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실과 애도 그리고 돌봄에 대한 이해

        김동영(Dong-Young Kim)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loss, mourning, and caring from a perspective of pastoral theology. While overcoming the linear description of loss and mourning, this study is also to explore the comprehensive process of loss and mourning, and to present an effective method of pastoral care in order to promote the healing of loss and mourning. As if going up the spiral steps, the process of mourning involves the dynamic and complicated dimensions which includes the interactive changes of emotion, and thought, and behavior. As such, pastoral caregiver helps the mourner to (re)form the relational self, while both listening empathically the voice of mourner and paying attention to the painful situation. Pastoral caregiver needs to share the sense of loss and grief, and needs to guide the mourner to establish the new and alternate relationship. Pastoral caregiver is able to use the following method of pastoral care in order to enhance the healing of mourning: 1) to express freely the sense of deep grief in a safe place, 2) to confront with the reality of loss, 3) to accept positively the mourner himself/herself, 4) to relate with other people in the community, 5) to reflect on the life and death in the religious/spiritual dimension, 6) to reorganize the sense of loss and to proceed with new life. In the healing process of mourning, ‘the ability to mourn deeply’ denotes ‘the ability to relate wholly.’ As such, pastoral caregiver leads the mourner to recover the relationships of mourner-mourner himself/herself, mourner-others(e.g., church community members or local community members), and mourner-the divine/God. From a perspective of pastoral theology, Christians enable to accept positively human finitude (which includes loss and death) in the providence of God’s creation. ‘We are able to mourn together’ means ‘we are able to love one another’ through the compassionate love of God. Especially, we enable to see God who suffers with us in the context of loss and grief, to share our own pain and suffering, and to make together a new hope in the presence of Go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loss, mourning, and caring from a perspective of pastoral theology. While overcoming the linear description of loss and mourning, this study is also to explore the comprehensive process of loss and mourning, and to present an effective method of pastoral care in order to promote the healing of loss and mourning. As if going up the spiral steps, the process of mourning involves the dynamic and complicated dimensions which includes the interactive changes of emotion, and thought, and behavior. As such, pastoral caregiver helps the mourner to (re)form the relational self, while both listening empathically the voice of mourner and paying attention to the painful situation. Pastoral caregiver needs to share the sense of loss and grief, and needs to guide the mourner to establish the new and alternate relationship. Pastoral caregiver is able to use the following method of pastoral care in order to enhance the healing of mourning: 1) to express freely the sense of deep grief in a safe place, 2) to confront with the reality of loss, 3) to accept positively the mourner himself/herself, 4) to relate with other people in the community, 5) to reflect on the life and death in the religious/spiritual dimension, 6) to reorganize the sense of loss and to proceed with new life. In the healing process of mourning, ‘the ability to mourn deeply’ denotes ‘the ability to relate wholly.’ As such, pastoral caregiver leads the mourner to recover the relationships of mourner-mourner himself/herself, mourner-others(e.g., church community members or local community members), and mourner-the divine/God. From a perspective of pastoral theology, Christians enable to accept positively human finitude (which includes loss and death) in the providence of God’s creation. ‘We are able to mourn together’ means ‘we are able to love one another’ through the compassionate love of God. Especially, we enable to see God who suffers with us in the context of loss and grief, to share our own pain and suffering, and to make together a new hope in the presence of God.

      • KCI등재

        발달과정에서 겪은 모 사별과 애도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박보라,최연실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가족복지학 Vol.7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urning process of the research subjects who bereaved mothers in childhood in connection with various contexts. To this end,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utoethnography was applied, and the mourning experience was described through ‘emotional-confession’ and ‘analytical-interpretation’ writing methods by collecting reminiscence, self-reflection, writing, and conversation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organiz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mourning response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as personal, family, and social systems through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ecological system theory and life-span development theory. As a result, 16 experiences were derived,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11 sub-topics, two upper-top topics, “mourning process of suppression of emotional pain caused by loss” and “mourning process of embracing lo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represented how the contexts of each system interacted in the mourning process, it revealed the universality in the mourning process of children who died from their parents in the development process. Finally, the limitations,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the tasks to assist in the adaptive mourning process of children by parental bereavement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과정에서 어머니와 사별한 연구대상자의 애도 경험을 상황 속의 맥락들과 관련지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자문화기술지를 적용하였고, 자기회상 및 자기성찰 자료, 글쓰기 자료와 대화 자료 등을 수집하여 ‘감성적-고백적’, ‘분석적-해석적’ 글쓰기 방식으로 애도 경험을 서술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생태체계이론과 전생애발달이론에 기초한 분석틀을 통해 애도 과정을 연대기순으로 정리하여 애도 반응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로 분석, 해석하였다. 그 결과, 16개의 세부경험을 도출하였고, 이를 11개의 하위주제, 2개의 상위주제인 ‘상실로 인한 정서적 고통의 억압’과 ‘상실을 끌어안아 시작한 애도 경험’으로 범주화하였다. 각 체계의 맥락들과 관련지어 애도 과정을 탐색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과정에서 부모와 사별한 자녀의 애도 과정에 보편성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 부모 사별 자녀의 적응적인 애도 과정을 조력하기 위한 과제들을 제언하였다.

      • 내적 대상관계 변형을 위한 애도 과정으로서의 정신분석 심리상담 이해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5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심리상담을 대상관계와 애도 과정의 관점에서 묘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 목표는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데 있다. 정신분석이 무의식을 의식화하기 위해 강조한 개념이 전이와 역전이다. 정신분석은 상담 상황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유년 시절 대상관계를 재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전이로 인해 상담자는 무의식적 압력을 받게 되어 내담자에게 반응한다. 그렇기에 정신분석은 전이와 역전이 개념을 도입하여 지금 여기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분석관계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그 분석관계에서 구현되어 나타나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환상과 갈등, 그리고 내적 소원과 기대가 내담자의 무의식으로 들어가는 효과적인 길임을 알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대상관계의 성격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정신분석에서 중심 과제가 되었다. 결국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내담자의 내면에 깊이 존재하는 내적 대상을 떠내 보내도록 돕는 작업이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 목표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대상관계이론의 효시가 되는 논문 중 하나인 프로이트의 「애도와 우울증」을 시작으로 다양한 상담사례를 통해 내적 대상을 떠나보내는 애도의 과정이 어떻게 정신분석 심리상담에서 핵심 목표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프로이트는 「애도와 우울증」에서 상실의 경험 이후에 어떻게 외부 대상이 내면화되는지의 과정을 설명했다. 이는 우울증의 정신 상태을 의미하며 병리적인 것으로 그는 이해했다. 하지만 이 내면화와 동일시의 과정은 발달상의 핵심 과제로 이해되었고, 그 내적 대상에 대해 다루는 것이 정신분석의 작업에서 중심 주제가 되었다. 그 내적 대상은 상담 상황에 다시 재현되어 나타나며, 정신분석 상담자는 그 내적 대상의 일부가 되어 다뤄줌으로써 애도의 과정을 돕게 된다. 본 논문은 정신분석을 대상관계와 애도과정의 관점으로 조명한다는 점에서 상담자들이 정신분석 상담의 사례를 개념화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the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n terms of object relations and mourning process. The core goal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s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The essential concepts that psychoanalysis emphasized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are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Psychoanalysis has found that the patient reproduces the object relations internalized in his/her childhood in an analytic situation. Due to this transference, the analyst is unconsciously pressured and reacts to the patient in compliance with the pressure. Therefore, as psychoanalysis introduced the concept of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it began to put an emphasis on the analytic relationship between the analyst and the patient, here and now. It was found that the patient’s unconscious fantasies and conflicts, as well as internal wishes and expectations that were embodied in the analysis relationship, were an effective way to enter his or her unconscious. In that sense,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nature of object relations has become a central task in psychoanalysis. In the e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ignificant goal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s the work of helping the unconscious to be conscious and letting out the inner objects that exists deeply within the patient’s psychic world. This article shows how the process of mourning and letting the inner objects go is one of the important task in the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by investigating Freud’s Mourning and Melancholia which is recognized and analyzing various psychoanalytic cases. Freud described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external objects after experiences of loss in “Mourning and Melancholia.” For him, internal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ost loved object meant a mental state of Melancholia which was understood as pathological. However, this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identification began to be understood as a essential task in the child development and dealing with the internalized inner objects became a central theme in the work of psychoanalysis. The inner object reappears in the analytic situation, and the psychoanalytic therapist helps the process of mourning by dealing with the inner object.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conceptualizing and understanding the cases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n that it illuminates psychoanalysis in terms of object relations and mourning process.

      • 부모 사별을 경험한 고등학생의 애도과정에 관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을 중심으로 -

        임선희 ( Lim Sun-hee ),길은영 ( Gil Eun-young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4 미술심리치료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부모와 사별을 경험한 고등학생의 애도과정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알아보고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내담자는 서울시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으로 00기관에서 부모와 사별로 인한 상실로 의뢰되어 12회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축어록, 내담자의 작품, 일지, 연구자의 반응작업, 기관담당자의 보고와 애도이론과 관련 문헌을 활용하였다. 미술치료과정에서 발현된 내담자의 작품과 이야기를 질적 분석한 결과, 첫째, 멍한 상태와 감정표현이 억제된 내담자에게 고인의 기억과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하고 사별로 인한 상실을 다루는 시간을 제공하였다. 둘째, 미술치료 작업을 통해, 내담자는 상실, 이별, 그리움, 이중성, 자신감, 받아들임, 예술의 의미를 발견하게 하였다. 셋째, 내담자의 애도과정에서 미술치료사는 반응작업을 통해 전이 과정을 다루면서 민감한 돌봄을 위해 상실의 감정을 견디고 담아내는 능력을 시각화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헤쳐 나가도록 도울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미술치료는 사별로 인한 상실을 겪은 청소년에게 정서적 재인식과 현실을 수용하게 하였고, 힘든 과정을 함께 하는 치료사에게 미술작업은 애도 상담에서 치료적 관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rt therapy proceeds in the mourning proces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bereavement with their parents, and to examine the response work of art therapists. The client is a second-year high school male student attending a high school in Seoul and was referred to 00 institutions for loss due to consecutive bereavement of parents, and 12 sessions of art therapy were performed. The research data used the oral record, the client’s work, the journal, the researcher’s response work, the report of the institution manager, the mourning theory and related literature. As a result, first, it provided time to safely express the memory and emotions of the deceased and deal with the loss caused by bereavement to the client who was in a state of blankness and emotional expression. Second, through art therapy work, the client discovered the meaning of “Loss”, “Separation”, “Longing”, “Ambivalence”, “Confidence”, “Acceptance” and “Art”. Third, during the client's mourning process, the art therapist was able to help the client navigate his life by visualizing the ability to endure and capture the feelings of loss for sensitive care while dealing with the transfer process through reaction wor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rt therapy allowed adolescents who suffered loss due to bereavement to re-recognize and accept reality emotionally, and that art work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therapeutic relationship in mourning counseling for therapists who shared a difficult process.

      • KCI등재

        부모 사별을 주제로 한 그림책의 애도과정 연구

        손수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0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ype and process of mourn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 books addressing parental bereavement and their influence on young readers. The research subjects were nine picture books whose characters mourn the loss of a parent, and the changes in their thoughts and emo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characters exhibit the same mourning steps, although the types of mourning are diverse. After the death of a parent, the characters experience the mourning process, such as emotional response due to sorrow and shock, cognitive acceptance and internalization, and return to reality and adaptation. To overcome the sorrow, shock, experience recovery, and healing resulting from the death of a parent, it is helpful to have an explanation of death, handling a loss, and comfort and sympathy from people surrounding the characters. Young children have a limited ability to perform abstract thinking, linguistic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Picture books are an easy and friendly media for young readers. Children easily identify themselves based on the character of the books. Consequently, young children who experience bereavement earn the opportunity to recover and heal, and their counterparts experience socialization through preemptive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ocess of mourning using picture books is required for children who experience bereavement to relieve grief and then recover and return to their normal lives.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ducational use of picture books and family counseling is critical to facilitate young children’s mourning process. 본 연구는 부모 사별을 다룬 그림책 속 인물들의 애도과정을 알아보고 유형을 분석해 그림책의 문학적 가치를 드러내고 독자인 유아에게 줄 수 있는 영향력과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유아를 위한 그림책 총 9권이며, 부모 사별을 경험한 인물의 사고와 감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애도과정을 구조화하였다. 연구결과 등장인물들의 애도유형은 다양하게 드러났지만 부모 사별 후 일련의 애도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장인물들은 부모 사별 후 공통적으로 슬픔과 충격의 감정적 반응, 인지적 수용과 내면화, 현실로의 복귀와 적응의 순으로 애도과정을 드러내었다. 등장인물들이 부모 사별의 슬픔과 충격을 극복하고 회복과 치유를 경험하는데 있어서 남겨진 부모를 비롯하여 주변인들의 죽음에 대한 설명, 사별에 대한 대처, 위로와 공감이 크게 도움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그림책 등장인물의 내면의 목소리와 정서의 표출은 글 텍스트뿐만 아니라 그림 텍스트를 통해서도 드러나므로 추상적 사고에 제한이 있고 언어적 표현과 이해에 미숙한 유아에게도 유용하게 의미 전달을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부모 사별을 경험한 인물의 애도과정을 다루고 있는 그림책을 읽음으로써 부모 사별을 경험한 유아는 그림책 속 인물들과의 동일시를 통해 감정적 해소와 회복의 기회를 가질 수 있고, 그렇지 않은 유아는 선제 경험을 통한 사회화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애도과정을 돕기 위한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유아의 애도 상담 시 가족상담적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금오신화』 속 인물의 환상체험과 애도의 의미-〈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를 중심으로-

        김지혜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5 No.-

        This paper analyzed what the fantasy experiences of the characters in Kim Si-seup's three works, “Manboksajeopogi”, “Leesaengyujangjeon”, “Chwiyuboobyuckjeonggi”, mean in the process of mourning. The living in the narrative world experienced the loss of the dead through fantasy experiences and felt the loss behind their loneliness. In addition, he faced the reality of loss that he wanted to deny or shared a sense of loss and sympathized. However, the characters in the three works made a choice to turn their backs on reality in various ways after a fantasy experience. From Derrida's point of view, it is the living person's independent choice to break up with violent reality, and they are always presenting and responsible for the meaning of the dead. The mourning process of the character in Kim Si-seup's work goes beyond the traditional meaning of the living sending the dead well and returning to their daily lives from a Freudian point of view. Through the fantasy experience of the Jeon-gi(傳奇), Kim Si-seup described the process of the survivor remembering and internalizing the dead to become the subject of ethical mourning. While sharing the magnetic field of Jeon-gi(傳奇), Kim Si-seup embodied his own fantasy and aesthetics of mourning. The fantasy experience in which the living is connected to the dead crosses the history of classical novels and continues to appear in modern narratives.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those who enjoy narratives beyond the times know and inherit the power of fantasy in the process of mourning. Based on the axis of the mourning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rigin in analyzing the role and meaning of fantasy by genre. 본고는 김시습의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세 작품 속 인물의 환상체험이 애도 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서사세계의 산 자들은 환상체험을 통해 망자의 상실을 경험하고, 자신의 외로움 이면에 자리잡은 상실감을 체감하였다. 또한, 부정(否定)하고 싶은 상실의 현실을 직면하거나 상실감을 공유하며 공감받았다. 그런데 세 작품 속 인물은 환상체험 후 다양한 방식으로 현실을 등지는 선택을 하였다. 데리다의 관점에서 해석하자면, 이는 산 자가 폭력적인 현실과의 결별을 주체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며 죽은 자들의 의미를 늘 현재화하고 책임지는 모습이다. 김시습 작품 속 인물의 애도 과정은 프로이트 관점에서 산 자가 죽은 자를 잘 보내고 일상으로 돌아오는 전통적 의미를 넘어선다. 김시습은 전기(傳奇)의 환상체험을 통해 살아남은 자가 죽은 자를 기억하고 내면화하여 윤리적 애도 주체가 되는 과정을 그렸다. 김시습은 전기(傳奇)의 자장을 공유하면서도 독자적인 환상과 애도의 미학을 구현하였다. 산 자가 죽은 자와 연결되는 환상체험은 고소설사를 가로지르며 현대서사에서도 지속적으로 출현한다. 이를 통해 시대를 초월하여 서사 향유층은 애도 과정에서 환상의 힘을 알고 계승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애도 과정이라는 의미의 축을 기준을 하여 장르별 환상의 역할과 의미를 분석하는 데 원점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두 번의 반려동물 사별경험과 애도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장미애,김경희,유지영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1 No.4

        · Research topic: The context of two pet bereavement experiences and mourning processes within the experiences of one’s personal and social lives was explored. · Research background: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pets and social interest in pet loss, a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pet bereavement experiences and mourning processes in detail.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Personal life stories were explored as narratives in order to deeply understand the two pet bereavement experiences and mourning processes. · Research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space (Clandinin & Connelly, 2000). · Research results: The study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reconstructed around six semantic themes: "A being who shares pain and joy," "A life disrespected," "A new connection formed by invisible ties," "Happiness rediscovered," "Completion of delayed mourning," and "Expansion of understanding of lif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bringing social support and empathy to those suffering from pet loss.

      • KCI등재

        피해자의 자리에서 본 용서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최지혜 ( Ji Hye Choi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6 목회와 상담 Vol.26 No.-

        본 논문은 오랫동안 인간의 관심사였던 용서라는 주제에 대하여 실제 용서를 해야 하는 피해자의 자리에서 고찰해 보았다. 용서에 대한 문헌연구의 대부분은 피해자의 가해자 용서연구이다. 그러나 이러한 피해자의 가해자에 대한 용서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함도 불구하고 실제 용서를 해야 하는 피해자의 자리에서 고찰된 연구가 없다는 점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며, 이것은 피해자들에게 용서가 강요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기존의 심리학에서의 용서 연구는 정서문제에 대한 연구로서 용서의 치료적 효과를 강조한다. 또한 기독교에서도 용서는 당위적 메시지로 전달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용서의 결과 부정적 정서가 감소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실제 피해자들은 용서를 선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라지지 않는 부정적 정서 경험으로 인해 용서의 어려움을 겪으며, 용서를 실천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듯 기존의 용서연구가 용서의 과정 중에 발생하는 어려움은 간과하고 용서의 결과적 측면만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자는 용서를 결과가 아닌 과정중심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관점의 전환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서의 결과에 집중하기 보다는, 용서를 힘겨운 과정으로서 이해하고자 한다. 그래서 피해자들은 어렵고 힘든 용서의 과정에서 용서의 치료적 효과를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대신에 피해자들은 여전히 남아있는 부정적 정서경험을 제거하지 않은 채, 그러한 정서를 품고 견딜 수 있는 것에 목표를 갖는다. 즉, 용서의 과정은 충분히 분노하고, 좌절하고, 슬퍼하는 시간을 갖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용서의 과정을 연구자는 애도과정과 연결 한다. This paper considers forgiveness on the side of victims who actually need to forgive someone. The topic, forgiveness, has been a main concern of human beings for a long time. Most of the literature on forgiveness involves studies of victims forgiving attackers. Even though these studies are prevalent, the central question of this study arose because there had never been a study that considered forgiveness on the side of victims. This paper’s premise is that victims are forced to forgive. The study of forgiveness in existing psychology has emphasized the therapeutic effect of forgiveness in the study of emotional matters. Also, forgiveness has been delivered as a justifiable message in Christianity. These studies have insisted that forgiveness decreases negative emotion. In fact, although victims chose to forgive, they still experienced difficulties in forgiveness with the existence of a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Therefore, they were not able to practice forgiveness. Likewise, the existing studies on forgiveness have overlooked the difficulties occurring in the middle of the forgiving process and only emphasized the consequential aspect of forgiveness. The researcher suggests the change of perspective to understand forgiveness not as a consequence, but as a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would rather understand forgiveness as a struggling process than focus on the consequence of forgiveness. Accordingly, victims do not aim to experience the therapeutic effects of forgiveness during the difficult and struggling process of forgiveness. Instead, they aim to endure and embrace that emotion without removing the negative emotion that still remain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forgiveness starts with time to get angry enough, be frustrated enough, and be sad enough. The researcher, therefore, links the process of forgiveness to the process of mourning.

      • KCI등재

        말기암환자 가족의 사별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김화순,이종복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09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2 No.-

        사별에 대한 이론적 변화는 현재에도 역동적으로 계속되고 있으며, 사별이론은 아직은 넓게 적용할 수 있는 통합적 이론이 없고, 사별에 대한 균형 잡힌 관점을 위한 서로 다른 분야의 사별이론의 통합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그동안 주를 이루었던 임상 지향적 접근의 사별이론은 그 틀을 벗어나 정상적 애도과정에 대해 좀 더 넓게 이해하는 측면으로 이론적 관점이 발전하고 있으며, 그동안의 애도과정에 대한 많은 전통적 가정들은 다시 세밀하게 검토되고 있다. 호스피스 ․ 완화의료서비스에는 가족에 대한 사별관리도 중요한 한 부분으로 포함되어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완화의료 지침에 말기환자와 그 가족의 욕구충족과 안위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은 물론 사별가족의 지지를 위해서도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현재 호스피스 제도화를 준비 중에 있는 우리나라는 말기암환자 뿐만 아니라 사별 가족에 대해서도 올바른 관심과 이해를 촉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말기암환자 가족의 사별과정과 사별 전후의 경험, 사별과정 및 사별경험의 문화적의미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논의하였으며, 지금까지의 사별가족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연구들에서 주로 결핍되어 있는 부분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re is yet no integrative bereavement theory that can be applied widely but the theoretical change on bereavement is in dynamic progres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integration of bereavement theories in different fields to obtain a balanced point of view on bereavement. So far, the main bereavement theory has focused on the clinical approachbut recently, the viewpoint is developing in a way that focuses on the extensiveunderstanding of the normal mourning process. Also, numerous traditional assumptions on the mourning process are being examined thoroughly. Care of bereavement family is a critical par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early states in the palliative care guideline that service should be provided for the satisfaction of desires and well-being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 families as well as for the support of bereavement family. Presently, Korea is preparing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hospice service and the rightful interest and understanding need to be demanded.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studi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bereavement process of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bereavement, and the cultural meaning of bereavement process and experience.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points that has been lacked in the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bereavement family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bereavement family.

      • KCI등재

        자살생존자 부모의 애도과정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김경희(Kim, Kyung-Hee),이근무(Lee, Keun-Mo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51 No.3

        본 연구는 자살생존자 부모들이 자녀자살로 인한 고통과 애도과정, 결과 등을 주제로 한 국내 질적 연구물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자살생존자 부모들의 고통의 내용뿐만 아니라 애도작업을 통해 어떤 결과에 이르는지를 분석했다. 연구자들은 국내에서 수행된 자살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경험에 관한 12편의 질적 연구물을 분석했다. 질적 연구물을 분석한 결과 173개의 기술적 주제, 44개의 종합주제, 12개의 핵심주제가 도출되었다. 자살생존자 부모들의 애도는 비극과 고통을 승화하고 윤리적 인격으로 성장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자살생존자 부모들이 경험하는 고통의 공감력과 자조모임에 대한 논의를 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언을 했다. This is a qualitative meta-analysis that systematically analyzed domestic qualitative studies on the subject of the pain, mourning process, and results caused by the suicide of children. This study not onl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content of the pain of parents of child suicides but also the results of mourning. Twelve qualitative studies conducted in Korea on the experiences of parents who lost their children to suicide were analyzed. From the analysis, 173 technical topics, 44 comprehensive topics, and 12 core topics were derived. The researchers systematically analyzed these topics according to the mourning process. The mourning of parents of child suicides was found to be a process of sublimating tragedy and suffering and growing into an ethical personalit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the empathy of the pain experienced by parents of child suicides and the self-help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