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mitochondrial Ca<sup>2+</sup>-activated K<sup>+</sup> channel activator, NS 1619 inhibits L-type Ca<sup>2+</sup> channels in rat ventricular myocytes

        Park, Won Sun,Kang, Sung Hyun,Son, Youn Kyoung,Kim, Nari,Ko, Jae-Hong,Kim, Hyoung Kyu,Ko, Eun A.,Kim, Chi Dae,Han, Jin Elsevier 2007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 Vol.362 No.1

        <P><B>Abstract</B></P> <P>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mitochondrial Ca<SUP>2+</SUP>-activated K<SUP>+</SUP> (mitoBK<SUB>Ca</SUB>) channel activator NS 1619 on L-type Ca<SUP>2+</SUP> channels in rat ventricular myocytes. NS 1619 inhibited the Ca<SUP>2+</SUP> curr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NS 1619 shifted the activation curve to more positive potentials,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activation curve. Pretreatment with inhibitors of membrane BK<SUB>Ca</SUB> channel, mitoBK<SUB>Ca</SUB> channel, protein kinase C, protein kinase A, and protein kinase G had little effect on the Ca<SUP>2+</SUP> current and did not alter the inhibitory effect of NS 1619 significantly. The application of additional NS 1619 in the presence of isoproterenol, a selective β-adrenoreceptor agonist, reduced the Ca<SUP>2+</SUP> current to approximately the same level as a single application of NS 1619.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NS 1619 inhibits the Ca<SUP>2+</SUP> current independent of the mitoBK<SUB>Ca</SUB> channel and protein kinases. Since NS 1619 is widely used to study mitoBK<SUB>Ca</SUB> channel function, it is essential to verify these unexpected effects of NS 1619 before experimental data can be interpreted accurately.</P>

      • KCI등재

        계기수업을 통한 민주시민교육의 사례 연구 - 미국 국회의사당 습격사건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

        곽한영 ( Kwak Han Young ) 한국법교육학회 2021 법교육연구 Vol.16 No.2

        계기수업은 최신의 사회적 이슈를 교실로 끌어들여 수업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한계를 뛰어 넘을 수 있는 민주시민교육의 수단으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계기수업은 교사 개인의 판단에 따라 교육과정을 넘어선 내용을 다루는 특별 수업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2021년 1월에 벌어진 미국 국회의사당 습격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폭넓게 실시된 계기수업에 대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계기수업이 민주시민교육의 수단으로서 가지고 있는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해보았다. 미국의 여러 교육단체들은 국회의사당 습격사건 이후 학생들의 심리적 충격완화, 정확한 정보제공, 소통와 토론 활성화 등을 위한 수업안들을 계기수업용으로 제공했다. 계기수업은 빠른 사회변화에 대응하여 유연하고 즉각적인 교육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지만 교사의 정치적 중립성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들에게 큰 부담을 주는 수업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 국회의사당 습격사건 이전에 벌어 졌던 ‘1619 프로젝트’에 관한 논란이 결국 교사들을 크게 위축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던 사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계기수업이 민주시민교육의 효과적인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수업재량권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의 문제에서부터 풀어나갈 필요가 있다. Moment lessons have high potential as a civic educational method because it can lead the student's interests by drawing in the social issues to class. But at the same time it can be a social issue itself cause the moment lessons derail the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In this paper, I will analyse the case of american moment lesson which arose after Congress attack on January 2021 and identify the possibility and limits of moment lesson as a method of civic education. After Congress attack, many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America offered diverse teaching plans and sources like psychological treatment, reliable informations and communications in class. Moment lesson can deal with the changing social issues. But it can be a burden to teachers that the matter of political bias can easily be raised. Controversy around 'Project 1619' leads to the diminish of teacher's discretion in class. For make the moment lesson as a useful method of civic education, the matter of ensuring the teacher's discretion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 역사 문제를 둘러싼 미국의 ‘문화전쟁’ - 1619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윤세병 ( Yoon Sebyong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3 평화들 PEACES Vol.2 No.1

        이 논문은 최근 미국의 대표적 문화전쟁의 하나인 1619 프로젝트를 둘러싼 논쟁을 소개하였다. 첫째, 1619 프로젝트보다 앞선 시기에 전개되었던 역사 이해를 둘러싼 갈등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둘째, <뉴욕타임스> 기획인 1619 프로젝트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셋째, 1619 프로젝트에 대한 대항마의 성격으로서 트럼프가 만든 1776위원회에 관해 분석하였다. 넷째, 공화당이 장악한 주 정부를 중심으로 1619 프로젝트의 자료뿐만 아니라 비판적 인종이론을 가르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움직임에 관해 서술하였다. 미국의 역사 해석을 둘러싼 갈등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한국의 역사교육에 던지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했다. This article introduced the controversy surrounding Project 1619, one of the most prominent culture wars that has recently gripped the United States. First, I looked at examples of conflicts over historical understanding that preceded the 1619 Project. Second, I examined how the 1619 Project, a New York Times initiative, was developed. Third, I analyzed Trump’s 1776 Commission as a counterpoint to the 1619 Project. Fourth, I describe the movement in Republican-controlled states to pass legislation banning the teaching of critical race theory as well as the 1619 Project materials. Using the conflict over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in the United States as a model, this paper explores the implications for Korean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17세기 러시아어 동사 체계의 인식과 정립 양상: Грамматıки Славєнскиѧ правилноє Сѵнтаґма(1619)와 Grammatica Russica(1696)를 중심으로

        한지형 한국러시아문학회 2022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76 No.-

        In this study has its subject on usage of verbs of the 17th century Church Slavic and Russian language shown in The Correct Syntax of Slavonic Grammar (1619) written by Meletius Smotrytsky, a native Russian speaker and Grammatica Russica (1696) written by Heinrich Wilhelm Ludolf, a non-native speaker. And it examined the aspect of recognition of the usage of verbs and establishment pattern as a grammatical system focusing on the grammatical category and description method. First,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description of grammar, it may be due to the Smotrytsky’s description which is taxonomy-centric and system-centric as it follows Greek and Latin traditions, but it c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a result of his efforts to systemize Church Slavic verbs as a native speaker. In fact, the purpose of writing his grammar book was not to observe the uses of the Russian language at the time and make inductive reasonings, but to establish a standardized grammar that can be used for school education, book publishing, and translation experts. On the other hand, Ludolf veered away from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Russian verbs and descriptions of the grammar that is taxonomy-centric, and aimed to construct a practical grammar that summarizes major grammatical categories directly related to daily Russian learning.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grammatical systems constructed by the two authors to describe the verb system. To begin, the grammatical attributes with systematic differences between grammar books can be organized into voice, number, mood, tense, and gender. And the grammatical attributes with shared terms but grammatical attributes with different application patterns are categorization of irregular verb conjugations. Above all, the two books focus mostly on the tense. And on one hand, as a new approach for tense formation method, and the other as a way to solidify the verb definitions, various views of the inflection and semantic change functions of suffixes and prefixes were reflected in Church Slavic and Russian verb systems. Considering that the study of Russian aspects and aspectual pairs began in the turn of the 19th centur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f verbs in the 17th century can be reexamined.

      • KCI등재

        도르트 회의와 아우구스티누스: 파레우스의 “조사”와 영국 특사들의 “의견서”를 중심으로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9 No.-

        도르트 회의(1618-1619)는 최초의 그리고 현재까지 유일한 국제적 개혁파 총회였다. 회의의 참가자들은 항론파의 다섯 가지 요점들에 대하여 오직 성경만으로 반박하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르트 회의의 몇몇 주요 문건 속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이 종종 인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점은 매우 중요한데 항론파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던 아르미니우스는 아우구스티누스에 의지하여 자신의 주장을 전개하곤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의 신학자 파레우스(David Pareus; 1548-1622)가 작성한 “항론파의 다섯 개 요점에 대한 조사(Quinque Articuli Remonstrantium, Cum Examine)”와 영국 특사들이 작성한 “의견서(Iudicium)”에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을 각각 25회 이상씩 인용하여 항론파의 다섯 가지 요점들을 반박하고 있다. 도르트 회의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은 주로 하나님의 예정은 인간의 행위에 근거하지 않는다는 내용, 하나님은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셨다는 내용, 모든 인간의 의지가 타락했음에 대한 내용, 타락한 의지는 은혜로만 변화가능하다는 내용, 하나님의 은혜는 불가항력적이라는 내용, 성도는 끝까지 인내한다는 성도의 견인에 대한 내용을 주장함에 있어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도르트 회의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은 반항론파의 견해를 뒷받침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Synod of Dort (1618-1619) was the first and, presently, only international Reformed synod. The attendants of the Synod tried to repudiate the five points of the Remonstrants only through scriptural verses. Nevertheless, one can find that the works of Augustine often were cited in several important documents of the Synod of Dort. This fact is meaningful because Arminius, who provided theoretical foundations to the Remonstrants, developed his own view that depended on Augustine. The Heidelberg theologian David Pareus’s (1548-1622) work (Quinque Articuli Remonstrantium, Cum Examine) and the British Delegation’s Report (Iudicium) cited the works of Augustine more than 25 times respectively to refute the five points of the Remonstrants. The works of Augustine in the Synod of Dort were cited to demonstrate: God’s predestination does not depend on human works; God elected believers in Christ; the will of all humanity is corrupt; the corrupt will of humanity can be changed only by grace; the grace of God is irresistible; and, the saints persevere to the end. In sum, the works of Augustine in the Synod of Dort were endorsed usefully to support the views of the Contra-Remonstrants.

      • KCI등재

        Grammatica Russica(1696)의 형태론: Грамматıки Славєнскиѧ правилноє Сѵнтаґма(1619)와 비교의 관점에서

        한지형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2 러시아학 Vol.- No.24

        본 논문은 스모트리츠키(M. Smotrytsky)의 교회슬라브어 문법서 Грамматıки Славєнскиѧ правилноє Сѵнтаґма와의 비교의 관점에서 루돌프(H. W. Ludolf)의 러시아어 문법서 Grammatica Russica에 반영된 러시아어 문법의 체계의 양상을 명사, 대명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에 대한 형태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던 첫 번째는, 루돌프 자신이 직접 그리스어・라틴어의 전통에 입각한 러시아어 문법 체계를 정립하기보다, 이에 대한 교회슬라브어적 변용을 보여준 스모트리츠키 문법서를 매개로 Grammatica Russica를 집필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스모트리츠키의 문법서와 비교해볼 때, Grammatica Russica의 내용과 구성 전반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법 체계의 간소화는 당시 루돌프가 직접 겪고 관찰한 러시아어에 대한 귀납적 정보를 반영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러시아어 학습을 희망하는 유럽인들에게 적합한 실용 러시아어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화된 체계로도 평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어 학습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러시아어 문법에 대해 유럽어와의 관계 속에서 그 보편성과 특수성을 인식하고, 이를 대조언어학적으로 설명하는 Grammatica Russica의 문법 기술법은 오늘날의 외국어 교수법과도 궤를 함께하는 부분이다. 또한 스모트리츠키의 문법서와 달리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명사 지소형과 그 사용 범례를 소개하는 부분은 당시 러시아인의 언어문화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Grammatica Russica에 반영된 러시아어 문법의 체계와 그 정립 양상은 외국어로서의 러시아어 교육사의 관점에서 조명해볼 수 있는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개혁 교회법이 한국교회에 가지는 의의 : 엠던총회(1571)에서 아브라함 카이퍼까지, 지역교회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김재윤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칼빈은 교리와 권징을 하나로 보았고 그 연속선상에서 교회법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설교와 성례를 통해서 예배의 회복을, 요리문답서를 통해 교리의 일치를, 교회법을 통해 성경과 교리의 가르침이 교회적인 삶으로 구체화되는 것을 추구하였다. 복음 설교와 교회법의 통일성을 강조한 칼빈과 그의 영향력 아래 있는 개혁교회들은 신앙고백서와 함께 교회법을 작성하였다. 네덜란드 지역에서 진전된 개혁교회의 교회법은 초기에 제네바 교회법(1541)과 프랑스 파리 총회에서 채택된 교회규칙서(1559)를 모태로 삼는다. 가장 기초적인 네덜란드 개혁교회법은 베이절 회합(1568)의 문서에서 발견된다. 십자가 아래 있는(onder de kruis) 네덜란드 지역의 교회들 뿐 아니라 각국에 있던 피난민들의 교회들이 처음으로 모인 이 회합에서는 프랑스 교회 규칙서 제1항에서 천명되었던 ‘어떤 교회도 다른 교회위에 독재권, 지배권을 행사해서는 안된다’는 정신을 좀 더 구체화하고 심화시켰다. 노회와 총회등의 회의는 그 회의 자체의 목적보다 한 지역교회나 말씀의 직분자들이의 자유와 권리가 침해받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는 정신을 세부적인 항목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역교회들 사이의 관계에서뿐 아니라 직분자들 사이에서도 똑같은 정신이 강조되었는데 예를 들어 목사의 죄를 다루는 항목에서 교회와 동료 직분자들에 대한 독재권을 행사하려는 명백한 혹은 은밀한 추구에 대한 시벌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첫 총회로 모인 엠던 총회(1571)에서는 베이절 회합의 항목들이 가지는 반 위계질서적인 정신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장로와 집사의 봉사기간을 2년으로 제한할 만큼 직분자들의 독단과 지배에 대한 경계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을 중심에 두고 최우선으로 삼고 있어서 지역교회들의 회합을 명명할 때 단수로 하지 않고 항상 ‘교회들’이라는 복수를 사용하였다. 베이절 회합과 엠던 총회의 교회법과 그 정신은 도르트 교회법(1619)으로 완성이 되었다. 그리고 도르트 교회법은 이후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어두워졌을 때 교회를 갱신하는 원천이 되었다. 이는 19세기에 이루어진 두 번의 교회개혁의 흐름이었던 ‘분리’와 ‘애통’을 통해서 구체화되었다. 무엇보다도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질서에 대한 생각은 베이절 회합이후에 이어져 온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가진 교회법의 절정이 이루었다. 아브라함 카이퍼는 철저하게 지역교회의 보편성과 독립성을 옹호한다. 모든 각각의 지역교회들은 그 자체로 교회전체이며 그 자체로 완전한 교회이다. 각각의 교회들만이 지상에서 교회이며 모든 권세와 권위를 소유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이 연결되는 것은 부차적인 것이며 그것은 철저히 지역교회들의 자유로운 연합을 통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카이퍼는 회중교회 입장과는 달리 노회와 총회의 필수성을 매우 강조한다. 그러나 이런 광의의 회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원칙도 동시에 지켜져야 한다. 1)지역교회들의 독립성을 절대 훼손해서는 안된다. 2)교회연합은 지역교회들의 유익을 위한 것이다. 3)교회연합의 조건과 보증은 동등함이다. 종교개혁이후 오랜 기간을 통해서 형성된 이런 개혁교회법과 그 정신은 한논문투고일:2012년7월1일. 수정투고일:2012년8월11일. 게재확정일:2012년8월15일. 편으로는 교권주의에 의해서 어려움을 겪고 ... Church order is essential in the reformed tradition. John Calvin, an influential reformer, stressed the unity of doctrina and disciplina. For that reason, he composed his Ecclesiastical Ordinances(1541) as soon as he came back to Geneva from Strasbourg. Under Calvin's influence, many Reformed church in Europe followed his model in producing their confessions and the documents about the church order and government. Early Dutch Reformed churches which composed of dutch and french speaking congregations and refugee-congregations in England and Germany had its foundation of church order in Calvin's Ecclesiastical Ordinances and the Church Order of French Reformed church accepted by the synod in Paris (1559). Especially the church government order of the French Reformed church - local church, presbytery and synod - was well settled in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However, an anti-hierarchical character was intensified more than in the previous church orders. When examining the articles yielded by the Wezel convention(1568) which was the first official synodic meeting, one can discover evidences to confirm anti-hierarchical tendency. Leaders gathered in Wezel understood that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focus on safeguarding the privileges of the ministers and local churches. Articles on pastor's sin clearly demonstrated how Wezel convention consistently disapproved of the dominance of one minister or presbytery over other church offices. The first official synod of Dutch Reformed churches in Emden (1571) acknowledged this anti-hierarchical spirit of the Wezel convention. In the 19th century, dutch Reformed churches confronted secession twice, 'Afscheiding' and 'Doleantie'. Local churches, pastors, and faithful believers desired to restore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church and remain faithful to the reformed confessions. Regarding the church order, they reaffirmed the church order of Synod of Dordrecht (1619) which contained almost the same substances of Wezel's articles and the church order of the first synod in Emden. Not only Abraham Kuyper who plays a key role in 'Doleantie,' but Herman Bavinck, the successor of 'Afscheiding,' also supports the independency and universality of local church. Eventually, they argued that Kerkverband and the broader assemblies - particular and general synod - do not have an authority over the local church. No form of hierarchy can be permitted between the church offices and between other local churches. Korean churches can benefit from the Reformed church order established through the history of struggle in two aspects. First, the presbytery or the synod often results in clericalism in Korean churches. In the reformed churches,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serve its purpose to protect the independency and privilege of the local churches and their ministers. These broader assemblies cannot operate their dominancy over the local churches. Second, in reaction to clericalism occurred in broader assemblies, an individualistic view which negate the kerkverband (association of the confessional churches) is also pervasive in Korean churches. They will benefit if they remember that the Reformed church order was designed not to minimize the unity of the local church but to maximize its communion.

      • KCI등재

        개혁 교회법이 한국교회에 가지는 의의; 엠던총회(1571)에서 아브라함 카이퍼까지, 지역교회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김재윤 ( Jae You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칼빈은 교리와 권징을 하나로 보았고 그 연속선상에서 교회법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설교와 성례를 통해서 예배의 회복을, 요리문답서를 통해 교리의 일치를, 교회법을 통해 성경과 교리의 가르침이 교회적인 삶으로 구체화되는 것을 추구하였다. 복음 설교와 교회법의 통일성을 강조한 칼빈과 그의 영향력 아래 있는 개혁교회들은 신앙고백서와 함께 교회법을 작성하였다. 네덜란드 지역에서 진전된 개혁교회의 교회법은 초기에 제네바 교회법(1541)과 프랑스 파리 총회에서 채택된 교회규칙서(1559)를 모태로 삼는다. 가장 기초적인 네덜란드 개혁교회법은 베이절 회합(1568)의 문서에서 발견된다. 십자가 아래 있는(onder de kruis) 네덜란드 지역의 교회들 뿐 아니라 각국에 있던 피난민들의 교회들이 처음으로 모인 이 회합에서는 프랑스 교회 규칙서 제1항에서 천명되었던 ``어떤 교회도 다른 교회위에 독재권, 지배권을 행사해서는 안된다``는 정신을 좀 더 구체화하고 심화시켰다. 노회와 총회등의 회의는 그 회의 자체의 목적보다 한 지역교회나 말씀의 직분자들이의 자유와 권리가 침해받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는 정신을 세부적인 항목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역교회들 사이의 관계에서뿐 아니라 직분자들 사이에서도 똑같은 정신이 강조되었는데 예를 들어 목사의 죄를 다루는 항목에서 교회와 동료 직분자들에 대한 독재권을 행사하려는 명백한 혹은 은밀한 추구에 대한 시벌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첫 총회로 모인 엠던 총회(1571)에서는 베이절 회합의 항목들이 가지는 반 위계질서적인 정신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장로와 집사의 봉사기간을 2년으로 제한할 만큼 직분자들의 독단과 지배에 대한 경계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을 중심에 두고 최우선으로 삼고 있어서 지역교회들의 회합을 명명할 때 단수로 하지 않고 항상 ``교회들``이라는 복수를 사용하였다. 베이절 회합과 엠던 총회의 교회법과 그 정신은 도르트 교회법(1619)으로 완성이 되었다. 그리고 도르트 교회법은 이후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어두워졌을 때 교회를 갱신하는 원천이 되었다. 이는 19세기에 이루어진 두 번의 교회개혁의 흐름이었던 ``분리``와 ``애통``을 통해서 구체화되었다. 무엇보다도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질서에 대한 생각은 베이절 회합이후에 이어져 온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가진 교회법의 절정이 이루었다. 아브라함 카이퍼는 철저하게 지역교회의 보편성과 독립성을 옹호한다. 모든 각각의 지역교회들은 그 자체로 교회전체이며 그 자체로 완전한 교회이다. 각각의 교회들만이 지상에서 교회이며 모든 권세와 권위를 소유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이 연결되는 것은 부차적인 것이며 그것은 철저히 지역교회들의 자유로운 연합을 통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카이퍼는 회중교회 입장과는 달리 노회와 총회의 필수성을 매우 강조한다. 그러나 이런 광의의 회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원칙도 동시에 지켜져야 한다. 1)지역교회들의 독립성을 절대 훼손해서는 안된다. 2)교회연합은 지역교회들의 유익을 위한 것이다. 3)교회연합의 조건과 보증은 동등함이다. 종교개혁이후 오랜 기간을 통해서 형성된 이런 개혁교회법과 그 정신은 한편으로는 교권주의에 의해서 어려움을 겪고있는 한국교회에 각 지역교회들과 말씀의 봉사자들의 독립성과 보편성, 자유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 준다. 노회나 총회가 광의의 회의로서 지역교회를 세우고 돕기 위해 존재한다는 점이 좀 더 강조되어야 하겠다. 반면에 교권주의의 결과로 개교회주의의 위협 또한 심각한데 교회의 지역교회들의 연합적인 하나됨을 최소화하지 않고 최대화하는 개혁교회법은 교회법과 규례, 광의의 회의를 통한 연합적 결속을 무시하면서한 직분자의 지배와 더 큰 무질서 속에 빠져 들어가는 위험에 대해서도 도움이 줄 수 있다고 본다. Church order is essential in the reformed tradition. John Calvin, an influential reformer, stressed the unity of doctrina and disciplina. For that reason, he composed his Ecclesiastical Ordinances(1541) as soon as he came back to Geneva from Strasbourg. Under Calvin`s influence, many Reformed church in Europe followed his model in producing their confessions and the documents about the church order and government. Early Dutch Reformed churches which composed of dutch and french speaking congregations and refugee-congregations in England and Germany had its foundation of church order in Calvin`s Ecclesiastical Ordinances and the Church Order of French Reformed church accepted by the synod in Paris (1559). Especially the church government order of the French Reformed church - local church, presbytery and synod - was well settled in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However, an anti-hierarchical character was intensified more than in the previous church orders. When examining the articles yielded by the Wezel convention(1568) which was the first official synodic meeting, one can discover evidences to confirm anti-hierarchical tendency. Leaders gathered in Wezel understood that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focus on safeguarding the privileges of the ministers and local churches. Articles on pastor`s sin clearly demonstrated how Wezel convention consistently disapproved of the dominance of one minister or presbytery over other church offices. The first official synod of Dutch Reformed churches in Emden (1571) acknowledged this anti-hierarchical spirit of the Wezel convention. In the 19th century, dutch Reformed churches confronted secession twice, ``Afscheiding`` and ``Doleantie``. Local churches, pastors, and faithful believers desired to restore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church and remain faithful to the reformed confessions. Regarding the church order, they reaffirmed the church order of Synod of Dordrecht (1619) which contained almost the same substances of Wezel`s articles and the church order of the first synod in Emden. Not only Abraham Kuyper who plays a key role in ``Doleantie,`` but Herman Bavinck, the successor of ``Afscheiding,`` also supports the independency and universality of local church. Eventually, they argued that Kerkverband and the broader assemblies - particular and general synod - do not have an authority over the local church. No form of hierarchy can be permitted between the church offices and between other local churches. Korean churches can benefit from the Reformed church order established through the history of struggle in two aspects. First, the presbytery or the synod often results in clericalism in Korean churches. In the reformed churches,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serve its purpose to protect the independency and privilege of the local churches and their ministers. These broader assemblies cannot operate their dominancy over the local churches. Second, in reaction to clericalism occurred in broader assemblies, an individualistic view which negate the kerkverband (association of the confessional churches) is also pervasive in Korean churches. They will benefit if they remember that the Reformed church order was designed not to minimize the unity of the local church but to maximize its communion.

      • KCI등재후보

        도르트 총회가 제시하는 목회자 세움방안과 예배 회복

        홍주현 ( Joohyun Hong )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0 No.-

        코로나 이전에도 그러하였지만, 코로나와 함께 한국 교회는 이전까지와는 다른 차원에서 예배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시대가 변화하고 예배환경이 변한다고 하더라도 예배의 본질은 하나님 말씀의 선포에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변화의 갈림길에 선 한국 교회는 목회자 역량의 강화라는 방법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고 예배를 회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400년 전에 개최되었던 도르트 총회의 목회자 후보자 교육에 관한 논의와 결의는 우리에게 역사적 산 교훈이 된다. 도르트 총회 직전의 네덜란드 개혁교회는 목회자 수급 부족과 자질 부족이라는 이중고 가운데 있었다. 이를 위해 도르트 총회는 중심회기 이전회기에서 제일란트 대리인단의 견해서를 중심으로 목회자 후보자 교육에 관한 안건을 다루었고, 유의미한 몇 가지를 결정하였다. 그중 목회자 후보자의 선택과 관리, 균형 잡힌 교육, 그리고 강도권의 강화와 같은 내용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유의미한 함의를 지닌다. 예배의 본질이 말씀 선포라면, 말씀을 선포하는 목회자의 세움은 곧 예배의 세움과 회복으로 직결된다. 그러므로 도르트 총회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목회자 세움방안을 교훈으로 삼아 우리의 목회자 세움방안을 재정비하고, 그것을 통해 다가올 시대에 적합한 목회자를 양성하게 된다면, 한국 교회는 오히려 더욱 견고해지고, 우리의 예배는 더욱 영과 진리로 드려지는 예배로 회복될 것이다. The worship of Korean Churches come to a new crisis with Covid 19. However times and the worship circumstances have changed, the essence of Christian worship is always in God’s Word and its preaching. Hence, the importance on preaching of God’s Word will be much more increased in the worship of Korean Churches at upcoming new normal time post corona. Therefore, the Korean churches which stand in a turning point have to restore the worship by reinforcing the pasto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decision of Synod of Dort on the agenda of educating pastoral candidates can be our living lesson. The Dutch Reformed Churches just before the Synod of Dort suffered both by insufficient number of pastors and by unqualified pastors. For this, the Synod of Dort discussed the agenda of educating pastoral candidates in the Pro-Acta sessions with the document of Zeeland delegation, and made some meaningful decisions. Among them, the choice and supervision of pastoral candidates, well-balanced education, and the matter of the license to preach are applicable to us. Given that the essence of worship is in the preaching of God’s Word, pastor educ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storation of worship. Therefore, the worship of Korean churches will be restored, taking the decision of the Synod of Dordt on pastor education as a living lesson.

      • SCIESCOPUSKCI등재

        해마절편의 허혈성 $K^+$ 축적에 대한 $K^+$채널 조절 약물의 작용

        최진규,전보권,류판동,Choi, Jin-Kyu,Chun, Boe-Gwun,Ryu, Pan-Dong 대한약리학회 1997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1 No.6

        Loss of synaptic transmission and accumulation of extracellular $K^+([K^+]_O)$ are the key features in ischemic brain damage. He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several $K^+$channel modulators on the early ischemic changes in population spike (PS) and $[K^+]_o$ in the CA1 pyramidal layer of the rat hippocampal slice using electrophysiological techniques. After onset of anoxic aglycemia (AA), orthodromic field potentials decreased and disappeared in $3.3{\pm}0.22\;min$ $(mean{\pm}SEM,\;n=40)$. The hypoxic injury potential (HIP), a transient recovery of PS appeared at $6.0{\pm}0.25\;min$ (n=40) in most slices during AA and lasted for $3.3{\pm}0.43\;min$. $[K^+]_o$ increased initially at a rate of 0.43 mM/min (Phase 1) and later at a much faster rate (12.45 mM/min, Phase 2). The beginning of Phase 2 was invariably coincided with the disappearance of HIP. Among $K^+$ channel modulators tested such as 4-aminopyridine (0.03, 0.3 mM), tetraethylammonium (0.1 mM), NS1619 $(0.3{\sim}10\;{\mu}M)$, niflumic acid (0.1 mM), glibenclamide $(40\;{\mu}M)$, tolbutamide $(300\;{\mu}M)$ and pinacidil $(100\;{\mu}M)$, only 4-aminopyridine (0.3 mM) induced slight increase of $[K^+]_o$ during Phase 1. However, none of the above agents modulated the pattern of Phase 2 in $[K^+]_o$ in response to AA. Taken together, the experimental data suggest that 4-aminopyridine-sensitive $K^+$channels, large conductance $Ca^{2+}-activated$ $K^+$ channels and ATP-sensitive $K^+$ channels may not be the major contributors to the sudden increase of $[K^+]_o$ during the early stage of brain ischemia, suggesting the presence of other routes of $K^+$ efflux during brain ischem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