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CS기반 2년제 뷰티미용과 교육과정 개편 연구 및 개편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 연구 -C대 뷰티미용과를 중심으로-

        박춘란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8

        Recently, almost all industries are focusing on improving the competency of related industry workers, and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ystematic educational activity plan that constructs, operates and evaluates learning experiences for knowledge, technology and literacy development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This study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2015 and 2014 curriculum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based one which has been applied since March 2016 against those from Department of Beauty & Cosmetology, ‘C’ University.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and SWOT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The NCS-based curriculum which has been applied since 2016 is more advanced than 2015 and 2014 curriculum in terms of strength, weakness, risk and opportunity. In addition, their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was more than average with 47.9-57.2%. Meanwhile, when asked their favorite time to decide their academic major, 79.5% answered, ‘2nd semester of the 1st year’. They were very dissatisfied with the fact that their academic major is decided in the second year. It is anticipated that the NCS-based 2-year curriculum for Dept. of Beauty & Cosmetology is redesigned through analysis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by reflecting their opinion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in a more practical and systematic manner would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and generate workforce for cosmetology industry. 최근 거의 모든 산업체가 관련 산업종사자의 능력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 기술, 소양 개발을 위한 학습 경험을 구성, 운영, 평가하는 체계화적인 교육 활동 설계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C대 뷰티미용과 교육과정을 2014년, 2015년 교육과정과 2016년 3월부터 적용한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 질적분석,  SWOT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2016년도부터 적용한 NCS 기반 교육과정이 2014년, 2015년 교육과정에 비하여 강점, 약점, 위험도, 기회 분석에서 훨씬 진일보한 교육과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재학생의 만족도 분석 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는 47.9∼57.2%로 보통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공분류 진입시기에 따른 만족도는 1학년 2학기에 분류하기를 희망하는 재학생이 79.5%로 나타났으며 전공분류시기에 매우 불만족한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NCS기반 2년제 뷰티미용과 교육과정 개편 연구 및 개편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좀 더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편으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미용관련분야의 산업체에서 원하는 인재양성 함양을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경향점수매칭과 이중차분 추정기법을 활용한 직업계고 학생들의 진로활동 만족도 및 진로개발역량 분석: NCS 기반 교육과정 적용 전 후 비교

        백승희(Baek, Seunghiey),이정민(Lee, Jungm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적용이 직업계고 고등학생들의 진로활동 만족도 및 진로개발역량 함양에 미치는 순수한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실시한 ‘학교 진로교육 현황조사’ 2017년(9,733명)과 2019년(7,715명) 고등학교 2학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고, NCS기반 교육과정 적용이 직업계고 고등학생들의 진로활동 만족도 및 진로개발역량 함양에 미치는 순수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PSM)방법과 이중차분(DiD) 추정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NCS 기반 교육과정 적용 후 직업계고 학생들은 ‘직업이해’ 역량이 신장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비적용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에도 NCS 기반 교육과정 적용 후 ‘직업이해’ 및 ‘진로개발역량 전체’가 신장되는 결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 적용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적용 전 시점과 적용 후 시점 모두에서 직업계고 학생들이 비적용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해 ‘진로활동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 NCS 기반 교육과정 적용 여부와 NCS 기반 교육과정 참여 여부를 동시에 고려한 이중차분 추정결과 직업계고 학생들에서 ‘진로활동 만족도’가 소폭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활동 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 및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제안과 함께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re effect of applying the NCS-based curriculum on the car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do this, data from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RIVET was analyze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in-difference for high school panels in 2017 and 20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fter applying the NCS-based curriculum,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n improvement in their ‘vocational understanding’ competency, and non-applied high schools also showed an increasing level of ‘vocational understanding’ and ‘total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CS-based curriculum,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both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career activities than students at non-applied schools.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difference-in-difference that considered whether to implement or not to participate in the NCS-based curriculum,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slight decrease in ‘career satisfaction’. Finally,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policy proposals for improving career satisfacti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quality were discussed.

      •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NCS 기반 교육과정 만족도

        임애숙 국제보건미용학회 2019 국제보건미용학회 학술컨퍼런스 Vol.2019 No.11

        연구배경 및 목적: NCS(국가직무능력표준)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요 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 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으로 국 가적 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NCS 기반 교 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9년 5월 부터 7월 사이에 부산지역에 소재하는 3개 미 용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194명을 대상으로 NCS 기반 교육 과정에 대한 자기기 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얻어진 자료는 SAS 9.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t-test, 일원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의 NCS 기반 교육과정의 수업 내용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4.0±0.8, 교육 성과 평가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4.0±0.7 이었다. NCS 기반 교육과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세부 항목에서 대상자들의 전공이 헤어 일 때 실무 능력 및 현장 적응에 도움이 된다고 할 때 P<0.05 이었다. 결론: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NCS 기반 교육과정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무교육 의 체계적인 수업내용이 필요하다. 그리고 피부와 메이크업, 네일아트 전공자들에게도 NCS 기반 교육과정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NCS 식음료서비스분야 자격증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이희수(Lee Hee Soo)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1

        오늘날 각 대학은 교육기관으로써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인 전문화된 인재를 양성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우수한 취업률을 위해 이를 취업지원 프로그램과 결합하고 있으며, 이론과 실험·실습 시간을 균형 있게 배분하고, 전문화 취업지원 프로그램 교육시간을 대폭 늘려 전문 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호텔관광학과, 외식산업학과, 관광경영학과, 항공관광학부, 관광계열, 호텔조리계열 등 식음료서비스분야 교과목을 배우는 학생들이 NCS 식음료서비스분야 자격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을 소재하고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식음료서비스분야 자격증 교육과정은 학습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CS 식음료서비스분야 자격증 교육과정은 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학습동기는 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지닌다. NCS 식음료서비스분야 자격증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는 지도방법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에 더 열심히 참여하도록 하고, 학습만족도와 후속 성취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강화물이 필요할 것이다. Today, each university focuses on cultivating specialized personnel, the most fundamental responsibility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it is combined with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to distribute the theory, the experiment and the training time in a balanced manner, and to increase the training time of the specialization employment support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tudents who are studying food and beverage services such as college hotel tourism department, food service industry department, tourism management department, aviation tourism department, tourism department, hotel cooking department etc think about NCS food and beverage service qualifi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rea.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NCS food and beverage service qualification curriculu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Second, the NCS food and beverage service qualification curriculum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services. Third, learning motiva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NCS Food and beverage service sector should utilize the guidance method to increase motivation of learning through certification course. It will also require a constant reinforcement that allows learners to participate more in learning and improve their learning satisfaction and follow-up performance.

      • KCI등재

        NCS유보학과에서 NCS기반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분석 - 물리치료학 중심으로 -

        김경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8

        Satisfaction of learners is not high about courses based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f specialized colleg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through the result of the study about the reserved NCS appears above the average as 3.68 compared 5.0 scale of Likert and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of learners between courses based NCS and general courses exists in the specialized colleges. There is a difference in learner satisfaction compared to NCS-based subject and general subject. This shows that the operation of the NCS based curriculum is well underway. In addition, NCS-based curriculum is more active than general curriculum (p <0.05). In order to enhance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NCS-based subjects in the future, it is desirable for the instructor to prepare the NCSbased courses in advance and to conduct tight class operations. Since the evaluation of the NCS-based subjects is the course evaluation.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가 수업만족도, 교육성과 및 취업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임대규,오원정 한국상업교육학회 2019 상업교육연구 Vol.3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NCS-based curriculum on class satisfaction, educational outcomes, and employabilit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who took classes in taxation and accounting courses using the NCS-based curriculum. The understanding of NCS-based curriculum is divided into understanding of components, understanding of competence units, understanding of learning modules. And we analyzed empirically the effect of NCS-based curriculum on class satisfaction, educational outcomes and employability.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comprehension (components, competence units, learning modules) of NSC-based curriculu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educational outcomes and employabil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n employability, only the understanding of competence units among the NSC-based curriculu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tudents' understanding of NSC-based curriculum has a direct impact on class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but it dosen’t have a direct impact on employ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