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공기반의 효과적인 학사지도-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 사례를 중심으로

        강성배,최경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5

        최근 대학에서 신입생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신입생 교육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대학생활전반에 1학년 시기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대학에서 신입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학사지도제도는 대학생의 학문적 목표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에 대한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회를 탐색하고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학생과 교수가 의사소통을 통해 잠재력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 대학에서 운영 중인 학사지도제는 학부제에서의 학사지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우리나라 많은 대학에서는 학부제보다는 전공기반 대학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제가 아닌 전공기반의 효과적인 학사지도교육의 성과 및 과제를 살펴보고자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전공기반의 학사지도제도의 특성과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대학 구조적 측면, 학사지도 전문화 측면 그리고 체계적인 학사지도 관리 측면에서 전공기반의 효과적 학사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education for freshmen in university has been emphasized because of its importance, so researches related with education for freshmen have been conducted actively. Especially, because first year in university could significantly impact on overall university life, many universities operate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freshmen. Academic Advising Program means that professors help students explore opportunities and develop abilities to achieve students’ goal in university life as well as their academic goal, Furthermore, it also means that professors help students develop their potential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students. The most of universities in other country run Academic Advising Programs based on division system, but in Korea, the most of universities educate students based on major instead of division syst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dvising Program based on major and to suggest direction for development by considering the case of the Dongguk university PARAMITA college. Finally, this research proposes implication for effective academic advising based on major in an aspect of university’s structure, specialization of academic advising and systematic management for academic advising.

      • KCI등재

        조직몰입의 예측변인으로서 학생만족과 그에 따른성별과 학년의 차이

        최진호,박상일 한국웰니스학회 201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8 No.4

        이 연구는 체육계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만족도와 학과몰입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학생만족과 학과몰입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도 분석하였다. 경기, 서울, 인천, 충청지역 4년제 7개 대학교의 체육계열학과 학생610명을 선정하여 492(81%)명을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학생만족도의 하위변인인 학생중심, 학사지도, 교육효율성 모두 종속변인인 학과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들에 대한 성별과 학년 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지 학사지도에서 성별*학년 상호작용효과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student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for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s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gender and grade differences on all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610 students in the??departments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from 7 institutions of a 4-year university. The available data were 492(81%) students. All subdimensions(e.g., student centeredness, academic??advising, an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student satisfaction predicted significantly the??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analysis of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on all variables, there was??jus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grade on academic advising.

      • KCI등재후보

        학사지도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 사례를 중심으로

        김지용,강성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2

        As a part of new student administration, importance of academic advising building up recently. The academic advising, along with the academic structure and academic curriculum, is one of the three critical components of the undergraduate education in American colleges an universities. Academic advising is an opportunity to exchange information designed to help students reach their educational and career goals. To enhance the quality of freshmen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at Gyeongju established PARAMITA College and introduced academic advising program since March, 2014. The purpose of this study reviews present conditions and examines outcomes running by academic advising program in PARAMITA College. Primary features of academic advising program in PARAMITA College are culture mandatory course, "Campus Life & Self-improvement 1, 2 " taught by academic advisor and also new student should be obliged to take one face-to-face talk with academic advisor in semester.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rough take academic advising course and face-to-face talk, students will be able to more actively explore reasons to study, what to learn, and what they need to improve themselves, and to search their career path. 최근 한국 대학들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신입생 충원, 재학생들의 중도 이탈 및 신입생의 교육방향 문제에 대해 많은 고민을 갖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 지방 소재 대학들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문제와는 별개로, 재학생의 학업 유지율과 졸업생 비율의 증대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동 사안에 대하여 서울 소재 대학들에 비해 더 많은 고민을 할 수 밖에 없는 처지에 있는 지방 소재 대학들은 대학 신입생에 초점을 맞춘 학사지도교육 프로그램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에서 2014년 1학기 도입한 학사지도 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한 학기 동안의 운영현황 및 성과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해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동국대학교 신입생들의 교양필수교과목인「대학생활과 자기계발 Ⅰ,Ⅱ」와 교수/학생 간 1:1 심층면담의 결과가 신입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대학 공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성과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국대학의 1, 2학년을 위한 학사지도

        신의항 한국교양교육학회 2011 교양교육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dvising for first and second-year undergraduate students in selected American universities and provide some guidelines for establishing the academic advising systems at the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he cases included in the study are Brown, Duke, George Mason, Harvard, Princeton, and Yale. The academic advising, along with the academic structure and academic curriculum, is one of the three critical components of the undergraduate education in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academic advising systems at these universities were built upon highly developed administrative structure, specialized areas of advising, and well trained professionals in higher education. A great majority of the freshmen and sophomores in the universities reside in on-campus housing, and the major American universities have developed the effective undergraduate advising systems at their residential colleges. One of the fundamental approaches in American undergraduate education philosophy is to integrate “learning” and “living” in college campus life. Offering the comprehensive academic advising programs at such convenient locations as student dormitories and residential colleges seem to reflect the emphasis on “student- centered” academic programs in American univers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유수 대학의 학부생을 위한 학사지도의 구조적 특성과 현황을 분석하여 한국대학사회에서의 학사지도 체제 수립을 위한 시사점들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 포함된 사례는 브라운, 하버드, 예일, 프린스턴, 듀크 및 조지메이슨 대학이다. 미국대학 학사지도 체제는 학사조직, 학사교육과정과 더불어 삼위일체가 되어서 학부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중요한 부분이다. 미국의 대학 학사지도 체제는 질 높은 행정조직, 세분화된 지도영역, 훈련된 인력수급을 추구하고 있다. 학부대학 내에 학사지도를 총괄하는 학사지도 부학장이나 유사한 직책이 통상 있다. 또한 학부 신입생들과 2학년들의 학사지도를 전담하는 학사지도 전문가들도 따로 있다. 그리고 전문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것과 관련되는 학사지도는 전문분야별로 의과전문대학원 과 법학전문대학원 지망생들을 위한 학사지도 전문가들 역시 배치되어 있다. 미국 주요대학들은 학부학생들의 대부분이 기숙사를 포함한 학교 내 주거시설에서 생활하는 현실을 효과적으로 이용한 학사 및 기숙사 단위의 학사지도, 학사지원 체제를 활용한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미국대학 학사지원 기본방침의 중요한 접근방법의 한 가지는 ‘학습(learning)’과 ‘생활(living)’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처럼 학사지도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을 학생들에게 가장 근접한 장소인 학사, 기숙사에 마련하는 제도야말로 ‘학생중심’의 학사지도 실행이라 하겠다. 학부학생들의 기숙사 배정에도 출신지역, 인종, 사회계층 등의 학생특성을 고려해서 주거단위에서도 미국사회의 다문화, 다양성(multi-cultural, diversity)을 실질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배려한다.

      •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학사지도 전달체계: 숭실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2

        There has been wide recognition that the academic advising continues to be of central issue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reviewed American academic advising organization and the academic advising system in Soongsil University in order to provide insights on the future direction of academic advising delivery system. The results suggest that academic advising system in Korea should be organized in post-conventional view. Also, higher education professionals should consider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ir university and students to design effective academic advising system. Finally, korean universities should review and monitor the process of academic advising and continue to expand academic advising system for students to develop both academically and socially. 대학교육이 대학생의 인지적 발달에 관심을 두던 것을 넘어서 정서적 발달을 포함하는 전인적 발달을 중시하게 되면서 이러한 대학생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학사지도가 주목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의 학사지도제도를 살펴보고, 숭실대학교의 학사지도제도를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의 학사지도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학사지도조직은 후인습적 관점에서의 조직으로 정비되어 조직의 변화가 융통적이고 다른 부처와의 협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학사지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대학의 특성과 학생의 요구를 고려한 학사지도제도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미 학사지도제도를 시행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여 학사지도제도를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학사지도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체계화하는 것은 대학생의 인지적, 비인지적 측면의 균형있는 학습과 발달을 이루도록 하며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이루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박지회,고장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성장⋅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를설계⋅운영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신입생 학사지도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를 설계하였다. 둘째, 수도권 소재 A대학교 1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2시간씩, 총 5주에 걸쳐 세미나를 운영하였다. 셋째, 참여자를 대상으로 학습동기 및 교육효과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세미나 운영 전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뷰를통해 질적 측면에서의 세미나 운영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적 학사지도세미나는 신입생의 학습동기 유발, 학업 및 진로설계에 도움, 교수자의 수업운영 방식과 교육내용에대한 만족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참여, 상호작용 중심의 수업활동은 신입생의 자기성찰과 타인 이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입생 대상의교육이 교수자 중심의 강의보다는 학생참여 중심의 발표와 토론 형태로 진행되어야 하고, 대학생활과실제적으로 연계되는 자기이해, 학업 및 진로설계에 대한 전문적인 학사지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시사한다. 이 연구는 소규모 신입생 그룹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진행하여 학생 개개인의 학습동기와교육효과성 변화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al Academic Advising Seminar” for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student engagement. To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steps were taken. First,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on academic advising and designed a developmental academic advising seminar centered on student engagement. Second, the seminar was provided to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for two hours per week for the first five weeks at “A”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rd,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seminar participation were analyzed through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after conducting a pre- and post-test on learning motivation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participants.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the effects of the seminar were examined in terms of qualit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academic advising semina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learning motivation, helping academic and career design, and improving satisfaction of faculty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 Second, academic advising focused on diverse student activities, helping them with self-reflec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ing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focusing on student engagement, professional academic advising on self-reflection, and academic and career path designing, all of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university life, rather than professor-centered lectur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conducted for a small group of freshmen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to make changes in educ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아카데믹 어드바이징 프로그램 모델 연구: 안양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신(Kim Young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오늘날 대학은 과거와는 다른 환경에 처해 있다. 정보통신 혁명, 새로운 대학 입학 전형제도, 대학신입생의 감소 등 대학은 대내외적으로 다양한 도전 과제에 봉착해 있다. 따라서 대학은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전공 및 진로개발 및 자기계발을 지원 하고 견인하는 전문적인 학사제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아카데믹 어드바이징은 학생들이 장기적인 시각에서 학업과 진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돕고, 교과목 관련 이수 방법, 진로 탐색, 취업 준비, 대학생활 전반 등에 심층 상담 및 성적 향상, 학습 설 계 등에 대한 학생 일대일 맞춤형 학사지도를 수행하는 학사지도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인식아래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교의 아카데믹 어드바이징제도의 연구를 바탕으로, 안양대학교가 2018년 1학기에 도입한 아카데믹 어드바이징 제도를 소개하고,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해 사례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안양대학교의 아카데믹 어드바이징 제도의 특징은 학생밀착형 어드바이징, 학생 참여형 어드바이징을 특징으로 한다. 이 연구는 향후 국내 대학이 학생 중심의 아카데믹 어드바이징 제도를 구축 하는데 있어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Academic Advising has always been a critical and challenging issue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is is becoming even more important nowadays as universities are making their best efforts to boost their enrollment and improve their reten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was aimed to design an all-out and hollistic academic advising program for Anyang University. This study bases itself on the assumption that academic advising should guide, engage and support students in achieving their goals, both educational and career-wise, through academic planning and career development. Anyang University academic advising program, 1-credit requirement course for first-year students, is made up of five modules to help them better adapt to college and plan for their career. The five modules are Orientation, Making Better Use of College Resources, Designing University Life, Developing Self-awareness, and Career-planning, respectively. The newly initiated academic advising program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attain their academic and educational goals effectively.

      • KCI등재

        무역․통상 전공 신입생에 대한 학사지도 교과과정 적용과 성과에 관한 연구

        김지용(Ji-Yong Kim),강성배(Sung-Bae Kang) 한국무역연구원 2016 무역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study achievement of university entrants caused by application of academic advising curriculum. To achievement of major study object, we selected research-related variables and made a concerned research model through refer to preceding research. We also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freshman class international trade major in D university in the province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ecture of academic advising and carry out an interview with academic advising professor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of freshman class international trade major. Through this study, we get to know that the application of academic advising curriculum helps learning plan, setting-up goal, understanding major of college freshmen and therefore university authorities have to actively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academic advising curriculum which supports freshmen to successful orient themselves to overall college life.

      • KCI등재

        전문 학사지도시스템을 통한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연세대학교 1학년 세미나 “YONSEI RC101”을 중심으로

        도경선,김현상,김미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1

        Man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most undergraduates are not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which may result in disappointing general education experience. Since academic advising is for promoting positive education experience by having students adequat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college education, it was researched to see if academic advising can play a role in improving students’ perception on general education and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ffects of general education ultimately. Firstly, YONSEI RC101, a first year seminar taught by professional academic advisors at Yonsei University, was closely examined. It was found that YONSEI RC101 clearly explained the meaning of college education, the structure of general education, and specific competencies one can attain by taking a general education course. Also a survey given before and after the course indicated that YONSEI RC101 improved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goals of general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education structure. It was also confirmed that it promotes students’ perception on core competencies a student can develop through general education and increased student exposure to the purposes of general education. 학사지도의 주요 목표중 하나는 대학에서의 학업의 의미와 효과를 이해시키고 이를 통해 교육효과를 증진하는 것이다. 현재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은 교양교육의 중요성과 의미를 고려할 때 상당히 부족하며, 이러한 낮은 인식은 교육의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은 전문학사지도시스템이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제고에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교양교육의 효과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학사지도시스템에서 기획 운영하는 전체학생 대상의 1학년세미나 YONSEI RC101에서 대학교육의 현재적 의미와 대학별 교육목표, 교양교육 과정에 대한 이해, 교양교육의 의미와 목표, 교과목을 통해 함양 가능한 핵심역량 등에 대해 명시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1학년세미나 YONSEI RC101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 2차례의 설문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1) 대학 교양교육 목표에 대한 이해 수준 (2) 대학의 교양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 이해 (3) 대학 교양교육을 통해 성장될 핵심 역량에 대한 이해 (4) 대학의 교양교육 목표에 대한 충분한 교육 정도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설문 문항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향상이 존재하였으며,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서 실시한 학사지도 1학년세미나 YONSEI RC101의 교육효과가 나타났음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신입생 학사지도 교과목의 성적부여 방식전환에 따른 변화양상-동국대 신입생 학사지도 교과목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경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3

        In this thesis, the author examined the changes of university that was changed to a new grading system for the purpose of operating efficient academic advising subject. As a part of the investigation method, It aims to show the aspect of achievement of change the way in which grades are given through investigate to 'self-improvement of Dongguk university studentⅠ' of Dongguk university that was changed from P/F to grading system since 1st semester 2016. According to a recent study on the way in which grades are given of academic advising subject, More colleges are required to complete mandatory seminars on freshmen instruction courses, aslo A 90% of universities give grade for freshmen who attends at the seminar. In case of a university giving grade, Most of the universities operated P/F(77.9%) and relative evaluation(22.1%) in the way in which grades are given of the orientation seminar. P/F evaluation method that operated in most of universities have a lot of advantages, on the other hand, the disadvantage of hindrance the efficiency of the curriculum can be found in numerous universities.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these grades and lesson selected Dongguk university that was changed to grading system from 1st semester of 2016. And then the opinions of Dongguk university professors and freshmen were compared and anylyzed about the need for a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way in which grades are given As a result new improvements and solutions were proposed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university. 본고는 등급제 평가방법의 필요성에 입각하여 효율적 신입생 학사지도 교과목의 운영을 위해 성적부여 방식을 전환한 대학이 어떤 변화양상을 보여주는지를 조사함으로써 그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조사방법의 일환으로 2016학년 1학기부터 P/F 성적부여방식에서 상대평가인 등급제 성적부여방식으로 변경한 동국대의 신입생 학사지도 교과목 ‘동국인의 자기계발 1’을 조사대상으로 삼아 학사지도 교과목의 성적부여 방식전환에 따른 학습성과의 변화양상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학사지도 교과목의 성적부여방식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사지도 교과목을 필수로 이수하도록 요구하는 대학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신입생 학사지도 교과목에 학점을 부여하는 대학이 90%를 차지하고 있다. 학점을 부여하는 경우 오리엔테이션 세미나의 성적부여방식은 P/F(77.9%)로 대부분의 대학이 운영하고 있었고, 상대평가(22.1%)는 소수로 나타났다. 국내 대부분의 대학이 운영하고 있는 P/F 성적부여방식은 장점도 많지만, 반면에 교과목 수업에 효율성을 저해하는 단점과 문제점 또한 대학교육 현장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성적부여 및 수업평가와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F 성적부여방식에서 상대평가인 등급제로 성적부여방식을 변경한 동국대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고, 성적부여 방식전환의 필요성에 대한 동국대 신입생 학사지도교수와 신입생들의 의견을 비교, 분석하여 제시한 개선사항과 해결방안을 기준으로 효율적 학사지도 교과목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