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 특징과 서예사적 의의

        박정숙 ( Park Jung Soo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0 No.-

        이 논문은 15세기에 한글이 창제된 이후 20세기 초까지 약 5세기 동안 한글 서체의 변천과정을 밝히고 그 과정에 나타난 다양한 한글 서체를 정리하고자 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16세기 한글 간본문헌 서체의 특징과 서예사적 의의 및 그 이월적(移越的) 가치를 천명(闡明)하기 위하여 집필된 것이다. 본고의 텍스트는 16세기 중앙관서(교서관,간경도감)과 지방관아, 사찰 등에서 간행한 한글 문헌 가운데 그 문헌적 가치가 객관적으로 입증된 34종의 한글 간본문헌으로 한정하였다. 이 문헌들은 주로 풍속교화, 교육, 의료, 교리 등과 관련된 내용의 문헌인데 수록내용과 간행기관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판형, 글자의 크기 등이 각각 달랐고, 배행 배자방식 등도 자형 결정에 일정한 영향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서체의 측면에서 볼 때 중앙간본의 한글 서체와 지방간본의 한글 서체는 괄목할만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중앙간본이 16세기 중반까지는 15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정제된 서체를 견지한 데 비해, 16세기 초 이래의 지방간본 문헌들에 실린 한글 서체는 15세기 한글 간본이나 동시대 중앙 간본문헌의 그것과는 다른 변화된 한글 서체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 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6세기 전반기까지는 중앙 간본문헌의 한글 서체는 15세기 그것과 대체로 유사하나 가로획의 우상향 현상 및 세로획의 기필 부분을 뾰족하게 처리하는 등에서 약간의 변화양상을 볼 수 있으며, 16세기 후반에 이르면 15세기의 사각형 자형에서 탈피한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었다. 둘째, 16세기 지방 관아, 사찰 등에서 간행한 한글문헌과 16세기 후반 이후 중앙 간본문헌의 서체는 15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정제되고 엄정한 서체에서 벗어나 다양한 자형의 자연스러운 개성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세기 한글 간본문헌 서체의 이러한 특성은 17세기 이후 전개되는 다양한 한글 서체의 등장을 추동(推動)하는 동인(動因)이자 조형적 근원이 되었을 것이다. 서예사적으로 볼 때 이 시기는 한글이 단순한 의사 표현 도구에서 예술적 표현의 대상이 되어가는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남은 과제는 보다 폭넓은 자료 발굴과 서지학, 국어학, 불교철학, 교육학, 의학, 여성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계하여 그 가치를 논의하고 탐색하여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process of Hangeul calligraphic styles for about five centuries from the creation of Hangeul in the 15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o organize the various Hangeul calligraphic styles in the process. It is also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ic styles and significance of calligraphy history of the published Hangeul documents in the 16th century. The text of this paper was limited to 34 published Hangeul documents whose literary value has been objectively proven among the Hangeul documents published by central government offices (Gyoseogwan, Gangyeongdogam),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temples in the 16th century. These documents are mainly related to customs correction, education, medical care, and doctrine.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plate and the size of letter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heme of contents or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publisher, and the disposition of lines and letters was also found to have a certain influence on determining the calligraphic style. In terms of the calligraphic styl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Hangeul calligraphic style of the documents published by central government offices and that of the document published by local government offices. While the documents published by central government offices maintained the refined calligraphic style of published Hangeul documents in the 15th century until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the Hangeul calligraphic style of the documents published by local government offices since the early 16th century differed from that of published Hangeul documents in the 15th century or that of the documents published by central government offices in the same era. Its important features are as follows. First, until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the Hangeul calligraphic styles of the documents publis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s we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the 15th century, but it had been changed from then such as writing horizontal strokes in an upward direction and sharpening the beginning of vertical strokes.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Hangeul calligraphic styles broke away from the square shape of characters in the 15th centur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alligraphic styles of Hangeul documents published by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temples in the 16th century and of the documents published by central government offices after the late 16th century had a natura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with various shapes, breaking away from the refined and strict styles of Hangeul calligraphy of the 15th century.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published Hangeul documents of the 16th century would have become the formative source of the Hangeul calligraphic styles and might have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Hangeul calligraphic styles after the 17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calligraphy history, this period can be said to be the turning point for Hangeul to become an object of artistic expression from a simple means of communication. The remaining tasks are to find a wider range of data and to discuss and investigate its value in connection with various disciplines such as bibliography, Korean language, Buddhist philosophy, education, medicine, and women's studies.

      • KCI등재

        15-16세기 송명이학 서적의 유입과 서예적 체현에 관한 연구

        손한빈 ( Son Han B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0 No.-

        조선은 명나라와 같이 성리학을 관학으로 채택하였고, 그러한 공통점과 성리학적 관념 위에서, 조선은 국초에 명나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많은 도움 중 하나가 바로 ‘서적’이다. 15세기의 조선은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고 국가의 기틀을 형성하고자 역사, 철학, 법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필요로 하였다. 그리하여 명나라에 적극적으로 서적을 요청하였고, 결국 『性理大全』과 『朱子語類大全』등의 송명이학 서적을 얻을 수 있었다. 서적 습득을 위한 노력은 16세기에도 이어졌다. 성리학을 연구한 사림세력이 주요 정치세력이 되자, 그들이 至治主義 실현을 위한 방도로써 서적을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사림세력은 자신들의 정치적 이념에 의해 송명이학 서적을 구득하였고, 결국 『朱子大全』과 『朱子語類』 등의 여러 송명이학 서적이 조선으로 유입되었다. 전대에 이어 많은 양의 송명이학 서적이 조선으로 유입되자, 조선 문인들은 자연스레 송명이학을 깊게 연구하였다. 서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수록, 문인들은 서적에 기록된 송명이학자들의 미학적 저술과 서론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바꿔 말하면, 연구의 깊이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국가의 안정을 위해 서적을 막 수집하기 시작한 15세기는 송명이학 서예사조의 시작기라고 할 수 있으며, 성리학을 주된 연구 과제로 삼는 사림세력이 주요 정치세력이 된 16세기는 송명이학 서예사조의 심화기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15세기와 16세기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을까. 우선 15-16세기의 문인들이 송명이학에 입각해 서예를 인식 및 비평하였음을 확인하였다. 15세기 문인인 하위지와 신은윤은 송명이학 특히 정주이학적 서예관에 입각해 단종과 성종에게 가르침을 전하였는데, 송명이학적 사유에 입각해 서예를 인식 및 비평한 사례이다. 16세기에 들어서자 송명이학적 사유에 근거한 서예관을 가진 문인들이 이전보다 많아졌고, 서예관 또한 이전보다 확립되었다. 나아가 그들은 송명이학에 근거하여 서예를 인식하고 비평하는 수준을 넘어, 서예 창작으로도 그 체현을 확장시켰다. 정리하면, 15-16세기에 송명이학 서적이 유입됨에 따라, 문인들의 서예관이 송명이학적 사유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Joseon adopted Neo-Confucianism as its official study, and on the basis of its common and Neo-Confucian notions, Joseon was able to receive a lot of help from the Ming Dynasty in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One of the many help was "Books." In the 15th century, Joseon needed book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history, philosophy, legislation, and politics, to establish a centralized regime and form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Therefore, he actively requested books from the Ming Dynasty, and eventually he was able to obtain Songmyeonghak books such as 『性理大全』 and 『朱子語類大全』. Efforts to acquire books continued into the 16th century. This is because the people who studied Neo-Confucianism became the main political force, and they valued books as a way to realize their leadership. The Sareemites acquired Songmyeonghak books based on their political ideology, and eventually several Songmyeonghak books, such as 『朱子大全』 and 『朱子語類』, were introduced to Joseon. Following the tradition, a large amount of Songmyeonghak books flowed into Joseon, and Joseon writers naturally studied Songmyeonghak. As the study of books progressed, writers were influenced by the aesthetic writings and introductions of transcriptional scholars recorded in them. In other words, differences occur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study. The 15th century, when books were just started to be collected for national stability, is the beginning of Songmyeonghak Calligraphy, and the 16th century, when the people who made Neo-Confucianism a major political force, is the deepening of Songmyeonghak Calligraphy. So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writers of the 15th-16th century recognized and criticized calligraphy based on Songmyeongology. Haji and Shin Eun-yoon, writers of the 15th century, taught King Danjong and King Seongjong based on Song Myeong-hak, especially Jeong Ju-yi, which are examples of recognizing and criticizing calligraphy based on Song Myeong-hak's reasons. By the 16th century, there were more writers with calligraphy halls based on Songmyeongological reasons than before, and calligraphy halls were also established than before. Furthermore, they went beyond recognizing and criticizing calligraphy on the basis of transcriptional medicine, and expanded their presentation to calligraphy creation. In summary, the introduction of Songmyeonghak books in the 15th-16th century led to the influence of the calligraphic reasons for calligraphy of writers.

      • KCI등재

        조선 16세기 신도비 비액 전서 연구

        이인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9 No.-

        In this study, Zhuanshu(篆書) in the epitaph of the gravestones(神道碑) during the 16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looked into. The epitaph of the gravestones are the representative objects, in which we can search for in rich the Zhuanshu on the higher plane among the calligraphy materials in Joseon dynasty period. As a character type containing cultural efficiency that holds sublime personal and national rites, Zhuanshu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ulture in Joseon dynasty due to the intimate characteristics that pursued the courtesy-governing(,禮治) and absorbed the courtesy-study(禮學). The 16th century is the time when Neo-Confucianism came to existence in Joseon by some scholars like Seo Kyung-duk(徐敬德), Lee Eun-juk(李彦迪), Lee Hwang(李滉), Lee Yi(李珥), and it is the time when the composition of the ruling caste was changed by Sarim's(士林) entering politics. The Zhuanshu epitaph(篆額) in the 16th century maintains the big frame of Xiaozhuan(小篆), and at the same time it imbu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oseon dynasty comparing to any other time in Joseon. It is considered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scholarly attitude of the literary noblemen in the 16th century and with their reverent spiritual world, who searched for the Chu-tzu Neo-Confucianism((朱子性理學) and founded its academic tradition in Joseon. The Zhuanshu epitaph in the 16th century keeps its consistent flow of Xiaozhuan calligraphic style with straight strokes and neat shapes, and it reveals a few trivial characteristics. It has linear strokes and almost right-angled upright curve, and the space between strokes shows its regular neat shapes, and the strokes are convergent rather inside than outside. The Zhuanshu epitaph in the 16th century shows various attempts on a character type. In the letter ‘Mun(文)’, in the letter ‘Jung(中)’, there appears a unique character type, which is hard to find its origin, and the letter ‘gong(公)’ is written in a bent-full(屈滿) way of writing, which shows bent strokes and full- space. These are considered to be the effects of the intentions to make balance in density of writing sentences, to emphasize the divinity of a character as a type of ceremony, and to let the aesthetic formativeness of a character stand out. And it is also considered to be the effects of the study on Zhuanshu that the character type of Zhuanshu-ornamental ‘seal’ character is appeared, which is different from Xiaozhuan. Instead of dots and short strokes, the appearance of round dots(圓點) in the 16th century is an unusual character of the Zhuanshu epitaph, and it is used constantly until the 19th century. Round dots are to be found in the epitaph of the ornamental ‘seal’ character in Tang dynasty(唐隸), but it is not considered to be the direct cause. The various attempts applying the character type of the ornamental ‘seal’ character, Gŭzhuan(古篆) type, round dots and so on are considered to be a phenomenon in the 16th century, which brought about in the process of finding a way of writing the epitaph in Zhuanshu. Since then, in the Zhuanshu epitaph from the 17th century, we can’t find this kind of attempts any more, and it proceeded to polish the classical Zhuanshu of Xiaozhuan. In the 15th century, in most of the Zhuanshu epitaph there written only the posthumous epithet, and in the 16th century a government post and byname started to appear in the phrase of the epitaph. A government post in the epitaph is considered to reflect the social mood, which puts more stress on the social evaluation on the owner of the gravestone, which is about the role of ruling the people and the ranks of the person as a bureaucrat, than the national recognition. It gives us a chance to make a guess that engraving a private byname of a person in the epitaph of the gravestones shows how big emphasis was put on a person as a literary scholar in spite of one's identity as a ... 조선 16세기 神道碑 碑額에는 15세기와 달리 小篆이 일관되게 사용되었다. 필획은 彎曲이 절제된 곧은 획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轉法은 각도가 느슨하지 않아 획의 흐름이 方正하다. 결구는 획의 포치가 균등한 단정한 짜임을 보여 주고 있다. 16세기 비액 篆書가 다른 어느 세기보다 方正하고 端雅한 것은 주자성리학을 탐구하여 고유의 사상 체계를 모색한 16세기 지식인들의 정신적 태도와 조응하는 것이라고 파악된다. ‘文’, ‘中’, ‘公’ 등 주로 단순한 글자에서 소전과 다른 字形이 나타나는데, ‘公’자는 印篆과 유사한 屈滿의 字法으로 書寫되기도 하였다. 다양한 자형은 章法상 소밀의 균형을 작위적으로 조절하려 한 점과 의장용 서체로서의 신성성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점과 짧은 획을 대신하는 圓點(•)이 나타난 것은 16세기 전액의 이채로운 특징으로서 그 영향은 이후 19세기까지 지속된다. 신도비 비액에서 원점은 唐隸의 隸額에서 찾아 볼 수 있으나 영향을 받은 것은 동시기 조선에서 유행했던 雜體篆으로 여겨진다. 다양한 자형이나 圓點 등은 비액의 篆法을 정립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모색으로 파악되며, 이후 17세기부터는 소전의 書寫法을 세련시켜가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비액의 문구는 15세기에 대부분 諡號만 표기했던 것에 비해 16세기에는 관직명과 별호가 나타난다. 관직명은 碑主의 관료로서 治民의 역할과 관직을 중시하게 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할 것이다. 지식인 사회에서 통용되는 개인의 사적 호칭인 별호가 신도비에 표기된 것은 관료로서의 위상에 있어서도 문인학자로서의 비중이 작용하였음을 알려준다. 신도비 비액에서 가장 존대한 표기는 ‘별호+성씨+先生’인 것으로 파악된다. 2품 이상의 고위 관직을 받은 인물에게만 가능했던 신도비에 별호가 나타나고 ‘선생’이 가장 존숭된 호칭이라는 점은 16세기 士林의 정계진입과 연관되며, 공직자이자 학자였던 조선 지배계층의 복합적 성격을 보여준다. 선조대 부터 시작되는 정파의 분기로 인해 17세기 이후로는 신도비 전액에 참여하는 書者 및 서풍이 碑主의 학맥에 따른 정치적 입지와 연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조가 李山海의 <이언적신도비>(1577년)에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16세기에 南應雲(1509~1587), 金應南(1546~1598) 등 비액의 전서로 이름이 나는 書家들이 나타나는 것 또한 이후 17세기에 비액의 전서를 전문으로 하는 여러 篆者들이 활약하게 되는 전조가 된다.

      • KCI등재

        16세기 고문서 吏讀의 예비적 고찰

        朴盛鍾 한국고문서학회 2004 古文書硏究 Vol.24 No.-

        이 글은 16세기 고문서에 쓰인 吏讀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 및 기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16세기 고문서의 이두를 총망라하여 종합적으로 분석 기술하기 위한 예비적 고찰의 성격을 띤다. 16세기 古文書 중에 이두문으로 작성되었거나 이두가 사용된 것으로는 대체로 民願 및 公證關聯 문서들과 分財 및 賣買關聯 문서들이다. 告身 및 敎令類는 일반적으로 漢文으로 작성되므로 배제되거나, 간혹 예외가 있다. 한자로 표기된 명사류는 고유어와 한자어, 그리고 양자가 섞인 雜種(hybide) 즉, 混合語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중 중세국어 '곳'의 표기는 '庫'와 '庫叱'로 나타나며, '곳'의 용례는 16세기 고문서에서 발견되지 않는 듯하다. 격조사들은 대체로 그 이전 시기와 거의 같은 용법을 보인다. 주격 조사로는 亦과 익지/戈只, 그리고 존칭의 敎是가 쓰였으며, 대격 조사에 乙, 처격에 良中과 分, 여격에 亦中, 조격에 以가 쓰였다. 그런데, 속격 조사는 矣만이 사용되었고, 공동격 조사로는 果 이외에 음운론적 교체에 따른 이표기로 쓰인 臥가 발견되었다. 동사류 吏讀 역시 대체로 그 이전 시기의 것을 이어받고 있으나 약간의 차이점이 발견된다. 예컨대, 중세국어의 '드듸여, 드ㄷㆎ여'의 말음절 어미 형태를 보다 분명히 표기하려는 과정에서 종전의 導良 대신에 導亦이라는 표기가 처음 등장하며, 종전과는 달리 대격 조사 없이 체언에 직접 통합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어미류 이두 중에는 우선 '爲要以'와 '爲要乙仍干'에 쓰인 '要'와, 연결어미 '-니'에 대응하는 표기자 '-尼'가 주목된다. 부사류 이두에도 科科以 대신에 科科만이 16세기 고문서에서 발견되는 점 등의 특징이 발견된다. This paper aims to make a preliminary study on idu in the historical documents of the 16th century. Idu sentences or sentences including idu scripts are found in some types of Korean historical documents. These types of documents are as follows civil petitions, official endorsements, inheritance and gift documents, contract documents for buying and selling, and so on. Documents for royal or kingly commands are usually written in Chnese sentences, and idu scripts are rarely included in them. In idu, Korean noun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e group of them belongs to original Korean, and another one group belongs to Korean-Chinese words, and the other group to hybrid words composed of Chinese and Korean. By Korean-Chinese words we mean those words which have been made by Koreans with the medium of Chinese characters from the early period and are not found in Chinese and Japanese or other languages. Koreans have also made their own characters which are united with two Chinese letters or with one Chinese letter and one Korean letter. These characters are made usually to represent Korean words. For example, '곳' represents Korean word '곳'(a place) which dates back from Middle Korean '곧'. But we cannot find the letter '곳' in 16th century documents, while we find the corresponding expression ' 庫叱' from here and there. Participles in declension which are used in idu of 16th century documents are generally like those in idu before the 16th century. Nominatives are expressed with 亦 or sometimes 익지/戈只, and nominatives in honorific forms are expressed with 敎是. Accusatives are also expressed with 乙, locatives with 良中 or 分, datives with 亦中, and instrumentals with 以. But we can only find 矣 as genitives, and among the comitatives that are usually expressed with 果 there is 臥. This form is considered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clearly representing a phonologically conditioned allophone. Idus for Korean verbs in 16th century documents are also generally like that before that period, but some differences are detected. For example, we find new expression as 導亦 which is corresponding to 導良 before that period. In 16th century documents 導亦 directly follows noun phrase without the accusative, and 亦 is considered to express a detailed sound of the final ending. Among the idu scripts for Korean verb endings the usage of 要 in '爲要以' and '爲要乙仍千' is questioned. And it is important that '-尼' which is corresponding to Korean verbal ending '-니' is used in 16th century documents. In idus for Korean adverbs we see a difference that only 料料 is found in 16th century documents instead of 料料以 before that period.

      • KCI등재

        16세기 서원지의 출현과 지식의 전개

        임근실 ( Lim Geun-sil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3 No.-

        16세기는 조선의 지식인이 書院을 설립하고 書院志를 편찬한 시기였다. 이 글에선 16세기 조선에서 서원이 설립되고 서원지의 편찬을 통해 서원 지식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식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서원은 唐에서 발흥하여 南宋代 주희에 의해 중흥한 후 元ㆍ明을 거치며 官人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성격이 점차 강해졌다. 하지만 16세기 조선에서 설립한 서원은 지식인의 교육기관이면서 지역사회의 정치적ㆍ사회적 기구로서의 특성을 가졌다. 주세붕은 사립 교육기관인 백운동서원을 설립하고, 조선 최초의 서원지 _죽계지_를 편찬하였다. 16세기 조선에서 건립된 서원은 70여 개소였고, 그중 절반이 영남지역에 위치하였다. 더욱이 현존하는 16세기 편찬 서원지도 모두 영남지역 서원의 자료였다. 현존하는 最古의 중국 서원지도 16세기 明의 서원지 10종이며, 이 서원지들은 8가지의 항목을 공통적으로 포함하였다. 16세기는 조선에서도 서원지가 편찬된 시기로 3종의 서원지가 남아있다. 조선 서원지는 중국 서원지와 일정한 차이를 가지며 독자성을 가지고 발전하였다. 16세기 한ㆍ중 서원지는 서원의 여러 정보를 항목 별로 정리하여 수록하였다. 서원지를 매개로 한 서원 지식의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데, 가장 주목해할 부분은 지식 계보의 표출이었다. The 16th century witnessed intellectuals setting up Seowons and publishing Seowonjis around Joseon.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Seowon knowledge being developed by the foundation of Seowons and the publication of Seowonjis in Joseon in the 16th century in terms of knowledge history. In China, Seowons originated in Tang and had a revival by Zhu Xi in Southern Song. In Yuan and Ming, they gradually became an educational institution to bring up government officials. In Joseon in the 16th century, however, Seowons functioned as the political and social institution of the community as well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intellectuals. Ju Se-bung built the Baekwoondong Seowon as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published Joseon's first Seowonji, Jukgyeji. Approximately 70 Seowons were founded around Joseon in the 16th century, and more than half of them were located in the Yeongnam region. Furthermore, all the remaining Seowonjis from the 16th century are materials of Seowons in Yeongnam. The oldest remaining Seowonjis in China are ten Seowonjis of Ming from the 16th century, and they share eight common items with one another. There are three Seowonjis of Joseon left from the 16th century. Seowonjis of Joseon developed their own independent nature with certain differences from their Chinese counterparts. The Korean and Chinese Seowonjis of the 16th century showed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Seowon knowledge with the noteworthy expression of knowledge pedigree.

      • KCI등재

        『묵재일기(默齋日記)』와 『미암일기(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의 관(冠),혼(婚),상(喪),제례(祭禮)

        송재용 ( Jae Yong Song ) 근역한문학회 201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0 No.-

        The literary documents that recorded have been a very few and there have been an extremely few studies based on them. He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ing-of-age, wedding, funeral, sacrifice shown in 『Mukjeilgi(默齋日記)』 by Lee Mun-geon(李文楗: 1494~1567) and 『Miamilgi(Diary of Yu Hui-chun and printing blocks: 眉巖日記)』 by Yu Hui-chun(柳希春: 1513~1577) that recorded the coming-of-age, wedding, funeral, sacrifice actually performed 16th centur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could be as below. In case of the coming-of-age rituals, 16th century was it seemed that it was informally performed only in gentry families. In case of wedding rituals, 16th century was people mainly followed Jooja-garye (朱子家禮) mixed with our unique wedding customs. Especially, ban chinyeong was such a case. Furthermore, it seemed common that there were gentry families that used a live wild goose instead of a wooden wild goose before the Imjin Waeran. However, most of them used a wooden goose was 16th century. The procedures of funeral rituals did not seem to be completely and systematically established. However, it was gradually systematized and put in good order of 16th century. By the way, one needs to pay attention to Soryeom(小殮) and Simyo (mourning at the graves of one`s parents: 侍墓). Soryeom was held on the death-day of the deceased of 16th century. Speaking of sacrifice rituals, 16th century was a Jooja-garye(朱子家禮)-oriented sacrificial method was not fully applied of 16th century and it seemed that it was practiced while the ordinary customs of the times was employed in part at the same time. In the meantime, noticeable in the sacrificial rituals of the 16th century were Bongsa-daesu that was not regulated properly, Saenghui-ilje(生諱日祭) that was not cistent ven in Jooja-garye(朱子家禮) and Yeongdang-je (sacrifice i theshrine with a portrait of the deceased: 影堂祭) & Yunhoi-bongsa (memorial service I turn) with Buddhist characteristics that were performed only in some areas or family clans. Especially, Yunhoi-bongsa(윤회봉사) was attention. From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 the study could not only diachronically figure out the rituals of coming-of-age, wedding, funeral, sacrifice of 16th century to extent. In this regard, the study could be considered very meaningful in terms of both manners and folklore.

      • KCI등재

        율곡의 『순언』에 대한 고찰 - 16세기 조선 시대문화의 전개와 연관하여 -

        윤천근 ( Youn Cheun Guen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6 No.-

        『순언』은 이이 공부의 중심에 놓여지는 책은 아니다. 『순언』 속에 담긴 정서는 율곡 이이의 시대, 16세기 조선의 문화지형을 바탕으로 하는 것도 아니다. 그런 점에서 『순언』을 살펴보는 것은 나름의 한계를 갖는 것이기도 하다. 16세기 조선은 성리학적 문화지형, 주자근본주의를 강화 심화시켜 나가는 시기이다. 16세기 조선은 13세기에서 14세기를 넘어가며 진행된 고려와 조선의 문화적 선택을 상속받고 있다. 조선은 이미 유학의 나라를 선언하고 출발하지만, 유학적 문화지형의 토대를 갖추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조선의 전 역사과정을 통해 이 문화지형의 토대를 갖추는데 16세기만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때도 없다. 16세기 조선의 문화지형을 대표하는 두 인물을 들자면,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를 말할 수 있다. 이 두 인물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이 시기 조선의 주자 중심적 성리학 문화지형을 완성하여 나갔다. 이들은 조선의 성리학적 문화지형의 건설자로 불리워질 수 있다. 그런 시대의 두 인물 중 한 사람, 율곡 이이에게서 『순언』 같은 책이 나온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순언』은 이이의 눈으로 노자 『도덕경』 전편을 요약하고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몇 몇 구절에 관심을 표명하는 것이 아니라, 전편에 두루 시선이 미친다는 것은 이 책에 일정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여 진지하게 탐구하였다는 이야기가 된다. 조선 지식사의 년표 속에서 도가사상에 대한 본격적 연구를 제출하여 놓고 있는 처음 자리에 이이가 놓여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조선의 16세기에서, 다른 사람도 아닌 이 시기의 큰 선생 중의 하나인 이이가 수행하였다는 것은 그 자체가 하나의 중요한 탐구 대상이 될 만 하다. 이것은 개인과 문화, 시대문화와 개인의 문화적 자유 같은 것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16세기 조선은 각 사대부 가문마다에서 유학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키기 시작하는 때이다. 큰 선생도 있는 시기이고, 많은 제자, 전 시기에는 없었던 규모의 많은 제자들이 출현하는 시기가 이 때인 것이다. 이 시기 사대부 가문의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이미 유학의 사람으로 체계적인 교육을 받고 있다. 율곡 이이에게서도 우리는 그 점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율곡 이이는 이미 초년교육을 통해 유학적 의식을 갖춘 상태에서 유학의 세계 밖으로 걸어나오는 지적 모험을 감행한다. 불교로, 노자로, 그의 발걸음은 펼쳐지는 것이다. 노자를 향한 그의 지적 탐색의 역정이 만들어 낸 것이 『순언』이다. 『순언』 속에는 이미 유학적 식견을 갖춘 이이의 시 선이 있고, 또 노자의 시선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여 보고자 하는 노력도 있다. 그 둘은 서로 뒤엉켜 있어서 구분하기 어렵다. 그러나 『순언』의 세계를 통과하여 이이는 유학 밖의 세계로 걸어나가지는 않는다. 그는 이미 유학의 사람으로 육성되었고, 그는 주자근본주의를 심화 확장 시켜 내고 있는 시대문화 속에 놓여진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의 그의 지적 모험은 탈주의 모습을 띄는 것이 아니라 외출의 양상을 갖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순언』을 비롯하여, 유학 또는 주자 밖에 놓이는 지식세계를 널리 탐색하였던 것은, 그 자신의 지식의 역정 속에서 그 진리를 보다 순결한 것으로 만들어 갖기 위한 노력을 치열하게 전개시킬 수 있도록 이끌어 갔던 주요한 자산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Soon Eon』 is not a book that is placed at the center of Lee Yi's study. The emotions contained in 『Soon Eon』 are not based on the cultural topography of Joseon in the 16th century, the era of Yulgok Lee Yi. In that respect, looking at 『Soon Eon』 is also a limitation of its own. The 16th century of Joseon, it was a period of strengthening and deepening Neo-Confucian cultural topography and Zhu Xi fundamentalism. It has never played an important role as much as the 16th century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is cultural topography throughout Joseon's entire history process. To name two people representing the cultural topography of Joseon in the 16th century, Toegye Lee Hwang and Yulgok Lee Yi can say this. These two people moved forward and backward, completing the cultural topography of Neo-Confucianism centered on Joseon during this period. It is surprising that one of the two people of such a period, Yulgok Lee Yi, comes out with a book like 『Soon Eon』. 『Soon Eon』 is a book that summarizes and explains the entire book of Lao-tzu 『Do-deok-gyeong』 with Lee Yi's eyes. Rather than expressing interest in a few verses, the fact that the eyes are all over the previous book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This work was carried out in the 16th century of Joseon by Lee Yi, one of the great teachers of this period, not anyone else, it itself deserves to be an important object of inquiry. This makes me think a lot about things like individuals and cultures, the culture of the times, and individual cultural freedom. In the 16th century, Joseon began to study Confucianism in earnest in each family for their children. During this period, children from the noble family were already educated as people studying Confucianism from an early age. Even in Yulgok Lee Yi, we can clearly confirm that point. However, Yulgok Lee Yi is walking out of the world of studying from home with a Confucian consciousness through initial education. His steps unfold to Buddhism, Lao-tzu. it is 『Soon Eon』 that his passion for intellectual exploration toward Lao-tzu created. In 『Soon Eon』, there is a gaze of Lee Yi, who has already studied Confucianism, and there is also an effort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Lao-tzu's gaze. The two are intertwined,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However, through the world of 『Soon Eon』, Lee Yi does not walk outside of studying Confucianism. This is because that he has already been nurtured as a man of study Confucianism, and he was a person placed in the culture of the times that was deeply expanding of the Zhu Xi fundamentalism. That's why his intellectual adventure does not appear to be a departure, but merely a pattern of going out. However, he explored the world of knowledge that was placed outside of studying Confucianism, including 『Soon Eon』, it can be said to be a major asset in the midst of the fervor of his own knowledge, lead him to fiercely develops efforts which made the truth more pure.

      • KCI등재후보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문학사회학적 인식 지평과 문학생성 공간의 연구

        정출헌(Chung Chul He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4 No.-

          16세기 전반 사림파 문인을 단순한 학자 또는 문사로만 부르기엔 부족하다. 오히려 사회 변혁을 위해 분투하던 실천적 관료에 가깝다. 본고에서는 이런 전제 하에 己卯士林으로 명명되기도 하는 ‘젊은’ 그들, 바로 初期士林派의 현실인식과 문학창작의 실천을 밝히고자 했다. 그리하여 우리는 잠정적이긴 하지만, 다음 세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BR>  첫째, 16세기 사림파 문인이 지니고 있던 현실인식과 문학론의 실체이다. 그들은 자신의 개혁적 이상과 기존의 載道論的 文學論을 결합하여 독특한 문학사회학적 지평을 구축하고 있었다. 小學에서 제시한 ‘성리학적 이념’을 문학은 교화의 도구라는 ‘교화론적 문학관’과 굳게 결합시키고 있었던 것이다.<BR>  둘째,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이런 문학사회학적 인식은 향촌사회라는 현실공간과 만나게 되면서 기존의 문제의식과 그 실천방안을 보다 정치하게 가다듬을 수 있게 되었다. 長子 중심의 상속제도 변화에 따라 향촌사회에서 점차 심화되고 있던 형제간의 갈등에 주목하게 된 것은 그 대표적 사례이다.<BR>  셋째, 16세기 사림파 문인이 추구한 ‘문학적 감동’과 ‘사회적 교화’의 결합을 통한 문학창작 행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중국 白話小說을 ?案한 〈五倫全傳〉이 있다. 이 작품은 ‘서사적 감동’과 ‘교화적 목적’이 어우러져 16세기만의 독특한 미적 성취를 이룩하고 있다. 이런 창작 실천은 17세기 후반에 쏟아져 나오기 시작한 〈사씨남정기〉ㆍ〈창선감의록〉, 곧 흥미와 교화가 미묘하게 엇갈리는 지점에서 창작?유통되던 閨房小說의 산출기반을 구축하고 있었던 것이다.   It is not very appropriate to call the early 16th century confucian scholars simple scholars or literary people. They are more like practical government officials who would rather struggle for social reforms. With this presupposition this study is to elucidate recognition of reality and practice of creative writing of those early Sarim school or young scholars of Gimyo Sarim. Thus, following three conclusions were drawn potentially.<BR>  The first conclusion is about the substance of literary theory and recognition of reality of the 16th century Sarim school scholars. They were establishing unique literary sociological horizon by combining their own reform ideal and existing literary theory of moral value. They combine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by the book Sohak, teachings of Zhu xi with educational literary viewpoint, in which they consider literature as instrument of education.<BR>  Second, the literary sociological cognizance of the 16th century Sarim school scholars encountered real space, which is rural villages and could put existing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its practical methods in order. A representative instance is that they paid attention to worsening brotherly confli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ight of primogeniture in the rural communities.<BR>  Third, Oryun jeonjeon, or adaptation of colloquial Chinese novel, shows creative literary activity through combination of literary impression and social education, which is pursued by the 16th century Sarim school scholars. The work joined narrative impression and educational purpose so that it could accomplish unique aesthetic achievement of the 16th century. The creative practice founded the basis of literature for women of Joseon Dynasty, which was written and circulated in the late 17th century when interest and instruction were crossed subtly, such as Sassi-namjeonggi and Changseon- gameuirok.

      • KCI등재

        연시조 성격의 대비적 고찰

        김상진(Kim Sang-Jean) 한국시조학회 2005 시조학논총 Vol.22 No.-

        연시조는 몇 개의 시조가 하나의 제목 아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시가의 형태로 시조의 하위 범주에 속한다. 우리 시가사에 연시조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6세기이다. 이 시기는 사대부 문학이 중심이 되던 시기로 단형시조와 연시조, 그리고 가사가 함께 불려졌다. 그렇다면 왜 동일계층이 서로 다른 양식으로 노래하게 되었는가라는 의문이 생기게 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궁금증으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연시조의 성격을 단형시조와 가사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논의를 전개함에 있어서는 16세기 작품을 대상으로 삼는다. 연시조는 성리학의 발전과 함께 발전하게 되는데, 16세기는 성리학이 크게 성행하였던 시기로 연시조 또한 그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그 후, 17세기에 이르러 다수의 연시조가 창작되는데, 17세기의 작품이 16세기의 작품을 토대로 계승ㆍ발전하는 만큼 16세기 작품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16세기 연시조는 강호시조와 훈민시조의 두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강호시조에는 육가의 전통을 이어받는 육가계 연시조와 사시가의 전통을 이어받는 사시가계 연시조가 포함되며, 훈민시조에서는 오륜의 질서 및 사회규범 등을 노래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 그리고 〈훈민가>를 대상으로 16세기 연시조의 성격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모두 효용적 가치를 목적으로 한다는 공통점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형시조와 가사를 논의함에 있어서는 송강 정철의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한 작가를 대상으로 한 것은 논의의 전개를 위해서는 동일 잣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송강은 단형시조와 연시조, 가사를 모두 제작한 경우로 서로 간의 변별성의 잘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그 결과 단형시조와 가사는 개인의 정서적 미감을 노래했다는 공통점을 보이는데, 그 중에서도 단형시조는 정서의 함축이, 가사는 보다 심층적인 정서를 드러내는 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연시조는 성리학자의 이념을 담아내기에 적합한 시조를 노래하되, 시조가 3장으로 시상을 완결하여 그들의 효용적 가치를 충분히 전달하기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시조를 택한 것이라 하겠다. The Younsijo is a stream of Korean poem. not simply an aggregate of stanzas. but an organic structure. Younsijo was an appeared in the 16th century. The 16th century was focused on the literature of Sadaebu (noble family, 士大夫). And the make an appearance is Danhyungsijo (simply-sip, 단형시조). Yonsijo and Kasa(가사). In that case, a social stratum is why does singing each other form. The 16th century set metaphysics (성리학) as the national ideology. Metaphysics became most prevalent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Yonsijo also appreared during the 16th century and was closeiy related to the idea of metaphysics. Both Younsijo and metaphysics were formulated by noble family, The Yonsijo was Formed in 16th century, And the 17th century was succession. The Yonsijo in 16th century is devide to Kanghosijo (강호시조) and Hunminsijo (훈민시조), Also, Kanghosijo is devide to Youkgaline Younsijo(육가계 연시조) and Sasigaline Yonsijo (사시가계 연시조). Hunminsijo used an expressive on the order of Oryoun(五倫). Therefore, this study is forced on 〈Dosansibigok (도산십이곡)〉, 〈Kosangukokga (고산구곡가)〉, and 〈Hunminga(훈민가)〉. These things, all of the end of the utility. This paper deals with Danhyungsio and Kasa with main emphasis on works of Songgang(송강) Jungcheol(정철). The reason for dealing one writer's works is the discussion needs consistent standard. In analyzing Songgang's Danhyungsijo, Younsijoand and Kasa, one would discern the differences among three. As a result, one could conclude that both Danhyungsijo and Kasa mainly projects individual's emotional esthetic feeling, particularly, Danhyungsijo for emotional implication, and for in-depth emotional revealing. Younsijo were chosen as it supplements the shortcoming of Sijotas it consists of three-line only) to effectively contain the ideas of metaphysics.

      • KCI우수등재

        현재의 글로벌화는 `1571년`에 시작되었는가?-`16세기 글로벌화기원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현재열 ( Hyun Jae-youl ) 한국서양사학회 2017 西洋史論 Vol.0 No.132

        많은 역사가들은 16세기 이후 은을 비롯한 여러 상품의 세계 전역에 걸친 교역활동의 전개를 통해 `세계경제`가 등장했다는 점에 대체로 동의해 왔다. 이 16세기 은 교역의 전개와 세계경제 등장에 대한 논의에서 학술적으로 큰 공헌을 한 이로 데니스 플린과 아르투로 히랄데즈(Dennis O. Flynn & Arturo Giraldez)가 있다. 이들은 세계 은 교역을 국제경제에 적용하는 거시경제적 시각이 아니라 실물적 측면에서의 미시경제적 시각에서 접근하여 세계 은 교역의 메커니즘을 수요·공급의 법칙에 입각해 설명하는 데 기여를 했고, 아울러 세계시장의 형성을 `수많은 지역시장의 통합`으로 설명함으로써 세계경제의 등장에 대한 이해에도 크게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플린과 히랄데즈는 2000년대를 전후해서부터 16세기 세계경제의 등장이 오늘날의 `글로벌화(globalization)`의 기원이라는 주장을 강력하게 제기해 왔다. 그들은 세계 무역의 연결관계에서 만이 아니라 16세기 이후 `전 지구적인` 생태학적·병리학적 연결관계의 등장을 주요 근거로 삼아 16세기부터 글로벌화가 시작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이 글은 플린과 히랄데즈의 이런 16세기 글로벌화 기원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는 비평 글이다. 먼저 논의의 출발로서 플린과 히랄데즈의 글로벌화 정의를 오늘날의 글로벌화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비교하여 그들의 정의가 가진 문제점들을 밝혔다. 둘째, 16세기 세계경제의 등장을 글로벌화의 기원으로 보는 플린과 히랄데즈의 주장을 전 지구적 `통합(integration)`과 `연결(connection)`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여 16세기 등장한 `세계경제`가 오늘날의 글로벌화에서 제시하는 전 지구적으로 균일하고 일체화된 통합 및 연결과는 그 정도에서 훨씬 못 미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특히 그들의 전체 논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근대 초기(근세) 동아시아 경제의 실상을 근거로 그들의 주장이 가진 한계를 밝혔다. 이런 과정을 통해 플린과 히랄데즈의 16세기 글로벌화 기원론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16세기 세계경제의 등장 이후 오늘날까지의 전개에 대해 질적 전환을 충분히 고려한 신중한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historical scholars have generally agreed on the emergence of `world econom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rades in many goods (including silver) across the world, beginning from the 16th century. Among them, Dennis O. Flynn and Arturo Giraldez, the economic historians of the U.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academic scholarship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silver trade and the emergence of world economy in the 16th century. However, Flynn and Giraldez have powerfully put forward the suggestion that this emergence of the world economy was the origin of today`s globalization since around 2000`s. They have suggested that globalization was born in the 16th century not only in terms of the connections of world trades, but also on the ground of the deployment the world-wide ecological and epidemiological connections. This paper is a critical essay about the argument of the 16th century`s globalization birth by Flynn and Giraldez. To begin with, it considers the definitions of terms, such as `world economy`, `global economy`, `globalization`, etc., and arrange conceptually the world economy and the globalization. Secondly, it clarifies their main arguments concerning the 16th century`s globalization birth by comparing their definition of globalization to other definitions. Thirdly, it approaches their arguments in three dimensions: the definition of globalization, the actual nature of the emerging world economy in the 16th century, and the extents of its integration and connection. Through these examinations, this paper discloses the problems of their argument regarding the birth of globalization in the 16th century,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to approach more cautiously the emergence of world economy by giving sufficient consideration to its qualitative transformations from the 16th century till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