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방랑기’를 통해 본 지역적 냉전의 시차(視差/時差)

        공임순 ( Imsoon Kong ) 한림과학원 2021 개념과 소통 Vol.- No.28

        이 글은 KBS의 간판 드라마로 장기 흥행했던 <김삿갓 북한 방랑기> 외에 알려지지 않은 ‘북한 방랑기’를 미 소장처(Hoover Institution Archives)의 자료를 통해 확인했다. 이 글은 이에 대한 소개와 개관을 겸한다. 먼저 2장에서는 식민지 시기를 이어 해방 직후인 1946년 영화 <똘똘이의 모험>에서 대중적 아동 캐릭터로 자리 잡은 똘똘이의 ‘북한 방랑기’가 처음으로 다뤄진다. 첫 국제적 열전/내전의 현장이던 한국전쟁은, 양진영을 대리한 치열한 심리전장으로 화했다. 이 과정에서 뉴스형 전단이 재고안되었는데, 한국어판과 중국어판이 동시 발행된 『주간신보 자유세계(Free world Weekly Digest)』가 그것이었다. 1951년 10월 19일 참전한 중국(인민지원)군을 주 타깃으로 했던 중국어판의 「아명 유랑기(阿明流浪記)」와 함께 「똘똘이」라는 제하의 ‘북한 방랑기’가 바로 이 한국어판의 지면을 장식했다. 이는 똘똘이의 모험+반공 서사에 유랑+반공을 덧입히는 지역적 냉전 서사의 출현이기도 했다. 3장은 5분 방송극의 새 차원을 열었다고 흔히 평가되는 <김삿갓 북한 방랑기>에 앞서 전파 냉전의 한 축을 담당했던 ‘유엔군 총사령부의 소리(Voice of United Nations Command/VUNC)’에서 방송된 < 김 선생(Teacher Kim) >의 존재를 되짚고 있다. 현대판 봉이 김선달이라 할 ‘김 선생’을 통해 북한 꼭두각시들의 위선과 모순을 꼬집고 조롱하는 15분가량의 라디오 방송극이었다. 심리전단과 전파 속 ‘북한 방랑기’를 거쳐 1964년 <김삿갓 북한 방랑기>가 구체화될 수 있었음을 이 글의 2장과 3장은 드러내준다. 이 같은 전사(前史)는 <김삿갓 북한 방랑기>가 심리전의 자장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했던 이유의 일단을 말해주기에 충분하다. 이 글은 한국전쟁 직전 월남(귀순)자들이 유포한 기존 (유사) 체험담의 레퍼토리가 ‘북한 방랑기’로 변주되었음을 논하는 한편, ‘김삿갓 북한 방랑기’가 대중 심리전의 차원에서 멀티미디어화되었음을 아울러 지적했다. 전선과 전시뿐만 아니라 평시와 일상의 삶마저 심리전(장)화했던 우리 안의 냉전이 ‘북한 방랑기’라는 특정 산물과 계열을 정초했음을 이 글은 비판적으로 문제 삼고 있다 하겠다. Kim Satgat’s North Korean Wandering was popular for a long time as a leading KBS radio drama, but this paper concerns a forgotten North Korean Wandering discovered in the Hoover Institution Archives, for which this paper provides an introduction and an overview. This older North Korean Wandering is based on a popular children’s character in the 1946 film The Adventures of Ttolttori (똘똘이), released just after liberation, following the colonial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During the Korean War, the first subsequent large-scale conflict, both sides engaged in a fierce psychological war. As part of this contest, the news leaflet Free World Weekly Digest was issued, with Korean and Chinese versions published simultaneously. One version targeted the Chinese Army, and was known as Amyeong Wandering (阿明流浪記), and the other was called Ttolttoli’s North Korean Wandering. Thus emerged a regional Cold War narrative which combined the ideas of adventure and wandering with an anti-communist narrative. This paper also discusses Teacher Kim, which aired on the ‘Voice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one of the pillars of the Cold War, before Kim Satgat’s North Korean Wandering. It was a radio show of about 15 minutes in length which exposed and ridiculed the hypocrisy and contradictions of North Korea. Kim Satgat’s North Korean Wandering, which first aired in 1964, owed a heavy debt to the earlier “North Korean Wandering” of psychological warfare leaflets and radio programs. Given this prior history, it is not surprising that Kim Satgat’s North Korean Wandering never quite managed to break free from the magnetic attraction of psychological warfare. The people who defected to South Korea just before the Korean War disseminated a repertoire of similar stories about their experiences, which were transformed into a public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 Wandering”, and ultimately manifest as psychological warfare in Kim Satgat’s North Korean Wandering. This paper critically explores the Cold War which remains within us, originating as psychological warfare during the Korean War, but persisting into peacetime and everyday life, as a specific understanding and ideology of “North Korean wandering.”

      • KCI등재

        A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Wander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s with Dementia

        Jae Gwon Jeong,송준아,박건우 대한치매학회 2016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15 No.1

        Background and PurposeWander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associated with some of the adverse outcomes in dementia, such as getting lost or even death. The etiology of wandering is not yet clearly known. As depression and wandering are both very common among the patients with dementia,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and wandering among the community dwelling patients with dementia. MethodsFifty community dwelling patients diagnosed with dementi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f they had primary family caregiver, older than age 18 in Seoul, South Korea.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K),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and Korean Version of Revised Algase Wandering Scale-Community Version (K-RAWS-CV) were used to measure the severity of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wandering. ResultsThirty percents of the patients showed wandering. Mean score of GDS-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anderers than non-wanderers. Severity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otal score of K-RAWS-CV and subscales of persistent walking, repetitive walking, eloping behavior, and mealtime impulsivity in whole sample. K-MMSE score also was related to wandering behavior. The prevalence odds ratio for wandering in depressed patients compared with undepressed group was 8.386 (95% confidence interval: 1.978–35.561). ConclusionsThis study implicates that not only cognitive impairment but also psychosocial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wandering patients with dementia and suggests assessing the depression in patients would be helpful in identifying the causes of wandering.

      • KCI등재후보

        한민족의 유랑의식 고찰 -식민지 시대 시문학을 중심으로-

        손미영 ( Mi Yeong Son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유랑에 관한 한국인의 의식 구조를 살피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논의의 범위를 좁히기 위해 식민지 시대에 발표된 시편들에 드러난 유랑 의식을 분석의 대상의 삼았으며, 아탈리의 개념을 빌어 ``인프라 노마드``와 ``유희적 노마드``, 그리고 ``내적 노마드``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용악, 백석, 이찬, 박세영 등에게서 나타나는 인프라 노마드의 시들은 식민 통치자들의 착취를 위한 정책이민의 희생자였던 농민과 노동자 그리고 지식인 망명자들의 고통스런 삶이 구체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박목월, 노천명, 신경림 등에게서 나타나는 유희적 노마드의 시는 인프라 노마드의 시와 분명하게 구별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자와 시적 인물들이 노마드적 삶을 고통으로 받아들이거나 거부하지 않고, 대체로 즐기려는 듯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오상순이나 서정주의 일련의 시들에 나타나는 내적 노마드의 경향은 불교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들은 사회 현실과는 유리된 내면적 유랑 혹은 여행의 모습을 띠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패러다임은 저마다의 고유한 세계관 혹은 미학을 거느리고 태어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유랑 의식을 드러낸 일련의 식민지 시편들을 통해 한국인들은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유랑과 방랑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시대적 현실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삶의 터전을 떠나야 하는 상황일지라도 그것에 순응하기 보다는 유랑은 개선되고 지향되어야 할 불안한 여정이라고 고뇌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에게 있어 유랑 의식은 직, 간접적으로 불만스러운 현실에 대한 비판과 고발의 의도를 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According to G. Jimmel, man lives longing for wandering and homeland. So it can be said that this wandering is the nature of human who is ceaselessly seeking after something. Bohemian and wandering life is usually composed not so much of stability and resignation as of change and overcoming. In view of Italian concept, this study inquires into our poetry made up of the motive of wandering and divides it into infra nomads (expellee`s agony), amusing nomads (vagabond`s resignation) and inner nomads (wanderer`s uncertainty). Infra nomads (expellee`s agony) are an aspect that is expressed by wandering poets, who are forced to leave their homeland because of environmental factors. That is to say, an involuntary wandering poem. Amusing nomads (vagabond`s resignation) express an aspect presented in the poems which are singing a roaming life without outer suppression. Inner nomads (wanderer`s uncertainty) say human`s nature is wandering itself in respect of religious and metaphysical thoughts. It may be said that these paradigms were born with a unique world view or aesthetics respectively. Infra nomads` wandering poems including an expellee`s agony must play a role in criticism of and letting on reality But it is clear that Infra nomads` poems must not be restricted to a revolutionist`s catchword. Readers` Inconsistent attitudes about amusing nomads` poems are attributed to unbalanced viewpoint and vague standard in criticism, which results from disunited literary circles Wandering poems literally must make it possible to take a trip in our imagination. In the course of the journey, Poems can be our actual experience beyond indirect one.

      • KCI등재

        Wandering As a Goal-Seeking Behavior: Examining Wanderers' Negotiation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Choi, Jaepil 대한건축학회 1999 Architectural research Vol.1 No.1

        Wandering behavior is a serious problem among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yet it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study by those interested in gerontology. The research that has been done has generally regarded wandering behavior as an aimless, directionless movement. Only a few studies have addressed the problem after first assuming that wanderers have a goal to their movement, and fewer still have explored the rol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n the wanderer's behavior. None have combined the two approaches. In this paper, the physical environment will be looked at for support of the theory of wandering as a goal seeking behavior. In a pilot study using behavior maps, the movements of wanderers and non-wanderers are analyzed and compared for the amount of visual access and exposure their locations contain. While the behavioral implications of these two measurements are considered, the limitations of the results are also discussed, so that their relationship to the cause of wandering behavior may be better understood. By implying that wandering is not a totally aimless but purposeful behavior at least in the subconscious level, constructive design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that would make wandering a more pleasant experience for the wanderer and increase the ease of the nursing home staffs management of the problem.

      • KCI등재

        배회증상을 보이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신경심리적 특징

        양영순,황인하,곽용태 대한치매학회 2014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13 No.3

        Background: Wandering represents one of a major problem occurring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To find the disproportionate neuropsychological deficit and 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in dementia (BPSD) of AD patients with wandering compared to AD patients without wandering, this study examined the set of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caregiver-administered neuropsychiatric inventory (CGA-NPI). Methods: Psychotropic-naïve (drug-naïve) probable AD patients with wandering (64) and without wondering (278) were assessed with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which included measures of memory, intelligence, and executive functioning. Results: Patients with wandering had lower scores in the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copy, Fist-edge-palm, Alternating hand movement tests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wandering. The degree of wandering in AD patient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CGA-NPI subdomains of aggression, disinhibition, depression, and delusion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1) AD patients with wandering have disproportionately cognitive deficit suggesting frontal and right parietal dysfunctions, 2) wanderings are related with specific BPSD. Considering these results, AD patients with wandering may have specific neuronal anatomic substrates related with pathology of Alzheimer.

      • KCI등재

        산수화에서의 소요(逍遙)에 담긴 노마드감성에 관한 연구

        강민희,조택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Landscape paintings are typical spati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system introduced in China. Canvas describes not only the objects such as mountains and waters but the air of surrounding space. This means that likability of space is visibly expressed on canvas. This kind of expression of space-likability enables appreciators to understand and feel the image of the space. As such, 'free and easy wandering' enables appreciators to freely take a stroll inside the painting which is eastern aesthetic value that gives psychological freedom. This study confirms that emotional nomad is inherent in free and easy wandering of landscape painting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evolutionary psychology as the tool of emotional nomad classification. The researcher regarded free and easy wandering that appears in landscape painting as a work from emotional nomad. And it had become as a mind which is movement-likability gotten from long-term movement for survival since the age of Pleistocene. Free and easy wandering on canvas is the result of mental imagery of spatial experience of appreciator with emotional nomad. Thus, the study uses Kaplans preference matrix as basi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real space. Result from comparing common elements of emotional nomad those appear in paintings of 3 representative north Song Dynasty artist and Kaplans preference matrix. The researcher classified 4 elements of free and easy wandering, as ‘attract of attention’, ‘lead of attention’, ‘stay of attention’ and ‘link of attention’. This emotional nomad is the universal preference of movement, and is the series of process to persue amusement such as enjoyment and interest. Free and easy wandering was usually dealt in the eastern aesthetics, however, this study uses evolutionary psychology to understand emotional nomad of likability of perspective shift. Understanding emotional nomad in a new knowledge environment will be the tool to understand the value of landscape paintings in a new way. The researcher expect that such a approach which could gain sympathy in psychological environment as a universal value of free and easy wandering, becoming a new point of designing an free and easy wandering and amusing space applying 4 elements of emotional nomad. 산수화는 중국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공간표현 및 인식체계이다. 대상으로서의 산(山)과 수(水)를 넘어서, 그것이 둘러싼공간의 분위기를 화폭에 담아낸다. 이는 공간에 대한 호감이 시각적 대상으로 표현된 것이다. 이러한 공간호감의 표현형은 감상자로 하여금 그 공간을 인지하고, 가상적으로 체험하는 소요(逍遙)를 경험하게 만든다. 그림 속에서 ‘한가롭게 거닐음’으로써 정신적인 자유를 얻는 ‘소요유(逍遙遊)’는 동양미학적 가치로 해석되며 그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 본연구는 진화심리학을 도구로 산수화에서의 소요에 담긴 노마드(nomad)감성의 유형을 분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소요가 노마드감성으로부터 작용하며, 홍적세로부터 오랜 시간에 걸쳐 생존을 위한 이동에서 갖게 된 마음이라고보았다. 화폭에서 경험하는 소요는 감상자의 심상(mental imagery)처리를 통해 작용하기 때문에 실제와 똑같은 경험이가능하다. 그러므로 인간이 실제 공간을 이해, 탐색할 때의 진화심리학적 선호 매트릭스를 근거로 노마드감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북송대 산수화를 선도한 대가로 칭송받으며, 섬세한 필체와 표현으로 산수화에서의 소요를 가장 잘 드러낸 3인인 곽희, 범관 그리고 이성의 대표작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노마드감성 요소를 진화심리학자 카플란(Kaplan)의 선호 매트릭스에 대응시켜 보았다. 그 결과로 산수화에서 감상자가 소요하게 만드는 요소인 ‘시선의 유인’, ‘시선의 유도’, ‘시선의 머묾’ 그리고 ‘시선의 연결’의 총 4가지 노마드감성 유형을 분류하였고, 이를 통하여 세 대표작에담긴 소요를 노마드감성으로써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노마드감성은 이동에 대한 인간의 보편적 선호로, 공간에서 즐거움과 흥미라는 유희를 추구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동양미학의 환경 내에서 해석되어 온 산수화에서의 소요를 진화심리학적 틀에서 접근해 봄으로써, 산수화에서의 소요를 노마드감성을 통한소요에 대한 호감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진화심리학적 지식환경 내에서도 공감 받을 수 있는 보편적 가치로서의 소요에대한 접근이 노마드감성의 요소를 적용한 소요의 유희적 공간 디자인에 새로운 기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재가 치매노인의 길찾기(Way-finding)와 배회(Wandering)와의 관계

        임영미(Lim, YoungMi),홍(손)귀령(Hong, Gwi-Ryung Son),송준아(Jun-Ah Song)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1

        본 연구목적은 재가 치매노인의 길찾기 효율성과 배회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편의추출법에 의해 전국 7개 중소도시 및 대도시에서 가정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이며 한국판 간이형 정신상태 검사도구 (K-MMSE) 점수가 24점 이하의 기준을 가진 치매노인과 만 18세 이상으로 집에서 노인을 돌보는 일차적인 가족 수발자 84명이었으며,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K-MMSE와 ADL, IADL, 그리고 연구팀에 의해 번역과 역번역이 실시된 한국판 길찾기 효율성 도구 (KWES)와 한국판 지역사회용 배회 척도 (KRAWS-CV)이었다. 자료 분석은 서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 인지기능 및 신체기능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길찾기 효율성과 배회행동을 알아보며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신체기능을 통제한 상태에서 총 길찾기 효율성 도구점수와 총 배회 척도의 점수와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길찾기 도구의 4개 하부영역과 배회 도구의 6개 영역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길찾기의 '단순목적지 길찾기'와 '포괄적 전략'의 점수가 낮을수록 배회의 '이탈행동'과 '공간적 방향상실'의 점수가 높았다. 길찾기의 '분석적 전략'은 배회 도구의 모든 하부영역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길찾기 능력과 배회는 같은 개념이라기보다 서로 관련이 있는 개념이며, 추후 각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서 한국의 실정에 맞는 재가노인을 위한 배회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wandering and way-finding, especially what particular way-finding decrements are linked to specific dimensions of wandering in a community dwelling elders with dementia in Korea. A total of 84 community dwelling elder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y caregivers were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rview with family caregivers. Wandering was measured using Korean Revised Algase Wandering Scale - Community Version (KRAWS-CV) along with its six dimensions: Persistent Walking, Repetitive Walking, Spatial Disorientation, Eloping Behavior, Negative Outcomes, and Mealtime Impulsivity. Way-finding was measured using Korean way-finding Effectiveness Scale (KWES) with four subscales (Complex Way-finding Goals, Analytic Strategies, Global Strategies, and Simple Way-finding Goals). Correlational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RAWS-CV subscales scores and the KWES subscales scores, controlling K-MMSE, PADL, and IADL. Overall, the KRAWS-CV and the KWES correlated at -.35 (p < .01). At the level of subscales, the all KRAWS-CV subsca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KWES subscales except AS (r = .65 to -.22). The SD had the highest correlation of any KRAWS-CV subscales with the overall KWES (r = -.66). These findings support the assertion that particular wayfinding deficits are a potential explanation for specific dimensions of wandering.

      • KCI등재

        <청산별곡>의 주제와 의미 맥락

        신재홍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49 No.-

        This study is concerned that the former interpretations of CheongsanByeolgok do not agree to a certain category of meaning, and it is doubtful whether the 5th and 6th verse replacement or 7th and 8th verse miracles are made becaus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poem in a coherent manner. Therefore,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somewhat limited, with the meaning context developed by re-deciphering the difficult phrase. First, I organized thematic studies of the poem over time. The results show the themes of leaving, returning, going, and staying are central. Hypotheses such as the replacement or miracle theory should be reconsidered if the meaning of the poem is matched incontext. I confirmed that themes of the poem which have been interpreted are likely be disjointed unless the original text was deciphered. I have re-deciphered the difficult phrases on wandering, the broad theme of the poem. '쟁길랑' (using a tool) was accepted, however it is a metaphor of 'wings' of birds in context. '에졍지' was interpreted as 'kitchen of temple which give foods to wanderers'. ‘사ᄉᆞ미, 지ᇝ대’ which, deciphered, means 'deer, pole' were seen as 'a monk of temple' and 'baggage table'. '설진 강술, 조롱 곳' was deciphered as 'unfamiliar distilled liquor' and 'gourd shaped distillation apparatus'. If we accept that '해금' and '조롱' are musical instruments, '울다' may mean 'singing'. The theme of the poem was limited to the experiences and emotions expressed by wandering singers. The first verse is an introduction to poetic thinking, the sixth verse is the related transition.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and the seventh and eighth verses are interconnected by meaning. In the first verse, the desire to enjoy life in the nature of green mountains was expressed. The 'bird' of second verse is a subject reflecting the speaker's emotions and occupational activities. The speaker's sense of loss and loneliness deepens when the bird flies downstream in search of food with mossy wings in the third verse. In the fourth verse, the speaker expresses the state of wandering here and there. In the fifth verse, when he finds temporary accommodation at night, he is driven out by a local. Thus, the pain and sadness of the wandering life becomes even worse. The sixth verse turns and faces to the sea. Life on the sea depends on nature, as in the green mountains, but it is not a place where pain disappears. In the seventh verse, the speaker eats a meal in the kitchen of a charity-giving temple. When a monk takes out his string instrument from the baggage on the table and plays music, the speaker listens and is absorbed in thought. In the eighth verse, the speaker passes through a distillery with distilled liquor, which is unfamiliar to him. He asks for a drink from the distillery master. This poetic situation and atmosphere would have moved to banquet after the poetic song was over. CheongsanByeolgok is a poem shaped by implicit expressions and structures that express the sadness and joy of wandering life experienced by a singer. This work has the characteristics of wandering, metaphorical expressions, narrativity of empirical stories, and hierarchy appearing as ending words. This is a unique poem in the genre of Goryeo Gayo and may be one of the best poems in Korean literary history. 본고는 <청산별곡>에 대한 기존의 해석이 일정한 의미 범주로 수렴하지 못하는 것을 우려하고, 제5‧6연 교체설이나 제7‧8연 기적설이 작품 전체의 의미 맥락을 정합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워서 나온 주장이 아닐까 회의하였다. 이에 작품의 주제를 어느 정도 한정한 다음, 난해 구를 다시 해독하여 의미 맥락을 구성해 보았다. 먼저 기존의 주제론을 시대별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하여 첫째, 떠나고 돌아옴, 가고 머묾의 주제가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 둘째, 교체설, 기적설 같은 가설은 현전 원문의 의미 맥락을 정합적으로 구성한다면 재고되어야 한다는 점. 셋째, 원문의 해독이 정립되지 않는 한 주제론은 여러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크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대체적인 주제를 유랑으로 보고, 난해 구를 다시 해독하였다. 제3연의 ‘장글란’은 ‘장길랑/쟁길랑’(연장을랑)을 수용하면서도 문맥상 새의 ‘날개’를 비유한 말로 보았다. 제7연의 ‘에졍지’는 ‘에’의 용례와 의미를 살펴서 ‘[한 끼] 에[울] 부엌’ 또는 ‘부엌 참’으로 풀이하였다. ‘사슴, 짐대’로 해독되어 온 구절은 ‘사(寺) 사미(沙彌)’, ‘짐 [놓은] 대(臺/坮)’로 보았다. 제8연의 ‘설진 강술’은 화자에게 ‘(낯)설은 강(羌)술’로, ‘조롱 곳’은 ‘조롱 [모양] (소줏)고리’로 해독하였다. 제7‧8연의 ‘ᄒᆡ금’과 ‘조롱’이 악기인 점에 주목한다면, 제5연의 ‘돓’도 경쇠로 여겨지고 제2연의 ‘울다’는 ‘노래하다’의 뜻일 수 있다. 이러한 재해석을 통해 작품의 주제를 좀 더 한정하였다. 유랑 가인이 겪은 삶의 애환을 주제로 경험적 이야기와 정서가 각 연에 표현되었다. 제1연은 시상의 도입, 제6연은 시상의 전환, 제2‧3연, 제4‧5연, 제7‧8연이 짝을 이루어 의미를 형성한다. 제1연에서는 인위적인 방식이 아닌, 자연 속의 삶을 누리고 싶은 욕망을 표현하였다. 제2연의 ‘새’는 화자의 정서와 직업 활동이 투영된 대상으로서 시름을 함께 나눌 만하다. 제3연에 그늘진 곳에서 자고 난 ‘새’가 ‘이끼 묻은 날개’로 먹이를 찾아 하류로 날아가 화자의 상실감과 외로움이 깊어진다. 제4연에 이렇게 저렇게 떠돌아다니는 화자의 모습이 드러나 있다. 떠돌다가 밤이 되어 임시 숙소를 찾을 때, 제5연에서 동네 사람의 돌팔매질에 쫓겨나니 유랑 생활의 서러움은 더욱 심해진다. 제6연에서 방향을 돌려 바다 쪽을 향한다. 바다에서의 삶도 청산처럼 자연에 의존하는 것이지만 이상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되지 못한다. 그리로 가는 도중에, 제7연에서 자선을 베푸는 절의 부엌 참에서 한 끼를 때운다. 사미승이 대 위의 짐에서 비어져 나온 해금을 가져다 켜는 곡을 듣고 상념에 젖는다. 제8연에서 화자에게 낯선 증류주인 강술을 빚는 곳을 지난다. 누룩 향은 막걸리 향과 다르지 않고 술 내리는 소줏고리는 조롱박 악기 모양을 닮았다. 그래서 악기 연주로 술값을 대신한다면서 주인장에게 술 한 잔을 청해 본다. 제8연의 시적 상황과 분위기는 노래가 끝난 후 연회의 현장 속으로 퍼져 나갔을 것이다. 이렇듯 <청산별곡>은 유랑 가인이 겪은 삶의 애환이 함축적인 표현과 짜임새 있는 구성으로 형상화된 작품이다. 유랑의 주제, 은유적 표현, 경험적 이야기의 서사성, 어말어미로 나타나는 계층성 등의 특질은 다른 고려 가요에 비해 독특한 면모를 보인다. 삶에 밀착한 주제성, 표현과 구성의 문학성, 연행...

      • KCI등재

        The Comparison of ‘Wandering’ in Korean and Irish Poems

        Sung Sook Hong 한국예이츠학회 2019 한국예이츠 저널 Vol.58 No.-

        정철과 박목월 시에 등장하는 방랑자는 인간의 마지막 피난처인 자연을 향해 뒤도 돌아보지 않고 가는 사람들이다. 그런데 이들을 긍정적 시각으로 보면 이들 은 자연에 매우 잘 순응하는 사람들이다. 동시에 부정적 측면으로 보면 이들은 자신들 의 정체와 방랑하는 이유를 드러내지 않을 뿐 아니라 방랑의 원인인 갈등이나 억압에 대해 전혀 저항하지 못하는 극단적 도피자일 수 있다. 그러나 예이츠와 히니 시의 방랑자들은 그들이 누구인지 왜 방랑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저항한다. 예이츠는 앵글로 아이 리시 영웅으로의 저항 정신을 그의 방랑 시에서 드러냈다. 이것은 자신을 오신, 쿠훌린 및 오이디푸스 같은 영웅과 자신을 동일시 한데서도 증명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히니는 순례의 섬 이나 방황하는 스위니 를 통해서 종교의 권위에 저항해 나락으로 떨어져 방랑해야만 했던 전설의 순례자인 스위니와 자신을 동일시했다. 한편 한국 시와 아일랜드 시에 등장한 방랑자들은 모두 예술혼인 자유를 추구하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The wanderers in Jung Cheol’s and Park Mokweol’s poems travel toward our last shelter, nature without a backward glance. From a positive viewpoint, the wanderers in Korean poems live a very much acceptable life. At the same time, on a negative side, they are escapists who never resist any conflict and oppression. Unlike the wanderers in the Korean poems, the wanderers in Yeats’s and Heaney’s poems talk about who they are like and why they cannot but become wanderers. All through his life, Yeats shows his wandering spirit as a heroic and privileged Anglo-Irish by identifying with heroic wanderers like Oisin, Cuchulain and Oedipus in his poems. In contrast, Heaney, in Station Island and Sweeney Astray, identifies with the legendary figure Sweeney who falls down to be a miserable wanderer by denying the authority of the religion. Meanwhile, all the wanderers in the Korean and Irish poems have one characteristic in common, that is, freedom of the artistic spirit.

      • KCI등재

        조지훈 시의 유랑 의식 연구

        송기한 한중인문학회 2008 한중인문학연구 Vol.23 No.-

        This paper studies the features of wandering senses of Cho jI-hoon and analyzes the first poetry world of Cho jI-hoon. It is times pointed out that traveler and wandering senses of Cho jI-hoon was features of the first poetry. His native place of Cho jI-hoon has been involved features the first stage poetry. That is nature and modern, self in infancy period. Especially It restarted experience of his native place with that period. And that was resisted modern. The poetical investigation of Cho jI-hoon, as we pointed out in his text, embodies a summit of Modern Korean poetry. That is to say, his orientation in his native place,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in his first poetry. The wandering, united world and recover is the important concept the first stage poetry. This work is the first stage departing from his traveler and wandering. 이글은 조지훈의 나그네 의식을 다룬 글이다. 그의 시는 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지훈의 시를 이렇게 규정하게 된 배경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무엇보다 그의 시들이 자연을 완상하고 관조했다는 데에서 기인한다. 뿐만 아니라 그의 성장배경이 유교적 전통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지역이라는 사실도 한 몫을 했다. 시인의 시에 대한 이러한 평가나 이해들이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 조지훈을 비롯한 청록파에 이르러 비로소 자연이 근대적 사유 구조 속에 편입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특히 청록파 시인들의 시가 근대성을 거부하고 철저하게 반근대 지향적인 면모들 드러내고 있다는 데에서 그러한 의미화들은 더욱 공고히 되었다. 그럼에도 조지훈의 시들이 정적 세계에만 머물러 있었던 것은 아니다. 자연에 대한 막연한 관조나 예찬에서 머물지 않고 그것을 끊임없이 자기화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다. 그것이 그의 시에서 드러나는 유랑의식이다. 시인에게 이러한 유랑의식은 보편적으로 사유되는 존재론적인 것이기도 하지만, 근대의 세례를 받은 자의 불구화된 의식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조지훈은 자신의 시세계를 확립하는 첫걸음인 습작기뿐만 아니라 후기에 이르러서도 꾸준히 모더니즘 계통의 시를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단순한 습작의 차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시인에게는 방법상의 문제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어떻든 모더니즘 계통의 시를 끊임없이 붙들고 있었다는 사실은 그의 시정신의 여로가 완결지향적인 것이 아니었다는 단적인 증거라 할 수 있다. 그것이 조지훈 시에서 드러나는 나그네 의식이다. 이글은 그러한 의식의 단면들을 여러 각도에서 추적해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