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PP모형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 직무연수 평가

        이정은 ( Jung Eun Lee ),강영심 ( Young Sim K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직업교육 내실화를 위한 현장교사의 전문성개발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CIPP모형에 기반하여 교사가 이수한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103개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직업교육 관련 수업을 담당하는 중등교사 중 최근 4년간 직업교육 직무연수를 한번이라도 이수한 경험이 있는 3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로 과정평가 모형의 일종인 CIPP모형에 기반을 둔 4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첫째,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보통 이상이었다. 특히 CIPP모형을 기반으로 했을 때, 투입평가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상황평가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영역별에서 상황평가는 연수참여의 자발성, 투입평가는 연수이수를 위한 행정적 지원, 과정평가는 강사의 전문성 수준, 산출평가는 연수운영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직업교육 직무연수의 강점은 연수기회의 참여확대였고, 약점은 사전조사와 대상자분석의 보완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를 위한 직업교육 직무연수는 연수상황 파악을 위해 수요자와 학교현장의 사전 실태 분석을 통한 연수 개설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seek the CIPP evaluation model applied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fulfill this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1. To conduct overall evaluation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vocational teachers who work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 To analyze sub-categories evaluation of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vocational teachers who work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95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in 103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out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analyze both evaluation that used CIPP mod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 Overall evaluation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was above average. Seeing sub-categories of evaluation, input evaluation is the most positive evaluation, produc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context evaluation are in order. The outcome suggests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put evaluation like plan and support is more positive than others, b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ontext evaluation such as pre-analysis and direction guidance is need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is study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context needs to be implemented through analysis of reality between vocational teachers and school environment. After that, to meet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plann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nd notifying demand of vocational teacher are necessary. Further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gency should improve teachers` demand and evaluation.

      • KCI등재

        직업훈련 심사평가 변천과 사례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정선정,이문수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ructure and organize the changes in vocational training evaluation,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 application theory, and detailed projects, and to present the evaluation effect based on this. To this end,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levant laws and amendments, internal documents, administrative statistics data, public documents, and previous studi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in vocational training audit evaluation took Singapore's SSG operation model, which is dedicated to everything in execution by centralizing evaluation, training execution and supervision when the initial training scale is relatively small. Since then, various training programs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 number of targets has been subdivided.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training scale, in order to secure fairness and credibility of audit evaluation, it is similar to Australia's ASQA operation model that separates audit evaluation function from the executive agency. Second, the current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evaluation unifies previously distributed functions into one place and performs it procedurally by business unit. The evaluation theory applied to each business unit uses Kirkpatrick's four-step evaluation model in Stufflebeam's CIPP evaluation model to comprehensively evaluate each aspect of vocational training. Third, the detailed project of vocational training evaluation selects training institutions and training courses in stage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In the middle of training, trainees' academic performance is assessed for qualitative evaluation. In addition, fraudulent training management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train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udit evaluation details. Fourth, th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evaluation has the effect of integrating structural functions, improving the quality of short-term training performance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each course and purifying the training market as the training institutions and courses are maintained) and improving the long-term training performance (increase in satisfaction level and employment rate). 이 연구의 목적은 그 동안의 직업훈련 심사평가 변천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심사평가 체계 및 적용 이론, 세부 사업을 구조화하여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한 심사평가 효과를 제시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관련 법령 제・개정사항과 행정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내부 문서와 행정통계 데이터 및 공개된 문서와 통계 자료, 선행연구 등을 토대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 심사평가 변천은 초기 훈련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을 때는 심사평가와 훈련집행 및 지도감독을 일원화하여 집행기관에서 모든 것을 전담하는 싱가포르의 SSG 운영모형을 취하였지만, 이후 다양한 훈련사업이 신설되고 지원대상이 세분화 되는 등 훈련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심사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집행기관으로부터 심사평가 기능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호주의 ASQA 운영모형과 유사한 방식을 취하게 되었다. 둘째, 직업훈련 심사평가 현행 체계는 기존에 분산되었던 기능을 한 곳으로 일원화하여 사업 단위별로 절차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사업 단위별로 적용하고 있는 평가이론은 직업훈련의 각 국면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 안에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이 들어간 혼합모형을 사용하고 있다. 셋째, 직업훈련 심사평가의 세부 사업은 훈련실시 전후를 기준으로 사전에 훈련기관과 훈련과정을 단계적으로 선별한 이후에, 훈련이 실시되는 중간에는 훈련의 질적인 평가를 위한 이수자 평가와 심사평가 내역에 대한 준수성 평가를 위한 부정훈련관리가 수행된다. 넷째, 직업훈련 심사평가 효과는 구조적인 기능 통합의 효과와 단기적인 훈련성과 측면의 훈련품질 제고(부정부실 훈련기관과정 정비에 따라 과정별 참여인원 증가, 부정훈련시장 정화) 효과 및 중장기적인 훈련성과 제고(만족도 및 취업률 증가 등) 효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를 위한 영역 및 지표개발

        강경종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Evaluation Areas and Indicator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by major fields, which could keep the continuity and the credibility by way of revising the current evaluation tools, and enhance the rationality of evaluation result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ly, the various related concepts of the school evaluation were explored by reviewing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data analysis, and to find the suggestions for developing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hose were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the domestic school evalu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evaluation areas and items by the major fields of study, two-round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collect data through a series of survey to obtain the consensus of a group of experts in evalu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addition, the workshop was held to verify the credibility of the evaluation areas and the evaluation item and develop specific evaluation items by each evaluation item and evaluation indicators by each specific evaluation item. Based on the results, six areas, nineteen sub-areas, sixty nine indicators were identified fitness for Evalu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실업계 고교의 환경변화 및 직업교육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고, 단위학교 운영의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를 통한 실업계 고등학교 운영 체제 개선을 위해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평가 영역 및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이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 관련 선행연구 등을 통해 영역, 항목, 지표와 그 외의 문헌 연구 결과, 직업교육의 환경 변화, 시대적 요구 및 혁신 방안 등에서 제시한 내용에서 추출된 결과를 기초로 제1차 델파이 조사도구에 포함된 ⑴학교발전계획, ⑵교육과정, ⑶교원, ⑷학생, ⑸시설 및 설비, ⑹지역사회와의 연계, ⑺교육성과의 7개 영역, 25개 항목, 90개의 평가지표 등을 도출하고 제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추가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문항을 조사한 결과, 16개 지표를 추가하고 12개 지표를 수정하였다. 그 결과 6개 영역, 19개 항목, 69개의 평가지표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실업계 고등학교의 개선 및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평가 지표를 통한 지속적인 학교 평가의 실시와 평가 결과의 피드백이 정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평가 목적, 방법, 절차, 운영조직, 주기, 영역, 결과의 활용을 명시화하고, 평가에 필요한 인력 및 재정 확보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 정책이 입안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직업평가사 자격 구분과 교부 및 양성 교육과정

        박희찬,이상진,이은정,박은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장애와 고용 Vol.20 No.4

        본 연구는 직업평가사의 자격 구분과 자격 교부 및 양성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 직업적응 및 직업평가사 인증위원회의 자격기준 및 직업평가전공 교육과정을 고찰하고 국내에서 직업평가를 수행하고 있는 전문가 104명을 대상으로 직업평가사 자격구분과 자격교부 방안, 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조사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평가사 자격구분에 있어 직업재활전공과 관련전공의 구분, 연수와 경력의 충족 조건 등을 제시하였고, 자격교부에 있어 자격관리위원회의를 구성하여야 한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양성 교육과정에 있어 필수이수과목과 선택이수과목을 도출하여 제안하였다. 직업평가사 자격 구분과 교부 및 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결과는 직업평가사 자격증 제도 마련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직업평가사의 전문성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develop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educational training and certification program in vocational evalua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certification in vocational evaluation approved by the Commission on Certification of Work Adjustment and vocational Evaluation Specialists (CCWAVES) and academic curricula specialized in vocational evaluation in United States were reviewed for this study. 104 vocational evaluation practitioners completed a survey of (1) criteria for eligibility, (2) procedures to issue certifications, and (3)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for vocational evaluation specialists. In addition, input from the expert panel of the advisory board meetings was collect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ligibility criteria needs to address the distinction between a degre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a degree in a related field and to address the procedure of acceptable internship/employment experiences. Further, the results indicate a need for a standard and credential committee to issue certifications for vocational evaluation specialist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specific descriptions for required and elective courses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and accreditation process. A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 need for a certification program for vocational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vocational evaluation specialists.

      • KCI등재

        Issues i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in South Korea

        최국환(Choi, Gughwa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9 재활복지 Vol.23 No.4

        이 연구는 직업능력평가사 양성 및 자격제도 현안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직업능력평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직업능력평가사 양성과 자격제도에 관한 인터넷 자료를 검색하였고, 논문 등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인에게 직업능력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법적 근거는 비교적 잘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등급제 개편에 따라 관련 직업능력평가사의 국가자격 인증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한국직업재활학회 자격분과위원회에서 인정하고 있는 자격연수 과정은 지식과 기술 영역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학과목의 명칭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고, CRCC의 CVEs 매뉴얼을 참조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은 직업능력평가사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고찰에서 유사성이 발견되었으나 자격제도의 운영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문헌고찰 결과, 장애인고용공단과 자격제도의 운영에 관한 협력체계가 필요하고, 실습장소 확보, 역할정체성 문제 해결 및 슈퍼비전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능력평가사 양성과 자격제도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ssues i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and to suggest tasks for effective vocational evaluation service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article reviews were performed, along with a comprehensive internet search, focusing o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features of vocational evaluators. The review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egal foundation of providing vocational evaluation services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been well established, however the conversion of the private vocational evaluation certificate into a nationally recognized certificate was addressed with an emergence of a new disability rating system.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or workshop), organized by the KSVR and its affiliated associations, was found to have focused on course work titles rather than focusing on knowledge and skill domains, suggesting that the CVEs manual of CRCC needs to be utilized with appropriate revisions. Admitting the overall similarity in role and func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manage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found in carrying out the qualification system. In summarizing the reviews, suggestions were made to include the cooperation with KEPAD in running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the diversification of practicum or internship sites, the establishment of role identity, and the necessity of providing supervisions. The issues i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were discussed, along with an effective management of vocational evaluation certificate.

      • KCI등재

        NCS 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 기관인증평가를 위한 평가자의 역할과 역량 분석

        박지영,이희수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evaluator’s role and capability for institution accreditation evaluation of NCS-based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in various ways evaluator’s minute roles using Delphi method, and to derive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integrity needed to verify the validity. To the end, this study conducted the Delphi research for over three rounds by selecting education training professionals and review evaluation professions as professional panels. From the results, roles of evaluators were defined as the total eight items including operator, moderator-mediator, cooperator, analyzer, verifier, institution evaluator, institution consultant, and learner, and the derived capabilities with respect to each role were 25 items in total. The area of knowledge included four items of capabilities such as HRD knowledge, NCS knowledge, knowledge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and knowledge of training institution accreditation evaluation, and the area of skill comprised fourteen items of capabilities such as conflict management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word process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alysis ability, pre-preparation ability, time management ability, decision making ability, information comprehension and utilization ability,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understanding ability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institutions, communication ability, feedback ability, and core understanding ability. The area of attitude was summarized with the seven items in total including subjectivity and fairness, service mind, sense of calling, ethics, self-development, responsibility, and teamwork. Th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to design and provide education programs conducive to qualitative and systematic accreditation and assessment to evaluators equipped with essential prerequisites. It is finally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designing module education programs by ability and for managing evaluator’s quality in order to perform pre-service edu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according to evaluator’s experience and role. NCS의 성공은 직업능력개발훈련 기관인증평가자의 역할과 역량에 달려 있다. 이 연구는 NCS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 기관인증을 위한 평가자의 역할과 역량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평가자의 구체적 역할을 다각적으로 탐색하고, 필요한 지식과 기술, 태도 그리고 특성을 도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훈련 전문가와 심사평가 전문가를 패널로 선정하여 3차에 걸친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평가자의 역할은 총 8개로 운영자, 조정・중재자, 협력자, 분석가, 검증가, 기관평가자, 기관컨설턴트, 학습자로 분류되었고, 각 역할에 따른 역량은 총 25개로 도출되었다. 지식 영역은 HRD 지식, NCS 지식,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식, 훈련기관인증평가 지식의 총 4개의 역량이 포함되었다. 기술 영역은 갈등관리 능력, 대인관계 능력, 문서작성 능력, 문제해결 능력, 분석 능력, 사전준비 능력, 시간관리 능력, 의사결정 능력, 정보이해・활용 능력, 종합적사고 능력,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이해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피드백 능력, 핵심파악 능력의 총 14개의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태도 영역은 객관성 및 공정성, 서비스 마인드, 소명의식, 윤리의식, 자기개발, 책임감, 팀워크의 총 7개로 정리됐다. 이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역할과 역량은 평가자가 일정한 요건을 갖추어 공정하고 체계적으로 인증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자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특히, 평가자의 경험과 역할에 따라 기초교육 및 향상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역량별 교육 프로그램을 모듈별로 설계하고, 지속적으로 평가자의 품질을 관리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OASYS 체계와 구성 및 활용 가능성

        박희찬(Park Hee Chan),신현욱(Shin Hyun-u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5 職業再活硏究 Vol.15 No.2

        직업재활과 고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장애인의 직업평가 결과와 직업정보를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활용을 들 수 있다. 최적의 장애인 고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직업평가 결과와 직업정보를 연결하는 직업매칭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이 필요한 것이다. 미국 Vertek에서 개발한 OASYS는 직업매칭과 관련된 컴퓨터 체계와 프로그램으로서 한국의 직업재활 현장에서 직업평가 결과와 직업정보 DB 구축 및 매칭을 시도하는 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OASYS의 체계와 구성을 살펴보고, OASYS를 통하여 직업평가 결과와 직업정보가 어떻게 매칭될 수 있는 지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OASYS가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2004년 10월부터 11월에 걸쳐 3개 주, 4개 직업평가센터를 중심으로 직업평가사들과 직업매칭에 관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미국의 경우, OASYS의 결과가 개별 장애인에 대한 종합적인 직업 평가에서 의미 있게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 우리나라 직업매칭 시스템 개발과 활용을 위해 OASYS가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지 제시하였다. For improving the rehabilitation system, vocational evaluators need to analyze the specific job by scientific metho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ence, it is important to match the vocational evaluation results and job information exactly. Job Matching is the process which connects with the job information with job seeker s aptitude. interest and character. To match vocational evaluation results and job information correctly, vocational evaluators should understand client s aptitude, interest and character as a whole and gather the job information systematically. Through this process, job matching system such as OASYS is able to match vocational evaluation results and job information precisely. OASYS is a dynamic software program that matches a job seeker s skills and abilities to occupational requirements. It then reports occupations and occupational information about matching occupations and enables a user to check the accuracy of their guesses about a job seeker s employability. The software also reports occupational outlook (current employment and projections), wage and salary data and more. OASYS is an powerful tool for use by those who make intensive use of occupational information in the delivery of their services.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practical use of the job matching system, there were four interviews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evaluators from October 2004 to November 2004 in the USA.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job matching system were used as important references in whole processes of vocational evaluation. Therefore, we need to increase the qualities of the job matching system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ystem at the same time.

      • KCI등재후보

        직업능력평가사 역할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연구

        김성회(Sung-hwe Kim),조은상(Eun-sang Cho),최국환(Gug-hwan Choi) 한국직업재활학회 2005 職業再活硏究 Vol.15 No.2

        본 연구는 직업재활현장에서의 직업능력평가사에 대한 업무형태를 직무분석을 통하여 제시하고 장기적으로 업무표준화를 통환 직업능력평가사의 바람직한 역할 몇 기능을 정립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무분석과 평가업무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하였고, 직무분석은 미국 고용국(U.S. Employment Service)에서 사용한 USES휘 절충적 기법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직무분석 결과, 재활장면에서의 작업능력평가사는 장애인의 직업재활과정에서 장애인파 보호자 몇 재활관련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평가도구를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운용함으로써 장애인의 의료적, 심리적, 사회적, 교육적 몇 직업적 영역에 관한 제반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종합하는 일련의 포괄적인 과정의 직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으로 직무의 정의가 합의되었다. 직무모형은 평가면접, 계획, 평가수행, 평가보고서작성, 평가결과 상담 등 5가지 책무를 토대로 각 책무별 2개에서 5개의 작업들을 구성하여 총 19개의 작업으로 구체화하였다. 직업 명세에서 최소교육정도는 4년, 교육훈련기관은 4년제 대학으로, 최소 교육훈련 기간은 4년, 그리고 견습기간은 1-2년으로 조사되었다. 직업적성은 언어소통능력과 정보수집 몇 분석력, 기억력과 공간지각 능력, 손기술과 신체운동능력, 시력과 청력, 대인관계능력과 인내심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작업능력평가사의 업무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직업능력평가사 양성에 필요한 훈련과정 및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and function of vocational evaluato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stablishing a standardized evaluation work model applicable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settings. The professional research group was organized. and a modified USES job analysis technique. developed by U.S. Employment Service. was utilized.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As the result of the study. vocational evaluato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defined as follows: one who performs a series of professional work. including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coordination of clients medical. psychological. social. educational. and vocational information. by utilizing the various evaluation tools. which are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are-givers. and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e evaluation phase was proposed as follows: evaluation-based interview. evaluation plan. initiation of evaluation. submission of evaluation report. and final counseling. consisting of a total of 19 work specialities across the phase. At least 4 years of college education and 1 or 2 years of practices were proposed. along with re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areas. The outcome of the study could be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valuation services. as well as for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ose work groups. The implications and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vocational evaluator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도구에 대한 고찰

        정은화(Eun Hwa Jeong)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2 재활치료과학 Vol.11 No.4

        목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평가도구를 확인하고 분석함으로써 작업치료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 검색은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내용은 개발연도, 평가방식, 문항수, 척도,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평가 항목을 기능,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의 4가지범주로 구분하여 각 평가도구의 평가 요소에 대해 파악하였다. 결과 : 검색어를 통한 Pubmed 검색 시 161개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선정 방법에 따라 Griffiths Work Behavior Scale (GWBS), Occupational Functioning Scale (OFS),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Scale (SOFAS), Work Ability Index (WAI), Work Behaviour Inventory (WBI), Work Environment Impact Scale (WEIS),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WSAS)의 7개 평가도구가 선별되었다. 모든 평가도구의 평가항목은 직무와 관련된 기능평가를 포함하였으며, 각 평가도구의 목적에따라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직업 기술은 신체, 인지, 사회기술, 대처능력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기능,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의 4가지 요소가 포함될 필요가 있으며, 평가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제약을 보완하기 위해 ICT 융합 평가도구의 개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evaluation tool for the mentally disabled. Methods : For literature search, the Pubmed database was used, and for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year, evaluation method, number of items, scale, and evaluation items were analyzed. In the analysis method, each evaluation item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unction, internal factor, environment, and mental symptom, and the evaluation elements of each evaluation tool were identified. Results : When searching Pubmed through search terms, 161 documents were retriev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method, Griffiths Work Behavior Scale (GWBS), Occupational Functioning Scale (OFS),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Scale (SOFAS), Work Ability Index (WAI), Work Behavior Inventory (WBI), Work Environment Impact Scale (WEIS), and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WSAS) were screened. The evaluation items of all evaluation tools included job-related function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evaluation tool, internal factors, environment, and mental symptoms were measured. Conclusion : Occupational skills are skills in which various functions such as physical, cognitive, social skills, and coping skills act in a complex w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four factors analyzed in this study: function, internal factors, environment, and psychiatric symptoms.

      •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성과에 관한 연구

        박소연(Park, so-yeun),윤천성(Youn, Chun-Sung)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20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자격제도 개정이후 자격제도 변화에 따라 새로이 도입되어 운영되어 오고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운영성과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NCS(국가직무능력표준)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와 검정형 자격제도를 비교하고, HRD-Net 과정평가형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기관의 운영성과 자료와 한국 산업인력공단 통계자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선행연구자의 학위논문과 문헌자료를 토대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성과에 대한 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의 문제와는 달리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참여 훈련생의 만족도와 자격증 취득률뿐만 아니라, 취업률과 취업후 고용유지기간도 검정형 자격참여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결과에 따라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중요성과 운영체계 안정화및 산업사회 변화에 따른 실무위주의 자격요건의 형평성에 맞는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의 전문화가 필요하여, 운영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운영기관 선정과 운영의 중요성 그리고, 개선방안 제시로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fficient operation plan of the course evaluatio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 system, which has been newly introduced and operated since the revision of the qualification system in Korea. The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typ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as compared with the HRD-Net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Operating Institution s operational performance data and Korea Occupational Manpower Corporation s stat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like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for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nd training, not only the satisfaction rate and certification rate of trainees participating in the course evaluation system, but also the employment rate and post-employment period were higher than the 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pecialization in the operation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typ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as needed to meet the importance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 system and the fairness of working-level qual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importance of selecting and operating a courseevaluat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management institution, and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will help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evaluat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