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시대 아동문학 정전의 가능성(2) - 1920년대 동요ㆍ동시를 중심으로

        마성은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4

        This paper is the first attempt to find an intact can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20s when the national children’s literature began, not a half-canon. Thus, analyzed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n nursery rhyme and children’s verse in the 1920s and compared the aspects of the nursery rhyme and children’s verse in the 1920s in the both Korea’s anthologies. DPRK grasps that children’s literature began to appear in the 1920s as the national literary movement became more active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ew of the both Koreas was consistent that the national children’s literature began in the 1920s. In DPRK, the nursery rhyme and children’s verse from the 1920s is largely divided into line of critical realism and socialist realism. More than half of the nursery rhyme and children’s verse in the 1920s contained in South Korean anthology is also contained in North Korean anthology. This proves that it’s possible to seek a children’s literary canon in unification era.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20s was the beginning of the national children’s literature. Both Korea’s quest for a canon of the nursery rhyme and children’s verse in the 1920s together will be a big step to children’s literature in unification era. 본고는 반쪽의 정전이 아닌 온전한 정전을 마련하기 위하여, 민족아동문학이 시작된 1920년대 아동문학의 온전한 정전을 모색하는 첫걸음을 내딛었다. 이를 위하여 1920년대 동요ㆍ동시에 관한 북측의 시각을 분석하고, 남측 『겨레아동문학선집』과 북측 『1920년대 아동문학집』의 1920년대 동요․동시 수록 양상을 비교하였다. 북측에서는 1919년 3.1운동 이후 1920년대에 들어와 민족문학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근대적인 성격이 뚜렷한 동요․동시․아동소설․동화와 같은 고유한 아동문학 형태를 갖춘 작품들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아동문학의 역사가 1920년 전후로 시작되어 본격적인 발전 단계에 들어섰다고 파악하는데, 민족아동문학이 1920년대에 시작되었다는 데 남북의 시각이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920년대 동요․동시를 크게 “아이들의 시점에 서서 당대 생활에서 보고 느낀 체험을 동심에 맞게 형상”한 작품과 “1920년대 일제의 식민지통치에 의하여 빚어진 현실의 모순과 무산소년들이 당하는 불행과 고통 그리고 새 사회에 대한 동경과 리상을” 보여준 작품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겨레아동문학선집』에 실린 1920년대 동요ㆍ동시 44편 가운데 25편이 『1920년대 아동문학집』에도 실려 있다. 남측 선집에 실린 1920년대 동요․동시 가운데 절반 이상의 작품이 북측 선집에 실린 작품과 일치한다는 것은 통일시대 아동문학 정전의 모색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1920년대 아동문학은 민족아동문학이 시작된 시기이다. 우리 민족의 속담 가운데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1920년대 동요․동시 정전을 남북이 함께 모색하는 것은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큰 내딛음이 될 것이다.

      • KCI등재

        1920년대 초기 시에 나타난 ‘거리감’의 몇 가지 형식과 숭고시학

        최호영(崔虎永)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8

        이 글의 목적은 1920년대 초기 시에 나타난 거리감의 도입과 숭고시학의 의의를 해명하는 데 있다. 이 글이 노리고 있는 논의의 효과는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먼저, 기존연구에서 1920년대 초기 시에 나타난자아, 영혼 등 내면의 문학어나 자유로운 감정의 발현을 가능케 하는 형식의 도입을 근대적인 문학을 위한 일종의 원근법으로 보는 관점을 재고하기 위해서이다. 1920년대 초기 시인들은 완전한 원근법의 도입이 불가능 하거나 실패할 거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거리감’의 도입으로 현실 이상의 거대한 지평을 발견하게 된다. 다음으로 그들은 숭고한 것에 도달할 수 없을 거라는 불가능성을 자각함에 따라 실제 현실에서의 주체의 부재나 공백을 메우기 위한 기호로써 전통이나 조선 등의 기호를 노출하게 된다. 이 글에서는 1920년대 초기 시가 지향하는 현실 너머 숭고한 현실의 발견을 잠정적으로 ‘숭고시학’이라 명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이 글은 1920년대 초기 시에서 숭고시학을 가능케 하는 ‘거리감’의 도입과 그 몇 가지 형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1920년대 초기 시에 나타난 과잉적인 목소리에의 이끌림은 그 의미를 명확하게 알 수 없는 거리감을 발견하게 하고 현실의 깊은 내부를 발견하는데 기여한다. 둘째, 1920년대 초기 시에서 병적인 환상은 대상과 완전히 합일될 수 없다는 불가능성에 의해 나타남으로써 현실에서 은폐된 숭고한 대상을 욕망하게 한다. 셋째, 1920년대 초기 시에서 찰나(순간)의 감정은 단편적인 인상의 나열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숭고한 대상의 흔적을 새져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거리감’의 형식은 일본 구어자유시의 영향과 변용 아래 쉼표, 대쉬 등 다양한 시적 표지를 동반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아일랜드극 수용과 근대극의 형성

        김재석(Kim, Jae-suk)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3.1만세운동 이후 ‘계몽의 극장’을 원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근대극담당자들은 아일랜드극으로 그 가능성을 타진했는데,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눈앞에 두고 있던 아일랜드의 정치적 상황이 큰 계기가 되었다. <찬란한 문>(1921)의 공연 이후, 1920년대 식민지조선에서 아일랜드극은 신파극과 차별되는 근대극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극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찬란한 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아일랜드극의 번역 및 공연이 이루어졌다. 1920년대에 공연된 작품으로는 The Glittering Gate(Lord Dunsany), How He Lied to Her Husband(Bernard Shaw), Harvest(Lennox Robinson), The Gods of the Mountain(Lord Dunsany), Fame and the Poet(Lord Dunsany), In the Shadow of the Glen(J. M. Synge)이 있으며, The Rising of the Moon(Lady Gregory), Riders to the Sea(J. M. Synge)는 번역만 되고 공연이 되지는 못했다. 1920년대 아일랜드극 수용양상을 살펴보면, 식민지조선의 연극담당자들이 아일랜드극의 핵심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했던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것은 아일랜드극의 확산을 기피하는 일제가 공연검열을 엄격하게 적용하였기 때문에 생겨난 파행의 결과이다.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근대극담당자들은 그들이 하고 싶은 아일랜드극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었으나, 아일랜드극을 소개하려는 의지를 버리지 않았다는 점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일제의 공연 검열과 식민지조선 근대극 담당자의 공연 의지가 맞부딪힌 곳에 놓인 작품들이 1920년대에 수용된 작품의 전모인 것이다. 검열이 통제하고 있던 1920년대 식민지조선에서 아일랜드극의 파행적 수용은 피할 수 없었으며, 그러한 상황이 ‘아일랜드 효과’를 만들어내었다. 아일랜드 극작품 공연이라면, 실제 보다 훨씬 더 높은 가치를 무조건 부여하는 현상이 ‘아일랜드 효과’이다. 기본적으로는 아일랜드극을 대하는 식민지조선의 과잉 반응인데, 현재 공연 되고 있는 아일랜드극의 가치를 최대한 높여 평가해주는 관객들의 우호적 지지가 그 배경에 있다. ‘아일랜드 효과’가 지배하는 식민지조선에서는 해당 작품의 원래적 가치와 의미는 크게 중요하지 않았고, 식민지조선이 필요로 하는 의미가 부가되어 해석이 되었다. 여기에서 식민지조선과 일본의 아일랜드극 수용에 있어서 차별성이 생겨나게 되었다. 아일랜드극 공연 과정에서 형성된 ‘아일랜드 효과’가 있어 1920년대 계몽의 극장이 유지될 수 있었다고 말해도 좋겠다. 일제의 검열 앞에서 좌절하기 쉬운 1920년대 연극담당자들을 추동했던 힘이 바로 아일랜드극의 공연경험에서 얻어진 것이다. 토월회의 <아리랑고개>는 1920년대 식민지조선에서 이루어진 아일랜드극 수용의 백미로 평가해야 한다. 식민지조선의 모순을 정확히 지적하여 공연되지 못할 작품보다, 모자람이 있더라도 검열 통과가 가능하면서 관객의 자발성을 이끌어낼 여지가 많은 작품을 창작하고 공연함으로써 ‘계몽의 극장’을 지켜낸 것이다. The interest in Ireland which gained independence in 1921 connected with the social atmosphere that wanted the theatre of enlightenment afte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First, 1919 and this atmosphere caused the theatrical people of colonized Chosun to get interested in Irish Drama. In the colonized Chosun in 1920s when the concept of modern drama commenced to be shaped, Irish drama began to be considered as the drama showing true aspects of modern drama which was different from Sinpaguk. The first work of Irish Drama performed in colonized Chosun was The Glittering Gate(1921) by Lord Dunsany. The theatrical people concerned with modern drama in 1920s tried to translate and perform many Irish dramas; the works to be performed were The Glittering Gate(Lord Dunsany), How He Lied to Her Husband(Bernard Shaw), Harvest(Lennox Robinson), The Gods of the Mountain(Lord Dunsany), Fame and the Poet(Lord Dunsany), In the Shadow of the Glen(J.M. Synge) and the works only to be translated not performed were The Rising of the Moon(Lady Gregory), Riders to the Sea(J.M. Synge). Considering the aspects of accepting Irish drama, it seemed that the theatrical people of colonized Chosun did not translate and perform them properly. That’s because Japan authorities which wanted to avoid spreading Irish dramas reinforced the censorship of performance. So the crippled result was inevitable. However, it was important that though the theatrical people of colonized Chosun concerned with modern drama were under the condition which they could not treat Irish dramas well, they would not give up the will to introduce them. The works laid where their intention conflicted with Japanese censorship were the whole aspects of works being accepted in 1920s. In colonized Chosun of 1920s where the strict censorship controled the performance, the crippled acceptance of Irish drama was unavoidable and this situation came to make ‘Irish effect.’ It was the phenomenon that they gave much higher value unconditionally to Irish dramas to be performed than its actual value. In colonized Chosun where the ‘Irish effect’ was dominant, the original value and meaning of works were not so important and new value and meaning which colonized Chosun needed were added to them and construed. At this point the difference between Chosun’s acceptance of Irish drama and Japanese one came into being. It’s true that Chosun’s accepting Irish drama was triggered by Japan but in terms of the result of acceptance, the theatrical people of Chosun made much of the works which treated ‘the awakening of subject facing up to the reality’ unlike in Japan. Therefore we should give the positive evaluation to the Irish drama of colonized Chosun which the theatrical people in 1920s reconstructed centering around the works which colonized Chosun needed.

      • KCI등재

        1920년대 이광수의 신문연재 장편소설 연구

        이선경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현대소설연구 Vol.- No.69

        This article focuses on serial novels of Yi, Kwang-Su, which were published in Dong-A Daily News in 1920s. Yi started to publish novels serially nine times, but only five of those were completed. Including unfinished works, Yi’s novels in 1920s show one of representative model novels of colonial Korean Literature. Yi’s novels had developed three stages diachronically in 1920s. Four unfinished works in the early to mid 1920 shows unripe narrator between the journalist and the novelist. As a novelist and journalist of Dong-A Daily News, Yi agonized both roles in this period of time. In the early to mid 1920, Yi completed three novels, and all of them were adapted novels using the classics or popular novels at that time. Through borrowing the familiar story, plot and narrative, the writer could express his implied opinions about the colonial era which he was facing. In the late 1920s, Yi wrote two historical novels, Ma-ui-tae-ja(Crown Prince Maui) and Dan-jong-ae-sa(The Tragedy of King Danjong). These two historical novels completed his archetypal plot in 1920s: the plot about ‘ruined nation’ and its ‘faithful retainer’. It is valuable that his archetypal plot became to extend the one of the model plots of colonial Korean Literature and induce the mantalité from the Korean people under the colonial Japan. 본 연구는 춘원 이광수의 1920년대 신문연재 장편소설에 주목한다. 이광수는 1920년대 『동아일보』를 통해 총 아홉 번 연재장편소설을 시도했으며 이 중 다섯 편을 완결했다. 이광수 장편소설의 거의 대부분이 신문에 연재되는 방식으로 창작되었지만, 1920년대의 신문연재 장편소설은 보다 주목을 요한다. 1920년 조선 민간이 발행한 신문들(『조선일보』, 『동아일보』, 『시사신문』)이 최초로 출범했고, 이광수는 동아일보에서 기자와 편집국장으로 근무하며 민족지의 매체적 관점에서 신문을 활용하게 되었다. 1920년대의 신문연재 방식을 통해 이광수는 장편소설의 양식적 안정화를 이루어냈고, 소설을 통해 일반에 공론을 확장하고 내러티브를 재생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민족지 신문이라는 매체적 관점을 전제하고, 이광수의 1920년대 미완결된 연재 장편소설까지를 포함하여 그 통시적 과정을 살핀다. 1920년대 이광수의 신문연재 장편소설은 세 단계로 파악해 볼 수 있다. 2장의 분석 대상인 미완작들에는 공통적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나’라는 1인칭 서술자가 등장한다. 소설가와 언론인으로서의 화자가 미분화된 양상을 보이는 이들 소설에서 식민지 조선의 소설이 담당하던 공론적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3장에서는 1920년대 초중반에 완성된 세 편의 개작소설을 살핀다. 『허생전』, 『재생』, 『일설춘향전』에서는 당대의 진부하고 통속적인 내러티브를 다시 쓰는 과도기적 양상이 나타나는데, 세 편의 개작소설들은 신문 매체의 맥락을 적극 활용하여 대중적 공감대를 확보한다. 그러나 소설 자체의 자율적 동력에 대한 필요와 공적 주체의 자리에 대한 형상화가 요구되는데, 이것이 최종적으로 역사소설을 등장하게 한다. 4장에서는 1920년대 후반에 발표된 두 편의 역사소설 『마의태자』와 『단종애사』를 다룬다. 비극적 국체(國體)를 재현하는 역사소설들은 『단종애사』에서 ‘실국-충의’의 플롯으로 양식적 안정화를 보여준다. 이는 신문의 독자들에게까지 공론 참여의 기회를 제공했으며,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 반복 확장되는 플롯의 하나가 되었다는 데에서, 식민지 조선의 망탈리테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따라서 1920년대 이광수의 장편소설을 신문연재라는 관점에서 통시적으로 살피는 본 연구는 두 가지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하나는, 이광수 문학 내부적 측면에서의 의의이다. 장편소설 창작의 시행착오를 분석하는 것을 통해 이광수가 역사소설을 선택하고 이어나간 과정의 필연성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식민지 조선의 민족지를 통해 내러티브와 공론이 확산되는 한 단면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광수에 기댄 바 있는, 실국과 충의를 구심점으로 하는 식민지 조선의 내러티브들에는 어떤 식으로든 역사적 허구를 빌려 비극적 국체를 논의하는 공통적인 망탈리테가 작용하고 있다. 이광수의 1920년대 창작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하는 본 연구는 그러한 식민지 조선적 내러티브의 구성과 내면을 알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192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전개양상 연구

        권경아(Kwon Kyung-a)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5 No.-

        모더니즘 시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며 1920년대의 모더니즘 미학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 고찰하였다. 이장희, 정지용, 임화의 시들에 대해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특징들을 찾아내고 이 특징들이 그들의 시적 인식, 근대성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 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1920년대의 한국 모더니즘 시를 대상으로 근대성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들의 시가 1920 년대라는 한국 사회에 나타나는 근대의 모순과 위기 상황을 어떻게 미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철학적 근대성 또는 자본주의적 근대성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이러 한 근대성에 대해 저항하는 부정적 측면에서의 근대성을 포괄하는 양면적 근대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1920 년대 시에 나타나는 근대성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1920년대의 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별 작품들의 형식이나 기법을 연구하는 차원에서 단편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개별 시인의 시세계를 분석하거나 각각의 작품들 분석에 치중하고 있어 1920년 대 모더니즘 시의 종합적 고찰이나 연구라 하기 어렵다. 한국 모더니즘의 전개 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식이나 기법들이 어떠한 배경에서 나타나게 되었는지가 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1920년대 시들의 다양한 기법과 형식 실험은 당대의 근대성 인식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모더니즘 시는 전통적인 시형식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미학적 저항들은 새로운 시에 대한 열망으로 이어지며 다양한 시적 실험으로 나타난다. 이장희의 감각의 객관성이나 정지용의 이미지즘, 그리고 임화의 형식 실험 등은 동시대의 미학을 혁신하는 미적 근대성의 인식에서 비롯된 미학적 저항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pattern of modernist aesthetics during the 1920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atterns of the poems of modernism in the 1920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poems written by Lee Jang-hui, Chung Ji-yong, Im Hwa, which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in the 1920s very well.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oems were examined through analysis on specific texts, and how they were related with the poets’ poetic recognition and modernity was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modernity is recognized against Korean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and how these poems aesthetically responded to the paradox and crisis of modernity which were found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1920s. Furthermore, it examined the perception of modernity in the poems during the 1920s based on the concept of ‘modernity with double views’ which covers modernity in both positive (historical/philosophical modernity or capitalist modernity) and negative (resistance against this kind of modernity) aspects. A study on the poems in the 1920s has been mostly conducted in a formal or technical aspect.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o say that this kind of study is a general study on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To figure out the development pattern of Korean modernism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how and under what background these diverse forms and techniques have been expressed should be illuminated. It appears that a test on the diverse forms and techniques of poems in the 1920s is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contemporary modernity. The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were diverse aesthetic resistances targeted to open up a new era by overcoming the extreme and tragic situations such as national liberation and war. These aesthetic resistances were an artistic approach to aesthetic modernity for the innovation of contemporary aesthetics. In addition, they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vealed social resistance against reality in an aesthetic mode.

      • KCI등재

        1920년대 안재홍의 기행수필 연구

        방유미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5

        The tourism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unfolded along the same lines as the colonial control policy, and the travel essays written during this reflected the close cooperation between tourism and colonial control. Under changing tourism policies, travel essays written in the 1920s were much more diverse than in other periods. However, research on such essays has largely focused on the works of Choi Nam-seon or Lee Kwang-su, limiting our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of 1920s travel essays. This study discusses the works of Ahn Jae-hong and evaluates the aforementioned travel essays from multiple perspectives. Choi Nam-seon’s travel essays can be characterized as a “cross-country pilgrimage” and a “historization of Chosun.” His travels stemmed from a religious background, and he sought what made things “characteristically Chosun” through Chosun’s past. Lee Kwang-su’s travel essays can be defined as an aesthetic representation of real-life experiences. Both Choi Nam-seon and Lee Kwang-su’s narratives reflect a compromise with and acceptance of colonial policies, showing no resistance to Japanese rule and a lack of interest in the everyday struggles of the Chosun people. Their works were abstract and idealistic. Ahn Jae-hong was most unique in that he walked a historically different path from the compromising nationalists Lee or Choi as an intransigent nationalist. This is apparent in his writing style, which served to actively and firmly voice his resistance to the policies of colonial contro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His work may be characterized as sharply criticizing the colonial policies regarding the treatment of Chosun and its people, and he recorded their impoverished lives in detail in a documentary manner. He also wrote of marginalized and forgotten areas as a way to rediscover their value. Ahn Jae-hong’s travel essays from written in the 1920s ware a “discovery” of the modern period of colonized Chosun. His practical account of his travels differs from the abstract works of Lee Kwang-su and Choi Nam-seon, affording us a valuable glimpse of the diverse facets of travel essays composed in the 1920s. 조선총독부의 관광정책은 식민지 지배정책과 궤를 같이하면서 전개되었고, 관광과 식민정책의 긴밀한 호응은 이 당시 발표되었던 기행수필과도 연결된다. 그 중에서도 1920년대는 관광 정책의 변화에 따라 다른 시기의 기행수필보다 훨씬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그런데 그동안 1920년대 기행수필과 관련된 연구는 최남선이나 이광수의 글에 집중되어 왔다. 이는 1920년대 기행수필의 다채로운 면모를 이해하는 데에 한계가 된다. 본고에서는 안재홍의 1920년대 기행수필을 논의함으로써 1920년대 기행수필에 관해 다각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1920년대 최남선의 기행은 한 마디로 ‘국토 순례’이자 ‘조선적인 것의 과거화’라고 볼 수 있다. 종교적인 순례자로서 여행을 떠난 최남선은 ‘조선적인 것’을 조선의 과거에서 찾으려 했다. 1920년대 이광수 기행수필의 주요한 특징은 현실 체험의 미적 형상화이다. 최남선이나 이광수의 이런 식의 서술은 궁극적으로는 식민 정책에의 타협점으로 귀결되었는데, 식민지배 정책에 관한 저항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조선 민중들의 삶의 형편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던 데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이들의 기행수필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내용을 주로 담고 있었다. 안재홍은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로서 타협적 민족주의자였던 최남선이나 이광수와는 다른 역사적 노선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기행수필 글쓰기와도 연결되는데, 안재홍은 식민 지배 정책에 관해 분명하고 적극적인 태도로 저항하는 목소리를 내는 데 기행수필을 이용했다. 안재홍 기행수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일본인들이 조선(인)을 대하는 식민 지배 정책에 관한 비판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조선인들의 당시 피폐한 생활상을 기행수필 곳곳에 다큐멘터리처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소외된 지역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글쓰기로서의 기행수필을 남겼다. 안재홍의 1920년대 기행수필은 근대 시기 식민지 조선을 ‘발견’하는 글쓰기였다. 특히 관념적 기행수필로 대표되는 최남선, 이광수와는 다른 실제적인 기행수필을 남김으로써 1920년대 기행수필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볼 수 있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1920년대 소설의 ‘자살’ 형상화 양상 연구 -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이영아(Lee Young-Ah)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3

        1920년대 소설에서 자살모티프는 매우 자주 등장한다. 특히 여성의 자살을 그린 1920년대 소설은 여성들의 달라진 성윤리의식, 사랑과 삶에 대한 주체적 선택 의지, 젠더불평등에 대한 자각 등을 형상화하려하였다. 이처럼 1920년대의 많은 소설들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자살 모티프가 다루어지게 된 배경과 특히 여성의 자살에 주목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1920년대에 이르러 작가들에게 자살은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게 되었다. 그들은 소문, 풍문, 그리고 매체를 통해 수많은 자살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그들은 ‘살아남은 자’로서의 번민을 하게 되었고, 이것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문학적 승화작용이 자살모티프와 자살자의 내면으로서의 유서의 서사를 형상화하는 것이었다. 아울러 이러한 상상력을 촉발시킨 데에는 1920년대 초반까지도 현실과 매체 속의 여성 자살자수가 남성들보다도 높았다는 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으리라 추정된다. 이 과정에서 여성(자살자) 인물에게도 내면이 만들어졌다. 여성들의 내면 그리기는 핍진성 보다는 또 다른 방식의 남성 작가들의 욕망의 투사, 보상심리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하겠지만, 이러한 작업을 통해 여성에게도 구체적이고 다층적인 내면이 존재한다는 ‘상상’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새로운 면모라할 수 있다. 1920s Korean novels often used the motif of suicide, especially that of women. These novels represented the changes of women's sexual morality, the subjectification in selection of 'love' and 'life/death', and the awareness of gender inequality. Why were 1920s novels interested in this theme? In 1920s, novelists had often heard suicide news of acquaintances, celebrities or someone in 'imaginary community'. There were more women's suicides outstandingly from 1910s to earlier 1920s. These news arose questions and anguish to 'survivors'-that is "Why did they kill themeself? Why didn't I need to die?" and so on. To solve these questions, novelists reconstructed internal self-identity of suicides and made narratives of 'suicide note'. Consequently 1920s novels embodied women's internal self-identity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s.

      • KCI등재

        통일시대 아동문학 정전의 가능성 (3) - 1920년대 아동소설을 중심으로 -

        마성은(Ma, Sunge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8

        본고에서는 일제 강점기 아동문학이 수록된 선집 가운데 남북 양측을 대표하는 『겨레아동문학선집』과 『1920년대 아동문학집』의 1920년대 아동소설 수록 양상을 비교하고, 1920년대 아동소설에 관한 남북의 시각을 분석하였다. 본고의 검토 결과에 따르면 양측 선집에 실린 1920년대 아동소설 가운데 남북이 함께 정전으로 내세울 수 있는 작품은 모두 11편이다. 1920년대에 아동소설을 발표한 작가들 가운데 이미 문단에서 활발히 창작 활동을 전개하며 단단한 역량을 갖추고 있던 작가는 방정환과 송영뿐이다. 송영의 아동소설 창작 활동은 내용적 측면과 양식적 측면 양쪽에서 민족아동소설의 형성에 중대한 기여를 하였다. 통일시대 아동문학은 송영을 비롯한 카프 작가들의 공훈을 정당하게 평가하여야 하며, 마땅히 그들도 민족아동문학의 계보에 넣어야 한다. This study compared the aspects in which 1920s children’s novels were included in the anthologies containing the children’s literature of Japanese occupation representing South and North Korea, and analyzes the perspectives of both sides on 1920s children’s novels. According to this study, 11 works of 1920s children’s novels in the anthologies of both sides can be recognized as canon by both sides. Among the writers who published children’s novels in the 1920s, only Bang Junghwan and Song Yǒng were already actively writing and possessing solid capabilities in literary circles. Song Yǒng’s children’s novel writing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national children’s novels in both the content aspect and the style aspect. Children’s literature in unification era should properly evaluate the distinctions of KAPF writers, including Song Yǒng, and ought to include them in the genealogy of national children’s iterature.

      • KCI등재

        1920년대 시가 발견한 ‘들’의 표상성과 그 의미

        정효구(Jeong, Hyo-Goo)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6

        이 글은 1920년대 우리 근현대시사에서 ‘들’이 ‘문학적 관습’의 하나로 발견되고 문제화된 소재이자 대상으로서 그 이면에는 문명사적, 시대사적 정황과 맥락이 가로 놓여 있으며, 이를 통해 시인들은 의식적, 무의식적인 차원에서 상호텍스트적인 의미장을 형성하는 가운데 각자 고유한 정신성과 미학성을 드러냈다는 점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조명희, 주요한, 김소월, 이상화와 그들의 시가 대표적인 경우에 속하거니와 이 가운데 조명희와 주요한의 시는 기초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주변부를 형성한 의미가 있으며, 김소월과 이상화의 시는 탁월한 면모를 드러내면서 근간과 본류의 자리에서 ‘들’의 정신성을 드높이고 미학성을 심화시킨 공적이 있다. 1920년대 시에서 ‘들’은 농경사회적 삶과 도시문명의 근대적 삶이 공존하는 가운데 일반적으로 일종의 전환기에 발생하는 ‘오래된 것’에의 친근성과 ‘지나간 것’에의 그리움을 저변에 지닌 대상이며, 일제강점기라는 왜곡된 시대현실의 흐름 속에서 아직은 희망을 가질 만했던 시기의 지식인이자 시인들이 자기동일화, 일체화, 위로와 치유의 경험을 내재시킬 수 있는 대상이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들’은 자연과 우주의 한 지대로서 생명감각을 발현시키고 철학적, 형이상학적 사유를 행할 수 있게 하는 대상이기도 했다. 특별히 김소월과 이상화의 시에서 ‘들’은 상당한 수준의 질적 높이를 보여준다. 김소월은 ‘들’을 통하여 인생론, 시대론, 생활론, 관념론의 넓은 영역을 다층적으로 느끼며 사유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이상화는 시대의 인위성과 자연의 무위성을 함께 아우르며 피식민지인으로서의 현실 고발과 지식인으로서의 자아성찰을 행하는 가운데 ‘들’ 자체와의 온전하고 순정한 일체감을 느끼고 있다. 김소월의 시에서도 그러하지만 이상화의 시에서 ‘들’을 토대이자 중심에 두고 작동하는 감각, 감성, 지성, 신성은 에피파니의 순간에서처럼 종합적으로 융합되는 가운데 만개한다. 이런 1920년대 시에서의 ‘들’의 표상성은 어떤 하나의 개념, 이를테면 ‘농민시,’ ‘농촌시,’ ‘저항시’, ‘민족시’, ‘계급시’ 등과 같은 한계 안에 제한시켜 논의하기엔 그것이 환기시키는 세계가 매우 넓고 다채롭다. 그러니까 ‘들’은 어떤 개념으로 규정된 시에 소속되어 있다기보다 앞서 말했듯이 문제적인 ‘문학적 관습’의 하나로서 자유롭게 수용되고 다양하게 기능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들’의 표상성은 1920년대로부터 많은 세월이 지난 1960년대 이후의 우리 시에서 새롭게 발견되고 의미화되는 바, 이때의 시를 ‘들’의 문제와 관련시켜 다른 시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일제강점으로부터의 해방, 분단시대의 도래, 문명사적 변화 등이 일어난 그 시대의 시에서 ‘들’은 이전의 시에서와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고 다른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1920년대 신문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문학담론 고찰 -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문학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반재유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198 No.-

        In this study, the literature-related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Chosun Ilbo and the Dong-A Ilbo in the 1920s are reviewed by utilizing the modern Korean Studies DB.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were conducted with a random corpus, this work is characterized by selecting the articles on Korean Studies according to set standards when collecting data. In order to draw a literary topographic map of a specific period of the 1920s, statistics and analysis of all media must be preceded. However, this paper prioritizes the Dong-A Ilbo and the Chosun Ilbo, which represented the media of the period. They are good standards for drawing the topography of literary discourse of the period in that it is possible to fully examine the trend of the 10-year period through the articles which were steadily published since its foundation in 1920.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trend of literary discourse with a quantitative review of the literary articles of the period, and then reviews the articles' inclination and the newspapers' projects by checking the frequency of articles by person, author, and reference. With specific media at the center, by reviewing the literary discourses which existed in previous studies as individual topics such as narrative genres, narrative theories, or the history of thought, this study consequently presents future research tasks as well as a general view of the literary discourses in the 1920s. 이 글에서는 근대한국학DB를 활용하여 1920년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 실린 문학관련 기사를 검토하였다. 본 작업은 기존연구에서 무작위의 말뭉치를 대상으로 한 것과 달리, 자료 수집 단계에서 선별한 한국학 기사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1920년대라는 특정시기의 문학지형도를 그리기 위해서는 매체별 통계 및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본고의 작업은 우선적으로 해당시기 언론지·민간지를 대표했던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로 조사범위를 한정하였다. 두 신문 또한 정치적 상황에 따라 필진의 교체가 단행되고 그에 따른 기사들의 지향점이 변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1920년 창간이후 꾸준히 발행된 기사를 통해 10년간의 추이를 온전히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당대 문학담론의 지형을 그릴 수 있는 좋은 잣대가 되리라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문학기사의 계량적 검토에 따른 10년간의 문학담론의 추이를 살펴본 뒤, 인물별/저자별 기사빈도와 레퍼런스 집계 등을 통해 두 신문의 기사 경향 및 기획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1920년대 문학담론과 관련해서는 기존 비평사 연구를 비롯한 수많은 선행연구들이 존재한다. 본고는 이 같은 기존연구의 성과를 근간하여 메타데이터 수치와의 연관성을 살펴볼 예정이다. 특히, 1920년대를 대표하는 신문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기사를 대상으로 삼은 작업인 만큼 근대 언론 및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담론의 생성 및 확산 등에 주목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 서사 장르나 이론, 사상사 등 개별적 주제로 다루어졌던 담론들을 특정 매체를 중심으로 재검토함으로서, 1920년대의 문학담론에 대한 전체적 조망과 함께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