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래픽 장소 아이콘을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아나몰포시스 연구

        백서영 ( Se Young Bae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장소 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그래픽 장소 아이콘의 방법론적 도구로서 아나몰포시스(Anamorphosis)의 유효성을 고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아나몰포시스는 특정 시점이나 광학 도구를 사용해야만 원래의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는 이미지, 혹은 그 기법으로서 르네상스 시대에 이론적으로 정립된 이후 주로 유희적 도구로 사용된 회화기법의 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나몰포시스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지각자의 감성 체험을 극대화하는 시각적 방법론으로서 아나몰포시스를 재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아나몰포시스가 비일상적 체험, 동미학적 감각 체험, 행동유도성, 장면화, 직관적 인식 체험, 그리고 개인적 체험을 유도함으로써 장소성 형형에 효과적인 방법론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기존 아나몰포시스 선행 사례들을 그래픽 장소 아이콘의 분석 프레임을 통해 분석, 그래픽 장소 아이콘을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아나몰포시스의 유효성을 분석하엿다 그 결과 아나몰포시스 작업들이 적절한 장소 이미지를 형성하는 그래픽 장소 아이콘으로 역할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래픽 요소에 장소 정체성을 함축하는 노력이 전제되어야 하지만, 방법론적 측면세서는 아나몰포시스가 거의 모든 적용 사례에서 성공적인 사용자 감성 체험을 유도하는 유효한 방법론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요컨대, 그래픽 장소 아이콘의 개념과 분석 프레임을 제안하며, 장소 이미지의 구축을 위한 효율적인 시각적 방법론으로 아나몰포시스를 재조명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amorphosis’ effectiveness as a methodology for graphic place icons, in developing place image. Anamorphosis is a distorted projection or an art technique requiring the viewer to use special devices or occupy a specific vantage point to reconstitute the image. After its theory had been formulated in the Renaissance era, it has been used typically for temporary optic amusements. However this study researched anamorphosis’ notion theoretically in order to re-illuminate anamorphosis, considering its potentiality and function as a methodology to maximize users’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the re-illumination, this study found anamorphosis as an effective method for creat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by causing emotional experiences, such as non-dailiness, kinetic synesthesia, affordance, scene-making, intuitive grasp, and personal participation. Based on this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anamorphosis’ effectiveness as a methodology for graphic place icon, through analyses of precedent anamorphosis works using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graphic place icon. The results show that the anamorphosis is highly effective in causing emotional experiences in most cases, while the graphic place icon needs appropriate graphic elements containing place identity. In conclusion, this study’s significance lies in its suggestion of graphic place icon, its analysis framework, and its re-illumination of anamorphosis as a new visual methodology for the development of place image.

      • KCI등재후보

        왜상, 그리고/혹은 실재의 영화적 표상

        김소연(Soh-youn Kim) 한국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10 현대정신분석 Vol.12 No.1

        영화 이미지가 실사에 기초하며 따라서 다른 어떤 이미지보다 존재론적으로 리얼하다는 통념은 디지털 시대 하이퍼리얼 개념의 등장과 함께 근원적인 위협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라깡의 실재 개념 및 그로부터 논리적으로 파생되는 왜상 개념은 영화의 ‘리얼함’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요컨대 영화는 현실의 정직한 반영이라는 의미에서의 리얼함이 아니라 왜상으로써 포착되는 실재의 표상이라는 의미에서 리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라깡이 어떻게 시선과 응시를 개념적으로 구분하면서 왜상의 논리를 구축하는지, 또 그러한 논리를 어떻게 〈대사들〉과 표현주의 회화의 이해를 위해 동원하는지를 살펴본다. 그런 다음, 이러한 라깡의 관점을 공간뿐만 아니라 시간과 청각의 차원까지도 보유하는 영화 매체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피기 위해 지젝을 필두로 하는 슬로베니아 학파가 제시하는 다양한 분석사례들을 경유하여 시간적 왜상, 공간적 왜상, 청각적 왜상의 차원을 검토한다. The notion that filmic images are reality-based and thus more real than any other media images in terms of its ontology is threatened by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ion of ‘hyper-real’ in the digital age. However, the Lacanian term of the Real and its logical ramification of anamorphosis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commonly accepted idea of films’ being real. In short, film could be real not in the sense of the honest reflection of reality, but in the sense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Real captured as a form of anamorphosis. This conclusion is derived from exploring how Lacan distinguished the concept of gaze from that of look and built the logic of anamorphosis, and how he used these conceptions in order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The Ambassadors and a few expressionist paintings. By applying Lacan's ideas on paintings to cinema, Zizek and the other Slovenian scholars have tried to analyze a variety of filmic examples mainly from Hitchcock's films. These example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such as the temporal anamorphosis, the spatial anamorphosis and the auditory anamorphosis, show how successful the Lacanian conception of anamorphosis can be extended to another medium of cinema.

      • KCI등재

        왜상으로서의 (나의) 죽음: 윌리엄 워즈워스의 『서곡』 속 「익사자 에피소드」 와 「와이난더의 소년 에피소드」 다시 읽기

        강희원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0 현대정신분석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read the “Drowned Man episode” and the “Winander Boy episode” in William Wordsworth’s The Prelude, on the basis of Mladen Dolar’s elaborations of Lacanian theory of the gaze and anamorphosis. In his essay entitled “Anamorphosis,” Dolar examines in detail what was guiding Lacan’s steps in his formulation of the gaze as an object. According to Dolar, the Lacanian notion of gaze cannot be simply considered as “subjective opening to objectivity”, which enables him to problematize visual metaphoricity of western philosophy. This is why we should redirect our attention to the gaze as objet petit a that serves as the inner torsion or blind spot in the visual field, thereby making it not-all. In the “Drowned Man episode” and the “Winander Boy episode,” the speakers keep their eyes on natural objects that are placed at a safe distance, but they are unexpectedly faced with what can be called anamorphic images that amount to traumatic presence of the gaze in the Lacanian sense. The speaker of the “Drowned Man episode” is faced with the corpse of drowned man while, in the “Winander Boy episode”, the speaker is exposed to the unimaginable event of confronting his own grave. The primary focus of this essay is placed on the way in which the gaze and anamorphosis, as Lacan elaborates them, can establish a context for teasing out the specifically ethical implications of the corpse in “Drowned Man episode” and of the speaker’s own grave in the “Winander Boy episode.” 이 글의 목적은 라캉의 ‘응시’ 개념을 재고한 돌라의 ‘왜상’ 논의를 토대로 워즈워스의 『서곡』 속 「익사자 에피소드」와 「와이난더의 소년 에피소드」를 다시 읽어보는 데 있다. 돌라는 「왜상」이란 글에서, ‘응시는 대상’이라는 라캉의 주장이 함축하는 의미를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전통적 의미의 응시로 설명될 수 없는 대상 소타자 a로서의 응시는, 돌라가 보기에, 기존의 서구 철학이 의존해왔던 시각적 프레임 자체를 문제적인 것으로 만든다. 라캉이 말하는 응시는 시각 영역 속에 왜상적 뒤틀림으로 이미 항상 들어와 있는, 그래서 시각 영역 자체를 비-전체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워즈워스의 「익사자 에피소드」와 「와이난더의 소년 에피소드」의 화자들은 모두 자연이라는 대상 세계를 ‘바라보고’ 있다. 대상 세계를, 그것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 바라보던 그들은 대상으로 파악되거나 재현될 수 없는 왜상에 돌연 노출된다. 「익사자 에피소드」의 화자는 익사자의 시체라는 왜상에, 「와이난더의 소년 에피소드」의 화자는 내가 죽어 누워있는 무덤이라는 왜상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익사자의 시체와 내가 죽어 누워있는 무덤이 어떤 측면에서 라캉이 말하는 왜상으로 고려될 수 있는지, 또 왜상과 맞닥뜨린 화자가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동원하고 있는지 검토해보려 한다. 왜상이라는 수수께끼를 내용의 차원으로 환원시키려는 방어적 노력은 화자뿐만 아니라 시인인 워즈워스 자신에 의해서도 감행되는데, 이는 「익사자 에피소드」와 관련된 일련의 수정 작업들에서 확인될 것이다.

      • KCI등재

        비가시계에 대한 홍상수의 영화언어 -<풀잎들>을 중심으로-

        한귀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1 No.-

        If we reinterpret Hong Sang-soo's film using Lacan's concepts, it can be said to be a cinematic linguistic experiment on the invisible world and the Real. <Grasses> can be said to be the film in which film language in this regard is most actively expressed. In <Grasses>, a space appears as a scopic field where the characters' look intersect and invert. The characters look at others and are conscious of others looking at them. And between them, an exchange of desires takes place. The characters try to become the objects of others' desires, and because of this, double double and perverted attitudes sometimes appear. However, because they consider themselves to be the subject of the ‘eye(look)’, they cannot sense the dimension of the ‘gaze’. Because they have a sopic drive, they are conscious of the look of others, but it only stays at the level of ‘look’. The narrator in the film also reveals the limitations of ‘look’. By exposing the imperfections of the narration, the ‘lack’ of the human eye and the impossibility of gazing at the Real are further emphasized. Because the narrator's voice-over is expressed as if he is acting as a complete viewpoint subject, paradoxically, the ‘gaze’ of the gap that the eye cannot reach becomes more prominent. In <Grasses>, the film language that suggests blind spots, invisible world, and ‘gazing’ can be broadly summarized into two categories. First, it is through ‘gazing’ located on the external screen. This is a kind of anonymous point of view, revealed through the character’s ‘gesture’ itself, suggesting ‘the thing’ beyond the linguistic level of the Symbolic. While the gaze of the external screen is located outside the frame, the invisible world is also evoked through anamorphosis within the frame. In particular, the ‘another shadow’ that passes by in the shadow shot creates an anamorphic effect and distorts the character who is pouring out a confident discourse. In addition, common features in both methods are out-focusing or soft-focusing, and overexposure. This filming method directly reveals the limitations of the gaze and makes the character itself feel like a ‘stain’ or an anamorphosis. Hong Sang-soo seems to be increasingly radically experimenting with film language as ‘evidence’ for a world that is being seen but not seen. And this seems to require escaping from the desires and fantasies created by the look.

      • Cylindrical and Conical Mirror Anamorphosis for Image Display

        Fan Guo,Hui Peng,Jin Tan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Image Vol.9 No.3

        Anamorphosis is a deformed image that appears in its true shape only from a certain point of view, out of which it is seen distorted and the illusionary effect is lost. In this paper, we describe a simple method for achieving anamorphosis by utilizing image coordinate transformation. The novelty of this work is the creation of the framework for the implementation of cylindrical and conical mirror anamorphosis, resulting in a tool for artists and designers. A qualitative evaluation approach is proposed to carry on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methods.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using the proposed method one may get a good undistorted image in a mirror with much less user-interaction compared to other approaches. In addition to implementing the illusionary effect, some applications of the anamorphosis are also presented.

      • KCI등재

        아나모르포시스와 바로크 시대 선 원근법 이론

        조은정 미술사학연구회 2010 美術史學報 Vol.- No.35

        Dealing with anamorphic images had been a part of Linear perspective system since it was first developed by the Italian Renaissance humanist-painters, as is observed in the case of Piero della Francesca. Anamorphoses are perceived distorted unless they are viewed from a specific distance and angle of sight.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the painter to embody a particular viewpoint outside the picture plane of the anamorphic diagram which is projected inside the diagram. Such a concept of a determined view-point for optical illusion of three dimensionality is the core of Renaissance geometrical perspective, especially in the 'distance point method'. However, it is the Baroque period when anamorphosis became theorized with a complete system. The perspective theories turned into a transitional period in the seventeenth century. While new analytical geometry of perspective was developed by scholars and mathematicians, artists' main concern remained on the practical aspect of three dimensional representation. Andrea Pozzo's perspective treatise and the trompe l'oeil dome in the S. Ignatius Church of the Roman College reveal the culminating stage of practical tradition of Italian Baroque perspectivists using distant point method of the previous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center of perspective study shifted from Italy to Northern Europe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conflict between the Protestant Reformation and Counter Reformation movements of Post-Tridentine Europe provoked various challenges to the whole cultural paradigm. And the newly developed interests in the subject of anamorphosis observed in the perspective treatises and artistic devices of these French and Dutch scholars and painters can be interpreted as the conversion of a world view, questioning Renaissance's premise of cognition and representation. French Minim priest Jean François Niceron's La perspective curieurse, ou magie artificielle des effets merveilleux and Dutch painter Samuel van Hoogstraten's perspective devices are major examples of this new current. Their works show that anamorphosis reverses the projecting process of Albertian linear perspective where the picture plane is placed between the eye of the viewer and the seen object, so that the picture plane extends toward the viewer. It can be said that Baroque anamorphic perspective theories and practice resist the idealized spatial concept of Italian Renaissance perspective that is determined from the central view point. To those Baroque theoreticians and painters, anamorphosis was a proof that shows how easily the pictorial illusion is swayed by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viewer and how ambiguous and subjective the relation between the objects, perceiving eye, and cognized image is.

      • KCI등재

        4·3이라는 왜상과 이데올로기의 허상 - 「순이삼촌」 론

        이하은(Lee Ha-eun)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80

        본 연구는 이데올로기의 허상과 왜상을 통해 「순이삼촌」에 형상화된 문학의 정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순이삼촌」은 작품의 외재적 맥락과 결합하여 제주4·3사건의 재현 양상이나 기억 복원 방식에 초점을 두어 연구되었다. 그러다 보니 작품 자체가 허구를 통해 전달하고자 한 진실과 그것의 정치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이삼촌」의 미학적 측면에서 진실 찾기 플롯의 형성과 그것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 진실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진실은 제주 4·3사건이 지배 이데올로기의 허상을 지탱할 왜상으로 기능했음을 의미한다. 「순이삼촌」의 진실 찾기는 기존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내는 새로운 시선을 통해서만 되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서술자 ‘나’의 설정을 짚어보는 것은 ‘나’가 순이삼촌의 죽음에 최종적으로 부여하는 윤리적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중요하다. ‘나’는 사건 당시 어렸기 때문에 과거의 진실을 증언하기에는 불충분한 기억을 지닌다. 그러나 ‘나’는 순이삼촌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회복하면서 제주4·3사건을 야기한 지배 이데올로기를 삐딱하게 바라볼 수 있는 주체로 거듭난다. ‘나’는 순이삼촌의 죽음에 감춰진 진실을 추적하면서 4·3 왜상을 만들어낸 이데올로기의 기만적인 허상을 간파한다. 이데올로기는 권력의 공포를 가시화하기 위해서 무의미한 기표에 과잉된 의미를 부여한다. 이후 그것에 무차별적 폭력을 가함으로써 내부를 통제하는데, 제주도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제주4·3사건 속에 자행된 민간인 학살은 그 장소에 공비가 없음에도 있다는 논리를 지탱했으며, 제주도민들은 그 환영을 붙들어 매는 왜상이 된다. 「순이삼촌」의 진실 찾기 플롯은 제주4·3사건을 하나의 왜상으로 이용한 이데올로기의 기만을 폭로한다. 이데올로기의 공백은 제주4·3사건의 규정한 방식에 균열을 가하며 새로운 관점에서 그것의 의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빨갱이로 매도되던 역사를 바로잡고 침묵하던 진실을 드러낼 수 있다. ‘나’의 시선은 ‘순이삼촌’이라는 형상 속에서 왜상을 작동시킨 이데올로기의 거짓된 논리를 들춰내고 침묵했던 진실을 가시화한다. 이와 더불어 ‘길수’와 ‘나’의 말하기는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진실을 지키기 위한 파레시아의 윤리적 실천에 해당한다. 젊은 세대는 기존 이데올로기와 화합할 수 없는 분열적인 목소리를 냄으로써 진실의 위기를 이겨내고자 한다. 이와 같이 「순이삼촌」은 침묵하던 진실을 외치는 윤리적 말하기를 실천한다. 이것이 「순이삼촌」이 허구를 통해 펼쳐나간 문학의 정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n Anamorphosis of 4·3 and an illusion of ideology through “Sun-i Samchon.” Previous studies are focused on how it represents Jeju 4·3 incident or how characters recall their past. For that reason, relatively “Sun-i Samchon”’s aesthetic aspects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finding truth plot and the matter of truth on “Sun-i Samchon.” It means that Jeju 4·3 incident was the anamorphosis for sustaining an illusion of anti-communist ideology. Finding truth in “Sun-i Samchon” can only be recovered through a awry perspective that cracks the existing ideology.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setting of narrator “Sangsu(I).” If the purpose of this novel is to give testimony of a tragedy of Jeju 4·3 incident, Sangsu is an unreliable narrator. Because he was so young at that time, he could not know what causes this tragic incident. However, Sangsu is the right person to deliver Sun-i samchon’s truth. Because he can look the dominant ideology awry after accepting his Jeju identity. Sangsu notices the illusion of ideology by tracing the hidden truth in Sun-i’s death. Ideology gives excessive meanings to the empty signifier, which is an anamorphosis, to visualize the fear of power. For a long time, Anti-communist ideology in Korea had been a control mechanism to justify punishment to those who had opposed the government. It activates indiscriminate slaughter in Jeju. The incident represented in this novel shows that 4·3 was an effective anamorphosis to control Jeju island. Government power made innocent people all communist and killed them even if they weren’t red guerrillas. In other words, ‘Jeju-island’ or ‘jeju residents’ became the anamorphosis in 4·3 incident that sustained the illusion of ideology. Although government power still defines Jeju 4·3 incident as a communist riot, Younger generation in “Sun-i samchon” insist that this tragedy should be revealed. While older generation hesitate to tell the truth or they reject it, younger one do not step back. They try to lift their voices in spite of the danger they might get involved. This is the way how to show an ethics of parrhesia and to make politics of literature in “Sun-i samchon.”

      • KCI등재후보

        응시의 시각적 재현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손병돈 ( Byoung Dohn Soh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9 예술과 미디어 Vol.8 No.1

        본 연구는 첫째 시각미디어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라캉의 무의식의 구조에 의지하여 시각미디어와 ``본다``는 것(시선과 응시)이 상호주체적인 과정임을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적인 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 째 이렇게 마련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시각적 미디 어와 이미지에 적용해 보면 스크린은 욕망을 내포하고 있는 텍스트이자 관객과 상호 작용하는 환상의 텍스트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을 이미지 분석의 적용과 해석 가능성이라는 관점에 서 검토하였고, 시선과 권력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재구성하면서 이론적이고 분석적인 수준에서 시각이 미지와 해석의 문제에 접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이미지를 접하는 관객 이 의미를 생산하는 정신분석학적 방식을 주목하였고 응시는 해석적 도구로써 영상에서 왜상을 해석하는 기표로 다루었다. 이를 위해 손병돈의 2008년 전시 작품을 예로 사용하였다. 그의 작품은 첫째, 작품의 왜상과 응시를 직접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관객을 유혹하는 전시를 보여주고 있었다. 왜상은 관객에게 그의 시선을 사로잡는 응시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왜상은 타자가 해석하고 동일 시하며 투영하는 욕망의 덫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컴퓨터를 이용한 관객과의 적극적인 상 호 소통은 미디어 아트의 구조를 통해 객체인 방문객을 능동적인 주체로 전환하는 상호주체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응시의 표현 방식은 낯익은 대상을 낯설게 압축 전치하여 사용한다. 낯익음을 가장한 낯설게 하기 방식은 왜상 혹은 왜상의 응시에 대한 오인으로 기인하는 데, 이는 관객의 익숙함을 전복시키거나 고정되어 있는 관념을 비틀어 삐딱하게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정신분석학의 도움을 받아 어떻게, 왜 영상을 해석하는지를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상을 분석하는 가장 직접적인 정신분 석의 구조를 설명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해석 틀을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theoretical frame to explain that both visual media and seeing, the look and the gaze, are the process of inter-subjectivity in reliance on the French psychoanalyst Jacques Lacan`s thought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visual media. Second, according to analyze visual media and visual images, screen is not only a text including desire but also a fantastic text interacted with a viewer in using the prepared theoretical frame.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checked over the view point which is applied from psychoanalysis to visual image and which is an interpretational possibility to have a conclusion. To recompose discussions preexisted for a look and a power, I have approached on visual media and a matter of interpretation on a theoretical and an analytical flat. In this study, I have focused on the role of the viewer in making meaning of the images, and theories about the gaze as the signifier to read or interpret anamorphosis in visual images. For it, I have used ``A Video Installation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Gaze``, the exhibition of Sohn, Byoung Dohn in 2008, as a case study. In his works, firstly, he had been showing his solo exhibition used directly an anamorphosis and the gaze to spectators as a trap for the look of spectators. The anamorphosis was functioning as the gaze in which they can read it, identify with it and project their desire onto it. Therefore, I can say that it is regarded as operating the trap of others`` desire. Secondly, his exhibition was able to be possible that others can participate inter-subjectively in it as the subject which was an object with the positive inter-communication based on the computer technology, through the structure of media art. Finally, the way of the gaze was using a familiar object to an unfamiliar one which was displaced and compressed in order to not only upset being well acquainted things but also twist the fixed notions that came from others as spectators. In this paper, I have proceeded by how and why the analysis of the visual images can be helped by Lacanian psychoanalysis. This statement will provide a template for subsequently identifying and describing those aspects of the Lacanian system that bear most directly on the analysis of the visual images.

      • KCI등재

        바로크 시대 원근법의 새로운 사용 방식: 트리니타 데이 몬티 수도원의 왜상

        최병진(Choi, Byung Jin) 서양미술사학회 202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3 No.-

        본 연구는 장 프랑수아 니세롱과 엠마누엘 메냥이 제작했던 트리니타 데이 몬티 수도원에 있는 벽화인 〈파트모스 섬에서 묵시록을 쓰는 성 요한〉과 〈기도하고 있는 성 프란체스코 다 파올라〉에 사용된 왜상의 활용 의도를 분석하고 바로크 시대 원근법을 활용했던 새로운 의도를 통해 작품을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르네상스 시대 원근법의 전개 과정에서 이를 사용했던 목적을 검토했고, 이는 이야기의 명료한 서사와 감상자의 시각적 경험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 작품은 르네상스 시대의 원근법을 표현에 적용했던 의도와 달리, 미술가의 공간 인지를 바탕으로 관람자에게 시각적 경험을 통해 이미지에 대한 상상력을 확장한다는 점에서 새로웠다. 왜상의 사용은 동선에 따라 공간 속의 이야기를 변화시키며 감상자에게 놀라운 경험을 선사하며, 이 같은 놀라움은 감상자의 참여를 능동적으로 변화시킨다. 그러나 왜상은 놀라움을 주기 위해 하나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변형된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고, 이는 르네상스 시대의 명료한 서사를 위해 원근법을 활용해서 이야기를 구분했던 것과 달리 작품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모호성을 만들어낸다. 작품의 세부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모호성은 왜상이 만들어내는 환영을 통해 작품을 상상할 수 있는 암시로 이어진다. 작품을 기술하는 성서나 성인 전기를 잘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요 감상자인 작은형제회 수도사는 묵상을 할 수 있는 상상력을 제공받을 수 있었다. 왜상의 표현으로 인한 모호성은 작품을 이해하기 위한 시간을 늘려주지만, 이는 주제에 대해서 생각하는 시간을 늘려주고 관람자의 참여를 통한 상상의 시간으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wo mural paintings by Jean-François Niceron and Emmanuel Maignan -- St. John the Evangelist Writing the Apocalypse in Patmos and St. Francis of Paola in Prayer -- in the Convent of Trinità dei Monti in Rome. Our purpose is to analyze how anamorphosis was used in these paintings, and understand what the artists intended to accomplish by this distorted perspective technique. During the Renaissance, perspective was used to make visual narratives clearer and reproduced realities more vivid. Niceron, in his treatise titled La perspective curieuse published in 1638, laid a foundation on which Baroque artists could experiment with anamorphosis in portraying imaginary scenes based on Biblical texts. Anamorphosis was intended to instill wonder and astonishment in the viewers, inducing them to search for the alluded meanings embedded in the illusion. This new perspective technique injected interpretive ambiguities to images, which demanded more active engagement on the side of the viewers. It would not have been effective for general audience. But its target audience was the friars of the Minims Order, who were well versed in the Biblical texts underlying the portrayed scenes. It would have given them opportunities to pause and reflect on iconographical connotation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