종목, 문화⋅축제활동에서는 행사축제, 노래교실, 사진촬영, 관람회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회참여활동에서는 가족, 친척 방문, 종교, 이성교제, 친목 모임, 사회단체 사회 참여활동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여행활동에서는 쇼핑⋅시장 활동과 오락활동에서는 휴대폰 게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적활동에서는 정보검색과 공예활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 냈다. 그러나 여가활동시간과 여가장애요소에서는 독립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장애인과 노인의 참여할 수 있는 여가활동개발도 중요하지만, 여가장애요소를 확인하고 방해물을 제거한다면 적극적인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