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격유형, 정서표현, 정서표현갈등 간의 관계 -정신분열병 환자들과 일반인들의 비교

        양세경,오수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schizophrenia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in term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rsonality type.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EEQ),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AEQ), and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much lower in the schizophrenia subjects than in the normal controls. For the normal controls, the lower emotion they expressed, the higher was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owever, for the schizophrenia subjects, the higher emotion they expressed, the higher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 additional finding was that for the schizophrenia group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creased with severity of symptoms and the degree of negatively expressed emotions. Secondly, the schizophrenia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psychoticism and introversion than the normal controls. For the normal subjects, scores on the extraversion/introversion dimension were related to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 high extraversion associated with high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high introversion associated with low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the schizophrenia patients, the higher their extraversion and the lower their psychoticism scores, the higher were their scores for emotional expressiveness. However, the higher their introversion and psychoticism scores, the lower were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cores. Further findings were that, for normal subjects, the higher their introversion and neuroticism scores, the higher was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the schizophrenia patients, the higher their neuroticism scores, the higher was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박근아(Geun A Park),유금란(Kumlan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서표현 양가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총 70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 정서표현 질문지, 한국판 UCLA 외로움 척도를 시행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을 알아보았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SEM)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외로움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서표현성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정서표현성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나, 하위요인은 정서표현성과 각각 상반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로움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은 외로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표현성은 외로움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적응적/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는 상담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는 내담자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도록 돕거나, 정서를 표현하도록 돕는 등 정서표현에 대한 상담자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neliness. Methods A sample of 704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includ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K),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O),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EEQ),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onelines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but sub-factors showed opposit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oneliness, but the sub-factor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onel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oneliness.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validat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nelines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unselor's intervention in emotional expression is necessary, such as helping clients who us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us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r to express emotions in counseling.

      • KCI등재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 양식

        정윤경,박보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4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retrospecte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developmental correlate of their off-spring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For these ends, 547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aries including EEQ, AEQ, and retrospected SEFQ of their m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ir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ly correlated to their retrospection of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hen they retrospect that their mother's expression of positive emotion was high, their positive and intimate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 and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low. When they report that their mother' expression is low both in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they were also low in their emotional expression and most high in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본 연구는 개인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요인으로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47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정서 표현성, 정서표현양가성과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조사하여 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 정도는 자녀의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관련을 맺음이 드러났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 표현이 높을수록 자녀의 친밀 정서와 긍정적 정서의 표현 수준은 높고 정서표현양가성은 낮았다.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 표현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적 정서 표현 수준은 낮으며 정서표현양가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고된 어머니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 표현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구별된 네 군집(긍정상-부정하, 긍정상-부정중간, 긍정하-부정하, 긍정하-부정상) 간의 정서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긍정이 높은 두 집단의 자녀들이 긍정이 낮은 두 집단보다 낮은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긍정적, 친밀 정서 표현을 나타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표현신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김태희,김갑숙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6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investigation about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belief about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ir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221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The instruments in this study included the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BEE), Korean version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The measurements from the BEE, AEQ-K, and PWBS were analyzed using 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ach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표현신념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와 경북에 거주하는 대학생 221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정서표현신념 척도(BEE),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정서표현신념, 정서표현의 양가성과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여 각 척도들 간의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정서표현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정서표현신념, 정서표현 양가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신념과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정서표현신념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내면화된 수치심과 방어유형, 정서표현의 관계

        이지연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internalized shame, defense styl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It also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personal defense style on shame,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overt emotion expressivenes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302 college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data proces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the internalized shame, defense styl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assess the mediation effect of defense style over the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o verify the mediation model, route analysis using SPSS 12.0 was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students' internalized shame level was, the more they used defence mechanism like avoidance, withdrawal, projection, passive-aggressiveness, acting ou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awareness, expressiveness and internalized shame. Third, through implemen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routine analysis, it was shown that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defense style had a part mediation effect on internalized shame, emotion expressiveness, inability of emotion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 expressivenes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방어유형, 정서표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확인해보고자 했다. 그리고 수치심과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그리고 외적인 정서표현성의 관계에서 개인의 방어유형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소재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302명이었다. 자료 처리는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성,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방어유형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방어유형이 수치심과 정서관련 변인들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Baron과 Kenny(1986)의 절차를 따라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치심 수준이 높은 대학생은 자기억제적 방어와 갈등회피적 방어 뿐 아니라, 투사, 수동공격, 행동화방어 역시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치심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보다 자신의 정서를 알아차리는 능력 및 외적인 표현성이 유의미하게 낮고 정서를 표현하는 것에 대한 양가감정은 유의미하게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방어유형은 수치심과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외적인 정서표현간의 부분 매개가 나타났고, 자기억제적 방어와 갈등회피적 방어가 정서표현성에서는 완전매개를 보였다. 분석결과에 대해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 KCI등재

        중년 남성의 성역할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민정(Kim Minjung),정지현(Jung Jihy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성역할스트레스와 중년의 위기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정서표현양가성이 중년의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년 남성 292명을 대상으로 성역할 스트레스, 중년의 위기감, 정서표현양가성, 정서인식명확성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역할스트레스와 중년의 위기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정서표현양가성과 중년의 위기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역할스트레스가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 중년의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이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표현양가성이 높더라도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 경우에는 성역할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역할스트레스가 많아 정서표현양가성을 매개로 중년의 위기감이 높아질 때, 정서인식명확성을 높여주는 것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성역할 스트레스와 정서표현양가성, 정서인식명확성이 중년 남성의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위기감을 경험하는 중년남성을 위해서 , 우선 내면화된 성역할이 중년남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서표현에 대한 태도와 두려움을 심층적으로 탐색, 자각할 수 있도록 돕고 정서표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며, 중년남성들이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알아차리고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ress and the sense of mid-life crisis middle-aged mal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process that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s the sense of mid-life crisis.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92 middle-aged male on gender role stress, mid-life crisis,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clarity.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PROCESS Macro,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ress and the sense of mid-life crisis.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id-life crisi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motional clarity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process that gender role stress affects the sense of mid-life crisis throu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at is, even if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s high, when the emotional clarity is high, the sense of mid-life crisis decreases. This means that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emotional clarity when the sense of mid-life crisis increases through the medium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due to high gender role str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identified the process in which gender role str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clarity affect the sense of crisis in middle-aged male. Results from this study confirmed that for middle-aged male experiencing a sense of crisis, counsel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internalized gender roles on middle-aged men s lives, help them explore and recognize attitudes and fears of emotional express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정서표현성과 주관적 안녕감 관계에서 정서규범의 조절효과

        윤영선,이민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0 No.3

        Existent experimental study on Asian emotional expressivity suggested that expressions of emotion are different between social situation and private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emotional expressivity in two types. The first type of emotional expressivity was co-emotional expressed in social situation. Most existent emotional expression scale uses CEE. The second emotional expressivity was alone-emotional expression(AEE) expressed in private situation. In Study 1, AEE sclae(AEE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is study, preliminary scale with a total of 31 items was administered to 230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2 items were selected. They were administered to 294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0 items were finally selected for AEES. Reliability of the AEES was evidenced by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adequate test-retest reliability estimates over a three-week period. In Study 2,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nor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deter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norm was tested using the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norm between AE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ntras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norm between CEE and subjective well-being.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동양인의 정서표현성은 타인과 함께 있는 경우와 혼자 있는 경우에서 다르게 나타난다는 기존의 실험에 입각하여, 정서표현성을 두 가지 유형으로 보았다. 첫 번째 유형은 타인과 함께있을 때 표현되는 정서성이며, 이를 공유-정서표현성(Co-Emotional Expression)라고 명명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정서표현성 척도들은 내용적으로 살펴볼 때 대부분 공유-정서표현성을 측정하고있다. 정서표현성의 두 번째 유형은 혼자 있을 때 표현되는 정서성이다. 이를 비공유-정서표현성(Alone-Emotional Expression)라고 명명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정서표현성 척도들이 측정하고 있지 않은 정서표현유형이다. 연구1에서는 비공유-정서표현성 척도(Alone-Emotional Expression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총 31문항으로 구성된 예비척도를 230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12문항으로 구성된 본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어 본 문항을 294명의대학생에게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10문항으로 구성된 최종문항을 구성하였다. 비공유-정서표현성 척도에 대한 3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연구2에서는 정서표현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의 억제적 정서규범의 조절효과를알아보았다.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비공유-정서표현성와 억제적 정서규범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공유-정서표현성과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억제적 정서규범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반면 공유-정서표현성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억제적 정서규범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유아의 정서능력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의 관계

        정화영(Jung Hwa-Young),성소영(Sung So-Young)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of young child's emotional compet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mpetence and the variation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cross child's gen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elected from twelve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Taegu and Gu-Mi. They are 326 children who are aged 5 to 6 and their mother. The children's Kindergarten teachers rated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s using measure of Woo's(2002) Emotional Competence Index for Children. The measurement of emotional expression of their mothers are measured by using the SEFQ developed by Halderstadt and his colleagues(1995) and adjusted by Seo(2006). Statistical analyses by using SPSS Win 14.0K are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Especially, Pearson's correlation i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hild's emotional competence and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young child's emotional competence were found between boys and girls. Girls' emotional competence in,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recognition of others,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and emotional langu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boys. Second, there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ccording to child's gender. Third, tes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showed that girls' emotional competence was somewhat related to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hile boys' emotional competence does not have an association with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not only young children's gender but also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young children's strategies of emotion competence.

      • KCI등재

        노년기 정서 표현과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유경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 express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 expressivenes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214 older adults(m=72.83, sd=5.55)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motional express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 resul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emotional expressivity. However, old women experience mor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an old me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economic status, positive expressivity, and negative expressivity significantly predict old men's subjective well-being and positive express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ity significantly predict old women's subjective well-being. The important meanings of emotional express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ver quality of elderly's emotional lif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노년기 정서 표현과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65세 이상의 노인 214명(평균연령 72.83세, 표준편차 5.55)을 대상으로 정서 표현,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서 표현에 있어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에 있어서는 성차가 나타났다. 남성 노인에 비해 여성 노인이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 노인은 경제 상태, 정적 표현, 부적 표현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여성 노인은 정적 표현,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년기 정서적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정서 표현과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서접근적 대처, 정서표현양가성에 대한 잠재계층분석과 심리적 적응 수준의 차이

        신재은,현명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based on emotional processing, emotion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 also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aptation according to latent classes. A total of 223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l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four latent classes: “average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active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coping group”, and “avoidant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Second, psychological adaptation was the best in the “active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with low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he “avoidant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which had the lowest level of emotional processing and emotional expression level and the highest lev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the most psychologically maladaptive condition. Conversely, in the case of the “passive emotional expressive coping group”, emotional processing was similar to the average level, but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high and the level of emotional expression was low so that the degree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at the level of the “avoidant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couraging emotional approach coping in psychotherapeutic practices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정서접근적 대처의 하위 요인인 정서 처리, 정서 표현이 정서 표현 유관 변인인 정서표현양가성의 수준에 따라 몇 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되는지 탐색하였다. 그리고 각 잠재계층의 특성을 정의하고 심리적 적응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총 223명의 연구대상자가 완성한 설문지를 최종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첫째, 연구대상자는 ‘평균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 ‘적극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 ‘소극적 정서 표현 대처 사용 집단’, ‘회피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으로 명명된 총 네 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정서 처리와 정서 표현 수준이 가장 높고 정서표현양가성 수준이 가장 낮은 ‘적극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집단’에서 우울, 불안 수준이 낮고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수용 수준이 높아 심리적 적응이 가장 양호한 반면 정서 처리와 정서 표현 수준이 가장 낮고 정서표현양가성 수준이 가장 높은 ‘회피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이 가장 적응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극적 정서 표현 대처 사용 집단’의 경우 정서 처리는 평균 수준과 유사하게 가능하더라도 정서표현양가성이 높고 정서 표현의 수준이 낮아 심리적 부적응의 정도가 ‘회피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 수준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정서 경험에 대한 개방성을 지니고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하는 정서 처리와 정서 경험을 소통하고자 하는 정서 표현을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것이 심리적 적응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