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도덕적 양심 확신 수준과 도덕적 양심 지각의 관계 연구

        강인구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1

        Moral conscience is an evaluative property and characterized by moral responsiveness. In this study, college students (N = 273) subjects were examined perceptions of moral conscience, which is the first period of conscience awareness,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nscience, the self-evaluation of conscience, the relevance of conscience and career. Depending on the level of conviction of moral conscience, the subjects are divided conscience conviction groups and conscience conflict group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moral conscience. The result has shown that the first period of conscience awareness recognized that most of the students was in elementary school. The meaningful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conscience are parents and self. Conviction groups are more confident about their own conscience, self- evaluation in relation to others, a career choice in conscience than conflict groups. Thus, parenting and moral self-regulation in the development of moral conscience is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the confidence of the moral conscience. Also, educational materials and methods of moral conscience should be developed in moral education. 도덕적 양심은 평가적 속성을 지닌 도덕적 반응의 민감성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N=273)을 대상으로 도덕적 양심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양심지각 시기, 양심영향요인, 양심 평가, 양심과 직업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도덕적 양심의 확신수준에 따라 양심확신집단과 양심갈등집단으로 구분하여, 도덕적 양심에 대한 지각정도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도덕적 양심지각 시기는 전반적으로 초등학교 때 대부분 지각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양심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부모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다음으로 스스로의 고민을 통하여 형성되었다고 응답한 학생이 두 번째로 많았다. 그리고 양심확신수준에 따른 조사에서, 양심확신집단이 양심갈등집단보다 자신의 양심에 대한 평가, 타인과의 관계에서 평가, 직업선택에서 양심의 일관성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도덕교육에서 부모양육과 도덕적 자기조절력이 도덕적 양심발달에서 양심에 대한 확신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로서 고려되어지고, 도덕적 양심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이 구안되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도덕양심신념과 도덕양심수준의 관계

        강인구(In-Gu K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2

        도덕양심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도덕적 판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덕 및 인성교육에서 중요한 논의주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신의 도덕양심에 대한 주관적 평가인 도덕양심신념과 실제 도덕양심수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438명이였다. 연구결과에서 자신의 도덕양심에 대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확고한 신념을 가진 집단과 일시적으로 갈등을 경험한 집단이 자신의 도덕양심에 대해 전혀 신념을 가지지 못한 집단보다 도덕양심 수준 평균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확고한 신념집단이 과거 혹은 현재 갈등을 경험한 집단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성별분석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도덕양심수준 평균치가 높았다. 도덕양심의 6가지 하위요인에서도 양심신념과 성별차이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덕양심신념이 도덕양심수준을 판단하는 하나의 평가자로 활용할 수 있으며, 도덕양심신념에 대한 지속적인 확신이 중요하지만 확신과 함께 갈등을 경험하는 것도 도덕양심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덕교육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도덕양심 관련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사회문화적인 도덕양심에 대한 관점도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도덕양심교육에서 성별 정서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Moral conscience influences in moral decisions our everyday life. Therefore, it is a important issue in mor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conscience conviction and perceptions of moral consc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437 college stude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ral conscience conviction influenced perceptions of moral conscience. Moral conscience conviction groups (including unsteadily conviction groups) was the higher mean scores of the perception of moral conscience than steadily conflict group in moral conscience conviction. However, steadily conviction group in moral conscie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of the perception of moral conscience for unsteadily conviction groups in moral conscience. Also, this study found that women got the higher mean score than men in the perceptions of moral conscience. Interaction effect of moral conscience conviction and gender showed similar result. This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found the similar results in the level of moral conscience conviction an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six dimensions of moral conscie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moral conscience conviction can be used an evaluator of moral conscience, but can not be sure. Also, we need to develop moral conscience curriculum,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in moral education with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gender difference of moral conscience need to study in the integrative views of emotional and cognitive moral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도덕 양심, 도덕 판단과 정치 성향의 관계

        강인구(In-Gu K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도덕 판단은 도덕 양심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덕 양심은 도덕 판단에서 본질적인 역할을 하는 내적 도덕 가치들이다. 또한 개인의 정치 성향도 사회, 문화적인 도덕 가치를 반영한다. 본 연구는 도덕 양심, 도덕 판단, 그리고 정치성향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학생 42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학생 154명, 여학생 274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도덕 양심과 도덕 판단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하위 요소간 상관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정치 성향에 따라 전반적으로 진보 성향 집단이 보수 성향 집단보다 도덕 양심과 도덕 판단 평균치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차이에서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도덕 양심에서 평균치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도덕 양심이 도덕 판단의 인과적 기제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도덕 교육과 시민 교육에서 도덕 양심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교육적 방안을 탐색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Moral judgment is often driven by moral conscience. Namely, moral conscience is an inner moral value which plays a substantial role in moral judgment. Additionally, individuals demonstrate social and cultural moral values through their political vi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conscience, moral judgment, and political views. A total of 428 university students (154 men and 274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ral conscience and moral judgment. Moral conscience was influenced by political views (liberal and conservative). Libera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in moral conscience and moral judgment than conservative groups. A difference in gender was evident as women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men in moral conscience. This suggests that moral judgments are indeed produced by moral conscience. These findings help illuminate the nature and intractability of moral conscience and moral judgment through political views. In addition, moral conscience should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chanism of moral judgment in moral and civil education.

      • KCI등재

        혐오성과 도덕양심신념 및 지각의 관계

        강인구 ( In-gu Ka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1

        혐오성은 해로운 대상(음식, 동물, 질병 등)에 대해 우리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인간 정서이다. 여러 심리학자들은 혐오성이 다양한 도덕적 판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도덕양심도 도덕적 판단에서 본질적인 역할을 하는 내면의 가치로 보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혐오성과 도덕양심신념 및 지각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437명(남자 112, 여자 325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혐오성(하위영역: 핵심혐오성, 동물연상 혐오성, 오염 혐오성)과 도덕양심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양심신념 수준집단들 중에서 도덕양심에 대한 신념이 가장 낮은 갈등-갈등집단이 네 집단 중에서 혐오민감성이 유의미하게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차이에서도 여성이 남성에 비해 혐오 민감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혐오성이 도덕양심에 정서적으로 인과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혐오성이 도덕 및 인성교육에서 도덕정서와 도덕인지의 통합적인 기제로 재인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Disgust is a basic human emotion that functions to protect us from harmful object(food, animal, disease etc). A number of psychologists argue that there is adequate evidence showing that disgust significantly influences various moral judgments. Moral conscience is a inner values which play a substantial role in moral judg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gust and moral conscience. 437 college students(male 112, female 325)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sgust(three domains: core disgust, animal reminder disgust, contamination disgust) and perception of moral conscience. A disgust sensitivity show that conflict-conflict group was significantly the lowest of four conviction groups of moral conscience. A difference of gender show that fema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n in disgust sensitivity. This result suggest that disgust is a causal role of affect in moral conscience. Also, disgust should be recognised as a integrate mechanism of moral emotion and moral cognition in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몽테뉴(Montaigne)와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 비교 연구 -"도덕적 판단력"과 "양심(良心)"을 중심으로-

        김상현 ( Sang Hyeon Kim ),권정선 ( Jun Son Kwon ),김환택 ( Hwan Taek Kim ),김회용 ( Hoy Yong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4

        우리나라 교육의 지향성, 즉 최우선의 목표를 교육기본법 제2조와 최근의 ``인성교육진흥법``의 "제1조(목적)를 통해 살펴보면,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은 그 토대인 ``건전하고 올바른 인성(人性)``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인성은 교육의 핵심 키워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성은 사회적 제 관계를 바탕으로 도덕적 관심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다. 연구자는 사회적 지향성과 도덕교육의 관계가 기본적으로는 사회적 변화에 근거한다고 보고, 몽테뉴와 루소의 교육사상을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 첫째, 교육사상의 근본 전제를 ``자연의 법칙``에 두었으며, 자연의 교육을 그 원리로 삼았다. 둘째, 루소는 몽테뉴의 아동의 자연적 선성(善性)의 사고를 발전시켜 아동중심의 교육사상을 전개시켰다. 또한 루소 자신의 독자적인 소극적 교육원리와 아동의 발달단계에 부응하는 현재중심의 점진주의적 교육의 원리를 수립하였다. 또한 교육관에서 교육의 심리화와 흥미화가 설계되었고, 아동의 직관과 경험에 근거한 근대적 교육방법의 원리가 주장되었다. 마지막으로 도덕판단 기준에서, 루소는 자연의 법칙과 선천적 원리에 따른 ``양심``을 강조하고 있으나 몽테뉴는 올바른 교육의 효과에 기인하는 ``판단력``에 근거한 도덕적 행위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루소가 양심의 절대성을 강조하면서도 이성에 의한 도덕 인식을 인정하는 점에서, 양자의 도덕판단 기준을 대립적으로 보기 보다는 상호보완적인 관점에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성교육, 도덕교육, 민주시민교육 등 그 명칭은 달리하더라도,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적 지향성의 일치를 위해서는 이성에 근거한 도덕적 판단 능력과 내면의 목소리인 양심에 토대를 둔 도덕적 충전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ducational thoughts of Montaigne and Rousseau, focusing on Montaigne`s Moral Judgement and Rousseau`s Conscience as The Morality. For this goal, I examined Montaigne`s The Essays and Rousseau`s Emile, focusing on theirs education of natural and negative education as educational principles. Montaigne criticized the scholastic manner of intellectual education prevalent in those and made an attempt to propose some suggestive educational principles. He thought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should be to train of moral judgement, not of great knowledge, and all sorts of knowledge including the humanities should be utilized for this as means. This attitude toward knowledge he demanded is closely related philosophical method of Pyrrhonism and Socrates. Rousseau claims human beings are good by nature but rendered corrupt by society. Because of self-interest, human beings are to be inequality and corrupt in modern society. People in modern society have lost human values of being suffering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and alienation. In Emile, the ultimate objective of Rousseau`s education is to raise morally matured human. According to him, human cannot be a moral being merely by understandings, intellectual judgement and it is conscience that morality reckless understanding. Conscience is made of self-love and sympathy which are natural principles. Rousseau asserts that human being can be moral being when they follow conscience`s order. In all, Montaigne`s Moral Judgement and Rousseau`s Conscience, reframed with theory and practice in respect of today, helps us to settle the problems of democracy and education in our current societ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urrent discussion of the moral education must be guided by creative thinking abilities based on moral judgement as reason and conscience as emotion.

      • KCI등재후보

        아우구스티누스의 양심

        정기철 ( Kicherl Chu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1 기독교철학 Vol.32 No.-

        우리의 주제는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 Hipponensis)의 양심이다. 그가 양심에 관해 체계적으로 쓴 글이나 책은 없지만, 그의 여러 저서에서 양심과 관련한 중요한 개념들 이를테면 양심의 자유, 양심 고백, 도덕 양심, 그리고 양심적인 세례 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들 여러 양심 개념들 각각을 역사적으로 연구하기 보단 잘 혼합된 양심 개념 지도를 그리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다. 그 작업 결과 하나님 앞(coram Deo) 그리스도인의 양심으로 논점이 귀결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렇다면 그것이 어떻게 고대 양심 사상에서 기독교 통찰로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지 밝히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은 해석학이다. 잘 혼합된 양심 개념 지도를 그리기 위해서는 양심에 대한 바른 이해와 설명을 시도해야 하기 때문이다. 해석학은 테마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 적용된다. 도덕 양심은 철학적 윤리학의 주제다. 신학적 인간학 또는 신학적 윤리학에 기초해 양심을 하나님의 소리로 그리고 내부의 법정이나 도덕 최후심급보다 더 거룩한 양심 성소가 가진 중요성을 설명할 것이다(『신국론』, 신학적 인간학과 윤리학). 양심의 본래 기능이 잘 작동되게 하기 위해서는 양심 치료가 필요한데, 그리 스도의 피를 통해서만 가능하다(『삼위일체론』, 그리스도론). 그리스도의 피가 영원한 속죄, 온전한 양심을 가져오게 된 것은 성령 때문이다(『고백록』, 성령론). 죄의 양심이 구원받은 양심이 되는 모든 관점은 구원론에 근거해 양심을 이해하고 분석했기 때문이다(『고백록』, 구원론). 양심적인 세례는 종말론적인 교회에서 기념되어야 한다(『페틸리아누스 서간 반박』, 종말론적 교회론). 연구 성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양심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 각 주제를 살필 때마다 다룰 것이다. 여러 양심 주제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하고 그의 통찰은 현대인에게 올바른 삶을 정향해 준다는 결론으로 마무리할 것이다. Our thesis is Augustine's conscience. There are no articles or books systematically organized by him on the subject of conscienc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ristian’s conscience before God that the ancient theory of conscience reached its apex in him and at the same time that it is developing anew from ancient thought to Christian insight. I have found several important conscience-related key concepts in many of Augustine's works. I would like to introduce his theory of conscience through the concepts of confession of conscience, testimony of conscience, or freedom of conscience, such as peace of mind, conscience travel, and conscientious baptism. I will introduce several academic methodologies to address this topic. Based on theological anthropology or theological ethics rather than moral philosophical conscience, I will explain the conscience as the voice of God and the importance of the conscience as a more holy sanctuary than an inner court or moral supreme court(theological anthropology and ethics). A pure conscience is necessary for the original function of conscience to function well, and it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blood of Christ(Christology). It is because of the Holy Spirit that the blood of Christ brought eternal redemption, a perfect conscience(Pneumatology). A redeemed conscience should commemorate conscientious baptism, especially in the eschatological church(eschatological ecclesiology). We considered his theory of conscience still important in our day and applied as a guide for the modern Christian life.

      • KCI등재

        맹자 윤리사상의 특징 - 良心을 중심으로

        김상래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2

        인간은 사회를 구성하여 자신의 삶을 영위해 가는 존재이다. 그리고 그 사회 속에서 윤리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를 추구하고자 한다. 이때 어떤 행위가 올바른지에 대해 윤리도덕적 판단이 수반하게 된다. 동양의 유가사상은 이런 문제들에 대해 오래 동안 많은 논의를 전개 해 온 학문적 전통을 지니고 있다. 공자의 학설을 정통으로 계승하였다고 인정받고 있는 맹자의 윤리사상은 인간을 윤리적 존재로 파악하는 것에서 논의가 전개된다. 맹자의 사유의 근저에는 인간은 선천적으로 도덕적 마음(良心)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인간과 다른 동물을 구별하는 본질적 특징이며, 윤리도덕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동기라는 생각이 자리하고 있다. 맹자가 설명하는 윤리도덕의 학설과 이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맹자가 인간의 윤리도덕을 설명하는 방법에 ‘良心’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도입하였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에 의하면, 이 良心은 인간의 마음에서 나오는 것으로 생득적으로 善한 것으로 규정된다. 이런 사유방식을 토대로 그는 性善說로 자신의 윤리적 논의를 확대시킨다. 맹자의 윤리사상의 구조 속에서 良心과 性善說은 仁義禮智라는 도덕적 가치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맹자의 윤리설은 良心에 대한 존재를 확인시키는 것에서 시작하여, 인간의 본질적 성품은 착하다는 것으로 전개되며, 仁義禮智라는 인간의 대표적인 도덕적 덕목들을 실현하는 것이 삶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This paper is focus on reading the characteristic and structure of the Mencius' moral theory. Mencius had taken a step to analysis on the innate emotional mind at first. That mind have a moral characteristic of human given by the heaven, with connected with the goodness. Mencius had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intrinsically good, the moral doing is the ability to do get the four moral value like the inherent morality of human being which driven by the moral mind. In this paper, I have presented Mencius' moral theory firstly based on the the universe is a moral universe is a given. Humans are situated in this moral universe, from which we derive our own morality. Mencius like Confucius talk about ‘Heaven’s Mandate’—the moral commandment from Heaven. Mencius said that Nature does not have moral attributes; rather, Nature is rendered moral by humans’ moralistic interpretation. Mencius insisted that morality is merely determined by human conventions and that there are no moral truths independent of human judgments and beliefs. And in the Mencius' moral theory our human society is a combined intellectual quest. The understanding of one’s moral ess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oral essence of the universe can complement each other.

      • KCI등재

        기획논문: 독일이상주의와 자유의 문제 : 헤겔의 실천철학에서 양심의 문제

        성창기 ( Chang Gi Su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2

        헤겔 철학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적 통념 중 하나는 헤겔이 개인의자유보다 국가 내지 공동체의 권위를 우선시한다는 것이다. 헤겔에 대한 이러한 해석의 한 형태는 자유로운 도덕적 판단의 주체로서의 양심에 대한 논의와 관련된다. 투겐타트가 비판한 바와 같이, 양심에 대한논의에서 헤겔은 사실상 개인의 양심보다 국가의 권위를 우선시하고, 양심은 국가가 인정하는 법에 따를 때에만 존중받을 수 있다는 식의 주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해석되어 왔다. 필자는 헤겔의 양심 논의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이러한 기존의 해석을 반박하고자 한다. 필자는 헤겔이 도덕성과 인륜성의 관계를 논하는 과정에서 양심의 역할을 경시하지 않는다고 주장할 것이며, 인륜성으로 이행한 뒤에도 개인의 자유로운 도덕적 판단 혹은 양심은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보존된다는 그의 주장을 옹호할 것이다. 이러한 주장에 있어 특히 중요한 것은 양심의 이중적 구조 및 인륜성에 의한 도덕성의 ‘지양’에 대한 다른 해석이다. 헤겔은 형식적 양심과 구분되는 참된 양심 개념을 통해 주관적 확신이라는 양심의 형식상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것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따라서 인륜성에서 폐기되는 것은 양심 그 자체가 아니라 개인주의적인 양심의 형태인 형식적 양심이라고 할 수 있다. 도덕성과 인륜성의 결절 지점에 위치하는 양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법과도덕, 나아가 사회제도와 개인의 관계에 대한 헤겔의 생각을 이해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One of the interpretive common notions concerning Hegel’s philosophyof right is that he prioritizes the state or the community over the freedomof the individual. One mode of such interpretation is related to his discussionof conscience as the subject of free moral judgment. According to it, Hegelis thought to argue that the authority of the state must precede the individual’sconscience and the latter could only be respected in so far as it obeys thelaw recognized by the state. I attempt to argue against this current understandingby reinterpretating his theory of conscience. I argue that Hegelacknowledges the significance of conscience and conscience, or, the individual’sfree moral judgment is preserved after the transition to EthicalLife. The important thing in particular here is a different understanding ofthe dual structure of conscience and of the ‘Aufhebung’ of Morality byEthical Life. Hegel seek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ts formal aspectof subjective certainty by the concept of true conscience and to its objectivity. It is therefore not the conscience as such, but its individualistic shape, theformal one, that is abolished within Ethical Life. This interpretation of conscience, situated in the link of Morality and Ethical Life, plays an essentialrole in understanding the thought of the relation of right and morality, ofsocial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 창조성의 선행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고찰

        김정아(Kim, Jeong-a) 창조교육학회 2013 창조교육논총 Vol.15 No.-

        This study is abou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grow virtue that is an element of value ability in moral area in creativity. Virtue in creativity is the core of moral character in creativity and is an element of human abilities for creating value. In other words, virtue is practiced by moral judgment based on human conscience and is related the whole areas of human life. Moral practice can be the rules of the acts to contribute to happiness of communities, and it creates culture, the common good, through its growth of value and also creates cultural value and personality through the cultivation of moral virtues. Therefore, the nature of virtue is to create the value of personality, society, and country through the practice of virtue. To grow virtue in creativity, teaching-learning study is required to cultivate morality by making virtue grow through right recognition of moral value and value realization in the schools.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cultivating morality comprises care model, home connection model, volunteering study model, virtual experience model, concept analysis model, group study model, value conflict model, values clarification model, and role playing model. Such models are useful for achieving creative values through moral education. Human morality can be achieved by the practice of morals. Thus, the precondition that virtue is manifested as moral practice is to make moral thinking cultivated and the basis of moral judgment by such thinking provided. Such basis of moral judgment can make people achieve their personalities by good deed, moral act by moral deduction. So, moral judgment and practice manifested by virtue becomes the basis of moral education. Creative activities with free will can be done based on human conscience by making moral virtues cultivated that follow virtue and abandon vice. The growth of virtue in creativity, therefore, should be achieved by moral education.

      • KCI등재

        니체의 『도덕의 계보』에 관한 재검토 - 1논문과 2논문을 중심으로

        김바다 한국니체학회 2013 니체연구 Vol.24 No.-

        Nietzsche made an assertion about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n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Due to the hypothetical aspect of Nietzsche’s claim, it is often the case that people fall into the unproductive understanding such as merely accepting or denying his idea and it is also the case that forming coherent understanding on his idea is difficult. In order to attempt to solve this problematic situation, I’ll try to clarify Nietzsche’s naturalistic, perfectionistic premises in this paper to show that Nietzsche developed a coherent claim about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n the first and the second essay of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from the premises. Nietzsche’s perfectionism is rooted from his central concept ‘will to power(wille zur Macht)’. In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will to power’ is explained as an affection of cruelty or an attitude of exercising power. His perfectionistic premise includes the idea that ‘active expression’ of ‘cruelty’ can be considered as an exercise of human nature: will to power; which provides standards to judge between right and wrong or whether one’s life is good. Nietzsche’s naturalism appears constantly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and it takes the position that morality should be explained by non-moral terms without any supernatural concepts. From the premises Nietzsche outlined a grand narrative about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n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Human as natural animal had been changed into social animal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zation,such as memorizing essential elements in daily lives. In order to memorize something, people stressed others with cruelty when their words were not remembered properly. As a consequence the concepts of responsibility, justice and punishment were formed in the process. As the society expanded in this manner, social stratum was divided into two classes: master and slave. Masters exercised artistic cruelty by forming states and establishing a state law, while slaves were overwhelmed by masters that resulted the deprivation of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cruelty. Hence, masters provided the standard of what is ‘good’ and ‘bad’ in order to actively express their power by stipulating themselves as good and slaves as inferior and weak. Unlike them, slaves expressed power in reactional way by considering others as ‘evil’ and stipulating themselves as ‘good’. In the same way, masters and strong people wielded their artistic cruelty as power through forming states and establishing a state law. On the contrary, since slave and weak people could not inflict their cruelty, they could not help internalizing their cruelty,consequently ‘bad conscience’ appeared. However, society has been systematized and culture has been established firmly. Consequently, under the condition even master and strong people had no chance of wielding power actively. Therefore bad consciousness was passed down to us and it became a universal moral emotion. From what has been discussed above, we can see Nietzsche’s two premises and a coherent claim about that morality was proposed from the premises. But Nietzsche’s premises itself remain as a matter to be discussed further. 니체는 『도덕의 계보』에서 도덕의 기원과 발전에 관한 주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니체의 주장이 ‘가설적 성격’을 띄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을 단지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식의 비생산적인 이해로 귀착하거나 일관된 이해에 어려움을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난점을 넘어서기 위해 니체의 주장에깔린 두 가지 전제를 명료하게 밝히고 이 전제로부터 『도덕의 계보』 1논문과 2논문을 중심으로 니체가 도덕의 기원과 발전에 관한 일관된 논의를 전개하고 있음을 보일 것이다. 니체의 완전주의는 그의 핵심 개념인 ‘힘에의 의지’를 근간으로 한다. 『도덕의계보』에서 니체는 ‘힘에의 의지’를 ‘잔인함’이라는 ‘정서’ 혹은 힘을 표현하는 ‘태도’로 설명하고 있고 이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잔인함’을 ‘능동적으로표현’하는 것은 힘에의 의지라는 인간의 본성을 실현하는 것이고 이것이 옳음과그름 그리고 좋은 삶에 대한 기준이 된다. 더불어 니체의 자연주의는 『도덕의 계보』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입장으로서 도덕에 대한 설명은 초자연적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 도덕 외적인 개념들을 통해 제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전제로부터 니체는 『도덕의 계보』 1논문과 2논문에서 도덕의 기원과 발전에 관한 거대한 서사를 그리고 있다. 자연적 동물로서 인간을 사회화시키는 과정에서 망각에 대한 기억의 투쟁이 진행되고 여기서 주요한 계기로 작용하는 것이 ‘잔인함’의 표현이다. 이 과정의 결과 책임과 정의 그리고 형벌이라 는 개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사회가 확대됨에 따라 국가를 형성하고 법을 제정하여 자신의 예술적 잔인함을 표현하는 강자와 강자들에 의해 잔인함을 표출할 기회를 얻지 못한 약자들로 사회의 계층이 구분된다. 이에 따라 강자들은 좋음과 나쁨이라는 가치판단을 제시하고 자신을 좋음으로, 자신보다 열등하고 약한 자들을 나쁨으로 규정하여 힘을 능동적으로 표현한다. 이와 달리 약자들은자신이 아닌 것들을 부정하며 악한 것으로, 악한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자신을 선한 것으로 규정하여 힘을 반동적 방식으로 표현한다. 같은 맥락에서 강자들은 국가와 법을 제정하여 자신들의 잔인함을 능동적으로 표현하지만, 이러한기회가 차단된 약자들은 잔인함을 내면화하여 양심의 가책이 발생된다. 그러나사회가 더욱 체계화되고 문화가 정립되면서 이제 강자들조차 자신들의 잔인함을 표현할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되며 양심의 가책은 보편적 도덕적 감정으로 우리에게 전승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도덕의 계보』에서 제시된 니체의 두 가지 전제와 이로부터 제기된 일관된 도덕에 관한 가설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니체의전제 자체에 관한 논의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남겨져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