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와 스토리텔링을 융합한 공공디자인 사례 연구

        김온유,오진주,김이연,이중섭,이진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3

        오늘날의 사회는 정보화 시대에서 문화 시대로 변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수많은 정보 중 눈에 띄는 효과적인 시각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넘어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감동시킬 수 있는 감성적 가치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각전달 표현의 핵심적 역할인 타이포그래피 중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의효과와 잠재성은 더욱 주목할 만하다.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는 기업이나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광고 등에 빈번하게 쓰이다가 점점 영역이 넓어져 최근에는 공공디자인에도 점차 활용되고 있다. 타이포그래피는 공공디자인에서 시각적 의미전달을 할때 중심역할을 한다. 특히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는이미지와 문자의 결합체로서, 독창적이고 유희적이며차별화된 방법으로 더 인상적이고 효과적인 의미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특유의 인지성, 가독성, 주목성, 조형성, 유희성 등의 특성 때문에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는 자연스럽게 스토리와 융합하여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와 스토리텔링이 융합된 공공디자인 작품 사례들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 78 - 류・분석하고 가치를 평가하여 이러한 시각적 표현의효과와 의미를 찾아내고자 한다. 논문에서 소개한 작품들은 모두 공공디자인에서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와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상권을 활성화시키고 도시 재생 프로젝트에 큰 기여를 한 사례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의 개념 및 기능을 정의하고 스토리텔링과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의 융합 효과와 공공디자인의 개념을 정리한다. 또한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에 속한 이미지와 문자의 관계에 따른 분류체계를 정리하였다.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와 스토리텔링을 융합하여 공공디자인에적용한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각 작품의 콘셉트를 알아보고, 앞서 정리한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 표현에따른 분류체계를 도입하여 분류 및 분석하고 작품의가치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픽토리얼 타이포그래피와스토리텔링의 융합적 활용가치를 강조하고 효과적인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Our society is shifting from the information age to the cultural age. Therefore, the emotional value that can stimulate and win people’s hearts is becoming more significant. This is beyond the method of effective visual communication which focuses on being remarkable among numerous inform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ypography plays a key role in visual communication expressions. In particular, the effect and potential of pictorial typography is even more noteworthy. Pictorial typography has been frequently used for corporate or brand identity and, advertisement. Its usage has gradually expanded throughout a variety of areas. Recently, pictorial typography has become more popular in public design. Typography is crucial in conveying visual connotation in public design. A combination of image and text, pictorial typography can deliver more impressive and effective meaning in its own original, playful, and differentiated way. In addition, due to its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recognizability, readability, attentiveness, memorability and playfulness, pictorial typography can naturally be combined and delivered with stories.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effects and connotations of visual expressions in the cases of public design works by categorizing, analyzing and evaluating their values, in which pictorial typography and storytelling are fused. All works introduced in this study are the examples of public designs which successfully contributed to revitalization of local commercial areas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effective use of pictorial typography and storytelling. As a research method, the concept and function of pictorial typography are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ictorial typography and storytelling is explicated, and the concept of public design is clarified. Furthermore, the new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text of pictorial typography is introduced. The concept of each work is explored and the works are classified, analyzed and evaluat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value of the convergence of pictorial typography and storytelling and to suggest effective directions of developing pictorial typography.

      • KCI등재

        브랜드 인지를 강화시키기 위한 타이포그래픽의 연구 : 유명 브랜드 로고타입을 중심으로

        김지면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 No.2

        오늘날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은 제품의 품질보다는 그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제품의 품질과 그 이미지가 동일시되어 가고 있다. 그러므로 그 제품의 상표에 대한 신뢰성이나 명성이 중요한 구매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기업들도 어떻게 자신들의 브랜드를 차별화 하여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느냐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구매의사 결정시의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여 이를 기본으로 개별 브랜드에 대해 적당한 평가를 하고 최적의 브랜드를 선택한다는 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브랜드는 그 상품의 내용성분의 우수성을 이름과 함께 외형적으로 노출시키는 유일한 형태이다. 결국 제품의 우수성과 가치는 외형적으로 노출되는 브랜드로 압축되고 표현되어 구매자나 소비자의 의식에 각인된다. 이렇게 소비자의 의식에 깊이 남게 되는 브랜드는 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조건 요소가 된다. 브랜드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일반화되면서 점점 더 많은 수의 브랜드들이 개발되어 소비자 앞에 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 수많은 신생 브랜드들 중에 과연 몇 개나 되는 브랜드가 소비자들의 인식 속에 강렬하게 기억되는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을까, 그 차별성은 브랜드 로고에서의 typography적 요소라 생각한다. 21세기는 영상매체가 주도하는 시대이다. 따라서 짧은 시간에 브랜드 네임을 소비자들에게 각인 시켜야 하는데 typography의 표현에 따라 정보전달력이 브랜드이미지로 축약되어 전파하는 힘이 강력하다고 생각한다. 현대에는 로고 타입이 단순히 제품을 구별하는 역할에서 발전하여, 브랜드를 차별화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브랜드의 특성과 이미지를 현대인의 감각에 맞는 디자인으로 표현하고 있다. 브랜드 로고 타입은 상품을 인식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typography의 표정에 따라서 상품의 내용물의 성격이 표출되고 소비자에게 각인될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결정한다. 브랜드 로고 typography는 그래픽 이상으로 요구되는 테크놀로지와 정확성, 그리고 훌륭한 감각이 요구 되는 고감각 표현이다. 본 논문은 브랜드의 이미지요소에서 가장 핵심적인 로고 타입의 시각적 요소를 이루는 typography를 기준으로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로고 타입이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typography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여 브랜드 로고 타입에 소비자들의 브랜드 선호이미지와 인식의 차원을 살펴보았으며 typography가 제품성격에 속성이 나타낸 것을 정서적 조사를 통해 고찰하고자 했다. Today purchase decision of the consumers, the quality of the product compared to the brand image of that product becomes accomplished in the center and the quality and that image of the product are identified and they are going. Are like that operate with the purchase VIP where the reliability or the reputation against the trademark of that product is important also the enterprises how to discriminate the brand of the themselves, competitively high position hold it is to put an importance from market. It forms the purchase doctor decisive right time brand image and regarding the individual brand in the basic which will reach is suitable it evaluates and meaning which is important from the cotton it selects the brand of optimum large grade it keeps. Brands of more and more number are developed as realization that brand is important is generalized and is seen before consumer. However, among these great many new birth brands, some brand can grow by brand that is remembered intensively in realization of consumers really, the distinction is thought typographic element in brand logo. 21th century is age that image medium leads. Therefore, think brand name that force that back tell power demolishes compression being done by brand image according to typography's expression should make consumers in case is strong in significance. Brand logo type suffers the biggest impact to recognize prize and personality of content of goods is expressed according to typography's expression and decide identity that can be recognized to consumer. Brand logo typography is technology and accuracy, and high sensuous expression that excellent sense is required that is required more than graphic. This paper examined brand preference image of consumers and dimension of realization in brand logotype executing present condition investigation about typography by brand awareness degree analyzes how High logotype is appraised to consumers via typography that accomplish visual element of the most central logotype in image factor of brand and typography wished to investigate through sentimentalize investigation that attribute appears in product personality.

      • KCI등재후보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있어서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에 관한 연구

        이용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5 조형미디어학 Vol.7 No.1

        디지털 시대의 컴퓨터의 발달과 여러 가지 그래픽 소프트웨어의 등장은 적용방법에 있어 현대 디자인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정보전달 매체의 활용 방법에 있어서도 매우 빠른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인쇄 매체에 따른 종류도 많아져 그에 따른 표현방법도 매우 다양화 되어져가고 있다. 최첨단 기술로 무장된 디지털 매체는 그래픽 디자이너들에게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표현방법은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지원과 디지털의 발달에 따라 그 응용 범위가 매우 방대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단순히 typography의 의미전달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전달 매체로서의 기본 아래 typography의 활용방법에 있어 보다 구체적인 시각적 표현을 위하여 색다른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여러 유형의 표현방법을 살펴보았으며 이로써 typography의 역할과 기능, 개념을 재해석하였다. 또한 시각요소로서의 typography에 좀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기본적 typography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활용방법을 통해 조직화, 체계화시킴으로써 시각적 감동을 줄 수 있고 가치 있는 이미지 표현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여러 가지 표현형식의 타이포그래피 예제를 통해 비주얼 이미지 표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Development in computer and appearance of graphic software in digital era carried lots of change in modern design in terms of application method and a rapid change is found in the methods to utilize the information-transmit media. The kinds of printing media were also increased and their expression methods are also diverse. High technology and digital media present new possibilities of design expression to graphic designers. The way of expression of the modern typography is widening due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dealing with various softwares. This research was reviewed various types of expression methods to express different images for more concrete visual expression in utilization method of typography not for the purpose for simple transmittance of meaning of typography but for the media for visual transmittance, and, from this, role, function, and concept of typography were reinterpreted. In addition, for a newer meaning of typography, the methods to give visual impression and to express valuable images are suggested through organization and systemization of basic typography with a more efficient and functional method to utilize. Then, I propose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image expressions through analysis of several case studies of typography.

      • KCI등재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체계 연구

        정근수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그림책의 타이포그래피 기호 자원 목록(Machin, 2007)에 따라 우리나라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체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실제 의미 작용 양상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타이포그래피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굵기(weight), 색(color), 크기(size), 기울기(slant), 틀(framing), 형식성(formality), 다양한 표현(flourishes)등의 기호 자원(semiotic resources)을 활용한다. 다양한 기호 자원은 타이포그래피를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하여 독자가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책의 타이포그래피는 다양한 양상으로 의미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읽는가는 독자의 의미구성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기호 자원에 따라 실제 그림책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의미작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타이포그래피는 등장인물, 배경, 사건 전환 등 이야기 구성 요소에 대한 정보를 함축한다. 둘째, 타이포그래피는 글과 그림을 통해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단서를 찾아 읽게 하는 작가의 의도를 암시하는 정보를 함축한다. 셋째, 타이포그래피는 실제적인 감각을 동원하여 해석하도록 유도하여 독자가 그림책 읽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본 연구는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다양한 기호 자원을 인식하고 그림책 읽기 과정에 이를 적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ography of contemporary picture books according to the inventory of semiotic resources by Machin(2007) which relates typography to picture books using Machin’s inventory (2007). It also explored the actual signification patterns of picture book typography and based on the results, provide basic data for discussing infant multiliteracy education. Typography uses semiotic resources such as weight, color, size, slant, framing, formality, and flourishes to emphasize meaning. Various semiotic resources are used for readers to read and understand typography easily while utilizing the effect of visualizing typography. Readers read typography by relating to texts, pictures, and paratext, within the context of a picture book. Through titles, particular words, vocabularies, sentences, and paragraphs expressed in typography, readers captu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conversation, characters, background, classification between reality and fantasy, and development of events and use them as clues for interpretation of the picture book. As a result, the nee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a typography reading teaching strategy from an the infant multiliteracy education perspective was raised. A typography reading strategy should be aimed at increasing the ability to accept the meaning delivered by typography critically and utilize it. The contents of the typography reading strategy were based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ypography (Kress & van Leeuwen, 2006), and as a specific educational activity, a language sector activity and literature related activity were proposed.

      • KCI등재

        인지적 위상공간의 개념으로 분석한 타이포그라피의 공간성 연구

        백서영(Se Young Bae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본 논문은 타이포그라피에 내재된 입체적인 공간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살펴보고 타이포그라피의 공간성이 어떻게 인지심리적, 표현적, 기호적, 언어적 차원에서 텍스트의 의미자질을 보완하고 강화하는지 고찰하기 위해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로는 일차적으로 타이포그라피의 기본 요소인 텍스트를 기록 언어의 범위로 한정하고 그 개념을 인지심리적, 표현매체적, 기호학적, 언어학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타이포그라피의 인지적 위상공간 분석을 위해서는 연구자가 분류한 각 공간의 개념을 선명하게 나타내는 필리포 마리네티(Filippo T. Marinetti), 잭 피어슨(Jack Pierson), 악셀 피모엘러(Axel Peemoeller), 리자 리너만(Lisa Rienermann)의 작업들을 사례로 삼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전경-배경의 결정요인에 따라 타이포그라피의 텍스트가 전경(Figure)으로 인지됨을 전제로, 글자가 배경으로부터 가지는 거리 값을 a, 글자 자체의 양감 값을 b로 설정함으로써 인지적 공간개념을 세우고 분석의 기준점으로 삼았다. 그리고 a와 b의 변주에 따른 조합으로 타이포그라피의 위상공간을 4가지로 분류하고 각 범주에 속한 타이포그라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글자와 배경 사이의 거리개념 a 가 발달함에 따라 타이포그라피의 새로운 공간성, 시간성, 운동성이 발현된다. 두 번째, 거리개념 a 와 글자의 양감 b 가 모두 양(+)의 값을 가지는 경우, 글자의 3차원적 물성이 표현매체로서 더욱 활성화되며, 3원론적 기호체제에서 이야기하는 해석체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세번째, xyz축으로 이루어진 현실의 3차원 공간에 이질적인 2차원 위상체계로서 존재하는 타이포그라피는 인지자의 주체적인 움직임으로 말미암아 시간성을 획득하고, 시각적 긴장과 이완을 바탕으로 한 유희를 제공한다. 네번째,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전경과 배경을 도치한 타이포그라피는 3차원의 영역에서 음(-)의 방향으로 공간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놓으며, 공간의 탄력성을 극대화한다. 이와 같이 연구자는 인지적 위상공간 개념을 통해 타이포그라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타이포그라피의 평면적 양태가 인지적, 기호적, 표현적, 언어적 측면에서 더욱 풍부하게 진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공간성의 측면에서 타이포그라피가 어떻게 또 다른 시각언어 체계인 이미지와 상호작용하는지 더욱 심도있게 살펴볼 계획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patiality of typography from a new viewpoint and examines how the spatiality develops the message of text in the spheres of perceptual-psychology, expression, semiotics, and linguistics.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written language``, since the text constitutes the basic element of typography. The notions of the text are explored in the spheres of perceptual-psychology, expression, semiotics, and linguistics. To analyze the spatiality of typography, the study uses the typographic works of Filippo T. Marinetti, Jack Pierson, Axel Peemoeller, and Lisa Rienermann, which best represent the categories of spatiality as defined by the researcher. In line with the theory of figure-and-ground, the study sets the typography`s text as the figure and extracts it from perceptual background. Then,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is to assume the value of the distance of text from its background as a, and the value of the volume of the type as b.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a and b, the spatiality of typography is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types and analyzed accordingly.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f the value a develops, the typography gets new dimension of spatiality, being able to express the sense of time and movement. Second, if the value a and value b are positive, the 3 dimensional character of typography is significantly activated, affecting the interpretation of message. Third, the floating typography, which casts visionary 2 dimensional plane on the 3 dimensional real world, is perceived by the viewer`s active movement. This instantaneity gives this floating typography the sense of time and the visual tension and relaxation, which are the source of perceptual pleasure. Forth, with the progress of digital tools, typography is able to convert figure and ground, and this gives greater flexibility to the concept of expansion of space toward negative space. In conclusion, this article analyzes typography, using the concept of perceptual topological space, and manifests that the 2 dimensional properties of typography improve themselves in the aspects of the perceptual-psychology, expression, semiotics, and linguistics. This article`s further discussion will deal with the visual interaction between typography and image, from the viewpoint of spatiality.

      • 한글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의 해체주의 표현 연구

        윤재성 ( Yun Jae Seong )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3 디자인과학연구 Vol.6 No.3

        19세기 유럽의 산업혁명은 정신적, 물질적인 면에서 인류에게 큰 변화를 가져왔다. 기계에 의한 생산방식의 변화는 물질적 영역뿐만 아니라 인간의 사고 방식까지 변하게 만들었다.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분야도 예외는 아니었다. 내용이나 형식면에서 볼 때 전통적인 타이포그래피는 여러 사람이 여유를 가지고 차근차근 읽을 수 있었던 산업혁명 이전에 사람들을 위한 것이었다. 당시에는 기능적인 것보다 형식적 미학적인 것, 즉 장식적인 것이 주된 관심이었다. 그러나 산업혁명과 함께 기계의 출현으로 사람들의 생활양식이 다양해지고 매체의 활용은 간결하며 표준화된 전달 수단의 표현으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즉 과거의 장식적인 측면보다는 시각언어적 표현과 능률적이고 기능적인 형태를 추구하게 되었다.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들은 전통적인 양식인 수평적인 체제를 벗어나는 데 성공했다. 그들은 사진식자 체계의 발달과 레터링 개발에 의해 개념적이고 비선적(非線的)인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을 제작했으며 새롭고 풍부한 방법에 근거한 명쾌한 표현들이었다. 이러한 해체적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은 정확하고 경제적인 표현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았다. 외관상으로는 명료함, 순수함을 표현했고 인간이 직접 관여하는 조형분야의 하나로 그 정신적 태도는 기술적 형태가 갖는 합목 적성보다 우월했다. 기능주의 타이포그래피는 특정 집단의 디자인 운동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당시 디자인 세대 전체의 움직임이었다. 원칙적이며 합리적인 그들은 모든 일에 새로운 사고로 접근하였다. 이 새로운 정신은 짧은 유행으로 그치지 않고 그리드(grid) 시스템을 국제화 양식으로 확산하게 했다. 전통적인 대칭적 타이포그래피와 현대적인 기능주의 타이포그래피와의 근본적인 차이는 전자가 수동적이라면 후자는 표현양식에 있어 매우 적극적이라는 점이다. 기능주의 타이포그래피의 비대칭과 콘트라스트(con trast)는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기초가 되었다. 현대 타이포그래피에서 볼 수 있는 장식이 전혀 없고 간결한 형태의 레이아웃은 이 기능주의 정신에 뿌리를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9th Century Europe brought about a great change to human race in spiritual and physical aspect. The change in the method of production by machine transformed not only material sphere, but also human way of thinking. The field of typography design was not an exception. In the light of contents or form, traditional typography was for the people who had lived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when many people had the time to read leisurely. At that time people had an interest in something formalistic, and something aesthetic rather than something functional. In other words, their main concern was something decorative. However, on account of the advent of machine along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people`s style of living became diversified, the utilization of media began to be changed into simple and standardized means of transmission. In other words, typography designers have succeeded in getting out of the horizontal system which was a traditional style. They produced a conceptual, nonlinear typography design by means of the development of photo typesetting and that of lettering, and the designs were clear-cut expression based on new and abundant method. This scrapping typography design didn`t aim only at correct and economic expression. Outwardly, it expressed lucidity and purity, and it was one of molding fields in which human beings participated, and their spiritual attitude was superior to the nature of proper purpose. Functionalism typography was not always the design movement of a special group. It was the movement of the entire design generation. They adhered to a principle and was rational, and approached all things with a new thought. This new spirit didn`t cease as a short fashion, and made grid system expanded as the style of internationalization.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symmetrical typography and functionalism typography is that if the former is passive, the latter is very active in the style of expression. The asymmetry and contrast of functionalism typography has become a basis of modern typography. There is no decoration at all which can be seen in modern typograph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layout of simple form has taken root in the spirit of this functionalism.

      • 디지털 매체에 적용된 스태틱/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연구

        김상훈 ( Sang Hoon Kish Kim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4 정보디자인학연구 Vol.7 No.-

        Typography has been developing through the process of different try under the different circumstances whenever new media was introduced. By invention and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people meet typography through the electronic screen instead of traditional papers. The history of typography on digital media is much shorter than history of typography on prints. So, there are still many technical problems to solve. Even though there are many technical problems exist, digital multimedia era gave designers more flexible circumstance for typography. The digital multimedia allowed typography to overcome time and space. Communication through typography will be more dimensional and dynamic. However, if kinetic typography is improperly used on digital media just because digital media allows to do, the fundamental meaning of typography as a communication way can be lost.

      • 웹상에 나타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김혜진(Hye-Jin Kim)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07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12 No.2

        Modern web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way of communication. The reason is that networks and web users are increasing critically. So typography -the basic letter of web communication- should be made efficiently to meet the role. The basic role and expression of typography demands a new role of typography -multimedia factors unified with image, graphic, sound, and movie. Kinetic typography is more efficient than static typography in the ground that most web users are strongly attracted by the dynamic visual effect. Multimedia provides us with a new communication -digital environment expressed by letters as well as sounds and motions. Typography is also promoted from static one to kinetic typography.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variation makes typography just visual letters unable to communicate. So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value of letters in multimedia and to cultivate the way of transferring the letters. The dynamic expression of time and space plays a key role in communication through kinetic typography. This dynamic expression theory should be used variously to show effectively. Kinetic typography should be studied to develop the new inspiration and spirit with theory and experience.

      • 멀티미디어에 표현되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Moving 형식에 관한 연구 -인터넷 배너광고에 나타나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김문석 ( Kim Mun Seog ),우동영 ( U Dong Yeong )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3 디자인과학연구 Vol.6 No.1

        At present, the human beings fall into the flood of information, not only necessary but also unnecessary, without one`s will. All of the information is mostly transferred through the typography. For centuries, the typography has been discharged the duty as a mass medium of information, but shown some differences with the former practical use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the medium named internet. The typography is being located a new independent media by the addition of motion owing to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which was not possible faculty in a paper. However, giving undue value to the visual function in disregard of the basic purpose of the information media, the real substance has been being distorted. This thesis put forward a proposition about the function as the information media which is the basic purpose of the typography, by adding the elements of motion, space, and time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ypography developed for long period of time. And it aims at how to present the meaning of the typography as an element of the advertisement in the media named the Internet banner advertisement, and what the typography derive from the moving format. In addition, this thesis analyze from all viewpoints the real case of the kinetic typography in the Internet banner advertisement, and intend to propose the upgraded target of the kinetic typography.

      • KCI등재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동향 분석

        박장호 ( Jangho Par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4

        Background Trend analysis of typography research makes it possible to analyze the application of basic design theory. In the past, a typography-related meta-analysis only suggested a research classification to categorize research by topic, but it has a limit to objectively analyzing the research topic. Since the ‘co-occurrence analysis' of the selected theses is suitable for analyzing research topics, it is necessary to use it for typography research trends. Methods Based on the Core Collection of Web of Science and the KCI Journal Database, typography-related research papers were collected using typography-related keywords search. For the collected papers, research areas analysis and co-occurrence analysis were performed. Web of Science analysis report was used for research areas analysis and VOSviewer was for co-occurrence analysis and visualization. Result International typography-related research was evenly distribu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rt, humanities, literature, engineering, psychology, and architecture, while domestic typography-related research was found to be focused on design and art fields. As a result of co-occurrence analysis, studies in international journals tended to focus on the functional use of typography, whereas studies in domestic journals showed prominent studies on the visual expression of typography. Conclusion The research topic structured through co-occurrence analysis reveals specific topics that the existing design research classification cannot present, and it shows that typography research is being broadly expanded to various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