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직현(李直鉉)의 「호행일기(湖行日記)」 고찰

        이향준 ( Lee Hyang-j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이 글은 19세기 후반 영·호남을 가로지르는 학술적 교류의 한 양상을 이직현(李直鉉)의 「호행일기(湖行日記)」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1876년의 4월에 있었던 21일 간의 호남 여행의 과정을 따라가면서, 그의 행적과 성리학적 문제의식의 단초들을 살펴본다. 이 여정에는 세 가지 학술적 방향성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첫째 이미 기정진(奇正鎭)에게 수학하기 이전에 이직현의 성리학적 사유가 존화(尊華)와 주리(主理)의 학문적 방향성을 공유하고 있었다. 둘째는 영남 노론계의 일원으로서 이직현은 이이(李珥)와 기정진을 주리(主理)라는 일관된 맥락에서 이해하고 수용하고 있다. 셋째 이상의 두 가지 동질성에서도 불구하고 이직현은 고유한 성리학적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외부적으로는 이진상(李震相)의 심즉리(心卽理)와 같은 당대의 성리학적 사유와 대면해서 자신의 성리학적 사고를 쌓아나가고 있었다. 이것들은 모두 훗날의 저술과 학술적 방향성을 암시하는 젊은 이직현의 성리학적 사유의 단초를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Honam Travel Diary(湖行日記)’ by Lee Jik-hyeon, a member of the Yeongnam(嶺南) Nosa School(蘆沙學派)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diary is a rare piece of writing that shows vivid images of academic exchanges between Yeongnam and Honam(湖南). Following the 21-day journey to Honam in April 1876, he examines his track record and the roots of Neo-Confucianism. It will be argued that Lee Jik-Hyeon's three academic directions appear on this trip. First, before studying to Ki Jung-jin(奇正鎭), Lee Jik-Hyeon's Neo-Confucian thinking shared the academic direction of existence Jonhwa (尊華) and Juli(主理). Second, as a member of Noron(老論) in Yeongnam, Lee Jik-hyeon understands and accepts Yi Yi(李珥) and Ki Jung-jin in a consistent context. Despite the third or more two homogeneity, Lee had a unique sense of Neo-Confucianism, externally forming his own Neo-Confucian thinking in the face of contemporary Neo-Confucian thinkingh such as Sim jeuk ri(心卽理) by Lee Jinsang(李震相). These all show the basis of the Neo-Confucian thinking of young Lee Jik-Hyeon, suggesting future writing and academic direction.

      • KCI등재

        특집논문 : 호남학(湖南學) : 어느 철학자의 비전과 그 후 50년

        이향준 ( Hyang Joon L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4

        이 글은 철학 분야를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의 50년에 걸친 학술적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다음 세 가지 논제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첫째 연구원의 창설에 기여한 철학자 이을호의 호남학에 대한 철학적 비전을 돌이켜 본다. 둘째, 철학 사상 분야에 국한해서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 성과의 제반 양상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이상의 논의를 배경으로 호남의 지역적 자장 속에서 “철학자들은 자신들이 디디고 사는 곳을 자신의 고유한 학술 활동 속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하는 질문을 다룬다. 앞으로 호남학연구원의 철학적 발전은 바로 여기에 대해 대답하려고 시도하는 철학자들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 질문을 중요시 하지 않는 철학자에게 호남학이 철학적 탐구의 주제로 부상하리라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50년 전의 이을 호로부터 50년 후의 우리는 어디까지 나아왔으며, 앞으로 또 어디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호남의 유교문화권이란 개념과 최근에 나타난 인문한국 사업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academic results critically which the Honam Study Research has accumulated over 50 years around the field of philosophy. Concretely, Three issues are developed. The first, We look back into Lee eulho`s philosophical vision on the Honam Study that he contributed to set up. The second, We synthetically research and analyze all the matters which have come to fruition in philosophy`s field. The third, We deal with the question, “How does philosopher deal with the place in which we live among our unique academic activities?” Because the philosophical development of Honam Study in the future depends on philosopher`s efforts answering this question. In other words, We can`t expect philosopher who doesn`t make importance of this question to bring up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 KCI등재

        「외필(猥筆)」의 외침 ―기사(騎士)는 죽었는가?―

        이향준 ( Lee Hyang-j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4 No.-

        「외필」은 노사 기정진의 만년 저술이다. 이 저술은 20세기 한국 성리논쟁 가운데 하나라고 부를 수 있는 ‘외필논쟁’을 파생시켰다. 이 글은 「외필」의 철학적 성격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조선 유학사에 나타난 주리/주기 이분법의 용례라는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외필」은 이이의 성리학이 주기론이라는 반론에 맞서, 주리적으로 해석하는 세 번째 용례를 확립하려는 저술이다. 둘째, 성리학적 사유 양식의 측면에서 「외필」을 살펴본다. 「외필」은 이이의 포함도식적 사유를 물려받았지만, 그릇과 내용물로서 리와 기의 관계를 역전시킴으로써 이이 성리학을 리 중심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한편 리에 힘을 도입하려는 이황식의 발상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도, 끝까지 ‘무위리’라는 원칙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이황으로부터의 거리감을 유지한다. 이런 점에서 「외필」에 나타난 성리학적 사유는 이황과 이이 성리학 사이의 독창적 혼성에 기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국 이러한 내용은 담은 「외필」의 시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외필」은 조선의 사족들에게 그들 자신이 조선이라는 역사적 구성물의 위에 타 있는 기사라는 사실을 환기시켰다. 19세기말의 역사적 변동 속에서 사족들이 자신들의 도를, 자신들의 국가를 위해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내적 논리를 성리학의 용어로 표현했다. Eopil is the work of Ki Jeong-jin(奇正鎭) in his old age. This work caused one of the 20th century Korean Neo-Confucianism controversies. It can be called a 'Eopil controversy.' This paper looks at the philosophical nature of Eopil in three ways. First, we look at this as an example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Juli(主理)/Juki(主氣) in the history of studying abroad in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is, Eopil is intended to establish the third example of "Juli" by claiming that Yi Yi(李珥)'s Neo-Confucianism is Neo-Confucianism revolving around Li(理). Second, we look at Eopil in terms of the Neo-Confucian style of thought. Eopil inherited Yi Yi's schematic reasons. By rever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 and Ki(氣) as the contents of the vessel, it is reconstructed around Li. Meanwhile, Eopil partially embraces the idea of the Yi Hwang(李滉) to introduce power to Li. It maintains a distance from him in that it maintains the principle of 'Li by no action' until the end. The reason for the Neo-Confucianism shown in Eopil is based on the original mix of Yi Hwang and Yi Yi. Finally,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times in Eopil? This book reminded the scholars of Joseon that they themselves were jockeys on top of the historical structure of Joseon. Amid historical fluctuations in the late 19th century, scholars expressed in terms of Neo-Confucianism that they should do something for their country.

      • KCI등재

        연구논문 : 미발심체(未發心體): 마지막 어휘, 혹은 정신적 경련? -18세기 한국유학의 딜레마-

        이향준 ( Hyang Joon L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1 No.-

        이 글은 ‘未發心體’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세 가지 철학적 전제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첫째, 미발심체는 규범성의 원천에 대한 탐구가 존재-가치 동일시라는 철학적가정과 결합해서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둘째 인지적 관점에서 볼 때 원인-결과 관계를축으로 하는 「인과」도식의 중복된 사용이 심체(心體)라는 실체 관념을 형성시켰다. 셋째「마음은 (스스로 빛나는)거울」은유가 미발심체론의 핵심을 이룬다. 이것은 존재-가치동일시에 기반한 도덕적 행위의 주체로서 마음을 설득력 있게 호소하는 이론적 도구다. 결국, 미발심체를 뒷받침하는 가정들은 비합리적이고, 은유적이며, 무의식적이다. 미발심체는 성리학의 마지막 어휘(final vocavulary)가 아니다. 남은 문제는 우리가 정신적 경련(mental cramp)을 멈추고 이 낱말을 다시 바라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 때 다시 시도할만한 사유의 모험이 무엇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This paper will critically examine philosophical premises which is the background of ``Weifaxinti(未發心體)``. Three claims is included in this paper. First, ``Wei fa xin ti`` is an attempt to explain normativity on the basis of philosophical assumption of ``being-value`` identification. Second, Duplicate use of 「causal」 scheme that consider ``cause-effect`` relationships with the axis formed innate idea called ``xin ti(心體)``. Third, Metaphor of The mind is a mirror which is a theoretical tool to speak the mind convincingly as a subject of moral conduct forms the core of the theory of ``Wei fa xin ti(未發心體)``. Finally, ``Wei fa xin ti`` is not final vocabulary of Neo-Confucianism. The remaining problem is for us to stop mental cramp and to look at this word again. And at this very time to determine what is the adventure of thinking to try again.

      • KCI우수등재

        「인승마(人乘馬)」 은유의 형성과 변형

        이향준(Hyang-Joon Lee) 한국철학회 2004 철학 Vol.79 No.-

        본 논문은 체험주의의 은유 이론을 통해 성리학의 핵심 개념인 리(理)와 기(氣)의 관계에 대한 핵심적 은유적인 「인승마(人乘馬)」를 중심으로 ‘형이상학적 대상에 대한 경험적 진술’의 문제를 다룬다. 체험주의에 따르면 은유는 단순히 언어적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경험을 추상적 영역으로 확장시켜 주는 중심적 기제이며, 따라서 우리의 모든 철학적 개념들과 이론들은 정교한 은유적 구조화의 산물이다. 이러한 견해는 리와 기를 이해하는 새로운 길을 열어 준다. 필자는 이러한 은유 이론을 따라 「인승마」 은유의 형성 구조와 변형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리와 기의 관계를 규정하는 경험적 근거를 제시했으며, 이런 분석이 리와 기에 대한 좀더 섬세하고 풍부한 이해의 통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했다. 이런 제안은 결국 우리가 형이상학적 대상을 경험 세계와 분리된 초월적인 것으로 간주하려는 시각에서 벗어나, 경험 세계와의 상관성 속에서 다시 논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을 암시한다.

      • KCI등재후보

        한원진의 미발심체론

        이향준 ( Hyang Joon Le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6 No.-

        이 글은 한원하(韓元霞)의 미발심체론(未發心體論)을 중심으로 연관된 몇몇 논점들을 검토하고 있다. 미발심체를 둘러싼 이론의 전개는 대비되는 이중범위의 개념체계들의 정립과 이들의 공존을 도모하는 개념혼성이라는 인지적 사유 양식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졌다. 한원진은 그의 성리학적 사고를 관통하는 이원론적 관점과 병행하는 삼원론적 관점을 통해 규범성의 원천과 분기의 문제를 미발심체라는 개념에 집약시키고 있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할 때 미발심체론이라는 주제가 유학의 규범 이론과 갖는 이론적 연관에 대해 물을 수 있다. 즉, 한원진의 미발심체론은 규범적 삶에 관한 관심과 그러한 삶을 정초 지우려는 이론적 근거를 묻는 유가 규범 이론의 근원적 질문에 대한 18세기의 성리학적 대답들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이런 평가에 앞서 제기되는 의문이 있다. 그것은 바로 미발심체라는 낱말이 이미 지나가 버린 지성사의 역사에 속하는 것인지, 아니면 오늘날에도 여전히 탐구의 가치가 남아 있는 철학적 활동의 일부분을 이룰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다. Thes paper analyzes Han Wonjin`s theory of unaroused mind itself. His neo-Confucian thought has been performed in terms of both dualism and trialism at the same time. From this point of view, he focuses on the concept of unaroused mind itself through questioning the source and divergence of norms. Namely, Han Wonjin`s theory is one of the neo-Confucian answers for the Confucian fundamental question on establishing normative values for life in the Eighteenth century. However, there should be a question preceding this estimation: does Han`s concept belong to either the past history or a philosophical problem worth exploring today? This question might be the most valuable philosophical one to be solved in advance.

      • KCI등재

        박로술(朴魯述)의 외필론(猥筆論)

        이향준 ( Lee Hyang-jo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 No.69

        이 글은 광주지역에서 기정진의 직전제자군을 대표하는 한 사람인 박로술의 생애와 외필론(猥筆論)을 다루고 있다. 박로술은 대략 1902년 후반에서 1903년 하반기 사이에 「「전간재의 「외필변」을 변론함[辨田艮齋猥筆辨]」을 저술했다. 이 저술은 1902년에 나온 전우의 「외필변」을 반론하는 것이고, 「외필변」은 1878년에 저술된 기정진의 「외필」을 비판하는 저술이었다. 외필논쟁의 과정에서 이 글은 1903년 즈음에 노사학파에서 전우를 중심으로 하는 외부의 비판적 논변을 어떻게 반박하고, 「외필」과 기정진의 성리학을 어떻게 옹호하려고 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변전간재외필변」의 내용은 21조목으로 이루어졌는데, 가장 중요한 논점은 「외필」이 반율곡적이라는 비판을 반박하는 것이었다. 이런 기초 위에서 핵심적인 내용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박로술은 노사학파를 대변하는 낱말로서 ‘주리’를 자신의 성리학적 사유의 배경으로 삼았다. 둘째 주리적 관점에서 파악한 율곡 성리학을 매개로 기정진의 계보를 주희에게 연결시킴으로써, 주희-이이-기정진으로 이어지는 성리학적 계보의 학술적 위상에 강조점을 부여했다. 셋째 이에 기초해서 이이의 진술을 유행의 측면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하려는 것이 「외필」의 저술 의도임을 강조했다. 달리 말하면 「변외필변」은 기정진의 학술적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을 중심에 두고 학술적 논점들을 주변에 배치한 저술이다. 이런 점에서 「변외필변」은 정의림(鄭義林)의 「전우가 쓴 「외필변」를 변론함[辨田愚所著蘆沙先生猥筆辨]」과 함께 호남지역 노사 문인들의 외필론을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저술로서의 특징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life of Park Rosool, who represents Ki Jeongjin's disciples in Gwangju, and the theory of eopil猥筆. He wrote "Byuneopilbyun辨 猥筆辨" between the late 1902 and the second half of 1903. This is a counterargument to Eopilbyun of Jeon Woo, in 1902. Eopilbyun was a critic of Eopil by Ki Jeongjin, who was written in 1878. Park Rosool's writings in the course of the Eopil-debate are an example of how the Nosa school tried to defend and defend Eopil and Ki Jeongjin's Neo-Confucianism from outside critical arguments centered on Kanjae around 1903. ByunEopilbyun's content was made up of 21 articles, the most important point being to refute Eopil's criticism of his opposition to the Yulgok. On this basis, the key contents ar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Park Ro-sool used the word 'juli主理', which is a word for Nosa school, as the background of his Neo-Confucian thoughts. Second, the genealogy of Ki Jeong-jin was connected to Zhū xī through Yulgok Neo-Confucianism from Juli's point of view. In this way, the academic status of the Neo-Confucian genealogy leading to Zhū xī, Yi yi and Ki jeongjin was emphasized. Third, based on this, he argued that it was Eopi's intention to interpret Yulgok's statement as limited to the aspect of the phenomenon. In the end, ByunEopilbyun is a work that focuses on the aim of enhancing the academic status of Ki Jeongjin and places academic issues around him. Perhaps this is why ByunEopilbyun, which started with criticism of Eopilbyun, ends up claiming the ideological consensus of Zhū xī̄, Yi yi and Ki jeongjin. In this regard, Byun Eopilbyun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representative author that can understand the externalities of writers in Honam region.

      • KCI등재

        한국 성리학의 해석학적 발전 2 - 『이정전서(二程全書)』의 경우를 중심으로 -

        이향준 ( Lee Hyang-j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6 No.-

        이 글은 한국 성리학의 해석학적 발전사에 지금껏 주목받지 못했던 두 번째 양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 성리학의 해석학적 발전의 첫째 양상은 주희의 『주자대전』에 대한 일련의 탐구로 구성되었고 편집서, 주석서, 해석학적 저술이라는 명백한 질적 도약의 단계들을 가진다. 이와 대비되는 두 번째 양상은 이정 형제의 말과 글, 즉 『이정전서』에 대한 해석학적 탐구의 계보를 가리킨다. 불행하게도 이 계보는 『정서분류』-미완의 「정서분류집의』에서 그쳤다. 이런 불충분성을 감안하고 미래적 관점에서 보자면 우리는 완성본 「정서분류집의』와 가상의 『이정언론획정고』라는 작업을 가정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학술적 과제는 현재도 부분적으로 수행중이다. 이런 성찰과 계보학적 추측이 타당하다면, 이제 이러한 앎이 추동하는 학술적 과제를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다. 우리 유학사에 존재하는 학술적 기획의 완성과 미완성의 양상 및 단절이 드러났고, 이제 다시 끊어진 학술사의 맥을 이어가야 할 때가 된 것이다. The article shows that there is a second aspect in the history of The Hermeneutical Developement of Neo-Confucianism in Korea that has never been noticed. The first phase consisted of a series of explorations of ZhuZiEncyclopedia(朱子大全). There are clearly distinct qualitative steps here. It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appearance of editorial, editorial, and hermeneutical writing. A second aspect, in contrast, refers to the genealogical exploration of Er Cheng Encyclopedia(二程全書). Unfortunately, the genealogy left only chengshufenlei(程書分類) and chengshufenleijiyi(程書分類集疑). Moreover, the latter appeared incomplete and soon disappeared. Taking this inadequacy into account and looking forward, we can imagine a chengshufenleijiyi(程書分類集疑) as a finished book. We can also imagine a book as a future academic project. Its name is Erchengyanlunhuadingkao(二程言論劃定攷). And these academic assignments are still being done in part. If these predictions and genealogical guesses are valid, then these challenges can now be clearly recognized. We have recognized the completion of the academic project and the pattern and discontinuation of the unfinished academic project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Korea, and now it is time to continue with the disconnected academic history.

      • KCI우수등재

        「서명(西銘)」의 은유적 구조

        이향준(Hyang-Joon Lee) 한국철학회 2005 철학 Vol.84 No.-

        이 글은 「서명(西銘)」이 표방하고 있는 도덕성을 체험주의적 입장에서 분석한 것이다. 「서명」은 가정-출산-양육이라는 경험적 근거로부터 은유적으로 도덕성을 유도한 텍스트이다. 출산과 양육은 「제작자 제작물」, 「주고-받기」라는 은유적 통로를 통해 구조화되고, 이들은 다시 「도덕적 회계」라는 구도 속에서 이해됨으로써 출산 양육과 효의 상호 관계를 규정한다. 이와 같은 은유적 구조물는 「엄격한 아버지」 모형을 중심으로 하는 가정 모형에 의해 통합된다, 나아가 이 가정의 모형을 세계 전체로 확장하는 「인간의 가정」은유를 통해 가정의 도덕성을 보편적인 도덕성으로 확장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 도덕성의 보편적 근거를 존재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장재는 기(氣) 개념을 제시했다. 그러나 은유적으로 구조화된 도덕성의 내용과 기개념을 중심으로 존재론적으로 연역된 가치론의 구도는 비정합성을 드러냈다. 이 때문에 정이(程?)는 '천리'라는 개념에 근거를 두고 「서명」이 표방하는 도덕론의 형이상학적 정교화를 위해 이일분수'라는 주장을 제시했다. 이 과정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성리학의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기론에서 천리론으로의 전환은 도덕성의 정당화를 위해 추상적인 실체 개념을 변경한 것이지, 추상적인 실체 개념에 근거해서 도덕성을 변경한 사례가 아니다.

      • KCI등재

        陰陽인가? 陽陰인가?

        이향준(Lee Hyang joon) 한국동양철학회 2017 동양철학 Vol.0 No.47

        음양은 범주화의 도구이자 발화의 규칙이다. 이 두 가지 역할 사이에는 어떤 긴장이 내재되어 있다. 음양을 통해 범주화된 낱말쌍들은 대부분 양-음의 순서로 진술된다. 이 현상의 철학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 글은 한편으로는 ‘음양의 신화’라고 부를 수 있는 현대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양은유군으로 명명한 일련의 개념쌍들을 언급하는 어법에는 명백한 편향성이 존재한다. 둘째 이 편향성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신체화된 인지의 관점에서 음양론적 사유의 인지모델을 재구성한다. 셋째 이 과정에서 음양의 핵심적 의미 두 가지가 나타난다. 하나는 구성적이라고 부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해체적이다. 전자는 ‘양음론적 어법의 자의성에 대한 비판에 기초한 대안적 질서로서 음양론적 어법의 구성’한다. 후자는 ‘양음론적 어법의 자의성에 대한 비판 그 자체를 음양론적 어법 그 자체에도 적용함으로써 나타나는 자기 부정’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 두 번째 의미에 도달하려면 양음론적 질서의 음양론적 재구축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음양론은 구성적이면서 해체적이지만, 아직 구성되지 않는 질서를 먼저 해체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Yinyang are tools of categorization and rules of utterance. There is some tension between the two roles. Most pairs of words categorized by yinyang are expressed in Yang-Yin order. What is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is phenomenon?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modern position that can be called ‘The myth of yinyang.’ The order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lear bias in the phrase referring to a series of concept pairs named ‘a set of yinyang metaphors.’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biasedness, we reconstruct the cognitive model of the thinking based on yinyang from the viewpoint of the embodied cognition. Third, in this process, two key meanings of yinyang are shown. One is constructive and the other is deconstructive. The former criticizes the speech based on the order of yangyin as arbitrary. Constitute the yinyang dialectic as an alternative order. The latter applies deconstructive features to the yinyang dialectic itself. In this way yinyang reach their own denial. In order to reach the latter, the order of the yangyin should be reconstructed into yinyang order. It is because we can not dismantle an order not yet constituted. However, this should not be forgotten. The only condition for this rebuilding and overthrowing is that this object requires that the object to overthrow is dominant in our society. Yinyang are not words bearing a single truth. We should treat yinyang as a tool for solving the imbalance of ou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