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아의 부정 대상-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

        한은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7

        The Buddha mainly preached about the cause of human suffering and how to get rid of it. Through the Four Noble Truths, the Buddha explicates about suffering, the cause of suffering, the way to get out of suffering, and the result of the practice. The root cause of the pain is grasping in the self and the attachment to the self. In order to reach eternal and ultimate happiness, one must accurately grasp self as ignorance. The theory of selflessness, the right perception as to the self, has pivotal implication as it is the boundary indicator that separates Buddhist philosophy from non-Buddhists. Selflessness is a concept that presupposes the concept of self. Thu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what is the self―the object of the negation―in the begin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object of denial of self centering on Mādhyamika―and particularly the Consequence School(Mādhyamika-Prāsaṅgika, dbu ma-thal gyur pa)―among the four schools of Buddhism. By identifying the self with self-nature, the Consequence School allows no substantiality for affirmation while the rest of the Buddhist schools accept existence of substantial objects. We will look at the object of negation as we step through the steps from rough selflessness to fine selflessness. First of all, entire Buddhists do not acknowledge the independent ‘the permanent and omni-present self’ outside the five aggregates that non-Buddhists insists on. If you enter the four major schools of Buddhism, of the two types of selflessness, selflessness of person but not selflessness of things, the Sarvāstivādin and Sautrāntika recognize the selflessness of person but not the selflessness of things. They are denying only my self and my knowledge through selflessness of person. Except for the Consequence School, the Cittamātra school and the Autonomy School(Mādhyamika-Svātantrika, dbu ma-rang rgyud pa), the object that is denied in the selflessness of person is ‘pudgala’, and the object that is affirmed in the selflessness of things, such as the five aggregates and consciousness, are left behind. The Consequence School regards the self and the self-nature as the same and understands the selflessness as the no self-nature. By denying the self-nature of 'self' in the selflessness of person and the self-nature of 'five aggregates' in the selflessness of things, no object is affirmed. However, it does not deny the external things as object of perception as asserted by the Cittamātra school, but rather admits that they are causally established things as a name although they no self-nature. Since the meaning of selflessness is clearly revealed by thoroughly grasping the object of 'self' that is being denied, this paper identifies the object of negation of selflessness, especially centered on the Consequence School, which leaves no positive object behin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selflessness = no self-nature they take and pratītyasamutpāda, the concept of selflessness is more clearly revealed. 붓다는 주로 인간의 고통의 원인과 그것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한다. 4성제를 통해 고통과 고통의 원인,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과 그 결과에 대해서 말한다. 그 고통의 근본 원인이 我와 我所執이라는 것이다. 고통이 제거된 궁극적 행복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我相, 我執이라는 무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된다. 我에 대한 바른 인식인 무아론은 불교도와 비불교도를 구분 짓는 경계 지표가 되며 그만큼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無我는 我를 전제한 개념이다. 그렇다면 먼저 ‘무아’라고 할 때 부정하고 있는 대상인 我가 무엇인지부터 정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불교 4대학파 중에서도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무아의 부정 대상(否定對象, pratiṣedhya, dgag bya)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머지 학파들은 부정하는 것 외에 긍정 대상을 남겨두고 있지만 귀류논증 중관학파는 我와 自性을 동일시 함으로써 그 어떠한 긍정의 대상도 남기지 않는다. 거친 무아에서 미세한 무아로의 단계를 밟아 나가면서 그 부정 대상을 살펴볼 것이다. 일단, 불교도는 공히 외도가 주장하는 오온 밖의 독립적인 ‘常一主宰的자아’는 인정하지 않는다. 불교 4대 학파로 들어오면, 人無我(我空)와 法無我(法空)의 두 가지 무아 중 유부와 경량부는 인무아만 인정하고 법무아는 인정하지 않는다. 인무아를 통한 我와 我所만을 부정하고 있다.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제외한 나머지 학파인 유식학파와 자립논증 중관학파에서는 인무아에서 부정하는 대상은 ‘보특가라(pudgala)’이고 법무아에서는 오온과 식 등 각각 긍정하는 대상을 남겨둔다. 귀류논증 중관학파는 我와 自性을 동일한 것으로 보고 無我를 無自性으로 파악한다. 인무아에서는 ‘我’의 자성, 법무아에서는 ‘오온’의 자성을 부정함으로써 어떠한 대상도 긍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식학파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외경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성은 없지만 연기적으로 名言成立함을 인정하고 있다. 무아는 부정하고 있는 ‘아’의 대상을 철저히 파악함으로써 그 의미가 명확히 드러나므로 본고는 특히 어떠한 긍정 대상도 남기지 않는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무아의 부정 대상을 파악하고, 그들이 취하는 무아=무자성의 개념과 연기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무아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드러내고자 한다.

      • KCI등재

        무아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석의 양상들__니까야(Nikāya)에 나타나는 ‘실천적 무아’와 비교를 위한 시론__

        임승택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1

        I presume that the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anattan) could be divided into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and the pract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selflessness denying rebirth which rejects the doctrine of rebirth (saṁsāra) in a manner similar to nihilism (uccheda-vādā), the second interpretation is selflessness replaceable with not-self which denies existential elements (pañcakkhandhas) and considers them as not-self in order to reveal the transcendental self, and the third one is selflessness coexisting with rebirth that goes into defining selflessness through rebirth. All of these interpretations are common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are intended to build the universal theories of selflessness. These interpretations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attempt to explai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n response to their own times. However, according to my review, all of them have problems that cannot be overlooked. First, selflessness denying rebirth negates the self after death. But about the world after death, neither affirmation nor negation is possible. Especially, this interpretation is contradictory to the teaching of rebirth which is presented through the transcendental wisdom (pubbenivāsānussatiñāṇa) with samādhi. On the other hand, selflessness replaceable with not-self is not based on the Early Buddhist literatures. It could also be pointed out that, as Abhidharmakośa’s criticism reveals, it presupposes the mysterious self which could not be transcendental or meaningful. Finally, selflessness coexisting with rebirth asserts that rebirth is possible in the state of selflessness. But this interpretation eventually becomes an explanation of the rebirth only, and it is not suitable as a clarification of selflessness itself. Because according to the Buddha’s teachings, after attaining the state of selflessness, rebirth disappears. I believe that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could be contrasted with the pract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are directly based on the Early Buddhist Nikāyas. But in terms of volume, I put off the work of contrasting each other to the next opportunity, particularly after writing an article on the pract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I hope that the prototypical selflessness by Buddha will be examined closely through a series of these works, and the meaning of the teaching of selflessness becomes more evident. 필자는 무아 해석의 시대적 단층이 ‘형이상학적 무아’와 ‘실천적 무아’로 대별될 수 있다고 전제한다. 본고는 전자의 ‘형이상학적 무아’를 규명하는 데 주력한 것으로, 거기에는 다시 3가지 유형의 세부적 해석 양상이 존재한다. 단멸론의 방식으로 윤회의 교리를 배척하는 ‘윤회 부정의 무아’, 초월적 자아를 드러내기 위해 경험적 요인들을 부정하는 방식의 ‘비아와 교체 가능한 무아’, 무아의 논리로써 윤회를 규명해 들어가는 ‘윤회와 공존하는 무아’ 등이다. 이들은 보편적인 무아 이론의 구축을 의도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와 같은 ‘형이상학적 무아’ 해석은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붓다의 가르침에 대한 해명을 시도한 것이라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필자의 검토에 따르면 이들 모두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윤회 부정의 무아’는 죽음 이후의 자아를 부정한다. 그러나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해서는 부정도 긍정도 원칙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특히 ‘윤회 부정의 무아’는 삼매에 의한 초월적 지혜를 통해 제시되는 윤회설과 정면으로 부딪힌다. 한편 ‘비아와 교체 가능한 무아’는 직접적인 문헌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다. 또한 구사론의 비판을 통해 드러나듯이, 초월적인 것일 수도 유의미한 것일 수도 없는 자기 모순적 자아를 내밀하게 전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윤회와 공존하는 무아’는 무아인 상태로 윤회한다는 입장을 펼친다. 그러나 이것은 결국 윤회를 설명하는 논리일 뿐, 무아 자체에 대한 해명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노출한다. 필자는 이상과 같은 ‘형이상학적 무아’가 니까야에 일관된 방식으로 등장하는 ‘실천적 무아’와 대조를 이룬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분량 관계상 서로를 대조하는 작업은 다음 기회로 미룬다. 필자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붓다가 가르친 원형적 무아를 생각해 보게 하고, 무아설의 의의에 대해 더욱 고양된 의식을 갖게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임승택(Lim, Seungtaek) 불교학연구회 2021 불교학연구 Vol.69 No.-

        무아의 의미에 관한 논의는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한국불교계에서는 ‘무아윤회’라는 독특한 이론이 크게 유행하였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무아윤회’의 논리에 내재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필자는 ‘무아윤회’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서 초기불교 본래의 무아로 되돌아가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그러한 이유에서 니까야(Nikāya)에서 설해지는 무아의 구체적 양상을 확인하는 작업에 나서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무아(anattan)라는 용어의 격변화 형태에 주목했던 선행 연구를 뒤잇는 것으로, 무아라는 말이 등장하는 구절이나 문장을 검토하면서 무아에 대한 유형별 구분을 시도한다. 여기에는 무아라는 낱말 자체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무아설로 귀속시킬 수 있는 구절이나 문장 등도 포함된다. 필자는 초기불교 당시 유통되었던 무아설을 3가지 부류의 11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지면 관계상 이들 중 첫 두 부류의 6가지 무아 유형에만 논의의 초점을 모은다. 첫 번째 부류의 3가지 무아 유형은 무아의 실제 의미가 ‘동일시의 부정’ 즉 비아(非我)에 가깝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들 중에는 ‘나의 것’에 대한 부정을 묘사하는 와중에 오히려 ‘나’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사례도 나타나며, 바로 그것을 무아의 의미로 형식화하여 해설하는 경우도 확인된다. 한편 두 번째 부류의 3가지 유형은 사변적 견해를 비판하면서 무아에 대한 견해나 주장마저도 극복의 대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또한 언어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어떠한 형태로든 ‘나’라는 생각에 빠지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필자는 이들 6가지 유형들이야말로 초기불교에서 가르친 무아설의 주류(mainstream)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selflessness or anattan have already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by many scholars. In particular, the interesting theory of ‘selfless rebirth (無我輪廻)’ has gained popularity in the Korean Buddhist academia, and until recently, problems inherent in the logic of ‘selfless rebirth’ have been continuously pointed out. From the critical point of view on the theory of ‘selfless rebirth’, I realized the need to return to the original Buddhist selflessness teaching, and for that reason, I began to work to confirm the specific aspects of selflessness in Nikāyas. This study follows th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grammatical cases of the term anattan, and attempts to distinguish the doctrines of selflessness by types while reviewing the phrases or sentences in which the word anattan appears. And this work also includes phrases or sentences in which the word anattan itself does not appear, but can be attributed to selflessness teachings. I believe that the selflessness that existed at the time of Early Buddhism could be subdivided into eleven types under three categories. This paper focuses on the six types of the first two categories. The first three types of selflessness belonging to the first category indicate the fact that the actual meaning of selflessness is close to the meaning ‘it s not mine (非我)’. Among these, there are circumstances where the existence of self is rather accentuated while describing the denial of my own, but cases where the denial of my own is formalized and articulated in the formal meaning of selflessness. The three types belonging to the second category, on the other hand, condemn speculative discourses and even regard these views or claims about selflessness as objects of overcoming. These typ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voiding the concept of self in whatever form, citing conceptual or linguistic limits. I think these six types are the mainstream of selflessness theory in Early Buddhism.

      • KCI등재

        무아(無我, anattan)에 근거한 소통 담론의 모색

        임승택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10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communication discourse to cope with conflict problems using the theory of Selflessness(anattan) of Early Buddhism. Various types of theories of Selflessness appear in Early Buddhist literature Nikāya. I believe that the types that contain 'disidentification' can serve as guidelines for communication activities for a cooperative life. Selflessness presented in ‘disidentification’ is based on a reflective attitude toward one's own arguments and opinions. This could be done with the wisdom that the material phenomena (色, rūpa) or feelings (受, vedanā) that make up one's own experience are not ‘my own (mama)’ and are not ‘my self (me attā)’. Such denial is a rejection of the factors that make up one's own identity, and can prevent being buried in one's own beliefs or thoughts. In the absence of such a reflective attitude, I believe that excessive confidence in one's own feelings or thoughts, as well as a lack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can occur. Selflessness of disidentification cannot be regarded as an ontological denial of me or self, but can be said to be 'distancing' with the factors that make up one's own self. This 'distancing' can enable securing the space for others as much as keeping a distance from oneself. In this respect, Selflessness is not a total rejection of me or self, nor a blind acceptance of others. The practice of Selflessness requires flexibility and balance that are not bound to both oneself and the other. This paper uses Wonhyo(元曉)'s thought of Hwajeong (和諍) and the discourse of Experientialism to clarify the practical nature of Selflessness. Wonhyo's argument is consistent with the Selflessness theory in that it states that even one's own beliefs and empirical convictions should be open to review and criticism by others. Experientialism, on the other hand, proposes deriving clues to empathy and communication from the empirical perception of distress along with pointing out the problems caused by absolutist way of thinking. This argument of Experientialism can also be said to be in line with the practic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including Selflessness. 이 글은 초기불교의 무아설(無我說)에 근거하여 갈등 문제의 대처를 위한 소통 담론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초기불교의 니까야(Nikāya) 문헌에는 다양한 유형의 무아설이 나타난다. 필자는 그들 중 ‘동일시의 부정(disidentification)’을 내용으로 하는 무아 유형 들이야말로 협력적 삶을 위한 소통의 지침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동일시의 부정’ 방식으로 제시되는 무아란 스스로의 주장과 견해에 대한 반성적 태도를 본질로 한다. 이것은 자신의 경험을 구성하는 물질현상(色, rūpa)이나 느낌(受, vedanā) 따위에 대해 ‘나의 것 (mama)’이 아니며 ‘나의 자아(me attā)’가 아니라고 부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부정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이루는 요인들에 대한 거부로서, 자신의 신념이나 사고에 매몰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반성적 태도가 결여된 상태에서는 스스 로의 느낌이나 생각에 대한 과도한 확신과 함께 타인과의 소통 부재 상황이 초래될 수 있 다고 본다. 동일시 부정의 무아는 ‘나’ 혹은 자아에 대한 존재론적 부정으로 볼 수 없으며, 다만 자신을 구성하는 요인들과의 ‘거리두기’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두기’는 자신에 대해 거리를 두는 정도만큼 타자를 위한 여유 공간의 확보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 다. 이 점에서 무아란 ‘나’ 혹은 자아에 대한 전면적인 거부가 아니며 타자에 대한 맹목적 인 수용도 아니어야 한다. 무아의 실천에는 자신과 타자 모두에게 얽매이지 않는 유연성과 균형감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무아의 실천적 측면을 규명하기 위해 원효의 화 쟁(和諍) 사상과 현대의 체험주의(Experientialism) 담론을 활용한다. 자신의 신념이나 확 신조차도 다른 사람에 의한 검토와 비판에 개방되어야 한다는 화쟁 해석은 무아의 실천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다. 한편 체험주의 담론은 절대주의적 사고방식의 폐해를 지적하는 동시에 몸으로 경험되는 ‘나쁜 것’에 대한 체험적 인식으로부터 공감과 소통 의 실마리를 찾아나갈 것을 제안한다. 체험주의의 시선은 무아설 및 사성제(四聖諦)가 사변 의 산물이 아니며 생생한 삶의 현실에 대처하기 위한 것임을 드러내는 데 유용하다.

      • KCI우수등재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Ⅱ

        임승택(LIM, Seung-taek)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0 No.-

        필자는 초기불교 당시 유통된 무아설의 유형을 3가지 부류의 12가지로 파악한다. 선행 논문인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I』에서는 이들 중 첫 두 부류에 속한 6가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고, 본 논문에서는 세 번째 부류로 귀속되는 6가지 유형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필자의 판단에 따르면 첫 번째 부류의 3가지 무아 유형은 ‘나의 것’ 등을 부정하면서 비아(非我)에 가까운 무아의 의미를 표방한다. 이러한 서술방식에 따르면 무아란 자아에 대한 존재론적 부정이 아니며 다만 경험적 현상들과의 탈동일시(disidentification)를 가리킬 뿐이다. 두 번째 부류에 속한 3가지는 사변적 견해를 비판하면서 무아에 대한 견해나 주장마저도 극복의 대상으로 간주한다. 또한 무아라는 개념에 대한 집착을 경계하면서 어떠한 형태로든 ‘나’라는 생각에 빠지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한편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다루는 세 번째 부류의 6가지 유형은 형이상학적 무아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이들은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방식으로 무아에 대한 사변적 해설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들 세 번째 부류의 무아 유형은 니까야(Nikāya)에서는 주류적 방식이 아니지만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Abhidharmakośabhāṣya) 등 후대의 문헌들로 내려오면서 그 영향력을 확장시켜 나간 듯하다. 필자는 두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는 본 연구를 통해 3가지 부류의 12가지 무아 유형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한다. 이들은 초기불교 무아설의 일반적 양상을 확인시켜주는 동시에 그 변용이 어떻게 시작되었는가를 되짚어보게 해준다. I classify the teachings on selflessness presented in Early Buddhism into three categories. In the preceding paper, I examined the six types belonging to the first two categories, and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six types that fall into the third category. The types of the first category advocate for a meaning of selflessness that is close to the meaning ‘it s not mine (非我).’ These types are not ontological negatives to the self, but only point to disidentification with empirical phenomena. The three types belonging to the second category criticize speculative views and even regard views or claims about selflessness as objects of overcoming. These types convey a message of not falling into the idea of ‘me’ in any form, while remaining wary of obsession with the concept of selflessness. In contrast, the six types of the third category, which are intensively dealt with in this paper, correspond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metaphysical selflessness discourse. These types attempt a speculative interpretation of selflessness in an objective and universal way. These six types of selflessness were heterogeneous at the time of Early Buddhism, but gradually expanded their influence as they were transmitted to later literary traditions after Early Buddhism. This paper provides sufficient examples to remind us of the general aspects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theory of selflessness in Early Buddhism.

      • KCI등재

        니까야에 나타나는 무아(anattan)의 용례와 의미

        임승택 ( Lim Seung-tae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이 논문은 니까야에 나타나는 무아 즉 anattan의 격변화 사례를 통해 무아를 가르친 붓다의 본래 의도가 무엇이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니까야에 나타나는 anattan의 용례 중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대표적인 사례는 제1격인 단수 주격 anattā이다. 그런데 이 경우의 anattā는 대부분 서술성 명사로 사용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예컨대 “물질현상(色)은 무아이다.”라거나 “눈(眼)은 무아이다.”라는 경구가 그것이다. 이 용도가 각별히 주목되는 이유는 anattan의 실제 의미가 무아(無我)인가 혹은 비아(非我)인가의 문제를 놓고서 발발한 논란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이다. 서술성 명사로서의 anattā는 주어에 해당하는 오온 따위가 자아 혹은‘나’와 무관하다는 사실만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무아든 비아든 어느 쪽을 취하더라도 그 의미는 마찬가지이다. 한편 무아에 의해 부정되는 대상은 일차적으로 자아(attan)이다. 그러나 니까야의 설명 방식에 따르면 anattan는 ‘나(ahaṃ)’와의 동일시에 대한 거부일 뿐이다. 예컨대 오온 따위에 대해 ‘나의 것’이 아니며 ‘나’라든가 ‘나의 자아’가 아니라는 방식으로 반복해서 언급된다. 이것은 1인칭 화자로서의 ahaṃ 즉 ‘나’에 대한 자각이야말로 무아의 실제 내용이 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한다. 일체의 것에 대해 ‘나’일 수 없다는 방식으로 자기 동일시를 거부해 나가는 과정이란 곧 ‘나’에 대한 긍정에 다름이 아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아에 관한 선행 연구들과 구분되는 독자적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earch about the usages of selflessness or anattan appearing in Nikāyas with the program Digital Pali Reader. Through this work, I want to clarify what Buddha's original intention was in teaching selflessness or anattan. The common use of Selflessness or anattan is the singular nominative form or the first case which is anattā. In this case, anattā is characterized grammatically as the subject in a sentence, but it is actually being used as the descriptive noun. “Material phenomenon (色) is anattā.” and “Eye (眼) is anattā.” are examples of sentences which use anattā as descriptive nouns in Nikāyas. Anattā, which is used as a descriptive noun, has only a passive meaning or passive voice construction because it is used to deny self-identity. The primary object negated by the expression of anattā or selflessness is usually regarded as attā or self. In fact, however, the focus of anattā is not on selflessness, but on denial of identity with ‘I’ or ahaṃ from the five khandas or empirical elements like body (色), feelings(受), perceptions(想), etc. For example, there are many passages that describe khandhas or empirical elements as not mine or mama, not ‘I’ or ahaṃ, not myself or me attā. This study has its own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s that the actual meaning of anattā is the denial of the identity with ‘I’ from the empirical elements in Nikāyas instead of selflessness.

      • KCI등재

        초기불교의 무아사상에 대한 인지과학적 연구

        전미옥(Jeon, Mi-O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3

        초기불교의 무아사상은 고정불변의 실체적인 자아를 인정하지 않는다. 붓다는 오온현상적인 자아는 부정하지 않았으나,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조종한다고 믿어지는 실체적인 자아는 부정했다. 사람들이 이런 무아사상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은 힘든 일이다. 왜냐하면 오랜 세월 인류가 삶을 살아내기 위해서 갖지 않을 수 없었던 자아관념은, 현재까지 우리의 마음속에 깊이 각인되어 왔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의 고착화된 자아관념은 삶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그래서 필자는 인지과학이라는 새로운 과학적 방법론을 이용해서 불교의 무아사상을 논증하고, 우리의 실체적 자아관념의 폐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이 논문을 쓰게 되었다. 특히 인지과학에서 보이는 ‘자아 없는 인지’는 실체적 자아를 해체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총체적 인지 주체가 사실은 단편화 되어 있고,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우리가 자아라고 생각하는 존재는 인지적 하위네트워크들의 활동에 의해서 창발 된 존재로서, 불교의 무아사상이 증명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지과학은 유물론적인 견해로 인하여, 불교와의 완전한 만남을 위해 갈 길이 멀다. 하지만 불교에서는 명상이라는 수행방법을 통해서 마음현상에 대한 체험적 관찰이 가능하다. 자아의 비실체성에 대한 인지과학의 결과물들과, 불교적 명상법과 오온무아의 통찰을 이용한다면, 사람들을 무아의 이해와 수용으로 이끌 수 있을 것이다. The thought of selflessness in early Buddhism does not admit the fixed, immutable, and ontic ego. Buddha did not deny the phenomenal “ego” of five aggregates, but he denied that the ontic ego existed behind the phenomenal background, which we believe controls our thoughts and actions. It is quite unusual for people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thought of selflessness. In order to live their lives, people have to retain the conception of ego for a long time and so it becomes deeply imprinted in their minds. This solidified conception of ego has caused many problems in every part of our lives, its never easy to give up such solidified conception of ontic ego. Accordingly, in this thesis, taking advantage of the new scientific methods of cognitive science, I argue that the Buddhist thoughts of selflessness can help people give up the ontic ego. In cognitive science, “cognition without ego” is a product of deconstructing the ontic ego. The main agent of general cognition, in fact, is fragmented and not unified. The coherent, fixed notion of ‘I’ in the neurological point of view, which the many lower, or the many lower of lower systems of brain. The notion of “I” is thought to emerge from the activities of the lower cognitive networks, and the selflessness thought of Buddhism has been proven. However, because cognitive science uses a materialistic view, there is some way to go before there is complete similarity with Buddhism. In Buddhism, through the methods of ascetic practices such as Buddhist meditation, we can produce experiential observations of the state of the mind. Therefore, making use of the products of cognitive science on the immateriality of the ego, through the method of Buddhist meditation and the insight of the selflessness of the five aggregates, we can form a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selflessness.

      • KCI등재

        『밀린다빵하』윤회의 해명과 12연기

        김성옥(Kim, Seong-Ock) 한국인도학회 2017 印度硏究 Vol.22 No.2

        밀린다 왕과 나가세나의 문답으로 이루어진 『밀린다빵하』의 핵심은 불교의 무아설의 입장에서 윤회를 해명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생(生)과 노사(老死)의 괴로움을 초래하는 재생의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윤회로부터 벗어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교적 입장은 12연기 형식의 ‘무명(無明)-행(行)-식(識)-명색(名色)-육입(六入)-촉(觸)-수(受)-애(愛)-취(取)-유(有)-생(生)-노사(老死)’의 연쇄적 흐름으로 수렴되어 나타난다. 자아나 영혼의 존재를 부정하는 『밀린다빵하』의 무아설, 그 가운데 한 가지는 ‘눈과 형상을 조건으로 하는 안식의 발생’을 통해 해명되고 있다. 이 논제는 텍스트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아비담마의 논의’라고 기술된다. 그리고 윤회하는 것은 명(名)과 색(色)으로 언급되며, 그 원인으로는 ‘안팎의 6가지 영역에 대한 집착’이라고 설명된다. 12연기와 관련지어 본다면, ‘갈애와 집착’을 통해 존재의 발생을 설명하는 ‘애(愛)-취(取)-유(有)’의 심리적 계열이 감수를 접점으로 하여 ‘육입(六入)-촉(觸)-수(受)’의 인지적 계열과 결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무아설의 해명에 등장했던 아비담마 논의의 확장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형성력의 의미를 지닌 ‘행(行)’과 함께, 이 모든 발생의 근원적 원인으로서 ‘무명(無明)’이 제시된다. 양자의 구분에는 무엇보다 시간의 개념이 개입하고 있다.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 속에서 인식될 수 있는 ‘행’과 달리, ‘무명’ 이전의 근원적인 시간은 인식될 수 없다는 것이다. 시간의 문제는 부파불교에서 뜨거운 논제 가운데 하나였다. 『밀린다빵하』에 보이는 이러한 아비담마의 성향은 12연기에서 ‘무명’을 가장 근원적 원인으로 설명하는 교리적 해석의 한 가지 유형을 제공하고 있다. The central point of Milindapañha, the dialogue between Milinda King and Nāgasena, can be found in trying to explain the cause of transmigration from the position of Buddhist doctrine of selflessness. Because, in this way, it tries to escape from the sufferings of birth, old age and death by finding out the cause of rebirth, thereby achieving an ultimate liberation from the endless chain of transmigration. This Buddhist position is converged upon the form of twelvefold dependent origination, namely ignorance (無明), dispositions (行), consciousness (識), name and form (名色), six sense organs (六入), contact (觸), feeling (受), craving (愛), clinging (取), existence (有), birth (生), old age and death (老死). Among the explanations of selflessness in Milindapañha, which denies existence of ego or soul, one is elucidated through the occurrence of consciousness, conditioned by the eye and the form. This thesis is repeated throughout the text and is described as “argument of Abhidhamma”. What is transmigration is referred to as “name and form”, and the cause of transmigration is explained as “clinging for six areas inside and outside.” In relation to twelvefold dependent origination, we can confirm the conjunction on the contact point of “feeling” between the psychological series of ‘craving (愛), clinging (取), existence (有)’ and the cognitive series of ‘six sense organs (六入), contact (觸), feeling (受)’. This can be said to be an extension of the Abhidhamma argument, which appeared in the explanation of selflessness. Also “ignorance (無明)” is suggested as the root cause of all these occurrences with the “dispositions (行)”, which have the meaning of forming power. More than anything else, the concept of time intervenes in the division of both. Unlike “dispositions” that can be recognized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imes, the time before “ignorance” can not be recognized. The problem of time was one of the hot issues in many Buddhist schools. This tendency of Abhidhamma in Milindapañha shows one type of interpretation that explains “ignorance” as the most fundamental cause in the twelvefold chain of dependent origination.

      • KCI등재

        인성교육에서 전통적 가치의 현대적 확장 연구 -성실과 정직의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김창경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10

        In the aim of explor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sincerity and honesty in modern mor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the traditional Confucian concepts and significance of sincerity and honesty by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virtues to explore their modern value expansion. In Confucianism, sincerity(誠) is the genuine principle inherent in human nature, characterized by unwavering truthfulness and the concept of signifying that without sincerity, there is nothing substantial(不誠無物). Sincerity, as a virtue, involves firmly embracing and satisfying benevolence (善) as a rightful path, coupled with a mind that harbors neither self-reproach(無自慊) nor self-deception(毋自欺), embodying fairness and selflessness. Honesty is emphasized in moral education as a principle that should be cultivated through inner cultivation. Rectitude(直) is the inherent physiological principle bestowed upon all things and humans, embodying virtue, and is the essence of the mind(心). Honesty involves manifesting the inherent principle of rectitude in the real world through filial piety, loyalty, and brotherly love (孝忠悌), becoming the standard of impartiality(至公無私) in life and death. It is a virtue and attitude characterized by upright and straightforward conduct(無私曲), a practice of humanity(人道) that should rightly be displayed and demonstrated in all human affairs. The mutual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virtues lies in the fact that sincerity and rectitude, represented respectively by nothing substantial(不誠無物) and the celestial principle of revealing the righteousness by speaking frankly, share a common underlying principle. It is also shared in the sense of possessing a heart committed to impartiality. Furthermore, in facing the practical realities of human affairs(萬事), both virtues entail not deceiving oneself and finding satisfaction, thereby appropriately embodying virtues that should be realized to avoid succumbing to selfish desires. In this regard, these virtues have a mutually synonymous significance. The virtues of sincerity and honesty are considered the most demanded and influential aspects of mo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character development. Moreover, it is acknowledged that these virtues are crucial for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light of this, the current state of the existing South Korean character education laws and ethical education curriculum reveals limitations and issues.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a clear and novel understanding and learning of the expanded concepts and significance of sincerity and honesty, as well as the modern values related to the synonymous correlation of these two virtues. These should be recognized and incorporated as explicit learning content within the curriculum of character education, including ethical and moral education,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modern era. 현대 한국 인성교육에서의 성실과 정직의 상호 연관성과 그 현대적 가치 확장을 모색하고자 하고자, 성실과 정직에 대한 전통적 유학에서의 개념과 의의 및 두 가지 덕목에 대한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유학에서의 성(誠)은 천도로서 진실무망하며 불성무물(不誠無物)의 이치로서 인간의 본성으로 품수된 참된 원리이다. 성실은 인도로서 마땅히 선(善)을 굳게 잡고 만족하는 무자겸(無自慊)과, 무자기(毋自欺)의 공평무사(公平無私)한 마음이다. 성실은 내면적 수양으로서 함양해야 할 원리적 측면이 더 강조되는 인성교육 덕목이 된다. 직(直)은 천리가 존재 사물과 인간에게 덕성으로 부여된 부직즉도불현(不直則道不見)의 생리(生理)이자 심(心)의 본체이고, 정직은 품수된 천리를 현실세계에 효충제(孝忠悌)의 인륜과 삶과 죽음의 벼리가 되는 지공무사(至公無私)하여 바른 무사곡(無私曲)한 덕과 태도로써 인간 만사에 마땅히 드러내 펼쳐야 하는 인도(人道)의 실천덕목이 된다. 이 두 가지 덕목의 상호 연관성은, 성과 직은 각각 ‘불성무물’이요, ‘부직즉도불현’의 천리로서 동일한 원리인 점에서, 천리가 인간에게 품수된 본성의 덕성으로 주어진 점에서, 지공무사한 마음이라는 점에서 동일하고, 당면한 현실의 인간 만사(萬事)에서 자기를 속이지 않고 만족하여 사사로운 욕심을 내지 않도록 마땅히 구현(具顯)되어야 하는 덕성이라는 점에서 상호 동일한 의미의 덕목이다. 이와 같은 성실과 정직의 인성덕목은 인성교육 현장에서 가장 요구되고 영향력 있는 덕목이며, 나아가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에서 필요한 덕목으로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기존의 현행 한국인성교육법과 도덕교육과정에서의 학습내용이 그 한계와 문제점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살펴 본 성실과 정직에 대한 확장된 개념 및 의의와, 두 가지 덕목의 동일한 의미의 연관성과 관련한 현대적 가치를, 인성교육(도덕윤리교육 포함)과정 속의 학습내용으로서, 명확하고 새롭게 인식하고 학습되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 KCI등재

        장자철학에서의 物과 心 그리고 힐링

        이택용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58

        본 논문은 개인과 세상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불안정 및 근원자[天⋅道]가 초래하는 부조리로 인한 인간의 좌절 과 불안에 대하여 장자철학은 어떤 답을 제시하는가를 다룬 것이다. 장자철학에서 인간이 겪는 괴로움의 주 원인자는 ‘사건⋅사태’로서의 物과 ‘분별⋅욕망의 주체’로서의 心이며, 이 양자의 결합에 의하여 인간의 괴로움이 발생한다. 즉, 物에 대하여 분별과 욕망이 동시에 작동하였으나 그 욕망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괴로움이 발생한다. 그런데 物은 命적 사태라서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반면 心은 통제 범위 안에 있다. 따라서 장자철학은 분별과 욕망의 주체로서의 심을 제거시키는 齊物과 無己를 인간사 괴로움의 해결방안으로 채택한다. 그 결과는 遊心⋅ 不傷⋅不累⋅解於物 등으로 나타난다. 오로지 경쟁에서의 승리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장자철학은 현실의 삶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장자철학은 현실의 우리에게 두 가지의 중요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제공한다. 하나는 바로 ‘어찌할 수 없 는 사태를 어떻게 소화해 낼 것인가’이며, 다른 하나는 ‘경쟁에 매몰된 삶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This paper proposes the solution, suggested in Zhuangzi`s philosophy, to the problem of instability and anxiety in man`s life. Man`s sufferings are referable mainly to wu物 which means 'things and affairs' and mind which means a body of 'discriminating and wanting' in Zhuangzi`s philosophy. Otherwise, man`s sufferings arise at the time 'discriminating and wanting' has operated simultaneously in mind but wanting can`t be met. And by the way, 'things and affairs' depend on destiny, so they are out of man`s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mind is controllable. This is the reason why Zhuangzi had chosen 'making things and affairs equal'齊物 and selflessness無己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instability and anxiety in man`s life. The result of the solution is 'being free and easy wandering'逍遙, not being hurted, not being tied down and being freed from 'things and affairs.'Zhuangzi`s philosophy suggests us two kind of solutions in life. One is how to overcome the 'things and affairs' occurred in our life, the other is how to be freed from the life tied by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