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시권력들의 작용과 생명 정치 :푸꼬의 권력분석틀과 아감벤의 근대 생명정치학 비판

        양운덕 ( Woon Deok Y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8 철학연구 Vol.0 No.36

        서구 근대 주체의 신체와 생명에 관한 푸꼬의 미시권력 분석, 생명관리 권력bio-pouvoir과 그것을 잇는 아감벤의 생명 정치bio-politica는 어떤 관련을 갖는가? 일상 공간에서 신체를 길들이는 규율절차들에 대한 분석은 ‘생명관리 권력’에 관한 분석으로 나아가는데, 그것을 새롭게 사고하려는 ‘생명정치’의 틀은 ‘예외 상황’에서 주권적 권력에 의해서 추방되고 수용소에서 모든 권리를 상실한 ‘자연 생명nuda nita’과 ‘희생당하는 인간homo sacer’을 주제화한다. 규율 권력은 일상 공간에서 작용하는 지식-권력과 테크놀로지들의 작용이 근대 사회의 선험적 조건임을 제시하는데, 이와 맞물리는 생명을 관리하는 권력은 자연 생명을 권력의 배려 하에 두고자 한다. 생명정치의 틀은 수용소라는 예외적 상태가 정상적인 법, 정치 질서의 기반이고, 자연 생명zoe을 정치적 삶bios으로 고양시키려는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사고가 어떻게 자연생명을 정치공동체에 ‘배제하는 방식으로 포함하는’ 지, 전체주의와 자유민주주의 모두가 어떻게 자연 생명을 권리의 원천이자 희생 지점으로 삼는지를 밝힌다. 생명 정치는 모든 곳을 잠재적인 수용소로 만들고, 살 가치가 없는 생명들을 제거하고, 건강과 치안의 이름으로 국민의 생명을 형태화하고, 실험용 인간들을 과학지식을 위한 도구로 삼는다. 푸꼬는 계몽적 기획에 따르는 ‘능력과 자유의 역설’ 때문에 능력을 증대시키면서도 권력관계를 강화하지 않을 실천 형태를 모색한다. 그리고 자연 생명은 그것에 투자하는 권력의 대상이지만, 동시에 근본 욕구들과 권리들의 지향점, 권력에 대항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아감벤은 근대 서구의 정치 공간에서 자연생명이 ‘적절하게’ 정치화되지 않았다고 보고 자연생명과 정치적 삶bios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How are Michel Foucault`s analysis of micropowers, “biopower” and Giorgio Agamben`s “biopolitics” related (regarding the body and the life of the modern western subject)? While Foucault`s analysis of disciplinary procedures that domesticate the body in everyday spaces leads to that of “biopower, ” Agamben`s framework of “biopolitics, ” which seeks to rethink biopower, thematizes the “bare life” (nuda vita) and the “sacred man” (homo sacer: who may be killed and yet not sacrificed), which have been exiled by sovereign power under “the state of exception” and have lost all rights in concentration camps.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demonstrates that the play of power-knowledge and technologies, which operate in everyday spaces, is the transcendental condition of modern society, and the power that controls life, which works in tandem with such a condition, seeks to subsume the bare life under the regulation of power. Compared with it, Agamben`s framework of biopolitics illuminates how the state of exception of concentration camps is the basis of normal legal and political order, how political thought of the west since Aristotle, which politicize the bare life into the political life, has included the bare life in the political community as “an inclusive exclusion”, and how both totalitarianism and free democracy turn the bare life into the source of rights and the locus of their sacrifice. Biopolitics transforms all places into potential concentration camps, eliminates lives that does not deserve to live, gives form to the lives of a people in the name of health and public peace, and uses human guinea pigs(VP: Versuchspersonen) as the instruments of scientific knowledge. Foucault seeks to find a form of praxis that will enhance one`s ability but will not strengthen power relations, because of the “paradox of ability and freedom” ensuing from the project of enlightenment. In addition, the bare life is the object of power that invests in it yet, at the same time, it is the destination of fundamental desires and rights. Arguing that the bare life has yet to be politicized “appropriately” in the political space of the modern west, Agamben seeks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bare life(zoe) and the political life(bios).

      • KCI등재

        사막의 한 복판에서 꽃 피우기: 쿳시의 「마이클 K」와 아감벤의 “벌거벗은 생명”을 중심으로

        임태연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7 영어영문학연구 Vol.59 No.3

        This paper explores Giorgio Agamben’s concepts of two different forms of life—“bare life” defined in Homo Sacer and “happy life” in Coming Community—discussing their relationship with Michael K’s identity in J. M. Coetzee’s Life & Times of Michael K. Michael’s solitary yet sufficient life as a gardener offers us a more extended way of understanding Agamben’s notions of “happy life,” or “form-of-life.” Throughout the novel, Michael undergoes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At the beginning, his life in many ways resembles Agamben’s concept of “bare life,” but soon new form of life begins to emerge in his deserted condition of life. In other words, Coetzee later in the novel shows us a touch of hope and political futurity through Michael’s passive-active resistance against the government’s identity politics. However, Agamben’s “pure potentials” should not be confused with moralistic values such as will power, faith, and determination. Rather, it is achieved when one’s state of abandonment is pushed to the extreme beyond any light of humanistic values. Both Coetzee in Life & Times of Michael K and Agamben in his theories well demonstrate what it means to live as a “bare life” and what mode of being inaugurates the true “form-of-life” in today’s global biopolitical system.

      • KCI등재

        호모 사케르와 그것의 변형

        서길완(Gilwan Seoh) 한국비평이론학회 2008 비평과이론 Vol.13 No.2

        What Giorgio Agamben calls the 'bare life' is life exposed to the potential for violence. This violence occurs in exceptional conditions in which the sovereign power of decision is exercised beyond the normal juridical processes. Thus we can note that the 'bare life' is created by a state of exception, and that human rights in this state are partly or fully deprived by the sovereign power. In an extreme example, Agamben points to the Jews under Auschwitz, who were completely stripped of their human rights because of the bio-political logic of the Nuremberg laws. The Jew, in the light of the new bio-political regulator, is transformed into 'bare life', and the new space inhabited by this 'bare life' becomes the state of exception, to wit, the concentration camp. In Agamben's words, the camp is the materialization of the state of exception, which is essentially a temporary suspension of the order. The problem is that such a state of exception as found in Nazi practice was not an aberration in human history. In fact, we are confronted with figures of bare life in the contemporary world as well. As an example, unlawful immigrants who are exploited by governments worldwide to assert their national sovereignty, the countless stateless people, the brain-dead bodies that bear witness to the bio-political vocation of modern politics, and so on. All these are inextricably bound with a power that excludes them insofar as they are at every instant exposed to an unconditional threat of death. This means that the concentration camps have not yet disappeared, and that, therefore, 'bare life can reappear in a variety of forms at any given moment. Thus, in the light of Agamben's concepts of 'bare life', 'sovereign power', and 'camp',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otential reduction to bare life that is implicit in modern liberal democracy.

      • KCI등재

        생명정치, 벌거벗은 생명, 페미니스트 윤리

        조주현(CHO Joo-hyun) 한국여성학회 2008 한국여성학 Vol.24 No.4

        푸코는 국민국가의 통치권력이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생명정치를 특징으로 한다고 말했다. 아감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생명정치의 작동방식은 생명을 사회적 생명(비오스)과 벌거벗은 생명(조에)으로 분리시킨 후 벌거벗은 생명을 국가의 통치권으로부터 배제시킴으로써 통치권 안에 포함시키는 포함적 배제의 방식을 통해 권력을 행사하며, 궁극적으로 포함적 배제의 영역은 더욱 확장될 것으로 예견했다. 이 포함적 배제의 영역 안에 놓여있는 사람들이 벌거벗은 생명이다. 이 글은 푸코와 아감벤의 논의를 바탕으로, 벌거벗은 생명으로의 환원이 계급, 인종, 젠더, 섹슈얼리티 등의 사회적 위계 체계들과 상호교차를 통해 확산된다는 점을 주장한다. 또한 벌거벗은 생명의 이미지들의 유통이 무엇을 의도하고 있으며, 그 고통의 이미지들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의 문제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버틀러의 논의에 근거해 생명정치의 시대에 페미니스트 윤리의 방향은 사회적 생명과 벌거벗은 생명 즉 비오스와 조에의 분리를 넘어 통합을 이루게 하는 데 있으며, 이것은 권리의 개념으로 재현되지 않는 벌거벗은 생명의 모습을 듣고 느낄 수 있는 감수성과 상상력의 고양을 통해 인간성을 복원시키려는 기획에서 시작된다는 점을 주장한다. Foucault wrote the sovereign power of nation-state can be characterized by biopolitics regarding population as the object of governing. Agamben elaborated further claiming that biopolitics starts to operate by separating life into qualified life(bios) and bare life(zoe), then simultaneously excluding bare life from and subjecting into sovereign power, or applying exclusion/inclusion tactics and predicted further expansion of the realm of exclusion/inclusion tactics. The people subjected to this tactics are bare life. This work claims, based on the arguments of Foucault and Agamben, reduction into bare life will further spread and be intensified through the intersection with such social hierarchical systems as class, race, gender, sexuality, etc. What the circulation of images of bare life intends to and how to read its images of pain are also the problems discussed. Lastly Butler's arguments are utilized to claim that the direction of feminist ethics in the age of biopolitics resides in going beyond separation of qualified life/bare life or bios/zoe into new politics capable of consolidation without relying on the exclusion/inclusion tactics and this will be possible only by the project that aims to revive the humanity by heightening our sensitivity and imagination capable of discovering and perceiving the hidden aspects of bare life that cannot be reproduced by the concept of human rights.

      • KCI등재

        「헐벗은 삶」과 정치의 붕괴 -잃어버린 전후 70년, 그리고 50년-

        마키노에이지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0

        본고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다. 첫째, 제2차 세계대전 패전으로부터 일본은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취해 왔는가. 달리 말하자면, 전후 일본은 무엇을 상실했는가. 둘째, 전후 일본은 국제관계, 특히 한일국교정상화에 성공했는가. 달리 말하자면, 일본은 국제적·국내적으로 평화 실현에 노력하며, 법적 정의를 실현했는가. 셋째, 일본 사회에 살고 있는 시민은 「올바른 삶」(bios)을 향수했는가. 넷째, 현대 사회가 추진하고 있는 과학 기술은 국내외 국민의 「올바른 삶」에 상응하는 「희망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가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상과 같은 질문에 대한 필자의 대답은 모두 부정적이다. 첫째로, 현재 일본에서는 평화헌법에 적합한 민주적인 정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민은 노력을 통해서 획득한 민주주의·입헌정치를 상실했다. 둘째로, 전후 70년,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이하면서 한일관계는 최악의 상황에 빠져 있다. 셋째로, 일본의 정치는 붕괴상태에 빠져 있고, 「헐벗은 삶」(zoe)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넷째로, 8월 14일의 수상 담화에 대한 평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본은 미국을 예외로 국제적 불신감을 강화시키고 있고 동아시아로부터 고립당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정치의 붕괴를 막고, 국민이 상실한 것을 회복하며, 이웃 국가들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을까.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첫째로, 「7·1 쿠데타」 이후, 일본이 직면하고 있는 정치적 문제를 인간의 「삶」의 양의성과 관련해서 해독한다. 둘째로, 현대 정치의 붕괴와 그에 따라 발생한 「헐벗은 삶」의 여러 문제들을 밝히고자 한다. 셋째로, 필자는 「7·1 쿠데타」가 상징하는 일본의 「정치 붕괴」에 의해서 적나라하게 노출된 「헐벗은 삶」의 상황에 대해서, 정치의 본래 모습을 탐구하기 위한 「올바른 삶」의 의의를 규명한다. 넷째로, 「정치 붕괴」는 아베정권이 목표로 하는 분쟁의 해결 방법이 「자율형 무기」의 활용을 촉진시키고, 「7·1 쿠데타」의 최종 국면으로서 「헐벗은 삶」에 의한 인간의 「올바른 삶」을 위기에 노출시키는 리스크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전후 정치의 붕괴에 가담한 「미국 예외주의」의 공죄를 지적하고, 바람직한 시대의 도래를 위한 방향성을 전망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answer four particular questions. First, what has Japan learned and gained since its defeat in World War II, and what has it lost? Second, did Japan manage to establish favorable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postwar years, particularly in normaliz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To put it differently, has Japan made efforts to achieve peace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realized legal justice? Third, does Japanese society enjoy a qualified life (the English term for the Greek bios)? Fourth, can the science and technology being promoted in Japanese society today guarantee a right to hope as appropriate for the qualified lives of people in Japan and beyond? My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all negative. First, Japan today lacks the democratic governance needed to serve the purpose of its pacifist constitution. The Japanese people have lost democracy and state governance based on constitutionalism, which they had worked so tirelessly to realize. Second, Japan-South Korea relations plunged to a new low as Japan marked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and the 50th anniversary of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Third, Japan’s political scene is on the verge of collapse, exposing a state of bare life (the English term for the Greek zoe). Fourth, Japan has lost the trus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xcept the U.S.) as manifested by various countries’ responses to Prime Minister Shinzo Abe’s August 14 statement on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The nation is increasingly isolating itself from others in East Asia. How can Japan avoid the road to political collapse, recover what its people have lost, and regain the confidence of neighboring countries? This paper discusses these pressing issues. First, I will elucidate, in consideration of life’s ambiguities, the political issues Japan has faced since the fundamental policy change of July 1, 2015, when the Shinzo Abe administration made a Cabinet decision to allow exercise of the right to collective defense. Second, I will discuss the pending collapse of today’s politics and various aspects of the resulting bare life. Third, I will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a qualified life as a way of examining an ideal political world, as opposed to the state of bare life exposed by Japan’s political malaise as symbolized by the fundamental policy change of July 1. Fourth, I will clarify how, under the influence of political collapse, the method of conflict resolution pursued by the Shinzo Abe administration will promote the use of autonomous weapons, and how the bare life concept could endanger qualified life as a consequence of the policy change. Lastly, I will outline the pros and cons of American exceptionalism, which played a part in Japan’s postwar political collapse, and propose a direction to be taken toward a bright future.

      • KCI등재후보

        벌거벗은 생명의 윤리

        김정한(Kim, Jung-Ha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6 No.-

        This paper aims at rethinki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lives based on the concept of Agamben's 'bare life' or 'Homo Sacer', and clarifying what should be a ethical attitude of bare life. Bare life doesn't mean a valuable 'good life', but a 'sheer life' for reproduction of a life without legal and institutional protection in a community. Bartleby's rejection("I would prefer not to") shows bare life's ethical attitude. His passive resistance opens the potentialities to proceed a true activity by rejecting a number of social demands. 'Kim Ye-Seul's manifesto' which is reflected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life is a case of Bartleby's ethics. 이 글은 아감벤의 벌거벗은 생명이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한국 대학생들의 삶을 성찰하고, 벌거벗은 생명이 어떤 윤리 적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에 관해 해명하려는 시도이다. 벌거벗은 생명은 가치 있는 ‘좋은 삶’이 아니라 생명 유지를 위한 ‘단순한 삶’을 살아가며, 공동체 내에서 어떤 법적, 제도적 보호도 받지 못하는 존재이다. 이와 같은 벌거벗은 생명의 윤리적 태도를 잘 보여주는 것이 바틀비의 거부이다. 그의 수동적 저항은 수많은 사회적 요구들을 거부함으로써 진정한 능동적 행위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 최근 대학생들의 삶을 반성했던 ‘김예슬 선언’은, 바틀비의 윤리를 실천한 하나의 사례이다

      • KCI등재

        『위대한 개츠비』와 『영원한 이방인』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두 가지 삶의 방식 연구: ‘비오스(Bios)’와‘조에’(Zoe)의 삶

        신덕용 ( Shin Deokyong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23 현대영어영문학 Vol.67 No.2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ves of female characters in two novels, The Great Gatsby and Native Speak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meaning of life, a meaningful life of a human means enjoying a life with freedom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given to human beings in social relations with others through enjoying basic human rights. Aristotle regarded this meaningful life as political life in ‘Polis’. Therefore, the very point where human right is taken away in forming social relations is lost can be regarded the place where the zoe-like life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The lives of the women in The Great Gatsby and the minority women in Native Speaker become symbols of Zoe life. Deprived of all rights to enjoy as human beings by the society to which they belong, female characters who are simply living, bare lives (Zoe) lose all social relationships in which they are excluded the realm of Bios. It was impossible for marginalized female characters(Daisy and Myrtle in the Great Gatsby; Nameless mother and Ajumma in Native Speaker) to escape from their‘functional roles’, far from living an‘ontological beings.’ It may be a difficult problem for modern people who live the life of Zoe and sometime the life of Bios in various political, cultural, and economic circles to define their identity as on in ever-changing environment. (Dongguk University)

      • KCI등재

        「헐벗은 삶」과 정치의 붕괴 ‒ 잃어버린 전후 70년, 그리고 50년 ‒

        마키노 에이지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0

        본고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다. 첫째, 제2차 세계대전 패전으로부터 일본은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취해 왔는가. 달리 말하자면, 전후 일본은 무엇을 상실했는가. 둘째, 전후 일본은 국제관계, 특히 한일국교정상화에 성공했는가. 달리 말하자면, 일본은 국제적・국내적으로 평화 실현에 노력하며, 법적 정의를 실현했는가. 셋째, 일본 사회에 살고 있는 시민은 「올바른 삶」(bios)을 향수했는가. 넷째, 현대 사회가 추진하고 있는 과학 기술은 국내외 국민의 「올바른 삶」에 상응하는 「희망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가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상과 같은 질문에 대한 필자의 대답은 모두 부정적이다. 첫째로, 현재 일본에서는 평화헌법에 적합한 민주적인 정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민은 노력을 통해서 획득한 민주주의・입헌정치를 상실했다. 둘째로, 전후 70년,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이하면서 한일관계는 최악의 상황에 빠져 있다. 셋째로, 일본의 정치는 붕괴상태에 빠져 있고, 「헐벗은 삶」(zoe)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넷째로, 8월 14일의 수상 담화에 대한 평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본은 미국을 예외로 국제적 불신감을 강화시키고 있고 동아시아로부터 고립당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정치의 붕괴를 막고, 국민이 상실한 것을 회복하며, 이웃 국가들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을까.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첫째로, 「7・1 쿠데타」 이후, 일본이 직면하고 있는 정치적 문제를 인간의 「삶」의 양의성과 관련해서 해독한다. 둘째로, 현대 정치의 붕괴와 그에 따라 발생한 「헐벗은 삶」의 여러 문제들을 밝히고자 한다. 셋째로, 필자는 「7・1 쿠데타」가 상징하는 일본의 「정치 붕괴」에 의해서 적나라하게 노출된 「헐벗은 삶」의 상황에 대해서, 정치의 본래 모습을 탐구하기 위한 「올바른 삶」의 의의를 규명한다. 넷째로, 「정치 붕괴」는 아베정권이 목표로 하는 분쟁의 해결 방법이 「자율형 무기」의 활용을 촉진시키고, 「7・1 쿠데타」의 최종 국면으로서 「헐벗은 삶」에 의한 인간의 「올바른 삶」을 위기에 노출시키는 리스크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전후 정치의 붕괴에 가담한 「미국 예외주의」의 공죄를 지적하고, 바람직한 시대의 도래를 위한 방향성을 전망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answer four particular questions. First, what has Japan learned and gained since its defeat in World War II, and what has it lost? Second, did Japan manage to establish favorable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postwar years, particularly in normaliz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To put it differently, has Japan made efforts to achieve peace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realized legal justice? Third, does Japanese society enjoy a qualified life (the English term for the Greek bios)? Fourth, can the science and technology being promoted in Japanese society today guarantee a right to hope as appropriate for the qualified lives of people in Japan and beyond? My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all negative. First, Japan today lacks the democratic governance needed to serve the purpose of its pacifist constitution. The Japanese people have lost democracy and state governance based on constitutionalism, which they had worked so tirelessly to realize. Second, Japan-South Korea relations plunged to a new low as Japan marked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and the 50th anniversary of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Third, Japan’s political scene is on the verge of collapse, exposing a state of bare life (the English term for the Greek zoe). Fourth, Japan has lost the trus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xcept the U.S.) as manifested by various countries’ responses to Prime Minister Shinzo Abe’s August 14 statement on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The nation is increasingly isolating itself from others in East Asia. How can Japan avoid the road to political collapse, recover what its people have lost, and regain the confidence of neighboring countries? This paper discusses these pressing issues. First, I will elucidate, in consideration of life’s ambiguities, the political issues Japan has faced since the fundamental policy change of July 1, 2015, when the Shinzo Abe administration made a Cabinet decision to allow exercise of the right to collective defense. Second, I will discuss the pending collapse of today’s politics and various aspects of the resulting bare life. Third, I will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a qualified life as a way of examining an ideal political world, as opposed to the state of bare life exposed by Japan’s political malaise as symbolized by the fundamental policy change of July 1. Fourth, I will clarify how, under the influence of political collapse, the method of conflict resolution pursued by the Shinzo Abe administration will promote the use of autonomous weapons, and how the bare life concept could endanger qualified life as a consequence of the policy change. Lastly, I will outline the pros and cons of American exceptionalism, which played a part in Japan’s postwar political collapse, and propose a direction to be taken toward a bright future.

      • KCI등재

        『나는 무늬』에 재현된 청소년 주체의 애도 양상과 교육적 의의 - 벌거벗은 생명으로서의 청소년 노동자에 주목하며 -

        강서희 한국아동문학학회 202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9

        이 연구는 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벌거벗은 생명으로서 청소년 노동자에 주목하고, 이들의 죽음에 대한 청소년 주체의 애도 양상을 통해 윤리적 주체로서의 성장 양상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청소년 소설 『나는 무늬』에 나타난 청소년 노동자의 죽음을 벌거벗은 생명의 죽음으로 규정하였다.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은 교육받을 존재로 규정하며 노동과 분리하면서 청소년 노동자의 문제는 사회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청소년 노동자들은 보이지 않는 영역에서 열악한 노동 환경에 노출되고, 나아가 생명을 위협당한다. 이는 청소년 노동자는 벌거벗은 생명으로서 존재함을 의미한다. 청소년 소설 『나는 무늬』는 청소년 노동자 진형의 죽음과 그 은폐된 진실을 밝히고자 하는 문희와 친구들을 그린다. 주인공 문희는 역시 벌거벗은 생명의 위치에 놓인 할머니의 죽음을 매개로 진형의 죽음을 직면한다. 그리고 다른 청소년과 연대하여 진형의 죽음의 진상을 밝혀 바르게 기억하고자 한다. 이 과정은 벌거벗은 생명에 대한 윤리적 움직임이자 그 죽음에 대한 애도 과정이다. 이러한 적극적인 애도 과정은 청소년이 주체성을 찾고 성장하며 자기 삶에 놓인 부조리함을 이해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최근 문학교육에서도 타자에 대한 이해와 공동체 문제로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 작품은 청소년 노동자라는 타자의 삶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나아가 청소년 주체의 성장 과정 가상적으로 체험할 수 있기에 청소년 학습자의 교육적 매체로서 의의가 크다. This study focuses on underaged workers as a bare life in youth novels and attempts to reveal the growth pattern as an ethical subject through the mourning pattern of youth subjects for their deaths. To this end, the death of a youth worker in the YA novel I Am a Pattern was defined as the death of a bare life. In our society, adolescents are defined as being educated, and as they are separated from labor, the problem of underaged workers has not received social attention. Underaged workers are exposed to poor working conditions in invisible areas, and their lives are further threatened. This means that underaged worker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bare life. The youth novel I Am a Pattern depicts the death of Jin-hyung, a youth worker, Moon-hee, friends who want to reveal the hidden truth. The protagonist, Moon-hee, also faces Jin-hyung's death through the death of his grandmother, who is in the position of bare life. In solidarity with other adolescents, I want to reveal the truth of Jin-hyung's death and remember it correctly. This process is an ethical movement for bare life and a process of mourning for death. This active mourning process shows the pattern of adolescents finding and growing identity and understanding the absurdity of their lives. In recent literature education, understanding others, participation in community issues have become important. This novel is of great significance as educational material for students because it helps them understand the life of the other as an underaged worker.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virtually experience the growth process of the youth.

      • KCI등재

        아감벤은 역설을 감당하지 않는다

        김미정 한국이론사회학회 2022 사회와 이론 Vol.43 No.-

        I considered whether Agamben’s discussion of “bare life” was logically appropriate in terms of dealing with paradox. I outlined the mathematical theory history from Russell’s paradox to Gödel’s proof, examined the structure of Schmidt’s paradox of sovereignty, and explained Agamben’s strategy of dealing with this paradox. According to Gödel’s proof, the paradox opens up a lot of possibilities, rather than being blocked or uniformly formalized. There is also a possibility of seeking a whole complexity that does not have a single boundary as well as a possibility of paying attention to the contradictory boundary of the whole. Agamben, seeking to identify contradictory boundary, characterizes the sovereignty as a bare life in the inclusive exclusion to the law. First of all, I explained that he could not properly handle the paradox in that he was relatively uniformly formalizing the paradoxical threshold as the trapped by the law and the suspended application of the law. I also criticized his reluctance to handle the paradox, in that he believes the law ultimately refers to a single area of life, and that the law exposes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with life on the paradoxical threshold, which is getting more indistinctable. Furthermore, as long as trying to appropriate exceptions through a symmetrical composition of exception and example, his endeavoring even misses chances to discuss how exceptions are crystallized. By supplementing the tradition of Roman law and the historical facts of European feudalism, I established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life in Agamben’s constructions, becomes plausible in Europe. Furthermore, it could be shown that Agamben’s problematicization of bare life is to maintain the unity of Western history, establishing anachronism spanning more than 2,000 years by retroactive life to the old metaphysical relationship of Logos. 나는 아감벤의 ‘벌거벗은 생명’ 논의가 논리적으로 적절한지를, 역설에 대한 처리라는 관점에서 검토했다. 러셀의 역설부터 괴델의 증명에 이르는 수학적 이론사를 개술하고, 슈미트의 주권의 역설의 구조를 살핀 뒤, 이 역설을 풀어가는 아감벤의 전략을 설명하였다. 괴델의 증명에 따르면, 역설은 봉쇄되거나 단일하게 형식화되기는커녕 다양한 가능성을 개방한다. 전체의 모순적 경계들에 주목하는 전략 못지않게 단일한 경계를 갖지 않는 복잡성을 띤 전체를 모색할 가능성도 열린다. 아감벤은 주권자를 법에 대해 포함된 배제 관계에 놓인 벌거벗은 생명으로 특징짓는다. 우선 그가 역설적 문턱을 법적 적용이 정지되면서 법에 의해 포섭된 관계로 형식화하고 있다는 데서 나는 그가 역설을 제대로 감당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 역설적 문턱은 비식별적인데도, 생명과 같은 단일한 영역과 상대한다고 본다는 점, 그리고 법과 생명의 근원적 관계를 주장한다는 점에서도 역설을 감당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나아가 예외와 예의 대칭적 구도를 통해 예외를 전유하려고 하는 한, 벌거벗은 생명들이 결정화되는 방식을 해명할 시간조차 놓치게 된다고 비판했다. 나는 로마법의 전통과 유럽 봉건제의 역사적 사실로 보충함으로써 법과 생명의 관계를 근원적이라 보는 그의 문제설정의 유럽적 맥락을 보일 수 있었다. 나아가 벌거벗은 생명이라는 문제설정은 로고스와 삶 사이의 오랜 형이상학적 관계로 거슬러 올라가, 2천여 년을 가로지르는 시대착오를 확립하면서까지, 서양 역사의 통일성을 유지하려는 것임을 보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