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관련 변인과 어머니의 영역별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백지희 ( Baek Jee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는 만 4-5세 유아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유아 관련 변인은 유아의 성별과 연령, 그리고 형제자매관계의 특성(형제유무, 출생순위, 형제자매관계의 유형)이 조사되었으며,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에서는 영역별 양육효능감(훈육, 놀이, 애정, 일상체계조직, 교육)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일부 정서조절에서 차이를 보였다. 외동의 유아는 형제가 있는 유아보다 일부 정서조절이 높았으며, 첫째의 인지조절이 둘째보다 높았다. 또, 자매 관계의 유아는 남매나 형제 관계의 유아보다 일부 인지 및 정서조절이 낮았다. 유아 관련 변인보다는 양육효능감의 자기조절에 대한 설명력이 높았으며, 인지조절에는 일상체계조직 효능감이, 정서조절에는 교육과 애정 효능감이 각각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의 측정방법과 구성요인에 따라 유아 관련변인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밝히고 유아의 자기조절 향상을 위하여 초점을 두어야 할 부모교육의 내용적 측면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Self-regulation generally refers to a variety of capacities to control one’s actions and responses and it can be divided into two constructs: emotional regulation such as control of negative emotionality and cognitive regulation such as planning and evaluating behavior.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children’s own personal factors and family are considered as a key facet. Specifically, skills underlying self-regulation emerge throughout early childhood, but are integrated into self-regulation by parenting inpu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e the differences among children’s personal factors and to test which mother’s self-efficacy in different parenting contexts contribute uniquely to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sex of young children between 4 to 5-years-old did not reveal any differences in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regulations. Age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was found only in emotional regulation. Presence and types of siblings and birth order of children showed differences of self-regulation in part. Mother’s self-efficacy in instrumental care and teaching relatively predicted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in nurturance showed negative effect on both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 significant different impacts of mother’s self-efficacy depending on parenting contexts,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instrumental care and teaching for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중복규제 방지 방안

        이승민 한국경쟁법학회 2022 競爭法硏究 Vol.45 No.-

        In Korea, various regulations on online platforms have been currently discussed among regulatory agencies and the concerns about unreasonable overlapping or duplicate regulations are rising. Such duplicate regulations appear in several types, such as duplication of ex ante- and ex post regulation, that of merger filings, and that of prohibited lists of unfair practices which leads to the concurrent application of competition law and sector-specific regulations. Given the regulatory-friendly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weak independence of independent regulatory agencies, unnecessary and unreasonable overlapping of competition law and sector-specific regulations is likely to occur. Under such circumstances, it is important not to introduce unnecessary regulations in the first instance. Even when ex-ante regulations are required due to the lax enforcement of competition law, given the variety of types and business models of online platforms, comprehensive regulations on them possibly lead to over-inclusiveness and over-deterrence. In particular, sector-specific regulations on online platforms are justifiable mainly when competition law does not effectively work and when their grounds are evidenced through thorough market studies. It is also necessary to clearly demarcate regulatory jurisdictions of multiple agencies through rational construction of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Even when the legislation of sector-specific regulations are justifiabl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o handle the side effects of the concurrent application of competition law and sector-specific regulations. A joint jurisdiction model like the U.K.’s might be discussed, bu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implement cooperations between the competition authority and other regulatory agencies through legislation.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competition authority and regulatory agencies can reduce the unreasonable duplicate investigations on businesses through the joint investigation, which has been set forth i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since 2007 but has not been well-noted. In addition, strengthening the independence of regulatory agencies as well as competition authority and allowing them regulatory discretions to utilize soft and flexible regulatory tools which contributes to improve regulatory outcome and performance of agencies can be a way to reduce unnecessary overlapping of competition law and sector-specific regulations as well as that of sector-specific regulatio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KCI등재

        공유경제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 전자상거래법 개정안에 따른 개인 간 거래에 관한 규정의 검토를 덧붙여

        김진우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61

        The legal policy for sharing economy business models in the EU, Japan and the USA is generally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curbing over-regulation. In Germany in particular, the law of obligations is considered sufficient to reflect the sharing economy model. Imposing excessive regulation on the platform severely undermines the benefits of using IT technology and potentially cuts off the buds of new services. Unlike the analog business model, the platform does not own the means of production, but connects providers and consumers to achieve a network effect. These business models have short innovation cycles, so they must be careful to regulate them through legislation. Because legal regulation can hinder innovations. In this respect, it is questionable what real benefit horizontal legislation that encompasses different sectors (e.g. the Framework Act on the Sharing Economy) can bring at this point. Since a large number of profit-oriented sectors and non-profit models coexist in the sharing economy, it is more desirable to implement sector-specific regulation if necessary instead of uniform regulation. When regulating each sector, a judiciously set quantitative threshold is a useful yardstick for assessing business viability and can help ensure legal stability. Given the multifaceted and interactive nature of the market, accompanied by indirect network effects, it is desirable that the government put forward a framework as a guideline, etc., and rearrange the rules in which the platform will autonomously respond to the improvement of the trading environment. Even if legal regulation is necessary, a flexible and differentiated civil law regulatory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and responded to, rather than an approach that emphasizes anti-innovation prohibitions. Platforms, suppliers or consumers must be able to clearly recognize the rules and obligations that apply to them, and this requires, among other things, legislators and regulators to define the legal situation more clearly than it is today. 공유경제는 흔히 기존 법적 틀의 적용 가능성 여부에 관한 문제를 제기하며, 포괄적인 새로운 입법이 필요한지에 관하여 논란을 유발하고 있다.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업자 아닌 자(개인)끼리의 거래는 사업자와 소비자의 구별을 전제로 한 법제의 기본구조와 잘 어울리지 않는다. 현행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상거래법’이라 한다) 제20조 제2항과 제20조의2는 통신판매중개의뢰자(공급자)가 사업자가 아닌 경우에도 통신판매중개자(플랫폼)가 거래의 당사자들에게 상대방에 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도록 요구하고, 이를 어기거나 제공한 정보가 사실과 달라 소비자(수요자)에게 발생한 재산상 손해에 대하여 플랫폼과 공급자가 연대하여 배상책임을 지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이들 조항의 타당성에 관하여는 비교법적으로는 물론 실체적으로도 상당한 의문이 있다. 또한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개인 공급자는 사적 활동과 영업 활동 사이의 경계선상 내지 회색지대에 위치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 또는 사업자로 획일적으로 분류하기 쉽지 않다. 이는 법적 불안정성으로 이어질 수 있고, 공유경제가 창출할 수 있는 이점의 구현을 방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공유경제의 규제에 관한 법정책적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공유경제의 개념과 특징, 유형 및 구조를 파악하였으며(Ⅱ), 다음으로 공유경제 규제에서의 주요 고려 요소라고 관념할 수 있는 사항(시장진입 요건, 책임문제, 소비자와 사업자의 경계획정)을 검토하였다(Ⅲ). 이어서 공유경제에 관한 향후의 법정책적 과제를 공유경제의 규제에 관한 기본적 접근방식 및 규칙 제정의 형식으로 나누어 제시하였고(Ⅳ),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였다(Ⅴ). 이 과정에서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의 2021. 3. 5. 전자상거래법 전부 개정안(이하 ‘공정위안’이라 한다) 및 그것을 발전시킨 유동수 의원안의 개인 간 거래 관련 규정도 검토하였다. 공유경제에 관하여는 플랫폼이 개재되더라도 플랫폼 운영자는 공급자와 수요자를 매칭(matching)할 뿐이고 각종의 업법에 의한 규제는 받지 않음이 원칙이다. 전반적으로 플랫폼 운영자의 책임에 관한 한 EU, 일본 및 영미의 법적 상황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개인 간 거래에서 플랫폼은 이용자 간의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분쟁에 대해 원칙적으로 (연대채무의 형태로) 채무불이행책임이나 불법행위책임을 지지 않는다. 그 점에서 우리 현행 전자상거래법, 공정위안 및 유동수 의원안은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플랫폼에 대해 엄격한 규제를 가하고 있는 이례적인 법(안)이다. 현행 전자상거래법, 공정위안 및 유동수 의원안은 과잉규제를 제거하면서 자율규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정비가 요청된다. 플랫폼 운영자는 그의 네트워크의 이용자를 증가시키고 이들의 연결을 통해 성장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효과를 수반하는 플랫폼에서는 정부가 큰 법적 틀을 정하고 플랫폼 사업자가 자율적으로 거래환경의 개선을 위한 조치를 취하는 형태(공동규제)의 규칙 정비가 바람직하다. 이용자의 보호, 거래의 안전이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충분히 하지 못한 플랫폼은 조만간 이용자의 선택을 더 이상 받을 수 없게 되어 종국적으로 시장에서 사라질 수밖에 ...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경쟁규제와 전문규제

        김태오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25 No.1

        Online platform services are deeply established in our lives. Now, we can continue our daily lives anytime, anywhere, wherever there is an internet connection. Most of the services and functions that were implemented offline have become platformisation. Online platforms have dramatically saved users' time and money, and increased convenience. The dependence on online platforms is intensifying. However, most services can be provided by one operator or its affiliates. This market power of online platforms in certain service areas is not only a problem, but also the market power can be easily spread to other markets. The problem of alienation from the essential services(services of general interest) of provided on online platforms is more serious. Today, online platforms are the premise for the fulfillment of basic need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he digital society. If essential services are not accessible, it also hinders normal economic and social life. As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online platforms expand, discussions on reasonable regulatory systems to respond to them are also demanding. This is because existing competition law has faced limitations due to market definition of the online platform market, disagreement on whether to retain market power, and, if so, acceptance of whether to leverage platform's market power into other markets. Nevertheless, Germany, the EU, and Korea have still responded to online platforms through the existing framework of competition law or reforms of competition law. Starting with the EU P2B regulation, Germany's 10th revision of the Act against Restraints of Competition (GWB), and the EU's Digital Market Act (DMA) and Digital Services Act (DSA) are changing into a mixed regulatory system. They are the way of sector-specific regulation like as the imposition of ex ante and definitive obligations on online platforms. Furthermore, if the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are provided as an online platform or the online platform itself is the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the state must ensure as a constitutional mandate to create a regulatory system(sector-specific regulations) in which such infrastructure services can be properly provided. Taking the above factors into account, it is desirable to resolve the issues of market dominance of online platforms, restrictions on competition due to their abuse, and exploitation and abuse of users within the framework of competition law. On the other hand, it is reasonable to respond to the problem of online platforms related to the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with sector-specific regulations. However, not all online platforms can be classified as the infrastructure related the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online platforms. Therefore, a harmonious division of roles between competition law and sector-specific regulations should be made. However, at least search engines, SNS that influence for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or some online video services (OTT) require sector-specific regulations. In addition, online platforms that has turned the traditional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should also recognize their function as infrastructure.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는 우리 생활 속 깊숙이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언제든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일상을 이어갈 수 있다. 대부분 오프라인에서 구현되었던 서비스와 기능들이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나아가 온라인 플랫폼은 획기적으로 이용자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해주고 편리함을 높여주었다. 갈수록 온라인플랫폼에 대한 의존도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우에 따라 특정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들은 하나의 사업자나 그 계열 사업자에 의해제공될 수 있다. 어떠한 온라인 플랫폼이 특정 영역에서 시장지배력을 갖는다면, 그 자체로 문제가 된다. 이러한 시장지배력은 다른 시장으로 쉽게 전이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필수적인 서비스(생존배려 서비스)로부터 소외되어 발생하는 문제는 더 심각할 수 있다. 오늘날 온라인 플랫폼은 디지털 사회에서 기본적 수요의 충족과 사회적 참여의 전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수적인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다면, 정상적인 사회경제적 생활에도 지장을 초래한다. 이처럼 온라인 플랫폼의 중요성과 영향력이 확대되고 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합리적인 규제체계의 논의도 한창이다. 온라인 플랫폼 시장의 시장획정, 시장지배력 보유 여부에 대한 견해의 불일치, 시장지배력 전이 효과 인정의 인색함등으로 기존 경쟁규제는 한계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독일, EU, 그리고 우리나라는 온라인 플랫폼에 대해 여전히 기존 경쟁규제의 틀이나 경쟁규제의 변형을 통해 대응해왔다. 그러나 EU P2B 규칙을 시작으로 독일의경쟁제한법(GWB) 제10차 개정, EU의 디지털시장규칙(DMA)과 디지털서비스규칙(DSA)은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전문규제 방식의 사전적·확정적 의무 부과 등 혼합형 규제체계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생존배려 서비스가 온라인 플랫폼으로 제공되거나, 온라인 플랫폼 그 자체가 생존배려 서비스로 취급될 수 있다. 이때 국가는 이러한 인프라 서비스가 적절히 제공될수 있는 규제체계를 만들 헌법상 임무를 부담하게 된다. 이에 따른 규제체계로는 전문규제체계가 적합하다. 이상의 고려요소를 종합하면, 온라인 플랫폼의 시장지배력, 그 남용으로 인한 경쟁제한성과 이용자에 대한 착취남용 문제는 경쟁규제의 틀에서 풀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본다. 이에 반해, 생존배려 기능과 관련되는 온라인 플랫폼의 문제는 전문규제로 대응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나 모든 온라인 플랫폼이 생존배려 인프라로 분류될 수는 없다. 온라인 플랫폼의 유형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경쟁규제와 전문규제의 조화로운 역할 분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최소한검색엔진이나, 여론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SNS 또는 일부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는전문규제가 필요하다. 또한, 전통적인 생존배려 서비스를 플랫폼화 한 온라인 플랫폼도기간 인프라로서의 기능을 인정해야 한다.

      • KCI등재

        방송통신시장 경쟁규제에서 일반경쟁규제기관과 전문규제기관 간의 권한 배분

        김태호(Kim Tae Ho)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08 경제규제와 법 Vol.1 No.2

        방송통신시장을 규율하는 현행 법령을 보면 행정부 내부에서 전문규제기관과 일반경쟁규제기관 간 권한이 중첩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방송ㆍ통신 융합의 진척으로 방송통신위원회가 전문규제기관으로서 설치되었지만, 경쟁규제에 있어서 방송통신위원회와 일반경쟁규제기관인 공정거래위원회 간의 법적 관할 배분에 불분명한 점이 온존하고 있어서 규제실무상 중복 규제 또는 규제기준의 혼선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본 연구는 현행 법령(전기통신사업법ㆍ방송법ㆍ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의 규제관할권 배분 현황을 분석하고, 실제 분쟁사례 및 외국의 규제관할권 배분 법제를 살펴, 경쟁규제에 있어서 어떻게 전문규제기관과 일반경쟁규제기관 간의 권한 배분을 할 것인지 그 일반적 기준과 입법 방안을 제시한다. 탐구의 결과로서 본 연구가 결론적으로 제시하는 바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첫째 규제관할권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에 있어서는 방송통신시장에서의 경쟁상황과 규제의 필요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토대로 전문규제기관의 규제 기능이 필요한지 여부가 논의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둘째 해당 시장상황이 전문규제기관의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면, 그러한 경우에는 전문규제기관이 통일적으로 경쟁규제에 대한 규제권한을 집행하는 것이 전문성의 축적, 행정의 단일성 원리의 실현, 중복규제의 위험 방지라는 차원에서 타당하다고 본다. 셋째 다만 경쟁규제에 대해서는 전문규제기관이 일반적 관할권을 가지더라도 일반경쟁규제기관이 시장 전체에 대한 경쟁법적 관점에서 사전에 의견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의견개진 또는 협의절차를 제도화하는 것이 공적 결정의 합리성을 제고한다는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The Institutionalization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ctoral regulators and the general competition authority has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ector-specific regulator in korean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market regulation. In the midst of accelerating the convergence of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the problems of duplication of regulations and confusion between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KCC”) as the sector-specific regulator and the Fair Trade Commission(“KFTC”) as the general competition authority has become complexer in the communications market regulation. Since the last decade, the cases of overlap and duplication of regulations have accumulated in large numbers, this can be largely traced to identical or similar forms of actions existing in both communications law and competition law within the current legal system. As such,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specific areas where duplication of regulations arises and, then, by making reference to the cases of german, seek to search for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and the direction to amend current laws. A large number of identical or similar practices exist between the types of prohibited practices described in the Annex Ⅲ to Article 4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for Article 36. 3 of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and those of unfair trade practices in the Annex I to Article 36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for Article 23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is begs several questions and those should be solved by proper interpretation of special laws in the telecommunications sector, and only when it cannot be solved even by interpretation, then the general competition law may be applied in a manner which does not defeat the general legislative intent of provisions of the special laws. It would be desirable to legislatively establish types for the areas where the types of prohibited practices under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do not exist. From the viewpoint of deregulation and creation of pro-corporate environment, the current duplication of regulations situation must be corrected, and it would be appropriate to say that the standard for centralization should be the sector-specific regulator. Therefore, a legislative improvement needs to be made to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by adding a provision which would clearly make the Act prevail over general competition laws.

      • EU 기술규제 추세에 따른 국내 수출기업과 정부의 대응방안

        조종은 ( Cho Jong-eun ),김재영 ( Kim Jae-young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20 경상논집 Vol.40 No.1

        본 연구는 유럽연합(European Union, EU) 기술규제의 추세를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EU는 1995년 WTO/TBT 협정을 체결한 이래, 가장 많은 TBT 통보문을 발행하는 WTO 회원국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최근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3년간 EU가 발행한 통보문들과 회원국들로부터 제기 받은 STC 현안들을 중점으로 EU 기술규제 동향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와 연관된 기술규제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최근 브렉시트 이후 EU와 영국 간 구체적인 합의가 도출되지 않아 추가적인 혼란의 발생이 예상된다. 이러한 기술규제와 관련된 혼란에 대비하여 한국-EU 간 논의되고 있는 안건 중, 에코디자인 지침과 에너지 라벨링 규제, 의료기기 규제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기술규제에 따른 적합성평가절차 및 EU의 주요 규제 속에 국내 수출기업과 우리정부가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지 방안을 탐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EU technical regulations and explore countermeasures. For this reason, recently, for the three years from 2017 to 2019, we analyzed trends in EU technical regulations and technical regulations related to South Korea, focusing on the notifications issued by the EU and the STC concerns raised by member states. A countermeasure for this was presented. In addition, since the recent Brexit, no concrete agreement has been drawn between the EU and the UK, and additional confusion is expected. In preparation for such confusion, among the projects being discussed between South Korea and the EU, through the analysis of Eco-Design regulations, energy labeling regulations, Medical Device Regulation/In Vitro Diagnostic Medical Devices Regulation,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and major EU regulations, We navigated the measures taken by domestic exporters and the Korean government.

      • 건축법규 자동검토를 위한 법규문장으로부터의 객체 및 속성 체계화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신재영(Jaeyoung Shin),이진국(Jin-Kook Lee) (사)한국CDE학회 2016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동계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relational and hierarchical structure for building objects and their property sets derived from the Korea Building Act sentences. It ultimately enables us to conduct an automated code compliance checking task by using an object-property mapping mechanism introduced in this paper. The building act sentences regarding building permit requirements are analyzed within the scope of the paper. From 1977 building act sentences and attached reference regulations, about 1200 regulation-specific objects with related properties are extracted. Based on the regulation-specific objects and their properties, object-property database is implemented to generate rule set written in computable codes. The Industry Foundation Class (IFC) has been adopted widely as an interoperable standard format for BIMenabled automated compliance checking. However, the IFC format cannot fully support to represent overall objects in Korea building codes. In this regard, the object-property database driven from the act sentences represents explicit structure and supports exact mapping between regulation-specific objects and building model objects within the scope of the building act.

      • KCI등재

        경찰과 일반직 및 공안직 공무원의 보수체계 비교 · 분석을 통한 경찰보수의 현실화 방안

        박광훈(Park, Kwang Hu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0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5 No.-

        The police are government institution empowered to enforce the law, protect property and reduce civil disorder. Police, with job characteristics such as accountability, danger, urgency, and unexpected duties,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to gain public security and order. However, the system of police pay does not reflect these job characteristics and lacks internal and external pay equity. And in reality, the salary level for police service is much lower than the general service and public security service, though they have lower level of difficulty and responsibility than police service. Because the number of ranks with police's positions has one more than that of general and public security service's one, the police service is at a disadvantage in the promotion. Furthermore, it would take about double more time to promote from under class to middle manager than general service and public security service. This structural and chronic problems of police cause a personnel congestion & long-term average year required for promotion. And in the long term, the police service is paid much less salary in total than general and public security service. Since 1969, the police service had taken its own salary regulation and there was not a big controversy over fairness with other public official. However, the salary regulation for police service was integrated and operated with the ones for general and public security service due to the integration of 「Government Employees` Salary Regulation」in 1982. As a result, constant problem has been brought up about compensating police service according to job specificity. Also as the same salary regulation was exercised for fire fighting service who has a big difference in task characteristics, it was refused by reason of fairness with fire fighting service whenever people raised the issue of police service's salary regulation. So measures to solve this problem are urgently needed. The current「Government Officials Act」aims that the salary is set according to the level of responsibility and difficulty in task. However, the act goes against its purpose as it does combined operation on salary regulation for general service, public security service and police service though the task characteristic has much higher level of responsibility and difficulty. To improve the system of police pay, I suggests that government should establish salary regulation reflecting above problems; job specificity & peculiar hierarchical structure unlike other government officials. Hopefully the police service will serve to people and the nation with a big sense of duty through the rationalization of police compensation system. 경찰은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고 사회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업무를 수행하는 국가기관이다. 이러한 중요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경찰에게는 그 직무의 책임, 난이도, 긴급성 등 특정직 공무원으로서 가지는 직무의 특수성에 상응하는 보수가 지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경찰은 그 업무의 책임 및 난이도에 부응하는 정도의 보수를 지급받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직무특수성에 비추어 볼 때 경찰보다 낮은 직무의 책임 및 난이도를 가지는 일반직 및 공안직 공무원보다 더 낮은 보수를 지급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경찰은 일반직 및 공안직 공무원에 비해 한 단계 더 많은 계급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승진에 있어서 불리하며, 이에 더해 하위직급에서 중간관리자급으로의 평균 승진소요년수에 있어서도 일반직 및 공안직 공무원에 비해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시간이 소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경찰의 한 단계 많은 직급체계 및 경찰만의 특수한 첨탑형의 계층구조로 인해 승진적체 및 평균 승진소요년수의 장기화라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총보수액에서 일반직 및 공안직 공무원보다도 훨씬 적은 수준의 보수를 지급받게 된다. 경찰은 1969년 이후 경찰만의 독자적인 보수규정으로 인해 다른 공무원과의 형성성에 대한 논란이 크게 일지는 않았으나, 1982년 「공무원보수규정」의 통합으로 인해 경찰의 보수규정이 일반직 및 공안직 공무원과 통합되어 운용됨으로써 이들의 직무 특수성에 따른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아울러, 경찰과는 업무특성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 소방이 경찰과 동일한 보수규정으로 통합 운용됨으로써, 경찰의 보수규정에 대한 문제제기 시항상 소방과의 형평성을 이유로 거부당하는 사례가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시급한 실정이다. 현행 「국가공무원법」에는 공무원의 보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그 직무의 책임과 곤란의

      • KCI등재

        BIM기반 설계 품질검토 자동화를 위한 건축 관련 법규문장의 객체 및 속성 표현에 대한 체계화 접근방법

        신재영(Jaeyoung Shin),이진국(Jin-Kook Lee) (사)한국CDE학회 2016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21 No.3

        This paper aims to classify objects and their properties represented in Korea Building Act sentences for applying to BIM-enabled automated code compliance checking task. In order to conduct automated code compliance check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nslation process of converting the building act sentences into computer-executable forms. However, since Korea building act sentences are written in natural language, some of requirements are ambiguous to translate explicitly. In this regard, the building act sentences regarding building permit requirements are analyzed focusing on the regulation-specific objects and related properties representation from noun phrases within the scope of this paper. From 1977 building act sentences and attached reference regulations, 1200 regulation-specific objects and about 220 related properties are extracted and classified. In the application for the classification, object-property database is implemented and some of application using the database and the regulation-specific classification is suggested to support to generate rule set written in computable codes.

      • KCI등재

        규제행정법적 관점에서 본 유료방송 인수·합병의 쟁점 - 최근 종합유선방송사업자 인수·합병 사례를 중심으로 -

        김태오(Kim, Tae Oh)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과기업연구 Vol.10 No.1

        방송·통신시장에서의 경쟁은 상당히 거세다. 유료방송 인수·합병은 이러한 거센 경쟁의 한 양태이다. 작년과 올해에 걸쳐 ‘LG유플러스-CJ헬로’, ‘SKB-티브로드’ 등 2건의 방송사업자와 통신사업자간 인수·합병이 새롭게 추진되었다. 이러한 유료방송 인수·합병은 공정거래법과 방송법의 규제를 중첩적으로 받는다. 유료방송 인수·합병에 대해 공정거래법의 관점에 따른 법적 분석은 상당 부분 이루어졌다. 반면, 규제행정법 관점에서 유료방송 인수·합병을 규율하는 방송법에 대한 법적 논의는 불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은 유료방송 인수·합병에 대한 규제인 방송법을 소재로 한 규제행정법의 방법론을 통해 최근 유료방송 인수·합병 사례를 분석하고, 쟁점별 문제점을 발견한 다음, 그 개선방향을 논의하였다. 공정거래법과 방송법의 이중적 규제는 그 관점, 근거, 목적, 기능, 정당화 사유, 심사방향, 절차, 기준 등에 있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정당화된다. 공정거래법은 현존하는 경쟁질서에 대한 위험이 예견되거나 발생했을 때 비로소 소극적으로 개입한다.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 공공성, 다양성, 지역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방송질서의 형성에 중점을 두고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공정거래법은 특히 경쟁제한성을 기준으로 유료방송 인수·합병의 허용여부를 판단한다. 방송법은 인허가 진입규제를 근거로 진입규제의 심사사항을 기준으로 삼아 유료방송 인수·합병 사안을 바라본다. 이러한 차이는 일반경쟁당국과 전문규제당국 간의 유료방송 인수·합병에 대한 판단의 재량, 그에 대한 사법심사의 방법과 범위에 있어 차별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실무적으로 유료방송 인수·합병 절차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선행적 판단이 있은 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의 사전동의 절차를 포함한다)의 판단이 후행한다. 경쟁제한성으로만 국한된 공정거래위원회의 금지결정이 당해 인수·합병의 긴요성과 긍정적 효과와의 비교형량 과정이 생략된 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전문적 판단 없이 모든 인수·합병 절차를 종결하였던 불합리한 경험을 겪은 바 있다. 일반경쟁당국과 전문규제 당국의 심사절차를 병행하고, 모든 판단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또한, 경쟁에 대한 일반경쟁당국의 판단과는 독립적으로 전문규제당국의 결정이 가능하고, 그 판단에는 장래의 경쟁상황과 그 밖의 방송 가치의 특별한 고려가 가미되어야 한다. 최근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의 방식이 서로 상이하여 LG유플러스-CJ헬로 건은 SKB-티브로드와 달리 방송통신위원회의 사전동의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최다액출자자 승인과 변경허가의 심사기준을 일치시키고 방송통신위원회의 의견을 반영하여 형평성을 기하였지만, 사업자의 전략적 판단에 좌우되지 않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유료방송 인수·합병에 대한 전문규제당국의 독자적 심사가 정당화되는 실체적 이유는 방송의 다양성과 지역성이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기준을 명확하게 정립하기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에, 부관을 통해 유료방송 인수·합병으로 우려되는 다양성 및 지역성 제한 사항들을 보완하는 차원이 대응이 불가피하다. 유료방송 인수·합병에 부가되는 조건은 유연한 수단이지만, 인수·합병을 성사시켜야 하는 사업자의 궁박한 상황으로 법치주의, 비례원칙 등의 관점에서 문제될 수 있는 내용이 조건으로 포함될 우려가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소관 범위를 넘는 사항을 조건으로 부가한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우려들을 충분히 고려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Competition in the Pay-TV and telecom market is still strong. Telcos’ Cable Network M&A is one aspect of this intense competition. In recent years, “LG Uplus-CJ Hello” and “SKB-Tbroad” M&A were promoted. Telcos’ Cable Network M&A is regulated by the Fair Trade Act and the Broadcasting Act. While the legal analysis according to the Fair Trade Act"s point of view has been largely made on Telcos’ Cable Network M&A, the legal discussion on the broadcasting law governing Telcos’ Cable Network M&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the recent Telcos’ Cable Network M&A through the methodology of the regulatory administration law, which is based on the broadcasting law, which is a regulation for mergers and acquisitions of paid broadcasting, and finds problems by issues, and discusses ways to improve them. The dual regulations of the Fair Trade Act and the Broadcasting Act are justified because they differ in terms of viewpoint, legal basis, purpose, function, reason for justification, direction of examination, procedure, and standards. The Fair Trade Act only passively intervenes when a risk to an existing competitive order is anticipated or arises. The broadcasting law actively intervenes with a focus on the formation of a desirable broadcasting order from the viewpoints of public interest, publicity, diversity, nd localism of broadcasting. The Fair Trade Act judges whether or not to allow Telcos’ Cable Network M&A based on the competition restrictions. The Broadcasting Act looks at the issues of this M&A on the basis of the regulations of entry for licensing and based on the screening of entry regulations. These differences lead to discriminatory results in the discretion of judging Telcos’ Cable Network M&A between general competition authorities and sector-specific regulatory authorities, as well as the method and scope of judicial review. Practically, the approval process for proposed M&A between telecommunication firms and cable network operators is followed by the decision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ncluding the prior consent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fter the prior decision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The Fair Trade Commission"s ban decision, only focused on anti-competitiveness, had an unreasonable experience that ended all M&A procedures without balancing process of the criticality and positive effects of the M&A and sector-specific decision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new legal system so that general competition authorities and sector-specific regulators can conduct parallel a review process and make a decision that considers all related factors comprehensive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decisions by sector-specific regulatory authorities independently from that of general competition authorities, and the decisions should take into account future competition conditions and other special considerations of public value of broadcasting. Unlike the SKB-Tbroad, LG Uplus-CJ Hello did not go through the pre-consent process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due to the different ways of merger strategy. Although the review criteria of the approval of the largest investor and the change permission were harmonized and the opinion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was considered, the legal system needs to be improved so as not to be influenced by the strategic approach of the entity. The practical reason for the independent review of sector-specific regulatory authorities for Telcos’Cable Network M&A is the diversity and localism of broadcasting. However, because it is difficult to clearly set the standard despite its importance, it is inevitable to give conditional approval to back-up the limitations in terms of diversity and localism. The terms and conditions attached to M&A are flexible means, but there are 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