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易傳』과 諸子學의 陰陽 І: 戰國時期 諸子學派 陰陽의 同異

        윤석민 한국중국학회 2012 中國學報 Vol.65 No.-

        The appearance of Yizhuan YINYANG theory is not accidental, sudden and creative. Through interpreting Yijing, Yizhuan conceptualized the YINYANG theory, internalized to inner issue consciousness of Zhouyi. The theme called inner issue consciousness of Zhouyi is research on a principle of the world. Here, YINYANG puts a seat as basic molds to compose the world. Surely this research on YINYANG wasn't just the work of Yizhuan. YINYANG was the concept that a lot of schools shared in the period of ZHANGUO. In that times, RUJIA, DAOJIA, MOJIA, FAJIA, in the viewpoints of their self, interpreted YINYANG or composed the main theory of their self by YINYANG theory. Then they accepted YINYANG to a principle of the world. In ZHANGUO times, YINYANG is not the thing through conceptualizing and theorizing but the theory of world through by abstracting and generalizing. It is true that the philosophical concepts and categories of ZHANGUO times was inclinable to be free from the school's identity. Specially, all schools had a little difference each other but they mentioned the operations and principles in YINYANG.

      • KCI등재

        『역전(易傳)』과 제자학(諸子學)의 음양(陰陽) 1: 전국시기(戰國時期) 제자학파(諸子學派) 음양(陰陽)의 동이(同異)

        윤석민 ( Seok Min Yoon ) 한국중국학회 2012 中國學報 Vol.65 No.-

        The appearance of Yizhuan YINYANG theory is not accidental, sudden and creative. Through interpreting Yijing, Yizhuan conceptualized the YINYANG theory, internalized to inner issue consciousness of Zhouyi. The theme called inner issue consciousness of Zhouyi is research on a principle of the world. Here, YINYANG puts a seat as basic molds to compose the world. Surely this research on YINYANG wasn`t just the work of Yizhuan. YINYANG was the concept that a lot of schools shared in the period of ZHANGUO. In that times, RUJIA, DAOJIA, MOJIA, FAJIA, in the viewpoints of their self, interpreted YINYANG or composed the main theory of their self by YINYANG theory. Then they accepted YINYANG to a principle of the world. In ZHANGUO times, YINYANG is not the thing through conceptualizing and theorizing but the theory of world through by abstracting and generalizing. It is true that the philosophical concepts and categories of ZHANGUO times was inclinable to be free from the school`s identity. Specially, all schools had a little difference each other but they mentioned the operations and principles in YINYANG.

      • KCI등재

        陰陽인가? 陽陰인가?

        이향준(Lee Hyang joon) 한국동양철학회 2017 동양철학 Vol.0 No.47

        음양은 범주화의 도구이자 발화의 규칙이다. 이 두 가지 역할 사이에는 어떤 긴장이 내재되어 있다. 음양을 통해 범주화된 낱말쌍들은 대부분 양-음의 순서로 진술된다. 이 현상의 철학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 글은 한편으로는 ‘음양의 신화’라고 부를 수 있는 현대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양은유군으로 명명한 일련의 개념쌍들을 언급하는 어법에는 명백한 편향성이 존재한다. 둘째 이 편향성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신체화된 인지의 관점에서 음양론적 사유의 인지모델을 재구성한다. 셋째 이 과정에서 음양의 핵심적 의미 두 가지가 나타난다. 하나는 구성적이라고 부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해체적이다. 전자는 ‘양음론적 어법의 자의성에 대한 비판에 기초한 대안적 질서로서 음양론적 어법의 구성’한다. 후자는 ‘양음론적 어법의 자의성에 대한 비판 그 자체를 음양론적 어법 그 자체에도 적용함으로써 나타나는 자기 부정’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 두 번째 의미에 도달하려면 양음론적 질서의 음양론적 재구축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음양론은 구성적이면서 해체적이지만, 아직 구성되지 않는 질서를 먼저 해체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Yinyang are tools of categorization and rules of utterance. There is some tension between the two roles. Most pairs of words categorized by yinyang are expressed in Yang-Yin order. What is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is phenomenon?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modern position that can be called ‘The myth of yinyang.’ The order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lear bias in the phrase referring to a series of concept pairs named ‘a set of yinyang metaphors.’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biasedness, we reconstruct the cognitive model of the thinking based on yinyang from the viewpoint of the embodied cognition. Third, in this process, two key meanings of yinyang are shown. One is constructive and the other is deconstructive. The former criticizes the speech based on the order of yangyin as arbitrary. Constitute the yinyang dialectic as an alternative order. The latter applies deconstructive features to the yinyang dialectic itself. In this way yinyang reach their own denial. In order to reach the latter, the order of the yangyin should be reconstructed into yinyang order. It is because we can not dismantle an order not yet constituted. However, this should not be forgotten. The only condition for this rebuilding and overthrowing is that this object requires that the object to overthrow is dominant in our society. Yinyang are not words bearing a single truth. We should treat yinyang as a tool for solving the imbalance of our society.

      • KCI등재

        『주역(周易)』의 하도(河圖)·낙서(洛書)와 「계사상(繫辭上)」 제9장 고찰

        임병학 ( Lim Byeong-hak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본 논문은 『주역』의 河圖와 洛書가 易道의 표상체계임을 밝히고, 「계사상」 제9장에서 논한 河圖洛書論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周易』에서 河圖와 洛書는 數로 구성된 그림으로 數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라는 근본적인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설괘」 제1장에서는 성인이 天地之道를 주체적으로 자각하고, 그것을 河圖·洛書와 卦爻로 표상하였고 하였다. 「계사상」 제11장에서는 河圖·洛書를 직접 언급하면서 神物로 규정하고, 「계사상」 제9장에서는 一에서 十까지의 天地之數를 논하고 있다. 제9장에서는 河圖와 洛書의 理數를 통해 동양철학의 근본적 개념인 陰陽·五行·四象을 논하고 있다. 河圖는 五를 본체로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음양의 합해져 五行이 운행되는 원리인 `體五用六`을 표상하고 있으며, 洛書는 十을 본 체로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의 四象작용을 표상하기 때문에 `體十用九` 원리를 표상하고 있다. 河圖와 洛書는 서로 체용의 관계로 하나이면서 둘인 관계이다. 河圖는 五를 本體로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으로 마치지만, 十에서는 洛書로 되어 다시 十을 본체로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 → 五로 마치고, 또 五에서 다시 河圖의 작용이 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河圖는 음양의 합해져 전개되는 인격적 세계의 작용원리인 五行을 위주로 밝힌 그림이라면, 洛書는 음양이 합해지기 이전의 작용인 天道의 四象작용을 위주로 밝힌 그림이라 하겠다. This paper determined that Hetu(河圖)-Luoshu(洛書) of I Ching are a symbol system of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易道) and considered Hetu-LuoshuLun(河 圖洛書論) that examined in the first volume of Xici(繫辭) chapter 9. Hetu and Luoshu of I Ching are pictures being made up numbers. This paper started by asking what would want to expose through number is it. In Shuogua(說卦) Chapter 1, It said that Saint expressed Hetu-Luoshu and Guayao(卦爻) it after realized Tiandezhidao(天地之道) by himself. first volume of Xici Chapter 12 presents Hetu-Luoshu directly and characterized those as Shenwu (神物). first volume of Xici Chapter 9 treated Tiandezhishu(天地之數), from one to ten and dessert Yinyang(陰陽)·Wuxing(五行)·Sixiang(四象) that is fundamental concept of Eastern philosophy throughout Lishu(理數) of Hetu-Luoshu. Hetu attaches primary importance to five and acts as 一·六 → 二·七 → 三·八 → 四· 九 → 五·十. Also Hetu expresses `Tiwuyonglu(體五用六)` that is the principle, Wuxing(五行) runs by combining Yinyang(陰陽). Luoshu attaches primary importance to ten and represented Sixiang(四象)`s action of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 Luoshu expresses `Tishiyongjiu(體十 用九)`. Hetu and Luoshu are relationships of Tiyong(體用) each other, as both one and two. Hetu turn on five and completed with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 But In ten, it becomes to Luoshu and turn on five and completed with 九(一) → 八 (二) → 七(三) → 六(四) → 五. It starts action of Hetu at five again. Therefore Hetu is a picture that determined mainly with Wuxing, is an action principle of world of phenomenon from join Yinyang, but Luoshu is a pictures that determined mainly with Sixiang`s action of the way of heaven, is action before join Yinyang. In addition, Hetu and Luoshu is thing that Saint realized the principle of Shenming(神明), including the way of human(人道). Therefore noble man realizes the way of heaven throughout number and figure of Hetu-Luoshu and practices the way of human, is the way of human life.

      • KCI등재

        共生主義에서 본 董仲舒의 陰陽五行觀과 국가공동체의 강령

        김연재,오종희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3 No.-

        한대에 동중서는 문헌상 음양오행의 세계관을 이론적으로 구축한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유가의 통치이념과 천하경륜의 체계를 구축하는 데에 자연계의 생명력과 인간사회의 공감력을 긴밀하게 연관지었다. 음양의 범주와 오행의 연관체계는 자연의 현상에서 모든 존재의 속성과 그 부류의 관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통로이다. 그의 세계관, 즉 음양오행관은 특수성의 물리적 관점에서 보편성의 관념적 관점으로 진화한 결과이다. 그는 음양오행관의 프리즘을 통해 자연의 스펙트럼을 투사하고 삼라만상의 자생적 관계망을 토대로 하여 儒家的 자아실현의 궁극적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음양오행관은 현대의 사회공학적 의미에서 공생주의의 맥락에서 접근될 수 있다. 여기에는 자연의 자생적 질서를 사회의 규범적 질서로 확충하는 조화와 통합의 지향성이 있다. 공생주의의 노선에서 보자면, 동중서는 天人感應說, 新王三統說, 陰刑陽德說 등과 같은 강력한 신념의 체계를 구축해갔으며 天下經綸의 궁극적 가치지향성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강력한 신념과 궁극적 가치지향성 때문에 그의 음양오행관은 강한(strong) 공생주의의 차원에서 재조명될 수 있다. 강한 공생주의의 현대적 시선은 生生不息의 자연생명력 속에 自强不息의 주체적 의지를 발휘하는 유가의 국가공동체적 강령을 이해하는 좋은 단서가 된다. The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the principle of symbiosism in understanding the doctrine of the responding unity of heaven and man in Dong Zhongshu’s world-view. The symbiosism has a modern dimension of sociotechnology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 law of heaven way and the subjective law of human way. It has a certain meaningful relationship in the responding unity of heaven and man and makes a driving axle for the world-view of East Asian. A category of yin-yang and a reciprocal system of wuxing provides a passage for a reality of world in the dimension of symbiosism. It functions a useful mechanism for all means to the rule of Confucian administration. The balance of yin-yang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at of human virtue and punishment according to an integral state of equilibrium and harmony. Given the dimension of strong symbiosism, thus, the view of yin-yang and wuxing have a kind of methodological canon an integral horizon of the hegemony sovereign of Confucian administration such as what is called tianxia-jinglun. For example, the doctrine of three generations orthodoxy succeeding to new dynasty by new kings played a role in a just cause of Confucian government in firmly establishing the morality and justice of Han dynasty. Consequently, through Dong Zhong-xu’s Yinyang-wuxing World-view, we find a clue to understand the canon of national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strong symbiosism

      • KCI등재

        현행 정부기(政府旗)의 태극(太極) 디자인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실하(Woo, Silha) 비교민속학회 2021 비교민속학 Vol.- No.73

        ‘정부기’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등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는 또 다른 국기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은 근본적인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현행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의 바탕은 ‘음양태극도’인지 ‘삼일태극도’인지가 불분명하다. 왜냐하면, (1)‘진한 파랑’, ‘선명한 빨강’, ‘흰색’ 3가지 색을 사용하고 있어서 언뜻 보기에는 삼일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 같지만 면 분할이 3등분 되어 있지 않고, (2) ‘진한 파랑’과 ‘선명한 빨강’을 하나로 묶어서 ‘흰색’과 비교해보아도 음양태극도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면 분할이 비대칭적이다. 둘째, 역사적으로 발견되는 모든 태극 관련 도상들은 모두 음양 흑은 천지인 삼재(三才) 사이에 균일한 면 분할을 하고 있다. 이것은 음-양, 혹은 천-지-인 가운데 어느 하나가 우위에 있거나 한 것이 아니라 이 둘 혹은 셋의 기(氣) 사이의 어울림과 조화를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행 정부기가 음양태극도를 바탕으로 하였든, 삼일태극도클 바탕으로 하였든 균등한 면 분할이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은, (1) 태극도처럼 보이지만 근본적으로 태극도라고 볼 수 없으며, (2)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 셋째, 현행의 정부기 디자인이 ‘음양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1) 면적의 분할로 볼 때 ‘진한 파랑’, ‘횐색’만으로 표현되었어야 하며, (2) ‘진한 파랑’과 ‘흰색’이 음양을 상징하는 것이라면 분할된 면적은 당연히 같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3) 중간에 띠처럼 들어가 있는 ‘선명한 빨강’은 태극도라는 철학적 의미와 연결된 아무런 의미도 없다. 넷째, 현행 정부기 디자인이 ‘삼일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1) ‘진한 파랑’, ‘선명한 빨강’, ‘흰색’의 면 분할이 3등분으로 균등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2) ‘진한 파랑’의 꽁무니에 띠처럼 들어가 있는 ‘선명한 빨강’은 태극도의 한 중앙에서 보면 독자적으로 배당된 면적도 없이 ‘진한 파랑’ 부분에 결들여져 있어서, (3) 삼일태극도로 볼 수도 없다. 다섯째, 결론적으로 현행 정부기는 그간 태극, 음양태극, 삼일태극 등에 대한 여러 학문 분야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전혀 참고조차 하지 않고 디자인된 그야말로 “어느 한순간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 정부 차원에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국가나 정부를 대표하는 상징들이 더이상 이런 식으로 디자인되어서는 안 된다. ‘The government flag’ is another flag used by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legislature, the administration, and the judiciary. The Taegeuk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currently in use has many fundamental problems. First, it is unclear whether the basis of the Taegeuk design of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the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 or the ‘Samil Taegeukdo(三一太極圖)’. This is because (1) the three colors ‘dark blue’, ‘clear red’ and ‘white’ are used, so it seems to be based on the Samil Taegukdo at first glance, but the face is not equally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2) the face is asymmetrical beyond the Yinyang Taegeukdo. Second, all historically discovered Taegeuk-related drawings are divided evenly between Yinyang or chcon-ji-in(天地人) Samjae(三才). This is because either the yin-yang, or the Samjae, is not superior, but symbolizes the harmony between these two or three. Whether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based on the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or the ‘Samil Tacgeukdo(三一太極圖)’, there is no equal division of the plane. Thus, the Taegeuk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not (1) fundamentally Taegeuk, but (2) it is only artificially made. Third, if the current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based on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1) it should have been expressed as ‘dark blue’ or ‘white’ in terms of area division, (2) if ‘dark blue’ and ‘white’ symbolize yinyang, then (3) ‘clear red’ in the middle means nothing. Fourth, if the current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based on ‘Samil Taegukdo(三一太極圖)’, (1) the face division of ‘dark blue’, ‘clear red’ and ‘white’ should be evenly divided into three equal parts, or (2) ‘dark red’ is independently allocated from the center of Taegeukdo, (3) so It may not be considered to be the extreme of ‘Samil Taegukdo’. Fifth, in conclusion,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only an artificially designed design that is designed without reference to the achievements of scholars in various fields of study on Taegeuk, Yinyang Taegeuk, and Samil Taegeuk. The current government flag should be reviewed at the government level. In particular, symbols representing the state or government should no longer be designed this way.

      • KCI등재

        조선후기 실학파의 음양오행설에 대한 비판적 인식 연구- 다산 정약용을 중심으로

        서근식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The Positive School in the late stage of Joseon Dynasty pursued the original meanings of Yinyang(陰陽) and Wuxing(五行), and thoroughly rejected the creation principle of all things and the transformation principle and etc. The original meanings of Yinyang(陰陽) examined through Shuowenjiezi(『說文解字』) were the place where the sun shines brightly(陽地) and the place where the sun doesn’t shine(陰地), that is, shade and light. In addition, the Wuxing(五行) meant wood(木), fire(火), land(土), metal(金) and water(水), which are necessary in daily life. Yet, these meanings changed metaphysically starting from Guanzi(『管子』). Most scholars of the positive school in the late stage of Joseon Dynasty didn’t use Yinyang(陰陽) and Wuxing(五行) metaphysically, but with their original meanings, and said that people using them would become wealthy. Regarding Jeong Yak-Yong(丁若鏞)’s Yinyang(陰陽), it was regarded as the thing necessary in daily life in Zhongyongjiangyibu(『中庸講義補』). Wuxing(五行) were also mentioned as the object needed in daily life in Shangshuguxun Hongfan(『尙書古訓』 「洪範」). The principles of coexistence of Wuxing(五行) and incompatibility of Wuxing(五行) appeared in Zhouyisijian(『周易四箋』) and other scriptures, but there were no scriptures that gave perfect explanation about the coexistence and incompatibility of Wuxing(五行). Therefore, they couldn’t acknowledge the coexistence and incompatibility of Wuxing(五行). Wuxing(五行) is not the creation principle of all things, but means the objects necessary in daily life. Nowadays, diverse activities are being performed around us with regard to Yinyang(陰陽) and Wuxing(五行), but we need to think that it is an object needed in daily life, and how much it will become of help in daily life. 조선후기 실학파는 음양과 오행의 본래적 의미를 추구하였으며 그것이 만물의 생성원리라든지 화생원리라든지 하는 것에는 철저하게 반대하였다. 이에 음양의 본래적 의미는 『설문해자』를 통해 살펴보면 해가 잘 비추는 곳과 비추지 않는 곳 즉 음지와 양지를 뜻하는 의미였다. 그리고 오행은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목·화·토·금·수라는 의미였다. 이러던 것이 『관자』를 기점으로 형이상학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대부분의 조선후기 실학자들은 음양과 오행을 형이상학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본래적 의미에서 사용한다면 그것을 이용하는 백성들은 풍족해질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정약용의 음양에 대해 『중용강의보』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물건으로 여기고 있다. 오행도 『상서고훈』 「홍범」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물건이라고 하고 있다. 오행상생과 오행상극의 원리는 『주역사전』과 여러 경전들에 나타나 있지만 완벽하게 오행상생과 오행상극에 대해 설명한 경전은 없었다. 그러므로 오행상생과 오행상극은 인정할 수 없었다. 오행은 만물을 생성하는 원리가 아니라 실생활에 필요한 물건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현재에도 우리 주변에서는 음양·오행에 관련된 상당히 다양한 것들이 행해지고 있지만 실생활에 필요한 물건이라는 생각으로 그것을 이용하면 얼마나 실생활에 도움이 될 것인가라는 생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體用論과 朱熹 철학의 太極 개념에 대한 고찰

        김한상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4

        The theory of tiyong is a philosophical methodology that incorporates a Chinese or East Asian world view. Since the concept of 'benti 本體' in traditional East Asia is a concept formed on the premise of 'ti 體,' it contain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Ti-yong 體用' dynamic. In Zhu Xi's philosophy, benti is presented as the ultimate and unified basis of existence, value, and movement. Therefore, benti implies the ultimate reality, ultimate value, ultimate pivot of activity. Zhu Xi applies the Tiyong framework in diverse ways. Nevertheless, Zhu has apprehensions about applying the theory of Tiyong to central metaphysical concepts such as li 理 and qi 氣. Following the Cheng brothers' view that "substance and function have the same origin" and that "between the hidden and the manifest there exists no gap", Zhu Xi early on subscribes to the theory of tiyong (substance and function) and applies it to describe the relation between Dao and qi(vessel). However, after the turnaround in his thinking concerning the status and function of the human mind in 1169, in his commentary on Zhou Dunyi's Taiji tu shuo, entitled the Taiji tu shuo jie, Zhu makes it clear that although Taiji is not something that is temporally prior to yinyang and that Taiji does not directly create things, it is a pervading presence in material things, and exists on a level different from that of objects. It is described as the metaphysical 'pivot of creation and transformation' within the universe, as well as the 'foundation of diverse phenomena and things.' Instead of equating Taiji with ti, and yinyang with yong, Zhu seek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ltimate principle and physical objects by means of a more subtle theory. In the treatise, Zhu describes Taiji as benran zhi miao (the characteristic of metaphysical substance being unbounded by physical limitations), and the movement and quiescence within the phenomenal realm as suocheng zhi ji (the physical frame that carries the metaphysical principle with it). Taiji is something that is responsible for the transformation of things in the phenomenal realm, which is present in the midst of transformation and yet is itself unaffected in the process. Thus, although Taiji is always present wherever yinyang is present, it is something that is clearly to be differentiated from yinyang, and that cannot be reduced or equated at any stage with it. As such, Zhu Xi felt that it was no longer appropriate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of Taiji(li) and yinyang(qi) within the tiyong framework. 체용론은 중국적 혹은 동양적 세계관을 담지한 동양철학적 방법론이다. 전통시기 동양의 本體 개념은 체용론을 전제로 형성된 개념, 즉 體用의 體이기 때문에, 體用범주가 지닌 각종 특성을 함유하고 있다. 성리학에서 本體는 존재(자), 가치, 운동의 궁극적이고 통일적인 근거로 제시된다. 따라서 본체는 곧 궁극적 실재, 궁극적 가치, 운동 혹은 행위의 궁극적 중심軸 등의 의미를 함축한다. 주희는 방법론으로서의 체용론을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다. 그는 중화구설에서 ‘性體心用’의 양자 구도를 인정했으며, 중화신설에서는 ‘性卽理’와 ‘心統性情’ 명제를 불변의 진리로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性體情用’의 양자구도와 ‘心之體[心之未發; 性]-心之用[心之已發; 情]’의 삼자구도를 동시에 인정하고 있고 이는 체용의 단절성과 연속성의 원칙 모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로 그는 체용론을 그의 형이상학적 개념들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인다. 주희 철학의 太極-陰陽(동정)은 理-氣, 道-器 등과 함께 본체와 현상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즉 그는 초기에 태극-음양(동정)을 각각 체와 용으로 사유한다. 그러나 후(1173년)에 주희는 체와 용이라는 용어 사용을 자제한 채, 太極-陰陽(動靜)의 관계를 ‘太極者本然之妙也, 動靜者所乘之機也.’로 표현한다. 주희는 체용론을 ‘二而一’(연속성)의 원칙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사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즉 그는 태극[理]-음양동정[氣]의 관계를 체용관계로 보는 데는 주저하면서, ‘본체’로서의 태극[태극지체: 含動靜]과 ‘유행’으로서의 태극[태극지용: 有動靜]으로 나누어 보는 데는 찬성하고 있다. 이는 태극 자체와 그 운용을 체용으로 인정하는 반면, 理를 體로 보고 氣를 用으로 보는 관점은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즉 주희의 생각에 따르면, 체용론은 본체와 현상의 연속성을 보여주는 데는 유용하지만, 본체와 현상의 단절성을 보여주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본 것이다.

      • FCST의 음양균형장치를 활용한 원발성 월경곤란증의 증례보고

        유대길,이영준,Yu, Dae-Gil,Lee, Young-Jun 턱관절균형의학회 2014 턱관절균형의학회지 Vol.4 No.1

        Therapeutic effect of Yinyang Balancing Appliance of functional cerebrospinal therapy (FCST) for meridian and neurologic yinyang balance was observed in primary dysmenorrhea cases. Two primary dysmenorrhea cases were managed with the Yinyang Balancing Appliance on temporomandibular joint (TMJ), combined with acupuncture. Clinical outcome measurement was based on subjective measures and clinical observations. The patients showed positive changes even after the initial treatment and this effect maintained over the follow-up period. Although it is not clear the effect is a sustaining or temporary in its nature, a positive effect was observed and further clinical and biological research on FCST is expected.

      • FCST의 음양균형장치를 이용한 연축성 사경증 증례보고

        최근욱,이영준,Choe, Geun-Wook,Lee, Young-Jun 턱관절균형의학회 2012 턱관절균형의학회지 Vol.2 No.1

        본 증례에서는 원인불명의 전신 연축성 사경증과 강박장애를 동반한 경부 연축성 사경증의 두 증례에 대해 음양균형장치를 포함한 표준형 구강내 균형장치, 침구치료, 한약처방, 골반교정 등 복합치료를 통해 뚜렷한 치유효과를 관찰했다. 음양균형장치와 표준형구강내 균형장치 등 턱관절의 균형조절을 통한 기능적뇌척주요법의 치료가 경추와 흉추의 구조변화는 물론 전신자세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을 관찰했다. Objectives: Therapeutic effect of Yinyang Balancing Appliance of functional cerebrospinal therapy (FCST) for meridian and neurologic yinyang balance was observed in cervical dystonia cases. Methods: Two cervical dystonia cases were managed with the Yinyang Balancing Appliance on temporomandibular joint (TMJ), combined with acupuncture. Clinical outcome measurement was based on subjective measures and clinical observations. Results: The patients showed positive changes even after the initial treatment and this effect maintained over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s: Although it is not clear the effect is a sustaining or temporary in its nature, a positive effect was observed and further clinical and biological research on FCST is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