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콜라 부리오의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특성

        김햇빛 ( Kim Haetbit ),김지은 ( Kim Jieun ),김개천 ( Kim Kai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프랑스 출신의 전시기획자이자 비평가인 니콜라 부리오는 이전의 이론으로 설명될 수 없는 과정적이고 참여적인 1990년대의 새로운 예술 경향을 ‘관계미학’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고도의 자본주의 사회를 배경으로 인간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던 이론은 30년이 지난 현재에서 기술의 발달과 인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생태환경을 배경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인간 간의 관계를 비인간을 포함한 관계로 확장한 관계미학의 상생적 성격은 예술 실천의 장소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현대전시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성과 공통된 맥락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연구는 예술이 사회적 문제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통해 확장된 관계미학의 관점으로 현대 전시공간을 바라보고 그 특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통하여 확장된 관계미학의 성격을 도출하였고, 현대전시의 다양한 흐름이 반영된 사례를 통해 현대전시 공간에서 나타나는 내재적 특성을 도출한다. 각각 도출된 특성 언어의 의미를 연계하여 종합된 의미의 최종 언어를 도출하고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의 특성으로 추출한다. 추출된 특성을 선정된 사례분석에 대입하여 적합성을 검증하고 변화하는 사회에서 전시공간이 매개하는 상생의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의 특성은 ‘자유로운 교환’,‘불안정한 연결’,‘필연적 공존’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특성은 상생을 목적으로 현대전시 공간이 상호작용성을 어떠한 방식으로 생산하는지 분석되었다. 초월성, 혼합성, 추상성, 독자성, 수행성, 잠재성의 6가지의 관계 생산 특성과 이것을 대입한 사례분석을 통해 ‘상호작용성’이 대상 간의 관계를 확장 시켰지만, 공간 특정성에서는 비교적 자유롭지 못하다는 한계를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전시공간의 특권적 지위는 예술의 특수성에 의해 부여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예술 현장을 기획하는 작가의 의도와도 무관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론) 이러한 관점으로 바라본 전시공간은 확장된 관계미학의 배경이 되는 사변적 실재론에서 이야기하는 ‘모든 존재의 동등한 지위’와 는 완전히 부합되지 않는 특권적 지위를 갖게 되지만 궁극적으로 상생을 목적으로 하는 지위와 의도는 예술의 예외적 특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술 실천의 장소인 전시공간이 변화하는 환경과 인간이 공존하는 연결점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 French exhibition planner and critic Nicolas Bourriaud suggested the concept of Relational Aesthetics to explain a new intermediate and participatory art tendency in the 1990s which can’t be explained with old theories. Theories that have focused on human interactions in the advanced capitalist world 30 years ago have expanded their meaning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at is affected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human beings in modern days. The coexisting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 Aesthetics that expands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into the relation including non-human objects have common context in the mutual interaction of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that forms communities as an art practice plac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seeing the modern exhibition space with the expanded viewpoint of Relational Aesthetics and understanding i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role of arts in social problems. (Method) It extracted the Implicit characteristics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ceding research. It also extracts the specialties that appear in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through examples that reflect various trends of contemporary exhibitions. Then it extracts the final language of integrated meaning in connection with the meaning of each extracted characteristic language. Then it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exhibition space with the viewpoint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It proves the adequacy by introducing the extracted characteristics into the selected example analysis and suggests the method of coexisting that connects the changing society into an exhibition space.(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viewed by the perspective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are free exchange, unstable connection and essential coexistence. The extrac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see how the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produces the interaction for the purpose of coexistence. It applied transcendence, mixture, abstractness, uniqueness, practice and potentiality and example analysis after using the six relational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relational interaction expanded the object relation but they were not relatively free in space specifics. It was understood that the privileged status of exhibition space is endowed by the specialty of art and not related to the intention of an artist who plans an art area.(Conclusions) From this viewpoin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xhibition space has privileged status even if it isn’t completely equal to all things that are discussed in speculative realism which is the background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But the status and intention targeting ultimate coexistence is an exceptional privilege of art. It is expected the exhibition space for the practice of art becomes a connection point of coexistence of the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 KCI등재

        논문 : 다양한 공간 개념과 공간 읽기의 가능성 -절대적, 상대적, 관계적 공간개념을 중심으로-

        이현재 ( Hyun Jae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2 시대와 철학 Vol.23 No.4

        물리학과 철학사를 관통해온 절대적/상대적 공간 개념의 구분에 따르면, 전자는 물체와 구분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물체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균질적인 공간인 반면, 후자는 물체들 간의 관계를 통해 비로소 구성되는 것으로서 기준이 되는 물체의 질량이나 속도에 따라 다르게 파악된다. 그러나 20세기 사회이론가들은 공간사회이론을 펼치는 과정에서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권력 용기로서의 공간과 사회적 행위자들에 의해구성된 상대적 공간 사이를 우왕좌왕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배타적 권력관계를 비판하기 위해 사회를 권력 용기로 상정했던 이론가들은 이 공간의 변화가능성을 설명할 수 없게 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되었다. 이러한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필자는 이 논문에서 "관계적 공간" 개념을 발전시키고자 했다. 라이프니츠의 상대적 공간개념을 사회 이론적으로 정교화한하비의 관계적 공간개념은 행위자가 맺고 있는 다층적인 시공간 관계들에 의해 공간이 구성된다는 것을 강조하여 보여준다. 그러나 하비의 관계적 공간 개념은 현실적으로 행위자에게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공간구조와 행위자의 여타 관계들에 의한 공간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지를 보여줄 수 없다. 따라서 필자는 뢰브의 공간론을 추가적으로 도입함으로써 배타적 공간구조 형성가 여타의 변형적 공간구성을 관계적 공간 개념 내부의 관계항들로 설명함으로써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는지를 보여주고자 했다. According to the conceptual distinction of space in the history of physics and philosophy, absolute container space has a absolute influence on the objects, while relative space is constructed by relation between objects. But the social theorists of 20th century ran about in confusion of the concept of social space. Some theorists who assumed the social space as a absolute container of power failed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its change. Others who tried to understand it as a construction of a relation between objects couldn`t criticise the powerful spacial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d like to develop a concept of relational space in this paper. For that, I first will introduce Harvey`s distinction between the Leibniz`s concept of relational space and the Einstein`s concept of relative space. The former results from all of relations that the agency has, while the latter is depend on a relation in that the agency is interested. And then, I will expla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owerful spacial structure and the other spacial practices within the concept of relational space, introducing the Low`s space sociology.

      • KCI등재

        유령이 출몰하는 공간 읽기 -인문학과 관계적 공간 개념

        이현재 ( Hyun Jae Lee ) 영미문학연구회 2013 안과 밖 Vol.0 No.34

        In his article “Haunting Orpheus: Problems of Space and Time in the Desert”, Jonathan R. Wynn gives attention to ghosts of space. I show that this Kind of ghosts refers to the in-between space of being/not-being and past/presence/future. It is also the ghosts of space in order to read the diversity of space as text. Two cities described by Wynn in it, Las Vegas and Rhyolite are neither absolute nor relative space. They are not one``s own territory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ir residents. They are not the relative unified spaces following a certain perspective, either. I argue that they are rather close to the relational spaces, which concept David Harvey drives from Leibniz``s monadology. According to Harvey, a resident or a reader reads the diverse relations of a space through his or her experienced data, as a monad reflects the whole relation of university. With this concept of relational space, we can fail to grasp the absolute or objective rule of space. But in my view, it can make us to reveal the diverse and multiple relations which coexist, interact and occasionally crash into each other.

      • KCI등재

        관계미학을 중심으로 본 유휴공간의 예술적 재생에 관한 연구

        허주연(Heo, Ju-Yeon),이정욱(Lee, Jeong-W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5 No.6

        As the dark side of society, Idle spaces, which occurred with the paradigm change due to rapid modernization and industralization, has been existing as a severed part in cities. But with the periodic change, interest in the existing place and regional regeneration, and the necessity of reconsidering about the idle spaces values of space, city environment, socio-culture, and economy was proposed. I estimated that the change of relational aesthetics aspect of modern arts resulted in the consideration of recognizing ‘place’ of art, through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form of modern arts and change of enjoyment were related to space, and the fact that this had a relation with the rise of artistic regeneration of idle spaces. mutually communicative relationship formation and practical form of arts was deduct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relational aesthetics, Idle spaces and artistic regeneration space can be categorized into forms of experiential space, creative space, and cultural space, depending on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author-art-audience. Through the comprehensive analysis, Artistic regeneration space by relationship formation is Vitalization of various forms of art and participation program eliminates the boundary between creation and enjoyment, and the space itself can be said to contain extensive, integral, and nonterritorialization meaning as a place of experiencing art. In other words, Artistic regeneration space of idle spaces form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society, and is placed within the context of daily domain as an open space, straying off from the existing separative and closed artistic space configuration. and artistic changeover of idle spaces is not only the appearance of space that simply fulfills function according to transfiguration of modern art, but signifies that art is coexisting with space as an indivisible relationship, and can be said to be the foothold of new relationship creation as the practical ‘place’ of art.

      • KCI등재

        니콜라 부리오의 관계미학 관점을 기반으로 융합적 전시 공간 분석 – 서울의 세화미술관에서 진행된 <Solid City 솔리드 시티> 전을 중심으로 -

        김다슬,장호진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3

        본 연구는 2021년 서울의 세화미술관에서 개최되었던 전시, <Solid City 솔리드 시티>를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의 관계미학 (Relational Aesthetics)적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한 시도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니콜라 부리오의 관계미학- 28 - 의 의미와 특성을 고찰하여 전시 <Solid City 솔리드시티>의 작품이 내포하고 있는 관계미학적인 패러다임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 미학적 특성들 중에서 ‘형태, 사회적 틈, 관객앞 현전, 상황주의 등’을 주목하여 문헌고찰과 함께사례연구를 이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자 한 전시는 “서울”을 통해 도시의 변화를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하고 전달하고자 한시도이며, 모두 다양한 매체로 표현되어 융복합적 전시공간의 색채를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전시는 특히 급속도로 발전한 “서울”이 안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관계들의 복합성과 모순성에 주목한다. 폭등한 부동산의문제,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재개발의 욕망, 상업지구의젠트리피케이션 (Gentrification) 현상, 주목받고 있는 쓰레기들과 환경 문제들, 그 안에 새롭게 등장하는 예술가들의 공동체 등 이 복잡한 도시 공간을 둘러싼 담론들과그 안의 하위주체들이 그것이다. <Solid City 솔리드 시티>전은 “서울”이라는 한 도시 속에서 생성되어온 다양한 담론들을 재현할 뿐만 아니라, 관람객들이 서울이라는 시공간을 다양한 융복합적 미디어 방식을 통해 적극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전시가 제시하는 사회담론에 참여,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우선 눈에 띈다. 특히 전시 공간 안에서 서울을 재현하는 미디어 프로젝션, 아카이브를 통한 과거와현재의 혼재,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의 재연에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객들, 독특한 오브제들이 어우러지면서 ‘새로운 서울이라는 도시’가 재구성되고 창조되는 전시 경험은 매우 독특한 실례로 주목할 만하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도시에 대한 경험을 재구성하는 과정에 미디어들이 어떻게 관객의 상호작용과 공간적 맥락을 구성하고 있는가 하는 점 역시 흥미로운 지점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니콜라 부리오의 관계미학의예술적 패러다임 중 상호작용, 관객 앞 현전, 교환의장, 이미지에 대한 지각과 인식, 사회적 틈 등의 언어들은 2000년대 이후 예술계에서 활발히 논의되어왔다. 그러나, 그 미학적 탐구가 전시에 드러나는 방식에 있어, 대부분 관객참여예술 (Participatory Art)와 혼동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또 이와 연관한 명확한미학적 지향이나 사회담론을 다루고 있는 전시기획역시 찾아보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니콜라 부리오의 관계미학에 관한 이론적인특징을 고찰하였고, 그가 제시했던 관계미학적 작품의사례를 정리, 기술하여 보다 명확히 그의 미학이론적개념들과 작업들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 전시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정리, 요약하며 그 특징과매체를 분류하였고, 관계미학적인 패러다임이 적용된융복합적 작품 사례를 고찰하였다. 셋째, 니콜라 부리오의 관계미학적 관점이 전시에 적용된 흥미로운 사례를 통하여, 어떻게 서울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있는이 전시에서 한 도시의 공간과 시간을 둘러싼 담론이단순한 특정 미디어 재현을 넘어서, 시각성(Opticality), 전시 기획, 그리고 ... This research examines Solid City, an exhibition held at the Sehwa Museum of Arts in Seoul in 2021, from the perspective of Nicolas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Specifically, this study contemplat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particularly relational form, social interstice, the joint presence of beholders in front of work, and situationism, in analyzing the paradigm of relational aesthetics conveyed in the works featured in Solid City. The aesthetic paradigm and its components described by Bourriaud in his book Relational Aesthetics (1998) have been the subject of abundant discussion since the 2000s, however, aesthetic explorations of this paradigm in art exhibitions have often confused relational aesthetics with participatory art, and few exhibitions have attempted to articulate the aesthetic orientation of relational aesthetics or deal with related social discourse. Based o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this study first identifi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relational aesthetics and the works of art he cites as characteristic examples. Then, this study categorizes past art exhibition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medium and analyzes intermedia artworks that apply the paradigm of relational aesthetic. Lastly, Solid City is presented as a case study of an exhibition that applies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Solid City sought to interpret and convey how cities transform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rough the case of Seoul by featuring artworks using various mediums. The exhibition was unique in that it enabled spectators to experience the creation of a “new Seoul” by bringing together digital projections reproducing Seoul’s past and present based on archival materials, active audience interactions with the reconstructed social discourse, and unique objects placed within the exhibition space. In particular, this exhibition highlighted the complexity and contradictions within diverse social relations that dwell in Seoul, such as the human relationships and ecosystems that are created within the urban space, the desires of city dwellers, and the social roles of artists. The featured artworks reconstructed the social discourses emerging from and surrounding Seoul and its subalterns using multiple forms of digital media while also creating a reflective space of interaction within the physical exhibition space to engage spectators in the extended social discourses embodied in the exhibition. Analyzing Solid City through the lens of Br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provides a thought-provoking example of how intermedia exhibitions reconstruct social discourses through careful planning, opticality, interaction with spectators to move beyond being simple reproductions. The case study also presents an interesting glimpse into how the different mediums form spatial contexts and interact with spectators in the process of this reconstru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timulate further discussion on the present status of Korea’s contemporary art and contribute to deepening the discourse on relational art by providing a Korean perspective.

      • KCI등재

        시적 공간 읽기를 통한 시 감상 교육

        오정훈 배달말학회 2014 배달말 Vol.55 No.-

        Space in poetic works do not exist merely as simple physical background. A space consists in the relationality among various elements inside and forms the attributes of readership through communication a space and another space. In contemporary society that is characterized by disconnection, alienation, and opposition and conflict between subject and other, interest in space should be of some significance. Observing what appears in a work as reconstruction of actual space and bringing light on the re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al attributes of poetic space can broaden the width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work. Furthermore, practical and specific measures to establish as educational elements reality, relationality, and recognizability of space will get students to pay attention to the communicability of space and go from there to bring positive improvement of reality through expectation and effort for a desirable space. While ‘reality and relationality’ of poetic space can be figured out through ‘selecting target element, event, and situation → reconstructing → imagining space’, it will be achieved with ‘cognitive’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ion of’ configuring a poet’s perception → forming student reader’s perception’. 작품 속 공간은 단순한 물리적 배경으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공간은 내부의 다양한 요소들 간의 관계성 속에서 존립하는 것이며, 공간과 공간의 소통을 통해 독자적 속성을 형성하는 것이다. 단절과 소외, 주체와 타자의 대립과 갈등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사회에서 공간에 대한 관심은 그 의의가 남다르다고 본다. 현실 공간이 작품 속에 재구성되어 나타난 현상을 관찰하고, 시적 공간의 실질적 특징과 관계적 속성을 밝히는 작업은 일차적으로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의 폭을 넓혀 줄 수 있다. 아울러 공간의 실재성과 관계성, 그리고 인식성을 교육 요소로 설정하고 이를 교육하고자 하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안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공간의 소통성에 주목하게 할 것이며, 나아가 바람직한 공간에 대한 기대와 노력을 통해 현실을 긍정적으로 개선하리라 믿는다. ‘대상 요소, 사건, 상황 선택하기 → 재구성하기 → 공간 상상하기’를 통해 시적 공간에 대한 ‘실재성과 관계성’을 파악하고, ‘작가의 인식규명 → 학생 독자의 인식 형성’이라는 흐름을 통한 ‘인식성’ 교육은 이를 구현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코워킹 스페이스의 제 3의 공간에 관한 연구

        김재학 ( Jaehak Kim ),이재규 ( 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2

        (연구 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는 급속 성장의 결과로써 무분별한 재개발로 인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소통의 공간이 감소하여 사회적, 문화적, 지역적으로 많은 문제의식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도시는 잠재적으로 개인적,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제 3의 공간 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한다. 하지만 현대인들이 알고 있는 제 3의 공간에 대한 본질에 대한 이해가 미흡하다고 인식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간이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요구되는 공간의 필요조건을 제시한 Ray Oldenburg의 제 3의 공간 이론에 대해서 올바른 이해를 유도하는데 첫 번 째 목적을 둔다. 또한 Ray Oldenburg의 이론이 실질적으로 국내의 공간에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이론의 정립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제 3의 공간 이론과 상응하는 물리적 공간으로서 사회적 이슈로 주목하고 있는 공유 공간으로서의 코워킹 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이러한 공간이 대중들의 요구에 따라서 생성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Ray Oldenburg가 언급한 추상적 개념의 제 3의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여 이론에 대한 해석을 통해서 제 3의 공간에 대한 본질에 대해 파악한다. 마찬가지로 코워킹 스페이스의 개념을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공간의 구성 및 특징을 도출하여 제 3의 공간과 코워킹 스페이스의 개념적, 특징적 관계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위두 공간의 공간 구성 및 특징을 토대로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나타나는 제 3의 공간의 특징요소를 도출하여 국내에 알려진 코워킹 스페이스를 선정하여 제 3의 공간 이론이 적용되는지 사례분석을 한다. (결과) Oldenburg가 그의 저서 'The Great Good Place'에서 언급한 제 3의 공간은 내부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에 있어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했다. 그가 제시한 제 3의 공간의 특징을 중립성, 평등성, 활동성, 접근성 과 적합성, 수용성, 보편성, 유희성, 다목적성 총 8가지로 정리하고 더하여 도출된 특징을 선행연구와 비교하는 과정에서 숫자로서의 차이와 본질적 의미 차이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제 3의 공간이 코워킹 스페이스와 개념적, 특징적 관계에 있어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사례분석을 통해서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제 3의 공간 이론이 전반적으로 적용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결론) 본 연구는 제 3의 공간 이론에 대해서 사회학적으로 접근하여 공간과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추상적 개념의 제 3의 공간이 물리적 공간에 특정한 요소로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를 통해서 제 3의 공간이 현대 사회의 공간적, 지역적, 도시적 접근 시 기능이 아닌 질적 측면으로서 접근하기 위한 규범적 공간 이론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a result of the rapid growth of modern society, spontaneous redevelopment has reduced the space of communication and raised many social, cultural, and regional problems. Cities are thus mentioned to require the third space, as a potentially private and socially contributing space. However, in recognition of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third space among modern people, this study uses Ray Oldenburg's third space theory, which suggests space requirements as spaces change, as the first objective to provide a correct understanding. In addition, we aim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ory by confirming that Ray Oldenburg's theory is practically applied to domestic spaces. For this purpose, we confirm that such space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public for a co-working space as a shared space, which is a social issue as a physical space similar to third space theory. (Method) We will discuss the third space of the abstract concept mentioned by Ray Oldenburg and elucidate the nature of the third space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In the same way, the concept of a co-working space is examin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hird space and co-working space in terms of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is examined by deriving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ally, bas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two spaces, the elements of the third space appearing in the co-working space are derived, and co-working spaces in Korea are selected to analyze the application of third space theory. (Results) The Third Space mentioned by Oldenburg in his book “The Great Good Place” emphasizes social interaction in internal actions. Eight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proposed by Oldenburg are then summarized: neutrality, equality, activity, accessibility and accommodation, acceptability, universality, playfulness, and versati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umbers and essential meanings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derived features with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space has similarities in terms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to co-working spaces. Through the case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third space theory can be applied to co-working spaces as a whole.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relationship with space by approaching the third space theory sociologically and to confirm that the third space as an abstract concept can be applied as a specific element of physical space. Third space theory can be applied as a normative space theory to inform the spatial, regional, and urban approach of modern society as a qualitative aspect, not a function.

      • KCI등재

        공간에 대한 인식과 표현, 미술교육

        이화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4 No.-

        The plastic arts involve the visual modeling in two, three or four dimensions of a space. In other words, the plastic arts use the method to form a specific shape in a space. This is the difference of the plastic arts compared to other fields of art. The plastic arts focus on how to design the spaces. Ultimately, this is the result from the awareness of space. The special awareness determines different types and forms of modeling. Therefore, the key to modeling is ultimately to be the spatial awareness, not the spatial organization. However, spatial awareness is a very complicated matter. Spaces are recognized different by individual. It will be different by time, region and culture, because it is a physical activity but much influenced by culture. Therefore, in terms of space, the existential analysis should be prioritized. In modern education, however, it is seemed that the spatial awareness (philosophy) and visual description of space (art) are separated matters. The awareness and visual description of a physical space is in an inseparable relation. The living space is not something to be divided,but to be united, recognized and described. Unfortunately, in reality, the schools educate students that the relation of the two concepts is separated. The matter of space should be dealt with upon the metaphysics of the humanities and physical science of the material representation combined. In this regard, the separated content of curriculum should be integrated by the common theme of “space” in the education system. 이 연구는 공간 교육을 총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현재 우리는 공간 속에서 살고공간 속에서 죽는다. 공간은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우리 삶의 일부분이다. 공간에 대한 관점을 갖는 것은 세상을 보는 안목을 갖는 것과 다름이 없다. 이와 같이 공간은 우리 생활에서 중요하며 공간 교육에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우리 교육에서 공간 교육은 분절화되고 구분되어서 서로 다른 영역에서 교육되고 있으며 표면적으로 지도되고있다. 이것은 공간에 대한 바람직한 교육이 아니다. 공간교육은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그렇기 위해서는 먼저 공간을 인식과 표현으로 구분하였다. 또한공간의 형식을 절대적 공간, 상대적 공간, 관계적 공간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공간에대한 인식에서 절대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와 뉴턴의 철학을 빌려제시하였고, 상대적 공간은 라이프니츠와 아인슈타인의 철학을 빌려 제시하였다. 그리고 관계적 공간은 하비와 뢰브의 철학을 빌려 제시하였다. 그리고 공간에 대한 표현에서 절대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사실주의 미술을 소개하였고, 상대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입체주의 미술을 소개하였으며, 관계적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표현주의 미술을 소개하여 공간 인식과 공간 표현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을 가중시키는 공간에 관한 연구

        남지현(Ji Hyun Nam) 한국장애학회 2022 한국장애학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factors that aggravate the parenting burde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space centered on adults without disabilities,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 spatial difficulties in various dimensions, and this is highly likely to increase the burden of child rearing. However, the research related to disability-space in the past focused only on absolute space, preventing us from approaching the essential problem of spatial difficulties. In this context, considering both absolute and relational space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ace were examined and how spatial factors aggravate the burden of child rearing were analyzed. To this end, a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o examine spatial factors that aggravate the burden of child rear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central themes were derived: ‘Living in unequal private space’, ‘Public space that does not consider the exis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lational space that places the responsibility of care on families and women’. In the end, the cause of aggravating the burden of care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summarized as “an unequal absolute and relational space”. Due to the unequal absolute and relational space, the spatial experience, life range, and tast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reduced.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mother and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recognized as a unit, emphasizing the responsibility of caring for the mo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patial intervention plans were presented in detail by dividing them into micro-system, mid-range system, and macro-system.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을 가중시키는 공간적 요인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성인 비장애인 중심으로 조성된 공간에서 발달장애아동의 가족은 다양한 차원에서의 공간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양육부담이 더 가중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동안의 장애-공간 관련 연구는 절대적 공간에만 초점을 맞추어 공간적 어려움의 본질적 문제에 다가가지 못하게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절대적 공간과 관계적 공간 모두를 고려하여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가 겪는 공간에서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공간적 요인이 양육부담을 어떻게 심화시키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수행하여 양육부담을 가중시키는 공간적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불평등한 사적 공간 속에서의 생활’, ‘장애아동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는 공적 공간’, ‘돌봄의 책임을 가족과 여성에게 지우는 관계적 공간’의 3가지 중심주제가 도출되었다. 결국,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돌봄부담을 심화시키는 원인은 “불평등한 절대적·관계적 공간”으로 정리해볼 수 있다. 불평등한 절대적·관계적 공간으로 인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공간 경험과 생활 범위, 취향을 축소시키고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아동과 어머니를 하나의 단위로 인식하여 돌봄의 책임을 어머니에게 강조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시체계, 중범위체계, 거시체계로 나누어 공간의 개입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해체주의 건축의 상대적 시·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본 자하 하디드 작품의 차연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정은희 ( Eunhee Jung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2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건축의 대표적인 해체주의 건축가인 자하 하디드의 건축 디자인이 세계 각 도시의 대표적인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공공 건축의 경우 해당 지역의 문화적 이질감과 고액의 세금 부담, 지속적인 유지 보수비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건축 프로젝트는 사망 이후에도 여전히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하 하디드 건축 디자인의 양분화 된 일반적인 평가를 넘어 자하 하디드 건축 작품의 바탕이 되고 있는 해체주의 철학의 관점에서 그녀의 건축이 내포하고 있는 철학적 의미와 그 표현 특성들을 분석하여 평가해 보고자한다. 특히 그녀의 건축적 특징 중 건축의 내·외부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로 시·공간적 소통을 시도하는 측면을 연구의 대상으로 상정하고, 그녀가 사망하기 직전 작품을 중심으로 상대적 시·공간개념의 차연적 표현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자하 하디드 건축에 나타난 상대적 시·공간 개념의 차연적 표현특성분석을 위해 기존 선행 연구들을 조사, 분석하여 대표적인 표현 특성과 분석 방법을 명확히 추출하고, 그 것을 기반으로 2010년부터 2016년 사망 이전까지 그녀가 설계하여 완공한 건축 프로젝트 중 용도와 기능이 중복되지 않는 최근 건축물을 선정하여 분석한 후 사례 분석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정리한다. (결과)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된 상대적 시·공간 개념의 차연적 표현특성은 불확정 개념(개방성, 비대칭성, 비정형성), 다시점 개념(동시성, 중첩), 동적시각 개념(역동성, 반중력성, 투명성)으로 나타난다. 이를 바탕으로 자하 하디드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불확정 개념에서는 비대칭성, 다시점 개념에서는 중첩, 동적시각 개념에서는 역동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고, 사례 전체에서 가장 강하게 표현되는 특성은 중첩으로 나타나고, 가장 약하게 나타난 표현 특성은 투명성으로 나타난다. 또한, 선정된 사례 중 공공 건축의 경우가 상대적 시·공간 개념의 차연적 표현 특성이 다양하고 강하게 나타나고, 주거나 오피스 건축의 경우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난다. (결론) 그녀는 기존 건축에서 선호한 유클리드 기하학을 탈피하고 다양한 상대적 시·공간 개념의 차연적 표현을 시도하여 건물 내·외부 공간에 역동성을 부여하고 그로 인한 상호충돌과 교차의 운동성을 통해 해체주의 철학을 자신의 작품에서 끊임없이 표현하고 있다. 또한 그녀의 건축물은 공간에 머무는 사람들의 시간이 차연되고 상호결합하면서 다면적이고 중층적인 새로운 공간의 의미를 경험하게 한다. 본 논문은 선행 연구를 분석 종합하여 해체주의 건축가인 자하 하디드의 최근 작품에 나타난 상대적 시·공간 개념의 차연적 표현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다양한 욕구와 상대적 가치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 되는 현대사회에서 차연적 표현이 강조된 자하 하디드의 해체주의 건축철학은 앞으로 진행 될 수많은 건축사례에서 여전히 깊이 고민되어야 할 부분이라 생각된다. 앞으로 그녀의 작품세계에 관해 상대적 시·공간 개념 외에 다양한 측면의 차연적 표현 특성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자하 하디드의 작품 세계를 넘어 해체주의 건축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rchitectural design of Zaha Hadid, a representing deconstructivist architect in modern architecture has been applied to representative buildings in each city of the world. Especially, despite sense of cultural difference of the region, burden for high taxes and continuous maintenance cost are expected for public buildings, her architectural project has still been pushed forward vigorously even after her death. Thus, the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philosophical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volved in her architecture in terms of constructivist philosophy that has served as the foundation of Zaha Hadid`s architectural works exceeding general evaluations on Zaha Hadid`s architectural design that are divided into two. Of he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study especially selected an aspect of attempting spatial & temporal communication in various forms in both interior·exterior space of architecture, and aims to investigate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concept focusing on the works immediately before her death. (Methodology) To analyze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concept shown in Zaha Hadid`s architecture, the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previous studies to collec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tical methods clearly, and analyzed her recent architectural examples that use and function are not overlapped out of architectural projects she designed and completed from 2010 to before her death in 2016, and then concluded by integrating such case analyses. (Result)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relative space-time concept produced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re shown as uncertain concept (openness, asymmetry, irregularity), multiview concept(simultaneity, reiteration) and dynamic visual concept(dynamic, antigravity, transparency). As a result of analyzing Zaha Hadid`s works based on the foregoing, asymmetry is most strongly shown in the uncertain concept, reiteration in multiview concept and dynamic in dynamic visual concept respectively, and characteristic which is most strongly shown in the overall cases is reiteration, whereas transparancy was shown the most weakly. While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relative space-time concept is shown the most variously and strongly in public buildings out of selected cases, it was shown relatively weakly in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Conclusion) She had put dynamics to interior and exterior space in the buildings using various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relative space-time concept beyond Euclidean geometry preferred in the existing architecture - and had continually expressed differance characteristic of space-time concept using mobility of clashes and crosses. Along the way, her architectural work makes people`s time during their stay in the space differance and cross-linked, and makes them experience new space with many sides and layers. This study, by analyzing and integrating the previous studies, examined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space as shown in recent work of deconstructivist architect Zaha Hadid. The study believes tha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various needs and relative values is emphasized more than ever, Zaha Hadid`s architectural philosophy highlighting differance expression must be a factor that should still be considered deeply in plenty of architectural work to be carried on in the future. The researchers hope further research be conducted in regard to other various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her work besides relative space-time concept, and we dare expect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help people understand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besides the work world of Zaha Had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