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주명부 기재의 효력

        김택주 한국상사판례학회 2017 상사판례연구 Vol.30 No.4

        It can be pointed that about the relation between corporate and a registered shareholder or equitable shareholder which one has priority, the supreme court has changed their position recently. According to the judgement sentenced recently, only the registered shareholder can be treated as shareholder by corporate even though the corporate knew the registered shareholder lent his name to the equitable shareholder. The supreme court’s position is that, in relation to a corporate, only registered shareholder can exercise their shareholder’s right and even the corporate itself may not allow real shareholder to exercise their shareholder right. It means that the register is binding not only shareholders but also a corporate. The court position is contrary to the express provisions of the ACT that afford corporate to treat the registered shareholder to exercise shareholder rights, but does not treat it a duty to follow contents of the transfer book of shareholders. As to the effectiveness of share transfer, Article 337, Paragraph 1 of the ACT merely provides that the transfer of shares will not be effective against the company if the name and address of the transferee is not registered in the share registry. Along to the provision Article 337 of Korean Commercial Act, the corporate should be construed that they can recognize the equitable shareholder as the legal shareholder who can exercise a shareholder’s right. It can be also pointed that the supreme court’s position is disregarding the reality of corporate that many numbers of shareholders are registered shareholder who lent their name to the equitable shareholder. And to give the real shareholder to exercise his right as shareholder can be regarded justice in civil relationship, So to give prior right an equitable shareholder rather than a register shareholder are more proper under the corporate relation. In conclusion, the conclusion sentenced the supreme court is contrary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 ACT. In order to set up suitable position between corporate and shareholder, not the court but the amendment of KACT is recommended. In case that where a share is transferred without delivery of share certificate, there is a possibility of double-transfer. The rights and obligations between the double transferee should be determined pursuant to the provisions of the Civil Code related to the transfer of claims. The supreme court held that when both transferees did not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Civil Code on claim transfer, neither party will prevail over the other party in connection with the transfer. It also held that corporate is obligated to treat the registered acquirer as a shareholder. But, it can also occur when the corporate knew the double transfer and one party complied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Civil Code on claim transfer but registered shareholder is the other party. In that case, the corporate may be fully aware of the prevailing party, even the corporate should follow the register book even though he knew the prevailing party? This supreme case do not mention about this situation, I thing that the corporate should treat the party as shareholder who complied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Civil Code on claim transfer nevertheless the register. 최근 대법원은 주주명부기재의 효력과 관련하여 기존의 판례와 태도를 달리하는 판시를 하였다. 법원은 지금까지는 주주명부상의 주주와 실질상의 주주가 차이가 나는 경우에 실기주의 귀속과 같은 예외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형식보다는 실질을 중시하여 실질주주에 대하여 우선권을 인정하는 태도를 취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의 대법원 판례에서 이러한 태도를 바꾸어 주주의 회사에 대한법률관계를 그 실질에 관계없이 주주명부의 기재에 따라 해결하려는 입장을취하였다. 이를 주식의 발행단계와 주식의 양도로 나누어보면, 주식의 발행단계에서 형식주주의 지위를 우선하여 타인명의로 주식을 인수한 차명주주의 주주권 행사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주식의 양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비록회사가 주식양도가 이루어진 사실을 알고 양수인을 알고 있다고 하여도 주주명부상의 기재에 따라 주주권 행사자를 정하여야한다는 취지의 판결을 하고있다. 그러나 판례의 입장은 상법의 태도에 반하는 것으로, 조문 해석의 한계를벗어난 것으로 본다. 상법이 제336조 제2항에서 주권의 점유자는 적법한 소지인으로 '추정한다'고 규정한 것도 주권의 점유자라도 실질관계에서는 주주가아니라는 반증이 가능함을 전제하고 있는 것이고, “명의개서를 하지 아니하면회사에 대항하지 못한다.”고 한 것도 그와 구분되어 효력이 없다고 규정한 권리주 양도나 주권발행전의 주식양도와는 달리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주주명부의 기재에 따른 형식상의 주주를 우선하여도, 일정한 예외가 인정된다고 보는데 판례는 명의개서를 부당하게 지연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에도 주식을 도난․분실한 경우나 주권발행 전주식을 이중양도한 경우에 명의개서를 하지 않는 양수인이 먼저확정일자 있는 증서에 의하여 대항력을 갖춘경우 등도 예외에 해당한다고 본다. 즉 도난․유실된 주권을 제시하여 명의개서를 하였다 하여도 그 사정을 아는 회사가 주주명부의 기재에 따라 주주권의 행사를 허용하였다면 면책이 되지 않을것이며, 허위의 명의개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같은 관점에서 주식의 이중양도의 경우에 당사자간의 관계는 명의개서 여부와 상관없이 확정일자있는 증서에 의한 통지나 승낙이 있었는가가 기준이 된다. 만일 제2양수인이 확정일자를 갖춘경우에 회사가 이러한 사정을 알면서도 제1양수인이 명의개서를 하였다고 하여도 주주명부상의 기재에 따라 제1양수인을 주주로 취급하는 것도 타당하지 않다고 보며, 이때도 회사의 면책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본다.

      • KCI우수등재

        명의주주와 실질주주가 다른 경우에 있어서 주주의 확정 - 대법원 2017. 3. 23. 선고 2015다248342 전원합의체 판결 -

        정준우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5

        This paper is based on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5Da248342 related to determination of shareholders in cases where the registered shareholders and the equitable shareholders are different under the Commercial Act. In this case, the plaintiff, who is a registered shareholder, argues that the resolutions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regarding the appointment of outside directors are seriously flawed in the way of resolution, asked for confirmation of non-existence or invalidity of resolution, and cancellation of resolution in advance, since the defendant's largest shareholders and managers(eg. directors etc.) abused their powers and ignored the related laws at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n this case, the Suwon District Court ruled that the defendant's plea was a reason for the plaintiff's petition because the plaintiff's petition was not a plaintiff's right, the Seoul High Court dismissed the plaintiff's appeal while citing the judgment of the first trial court as it is. Specifically, 1) the company's judgment and perception as to whether it is an actual shareholder can not be considered arbitrary, 2) shareholders can postpone the judgment and recognition of the company as a result of postponement, and 3)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ird parties who have trusted the contents of the resolution and to promote legal stability by not granting a status to the shareholders' and that the plaintiffs' claims can not be accepted. However, the Supreme Court first stated that the reason for existence of the shareholders' list system is to be determ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shareholder list, and that the same applies to the issuance of shares as well as the transfer of stocks. And, as long as there is no special circumstance, a person who is listed as a shareholder in the shareholder list can exercise rights of shareholders for the company, and the company, besides the shareholders in the shareholder list, can not deny the exercise of the shareholders' rights of the injured shareholders. However, there is a criticism about this judgement of the Supreme Court. In this paper, finally, I have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Supreme Court's judgment, and investigated the legal problem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other systems linked to the Supreme Court's judgment under the Commercial Act and another laws. And I have suggested the rational interpretation direction and supplementary measures based on this analysis under the Commercial Act. 본 평석의 대상판결은 주식의 인수․양도에 있어서 명의주주(형식주주)와 실질주주가 다를 경우에 누구를 주주로 보아야 하는지에 관한 대법원 2015다248342 전원합의체 판결과 그 원심인 서울고등법원의 2014나2051549 판결 및 제1심인 수원지방법원의 2014가합62872 판결이다. 이 사건에서 명의주주인 원고는 사외이사의 선임에 관한 주주총회의 결의는 피고의 최대주주와 경영진이 권한을 남용하고 법령을 무시하며 파행적으로 진행한 것이므로 결의방법 등에 중대한 하자가 있다고 주장하며 주위적으로 결의의 부존재 내지 무효 확인을, 예비적으로 결의의 취소를 구하였다. 이에 대하여 피고는 원고의 경우 단지 실질주주에게 명의를 대여한 형식주주에 불과하므로 소를 제기할 당사자적격이 없다고 주장하며 이 사건 소는 부적법하다고 본안 전 항변을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제1심인 수원지방법원은 원고의 소는 원고적격이 없거나 확인의 이익이 없는 자가 제기한 부적법한 것이므로 피고의 항변이 이유 있다고 판시하였고, 제2심인 서울고등법원은 제1심법원의 판단을 대부분 그대로 인용하면서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였다. 그런데 대법원은 먼저 주주명부제도의 존재이유를 밝힌 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주주명부에 주주로 기재되어 있는 자는 회사에 대하여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고, 회사도 주주명부상의 주주 외에 실제로 주식을 인수․양수한 자가 따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았든 몰랐든 간에 주주명부상 주주의 주주권 행사를 부인할 수 없다면서 원심을 파기․환송하였다. 그렇지만 이에 대해서는 비판하는 견해도 있으므로 본 평석에서는 대법원의 판단내용을 중심으로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대상판결과 연계된 다른 쟁점사항도 함께 검토하면서 합리적인 해석 및 보완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형식주주의 법적 지위

        남윤경(Nam, Yunkyung)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8 No.1

        In case of subscribing or transferring shares under the name of another person, the Supreme Court has maintained its position that the real shareholder should be recognized as an authorized shareholder. And the Supreme Court has also maintained its position that the company has the power to recognize the person who has not fulfilled the entry of a change of shareholders’ name at the shareholders’ list as a lawful shareholder. However, quite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changed the rule concerning this matter, only the shareholder on the record should be recognized as an authorized shareholder, and the company should authorize the person who has fulfilled the entry of a change of shareholders’ name at the shareholders’ register as a lawful shareholder. Considering that the shareholders may change every minute, and that the legal decision should be rendered on the basis of an uniform standard in the field of law, the Supreme Court Decision is appropriate. The shareholders’ list is a system for all the concerned parties as well as for the company.

      • KCI등재

        타인명의 주식인수와 주주명부 기재의 효력 -상장회사 실질주주명부에 관한 최근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조현진 ( Cho Hyunjin ),이현정 ( Lee Hyunjeong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7 상사판례연구 Vol.30 No.2

        최근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상장회사 실질주주명부의 효력과 관련하여, 주주권의 행사자는 주주명부에의 기재를 기준으로 정한다고 판시함으로써 기존의 입장을 변경하였다. 주주명부는 회사의 주주와 주식의 현황에 대하여 기록해 놓은 문서이고, 명의개서는 주식의 이전으로 인하여 주주명부에의 주주가 변경되는 것을 말한다. 주주명부의 효력과 관련하여 대항력, 추정력, 면책력이 인정되는데 이는 다수인의 이해관계가 얽힌 복잡한 단체법적 법률관계를 획일적으로 결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실질주주와 형식주주가 다른 경우 회사가 누구를 권리의 행사자로 인정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타인명의 주식인수와 명의개서 미필주주의 지위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그간 판례는 타인명의 주식인수와 명의개서 미필주주의 지위와 관련하여 회사의 권리인정 여부에서는 실질설의 입장에서, 실기주 문제는 형식설의 입장에서 판단해 왔었다. 그런데 이번에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와 양도하는 경우 모두에 있어서 회사의 인식여부는 불문하고 주주명부 기재의 효과를 형식적으로 판단한다고 하여, 기존에 실질설을 따르던 입장을 모두 변경한 것이다. 사안은 상장회사 주주명부의 효력에 관한 것인데, 다수의견은 상장회사와 비상장회사를 구별하지 아니하고 형식적으로 보아 법률관계를 획일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별개의견은 상장회사의 경우에는 형식적으로 판단해야 하지만, 비상장회사의 경우에는 현실을 고려하여 기존과 마찬가지로 실질주주에게 주주권의 행사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향후 비상장회사에서는 여전히 실질주주와 형식주주가 다른 경우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기회에 상법상 주주명부의 효과와 관련된 규정을 좀 더 명확히 함으로써 논쟁을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cently, en banc of the Korean Supreme Court (hereinafter `the Court`) has changed its existing stance on the effect of a list of shareholders by stating that stockholders rights shall be granted to listed shareholders rather than real stockholders. A list of shareholders is a document that records a status of shareholders and stocks of a company (hereinafter `the List`). A transfer of shareholders name means that a company changes from a listed shareholder`s name to a new one in a list due to a transfer of shares (hereinafter `the Transfer`). The List has been recognized to have countervailing power, presumptive power, and immunity, which is intended to uniformly determine legal relationships surrounding a company that involve multiple parties` interests. When a real shareholder is different from a listed shareholder, it is a question of who shall be recognized as a rightful one to exert a shareholder`s rights. You can see the case of issues of a stock acquisition under a disguised ownership (hereinafter `the Acquisition`) and a status of shareholders who have not completed the Transfer in the List, i.e. so called laggards. The Court had judged that the right stockholder is a real one in the case of the Acquisition while a listed one in the case of the laggards. The Court, however, has shifted its position to grant rights to a listed shareholder in the case of both the Acquisition and the Transfer regardless of whether the company is aware of the gap or not. The issue is about the effect of a register of a real shareholder (hereinafter `the Register`) of a publicly listed company. The majority of the Court has held that a company shall grant the stockholder`s right to a listed stockholder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listed company or not. On the other hand, a dictum told that a nature of the Register of a listed company was different from the List of a non-listed company,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allow real shareholders to exercise their shareholders` rights in the same way as before. Accordingly, unlisted companies are still likely to face problems when there is a gap between real shareholders and listed shareholders in the future. It is desirable to settle the controversy by clarifying the provisions of Korean Commercial Act related to the effect of the List on this occasion.

      • KCI등재

        주주명의 차용관계의 해석론 및 주주명부 기재의 효력

        김홍기(Hong-Ki Kim) 한국기업법학회 2017 企業法硏究 Vol.31 No.3

        대상판결은 주주명부 기재의 효력과 관련하여 중요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대법원은 종전까지 주주권을 행사함에 있어서는 “회사는 실제 주식의 소유관계를 고려하여 명의개서를 하지 아니한 실질상의 주주를 주주로 인정할 수 있다.”는 태도를 취하였으나, 대상판결에서는 이러한 입장을 변경하여 “(주식의 실제 소유관계에 관계 없이)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 주주명부상의 주주만이 의결권 등 주주권을 적법하게 행사할 수 있다.”는 법리를 확고하게 선언하였다. 대상판결로 인하여 주주권 행사 시에 주식의 실제 소유관계를 반영하거나 반영하여야 했던 다수의 판결들이 효력을 상실하였고,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는 주주명부상의 주주만이 주주로서 의결권 등 주주권을 적법하게 행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주식회사의 실무에 커다란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2017. 3. 23. 대상판결이 선고된 이후 판례 평석들이 있었으나, 주로 대상판결에 비판적인 견해를 밝히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대상판결은 주주권의 행사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한 것이라고 본다. 단체법적인 회사관계에서는 획일적, 정형적으로 법률관계를 처리할 필요성이 크고, 주주명부 제도는 회사와 다수주주 간의 법률관계를 획일적으로 처리하는데 유용한 수단이며, 주주명부의 기재에 강력한 효력을 인정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기 때문이다. 실권리자의 권리행사라는 민법의 원칙에 얽매여 상법상 기업관계의 요구가 배척되어서도 아니된다. 따라서 종전 판례의 입장으로 복귀하기 보다는 주주명부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등 대상판결의 취지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옳다. 그런데 대상판결의 판시를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주식의 소유 국면과 주주권의 행사 국면을 구분하고, 주주명부의 효력을 회사에 대한 주주권 행사 국면에 한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쉽지가 않다. 양자는 서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주명부 기재의 효력을 논함에 있어서는 누가 ‘실제 주주’인지의 판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 다음에 주주명부의 기재에 의하여 주주권 행사자를 결정하는 경우에도 의결권 행사 방법, 신주인수권의 귀속 관계, 무상신주 및 이익배당금의 귀속관계, 채권자를 비롯한 제3자와의 관계 등 상황에 따라 어느 정도 세밀한 조정이 불가피하다. 이 글에서는 실제 주주와 주주명부상의 주주가 다른 상황을 주주명부 명의개서 미필(유형①), 주주명부 명의차용(유형②), 주식 명의 신탁(유형③)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대상판결의 법리 적용을 논의하였다. The judgment deals with important matters concerning the effect of shareholders" list. In exercising the shareholder rights, the Supreme Court took the attitude that “the company can recognize the real shareholders who did not register his/her name on shareholder"s list as shareholder who can excercise shareholder"s rights.” However, Supreme Court decide in this judgement, “In relation to the company, only the shareholders on the shareholder"s list can legally exercise shareholders" rights such as voting rights.” As a result of the ruling, many of the rulings that had to reflect or reflect the actual ownership of shares at the exercise of shareholder rights were lost, and only the shareholders in the shareholder list in relation to the company could legally exercise shareholders" rights such as voting rights. Meanwhile, since the judgment of March 23, 2017 was sentenced, there have been articles, but they are mainly criticizing the Judgement. However, I believe that the judgment is the right direction of the shareholders" rights. In the case of collective legal company relations, there is a great need to handle legal relations uniformly and formally, and the shareholder"s list system is a useful means for uniformly hand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 and shareholders. It is also global trend as well. Therefore, rather than returning to the position of the former case, it is right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the shareholder list so that the object of the Judgement can work properly. However, it is not easy to divide the ownership phase of shares and the exercise phase of shareholder rights, and apply the shareholders" rights exercise phase for the company. It is because both have an influence on each other. In this regard, there are important issues. First, in discussing the effect of the shareholders" list, it is necessary to judge who is the "actual shareholder". Second, even if the shareholder is exercised uniformly, it is necessary to make some adjustments depending on how to exercise voting rights, attribution of new warrants, attribution of free shares and profit dividends, and relationships with creditors and other third parties. In this article, I classify the incompletion of shareholders" list(type①), borrowing shareholders" name(type②), and trust of shareholders" name(type③), and discussed the application of the judgment.

      • KCI등재

        명의개서와 주주권행사에 관한 일본법제의 현황

        강영기 한국상사법학회 2017 商事法硏究 Vol.36 No.3

        In principle, stocks can be transferred freely.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security of stock trading, the company should grasp shareholders and enable them to exercise their rights. If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nominal shareholders on the shareholder list held by the company and the actual owners of the shares, disputes may arise as to whether the shares are attributable to the shareholders or the real shareholders. In this paper, we first examine the provisions of the current law related to the exercise of shareholder rights of real shareholders, and then give an overview of how Japanese companies respond to actual shareholders ‘and shareholders’. In Korea, it is common opinion that it is reasonable to recognize the exercise of share holding rights by real shareholders, which are the actual owners of stocks. However, in Japan, it is common sense that real shareholders are not shareholders in the list of shareholders, so they can not stand against the company as shareholders and it is not necessary to allow shareholders to exercise shareholders’ rights as shareholders. In other words, if a substantial shareholder is willing to exercise shareholder rights, such as voting rights,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e shareholder's name should be made clear by expressing his/her name, etc. Therefore, there is a certain rationality in not recognizing the status of shareholders to real shareholders. However, there seems to be little difference in the discussion between Korea and Japan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broader shareholders such as the case of borrowing and the case of not completing the reorganization. The problem is listed stocks,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between Japan and Korea regarding the exercise of shareholders’ rights in stock holding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deposited securities, the legal system in Japan does not recognize substantial shareholders as shareholders in principle, but treats them equally with shareholders only in terms of shareholders’ property rights, such as dividend rights other than voting rights.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n legal system, it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beneficial owner of the deposited securities exercises the right and the depositor has the right to exercise the shareholder right if the owner has an application. Thus, we can see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the two. It is also important to discuss the actual and speculative issues about who will be the subject of shareholder rights. However, most of all, discussions that are currently being held with regard to the attendance of substantial shareholders in the shareholders ‘meeting in Japan, which only recognize the exercise of shareholders’ rights, are considered to be meaningful contents in the maintenance and interpretation of our legal system. 주식은 원칙적으로 자유로이 양도될 수 있으므로, 주식거래의 안전성확보를 위해서라도 회사가 주주를 제대로 파악하고 그들이 권리행사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회사가 보유하는 주주명부상의 명의주주와 그 주식의 실질적인 권리자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당해 주식이 명의주주와 실질주주 중 누구에게 귀속하는지를 두고 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주권행사와 관련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우선, 실질주주의 주주권행사와 관련된 현행법상의 규정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일본의 각 기업들이 주주총회에서의 실질주주와 명의주주의 주주권 행사와 관련하여 실무상 어떠한 대응을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한국에서는 주식의 실질적 소유자인 실질주주의 주주권행사를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는 견해가 통설이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실질주주는 주주명부상의 주주가 아니기 때문에 회사에 대해 주주라고 대항하지 못하며, 주주총회에서 주주로서의 주주권행사를 허용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즉, 본래 실질상의 주주가 주주총회에 출석하여 의결권 등 주주권을 행사할 의향이 있다면, 주주명부상에 자신의 성명 등을 명백히 하고 이를 행사하면 된다. 따라서 주주의 지위를 실질주주에게 인정하지 않는 것에는 일정한 합리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래도 명의차용의 경우와 명의개서를 완료하지 않은 경우 등 광의의 실질주주와 관련한 이해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의 논의내용에 거의 차이가 없는 듯하다. 문제는 상장주식의 경우인데, 상장주식의 실질적인 주주의 주주권행사와 관련한 일본과 한국에서의 이해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즉, 예탁증권의 경우를 보면, 일본의 법제는 원칙적으로 실질적인 주주를 주주로 인정하지 않으면서 의결권 이외의 배당권 등 주주의 재산적 권리의 측면에서만 주주와 동등하게 취급하는 체제이다. 반면에, 한국의 법제에서는 예탁증권의 실질적인 소유자가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원칙이고 실질적인 소유자의 신청이 있으면 예탁결제원이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지위를 가진다는 인식이 바탕에 있다. 이처럼 양자 사이에는 근본적인 인식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주권을 행사할 주체를 누구로 볼 것인지에 관한 실질설과 형식설의 논의도 중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실무적으로 형식 주주의 주주권 행사만을 인정하는 일본에서 실질적인 주주의 주주총회 참석 등과 관련하여 현재 전개되고 있는 논의들은 우리법제의 정비와 해석에 있어서 유의미한 내용이라고 생각되어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에 있어서의 주주권 확정과 이중양수인 상호간의 우열관계 - 대법원 2016. 3. 24. 선고 2015다71795 판결 -

        박세화 ( Park Seihwa ) 법조협회 2017 최신판례분석 Vol.66 No.1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주권발행 전이지만 회사성립 후 6월이 경과하여 상법 제335조 제3항에 따라 주식양도를 할 수 있는 경우에, 당사자의 의사표시만으로 회사에 대하여 주식양도의 효력이 있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주식양수인 단독으로 주식을 양수한 사실을 증명하여 회사에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기존의 판례입장을 다시 확인 하였다. 이는 원심이 명의개서를 위한 주식양수인의 대항요건은 민법 제450조 제1항의 방식이 요구됨을 전제로 하고 회사의 정관변경(원고가 주식을 양수한 후에 피고회사는 주식을 양도하는 경우 이사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는 주식양도제한 규정을 정관에 신설하였음)전에 주식양도의 통지가 도달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주주권 확인과 명의개서 이행 청구를 모두 기각한 것과는 다르게 판단한 것이다. 또한 대법원은 이 판결에서 주권발행 전 주식의 이중양도에 있어서 주식양수인들이 모두 확정일자 있는 증서에 의한 통지나 승낙의 요건을 갖춘 경우 이들 이중양수인 상호간의 우열관계는 통지의 도달 순서나 승낙일자의 선후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이 사건에서는 주식양도 통지의 도달여부가 결론에 영향을 주는 사항은 아니었지만) 도달에 관한 기존의 민사법 원칙을 설명하고 주식양도의 통지의 경우도 다르지 않음을 설시함으로써, 원고가 주식양수 후 그 사실을 내용증명을 통하여 피고회사의 정관변경 전에 통지하였음에도 수취인부재나 거절 등의 사유로 반송되었다 폐기된 바 있는데 이런 경우에 통지의 도달을 인정할 것인가에 대하여도 대법원이 유의 깊게 살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들게 한다. 결론적으로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주요 쟁점 마다 종전의 입장을 확인하고 있는데, 사실관계를 보면 대법원의 입장변경 없다면 결론이 확실하게 예측되었던 사안이다. 그러나 필자가 이 사건을 소상히 검토해보기로 한 것은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주권발행이 되지 않아 지명채권방식에 의하여 주식이 양도되면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어느 정도 결론이 예측됨에도 소송으로 다투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을 보면 종전의 대법원 판결이유에 대하여 다른 해석들이 존재하고 일부에서는 판례가 입장을 변경할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이 판례 분석의 동기가 되었다. 이에 더하여 합의만으로 이전되는 주주권의 귀속과 명의개서나 주주권행사를 위한 대항요건과의 조화로운 해석, 명의개서의 법적 효력에 대한 새로운 접근 등 주식거래이기 때문에 논란이 커지는 몇 가지 문제가 제대로 정리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어서, 관련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이 사건에 관한 공개된 사실관계나 대법원의 판결이유에 한정하지 않고, 이 판결과 연관 지어 살펴야 하는 몇 가지 쟁점들을 함께 정리하여 보았다. The Commercial Code Article 335 (Transferability of Shares) (3) says that any transfer of shares made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shall have no effect against the company: Provided, That this shall not apply where six months have passed from the dat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or the date of the payment of the subscription price for new shares. Prior to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shareholders can transfer their shares if six months have passed from the dat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or the date of the payment of the subscription price for new shares, by transfer way of nominative claim of the Civil Act. The Civil Act Article 450 is stipulated about requisite for setting up assignment of nominative claim against obligor: (1) The assignment of a nominative claim cannot be set up against the obligor or any other third person, unless the assigner has given notice thereof to obligor or the obligor has consented thereto. (2) The notice or consent mention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cannot be set up against a third person other than the obligor, unless it is put in writing with a certified fixed date. The Korean Supreme Court ruled that share transferee can request the company to transfer of title and name in testimony of his own right, where six months have passed from the dat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And in share`s dual transfer case, priority between first transferee and second transferee is given in order to arrive at document arrival if it is put in writing with a certified fixed date. This comment say that the Supreme Court`s ruling is reasonable and thus acceptable in the perspective of the protection of share transferee where share is transferred without a share certificate of balanced perspective concerning stable interests relationship among transferer, (first·second) transferees, the issuing company.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에 있어서의 주주권 확정과 이중양수인 상호간의 우열관계 - 대법원 2016. 3. 24. 선고 2015다71795 판결 -

        박세화1 ( Park Seihwa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1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주권발행 전이지만 회사성립 후 6월이 경과하여 상법 제335조 제3항에 따라 주식양도를 할 수 있는 경우에, 당사자의 의사표시만으로 회사에 대하여 주식양도의 효력이 있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주식양수인 단독으로 주식을 양수한 사실을 증명하여 회사에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기존의 판례입장을 다시 확인 하였다. 이는 원심이 명의개서를 위한 주식양수인의 대항요건은 민법 제450조 제1항의 방식이 요구됨을 전제로 하고 회사의 정관변경(원고가 주식을 양수한 후에 피고회사는 주식을 양도하는 경우 이사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는 주식양도제한 규정을 정관에 신설하였음)전에 주식양도의 통지가 도달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주주권 확인과 명의개서 이행 청구를 모두 기각한 것과는 다르게 판단한 것이다. 또한 대법원은 이 판결에서 주권발행 전 주식의 이중양도에 있어서 주식양수인들이 모두 확정일자 있는 증서에 의한 통지나 승낙의 요건을 갖춘 경우 이들 이중양수인 상호간의 우열관계는 통지의 도달 순서나 승낙일자의 선후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이 사건에서는 주식양도 통지의 도달여부가 결론에 영향을 주는 사항은 아니었지만) 도달에 관한 기존의 민사법 원칙을 설명하고 주식양도의 통지의 경우도 다르지 않음을 설시함으로써, 원고가 주식양수 후 그 사실을 내용증명을 통하여 피고회사의 정관변경 전에 통지하였음에도 수취인부재나 거절 등의 사유로 반송되었다 폐기된 바 있는데 이런 경우에 통지의 도달을 인정할 것인가에 대하여도 대법원이 유의 깊게 살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들게 한다. 결론적으로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주요 쟁점 마다 종전의 입장을 확인하고 있는데, 사실관계를 보면 대법원의 입장변경 없다면 결론이 확실하게 예측되었던 사안이다. 그러나 필자가 이 사건을 소상히 검토해보기로 한 것은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주권발행이 되지 않아 지명채권방식에 의하여 주식이 양도되면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어느 정도 결론이 예측됨에도 소송으로 다투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을 보면 종전의 대법원 판결이유에 대하여 다른 해석들이 존재하고 일부에서는 판례가 입장을 변경할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이 판례 분석의 동기가 되었다. 이에 더하여 합의만으로 이전되는 주주권의 귀속과 명의개서나 주주권행사를 위한 대항요건과의 조화로운 해석, 명의개서의 법적 효력에 대한 새로운 접근 등 주식거래이기 때문에 논란이 커지는 몇 가지 문제가 제대로 정리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어서, 관련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이 사건에 관한 공개된 사실관계나 대법원의 판결이유에 한정하지 않고, 이 판결과 연관 지어 살펴야 하는 몇 가지 쟁점들을 함께 정리하여 보았다. The Commercial Code Article 335 (Transferability of Shares) (3) says that any transfer of shares made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shall have no effect against the company: Provided, That this shall not apply where six months have passed from the dat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or the date of the payment of the subscription price for new shares. Prior to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shareholders can transfer their shares if six months have passed from the dat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or the date of the payment of the subscription price for new shares, by transfer way of nominative claim of the Civil Act. The Civil Act Article 450 is stipulated about requisite for setting up assignment of nominative claim against obligor: (1) The assignment of a nominative claim cannot be set up against the obligor or any other third person, unless the assigner has given notice thereof to obligor or the obligor has consented thereto. (2) The notice or consent mention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cannot be set up against a third person other than the obligor, unless it is put in writing with a certified fixed date. The Korean Supreme Court ruled that share transferee can request the company to transfer of title and name in testimony of his own right, where six months have passed from the dat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And in share`s dual transfer case, priority between first transferee and second transferee is given in order to arrive at document arrival if it is put in writing with a certified fixed date. This comment say that the Supreme Court`s ruling is reasonable and thus acceptable in the perspective of the protection of share transferee where share is transferred without a share certificate of balanced perspective concerning stable interests relationship among transferer, (first·second) transferees, the issuing company.

      • KCI등재

        주식회사와 형식주주, 설질주주의 관계

        정경영(Gyung Young Ju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17 比較私法 Vol.24 No.2

        주주명부에 주주로 기재된 자는 주주로 추정되어 반증이 없는 한 회사에 대하여 별도의 증명 없이도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다(추정력) . 그리고 주식양도 등 주식이 이전되는 경우에는 취득자의 성명 등이 주주병부에 기재되어야 회사에 대하여 대항할 수 있어, 명의개서하지 않은 실질주주는 회사에 대하여 주주권 행사자임을 주장할 수 없다(대항력) . 그리고 회사가 주 주명부상의 주주에게 통지 · 최고하면 회사는 면책되어(면책력)‘ 주주명부는 추정력, 대항력‘면책력을 가지는 회사법상의 장부로 볼 수 있다. 형식주주와 실질주주간에 명의차용계약이 있고 그 사실을 얀지하고 이를 쉽게 증명할 수 있는 회사눈 양 주주간의 명의치용계약에 따라 실질주주에게 권리행사의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허용되는가, 이와 달리 실질주주를 배제하고 형식주주에게 권리행사의 기회를 부여하면 면책되는가 하는 점에 관해 대상판결은 기존의 통설과 판례의 입장을 변경하였다. 명의개서미필주주와 달리 명의차용계약에 근거한 실질주주의 회사에 대한 지위를 현행 상법은 실질주주의 권리행사를 부인하는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오히려 타인명의에 의한 주식인수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고 주주명부의 효력에 관한 규정들도 실질주주에 의한 권리행사의 가능성을 전제하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식주주가 주주로 추정되지만 설질주주가 자 신이 주주임을 증명할 경우 그 추정력을 번복할 수 있고(추정력의 한계), 주식발행까지 포함된 광의의 주식이전에서 실질주주는 ‘회사에 대해 대항할 수 없을 뿐’이지 ‘회사에 대하여 효력이 없는 것’은 아니다(대항력의 편면적 효력설) 따라서 대상판결의 판시와 같이 주주와 회사 모두 실질주주의 권리행사를 허용할 수 없다고 해석하는 것은 대항요건주의를 효력요건주 의로 해석핸 부당한 해석이 된다. 그리고 회사의 통지 · 최고에 적용되는 면책력 규정이 회사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고 설사 그 적용범위를 주주명부의 효력 전반으로 확대해석 한다고 하더라도 회사의 선의 • 무중과실이 전제되었다고 보아야 하고, 회사의 실질주주의 존재를 말고 그 증명수단도 가질 경우에도 만연히 형식주주의 권리행사를 허용하는 것은 신의칙에 반한다(면책력의 한계) 명의차용계약에 근거한 실질주주의 권리행사를 허용하는 것은 다소회사에 불편이 야기될 수 있지만 私法秋序가 추구하는 ‘권리자에 의한 권리행사’라는 정의에도부합한다. 주주병부상 형식주주의 배타적 권리행사라는 대상판결이 추구하는 취지는 단순히 주주명부의 대항력에 관한 규정의 해석에 의해 추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동 규정의 개정이 요구되는 입법의 문제이다. 이러한 입장을 반영한 입법론이 제시되더라도 이는 실질관계와 기존이사법질서를 무시핸 입법으로서 그 적절성은 비판을 받아 마땅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사법관 계에서는 명의와 설질의 볼일치를 전저1하는 수많은 규정들이 자리 잡고 있고 이에 대한 거래계의 수요가 많으며 그러한 시도가 위법해 않기 때문이다. 주주의 회사에 대한 관계에 관한대상판결은 상볍 규정에 관한 전반적 이해가 바탕이 되지 않았다는 점과 동 대상판결이 가지는 파급력을 고려할 때 학계의 진지한 논의의 수렴 없이 성급하게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뷰1 움을 남기며 대상판결은 다시 수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Recently Supreme Court issued a meaningful judgement on the corporate power to choose the shareholder who can exercise the shareholder s right in corporate affairs, especially between a registered shareholder and an equitable shareholder. It changed not only the prior judgements on that 앉ue but also the popular view on it. According to the judgement of supreme court commented in this paper, the registered shareholder is the only shareholder to be able to exercise the shareholder’s right even though he or she entered into a contrad with equitable shareholder to make the latter to exercise a shareholder s right under the name of former. And the interpretation to support the registered shareholder is based on the effed of the transfer book of shareholders and the presumed intent of both shareholders to have registered the former The opinion of the commented case somewhat helps to simplify the corporate affairs of recognizing shareholders at the time of exercising their right to corporation, But that is contrary to the provisions that afford corporations the power to give the registered shareholder a chance to exercise the right, whereas does not give a duty to follow contents of the transfer book of shareholders, The provision, *337 of Korean Commercial Ad(KCA) is construed to be a limitation of not a corporation but a shareholder, and corporations can recognize the equitable shareholder as the legal shareholder to be able to exercise a shareholder s right. And prior judgements of supreme court and opinions supporting an equitable shareholder rather than a registered shareholder are more proper than the commented judgement of supreme court as it protects the real shareholder to exercise his or her right which is kind of a justice in civil relationship. Considering that the commented judgement affected enormous parts of corporate aw and thereon cases and that the conclusion of the judgement is contrary to the justice we believe in, the supreme court should have consulted with academic circle prior to conclusion on that case and the position of supreme court needs to be repealed. And if the object that the judgement to realize needs to come true, which, I believe, is not proper, the amendment of KCA is recommended instead of judgement of court

      • KCI등재

        실질주주와 형식주주의 관계 및 주주명부의 대항력 구속범위- 대법원 2017. 3. 23. 선고 2015다248342 전원합의체 판결과 관련하여 -

        이영철 법무부 2018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81

        Korean Supreme Court sentenced a considerably meaningful judicial decision which dramatically changed the previous judicial decisions on two legal issues. One issue is who can exercise the shareholder's right between a registered shareholder and an equitable shareholder. The other issue is whether §337(1) of the Korean Commercial Act(KCA), which provides that (1) The effect of transfer of shares shall not be asserted against the company, unless the name and address of the transferee have been entered in the register of shareholders, has an effect only on a company's shareholders or on both a company's share and a company itself. The previous judicial decisions had held that an equitable shareholder could exercise the shareholder's right in case where a registered shareholder was different from an equitable shareholder, and that §337(1) of KCA is applied to a company's shareholders, therefore a company is allowed to permit an equitable shareholder to exercise his or her shareholder's right. However, 2015 Da 248342 judicial decision held that a registered shareholder could exercise the shareholder's right in such case, and that §337(1) of KCA is applied to both a company's shareholders and a company itself, therefore a company is not allowed to permit an equitable shareholder to exercise his or her shareholder's right. Consequently, Korean Supreme Court declares that a company have only to process its affairs related to its shareholders according to the register of shareholders. This paper puts its emphasis on reviewing and criticizing the logical and legal grounds offered by 2015 Da 248342 judicial decision. 대법원이 2017년 3월 23일에 선고한 2015다24832 판결(이하 대상판결)이 나온 이후 많은 평석과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처럼 학계와 실무계가 많은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대상판결이 실질주주와 형식주주가 상이한 경우 주주권의 귀속 문제와 주주명부의 대항력이 주주에게만 효력을 미치는 것인지 아니면 회사에 대해서도 그 구속력을 가지는 것인지에 관한 종전의 판례와 다수설의 입장에 반대되는 입장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즉, 종래 대법원 판례와 다수설은 실질주주와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가 다른 경우 주주권은 실질주주에게 귀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런데 대상판결은 종전 소수설(형식설)과 마찬가지로 위와 같은 경우 주주명부에 주주로 기재된 자에게 주주권이 귀속된다고 판시한 것이다. 그리고 주주명부의 대항력에 관하여 정하고 있는 상법 제337조 제1항을 해석함에 있어서, 종전 대법원 판례와 다수설은 주주명부의 대항력은 주주만을 구속하는 것이고, 따라서 회사가 주주명부상의 주주가 아닌 실질주주를 주주로 인정하는 것은 무방하다고 하였다. 이에 반하여, 대상판결은 주주명부의 기재가 회사도 구속한다고 보아 회사로서는 실질주주를 주주로 인정할 수 없고, 오로지 주주명부상의 주주만을 주주로 인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회사의 법률관계는 형식적이고 획일적인 기준에 의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면서, 종전 대법원이나 다수설과 완전히 반대가 되는 결론에 도달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대상판결이 제시하고 있는 논거들이 현행 상법의 해석론으로서 논리적 타당성이 있는지, 그리고 우리나라 기업현실에 비추어 설득력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